송길영 박사님 Daum에 계실 때 그 유명한 "좋아하는 걸 해"라고 하신 영상에 감명을 받았던 게 너무 새록새록 기억이 나네요. 영상을 첨으로 봤을 당시... "어떻게 좋아하는 걸 하라는거야? 내가 뭘 좋아하는지도 모르겠고 그걸 일로 어떻게 연결지어? "이러면서 멘붕에 빠졌던게 기억이 나기도 하고 또 "좋아하는 걸 일로 하는 사람은 극소수야!" 이러면서 마음의 문을 닫았었는데.... 지금은 송길영박사님이 말씀하신 거처럼 좋아하는걸 하고 나에게 가치있는 걸 하고있는 저를 돌아보니 정말 감사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몇년이 지났는데도 그 가치를 지키고 계속 얘기하시고 계시는게 참 멋지네요. 저도 말씀해주신 인싸이트로 좋아하는 것과 목적의식을 가지고 일하려고 하는데 참 일을 바라보는 관점이 완전 달라졌습니다.
정말 코로나 이후로 시대가 급변했어요! 아이들 진로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할 것 같구요. 한국도 MZ시대가 회사를 떠나고 또 오늘 뉴스에서는 작년에 서울대생들이 자퇴하는 수가 23년만에 최고치라고 하네요. 한국을 포함해 일부 나라들에서도 인력난을 겪는데 이젠 직장이 없어 걱정하는 시대가 아닌가봐요. 아님 세대가 달라져서 각자 잘 하는것보다 좋아하는 일을 하는것일 수도 있구요. 너무 갑자기 변화는 이 시대에서 특히 자녀를 둔 부모로서 어떤 방향으로 가도록 도와줘야 할지 애청하는 MKTV에서 다뤄주셨음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송영길님의 강의는 언제나 재미있어요 같이 수다떠는 느낌으로 편안한데 다양한 생각들을 하게 해주는 뜻깊은 내용이네요.^^
아이 키우는 부모로서 앞으로 변화하는 세상이 참 흥미롭다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무한한 경쟁이 펼쳐지겠지만 전처럼 하나의 길만이 정답이 되는 사회가 아니라 조금은 마이너 하더라도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 기대됩니다.
또 아이에게 높은 자존감을 심어주는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들어요.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더라고요. 자존감이라는 연료를 채우고 지금의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내는 방법을 조금만 가르쳐 준다면 아이들은 어른의 생각보다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더라고요. 요즘은 유튜브에 양질의 컨텐츠들도 많고 기업체에서 하는 무료 행사나 정부지원프로그램들도 점차 다양화 되고 있잖아요. 물론 돈으로 좀 더 쉽게 갈 수도 있겠지만 어렵게 한걸음씩 가면서 다져진 내면의 힘이 나중에 더 큰 성장을 가져올 거라고 생각해요. 아이의 다양한 시도를 믿어주고 격려해주고 함께 고민하면서 성장하는 부모가 되어야겠네요.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y-discovery 27
2022년 9월 20일 22:46송길영 박사님 Daum에 계실 때 그 유명한 "좋아하는 걸 해"라고 하신 영상에 감명을 받았던 게 너무 새록새록 기억이 나네요. 영상을 첨으로 봤을 당시... "어떻게 좋아하는 걸 하라는거야? 내가 뭘 좋아하는지도 모르겠고 그걸 일로 어떻게 연결지어? "이러면서 멘붕에 빠졌던게 기억이 나기도 하고 또 "좋아하는 걸 일로 하는 사람은 극소수야!" 이러면서 마음의 문을 닫았었는데.... 지금은 송길영박사님이 말씀하신 거처럼 좋아하는걸 하고 나에게 가치있는 걸 하고있는 저를 돌아보니 정말 감사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몇년이 지났는데도 그 가치를 지키고 계속 얘기하시고 계시는게 참 멋지네요. 저도 말씀해주신 인싸이트로 좋아하는 것과 목적의식을 가지고 일하려고 하는데 참 일을 바라보는 관점이 완전 달라졌습니다.
@노유리-t6o 22
2022년 9월 19일 20:32아이들 문제는 좀 어렵네요 아이들이 좋아하는걸 찾으려면 이런저런 경험하게 해야하는데 그러려면 돈이 필요한것 같고..그래서 제일 안전한 공부를 하라고 하게 되는듯 합니다ㅠ
@MK.810 14
2022년 9월 21일 00:54정말 코로나 이후로 시대가 급변했어요!
아이들 진로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할 것 같구요.
한국도 MZ시대가 회사를 떠나고
또 오늘 뉴스에서는 작년에 서울대생들이
자퇴하는 수가 23년만에 최고치라고 하네요.
한국을 포함해 일부 나라들에서도
인력난을 겪는데 이젠 직장이 없어 걱정하는
시대가 아닌가봐요.
아님 세대가 달라져서 각자 잘 하는것보다
좋아하는 일을 하는것일 수도 있구요.
너무 갑자기 변화는 이 시대에서
특히 자녀를 둔 부모로서 어떤 방향으로
가도록 도와줘야 할지
애청하는 MKTV에서 다뤄주셨음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최수현-m6r 12
2022년 9월 20일 15:03송길영 박사님 나오시면 꼭 보게됩니다!!
통찰력이 정말 대단한 분이세요!
항상 많은 공감하며 봅니다!!❤
오늘도 두 분 다 감사드립니다😊👍🏻💚
@혜진김-x6j 12
2022년 9월 19일 22:29송영길님의 강의는 언제나 재미있어요 같이 수다떠는 느낌으로 편안한데 다양한 생각들을 하게 해주는 뜻깊은 내용이네요.^^
아이 키우는 부모로서 앞으로 변화하는 세상이 참 흥미롭다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무한한 경쟁이 펼쳐지겠지만 전처럼 하나의 길만이 정답이 되는 사회가 아니라 조금은 마이너 하더라도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 기대됩니다.
또 아이에게 높은 자존감을 심어주는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다시 한번 들어요.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더라고요. 자존감이라는 연료를 채우고 지금의 위치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찾아내는 방법을 조금만 가르쳐 준다면 아이들은 어른의 생각보다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힘이 있더라고요. 요즘은 유튜브에 양질의 컨텐츠들도 많고 기업체에서 하는 무료 행사나 정부지원프로그램들도 점차 다양화 되고 있잖아요. 물론 돈으로 좀 더 쉽게 갈 수도 있겠지만 어렵게 한걸음씩 가면서 다져진 내면의 힘이 나중에 더 큰 성장을 가져올 거라고 생각해요. 아이의 다양한 시도를 믿어주고 격려해주고 함께 고민하면서 성장하는 부모가 되어야겠네요.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MKTV 11
2022년 9월 15일 11:32👩🦱 『미경언니의 경제과외』여러분이 궁금한 주제, 모시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모든 투자는 위험이 수반되며 투자자 본인이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 매일 나를 성장시키는 습관 【MKYU】
👉🏻 https://bit.ly/3JUEt7D
🟠 내가 플랫폼이 되는 웹3.0을 공부하고 싶다면?
👉🏻 https://bit.ly/3Auhcq1
👩🦱 미경쌤의 진짜 일상은? 【김미경의 인스타그램】
👉 https://bit.ly/2KhMghw
0:00 대중분화, 더욱 강력해지는 경쟁
9:46 왜 나답게 즐겨야 잘 벌 수 있을까?
14:12 아이들의 진로는 이미 바뀌었다
@아하-c4o 9
2022년 9월 19일 20:28송길영님 자주 모셔주세요
@황흥진-d7z 4
2022년 9월 28일 08:35은퇴하고 몽롱한 한달을 보내고 있는데 길을 발견한 듯합니다~~
학장님 박사님~
감사드리고 감사드립니다~~
@kimmettaAI 4
2022년 9월 28일 01:22와....진짜 너무 좋은내용...두번들었어요...ㅠㅠ어쩜 세상의 흐름에 맞춰서 이런 좋은 영상들을 시기에 딱딱 올려주시는지
김미경 선생님 최고입니다
@name-bf3ek 4
2022년 9월 30일 11:29인공지능 화법인데, 따뜻하고 세련된 통찰을 핀포인트 해 주시는 송길영 부사장님💕 뵐 때마다 존경한다는 마음이 커지네요. 자주 출연하셔서 저희에게 계속 인사이트를 리마인드 해주세요~ 자주 들어야 생각이 변하고, 행동이 변하고 습관이 되니까요!👍🏻💯🤗
@김애령-l6o 2
2022년 10월 28일 16:04송길영 교수님 감사합니다.
@에너지이저 2
2023년 1월 05일 01:29난 왜 반감이 생기지?
돈 많고 잘 즐기고 잘 사는데 왜 꼭 새로운걸 반드시 해야 하는것 처럼 겁을 주냐? ㅎㅎ
불안감 조성하는 사람이네..
@김혜지-w2h 2
2022년 9월 19일 20:49감사해요😊
@달빛사냥-k5i 1
2022년 11월 02일 07:47단기간의 예측은 잘하지 이런부류의 사람들이 공부한 지식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들이 예측한대로 세상은 흘러가않아요 ㅋ
@Mind_heroes 1
2022년 12월 06일 13:00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그 엄청난 판에 저도 이제 뛰어들었네요. 좋은 브랜드가 되어 저도 MkTV에 출연하겠습니다 ~~!
@축구왕김농구 1
2022년 10월 06일 08:08와...정말 말씀 잘하시네요
@슈슈슈슈-d5y 1
2022년 9월 28일 21:16감사드립니다 ❤
@달빛사냥-k5i 1
2022년 11월 02일 07:48헛똑똑이들이지
@leesytv 1
2022년 10월 26일 09:19지구적 경쟁하려면 영어 장벽을 넘어서야 하지 않을까요
@소금돌이 1
2022년 9월 20일 08:42아이들의 진로,,,
@Zerojoo96 1
2022년 11월 11일 16:50송길영 박사님 완전 찐 팬됬네요. 몰라봐서 죄송~ ^^
@정솜결 1
2022년 9월 20일 10:20영상감사합니다ㆍ솜결
@김경희-x5d3m 1
2022년 10월 25일 23:33세바시에서 뵙던 송길영 대표님~ 멋지십니다 어찌그리 말씀을 잘하시고 귀에 쏙쏙 들어가게 전달력이 높으신 어휘력 대단하셔요 오늘 하루만 삼프로 부터 이 영상까지 계속 보게 되네요 ㅎㅎ
@김은영-v2b
2023년 1월 13일 22:42전 지구적인 경쟁..
@성춘자-n2t
2022년 10월 12일 04:50전 지구적인 경쟁력
맞넹!
@황군향-p2m
2023년 5월 03일 22:00감동입니다~~미경언니 정말~~
너무 꿍짝이 맞는분을 모셨네요
많은 정보 얻고 갑니다
@simple3971
2023년 7월 03일 01:14이젠 전세계적으로 경쟁의 범위가 넓어진다.
또한, 그렇기에 시장이 더욱 세분화된다.
그래서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더 세분화된 소비자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선, 공급자도 그만큼 자신의 분야에 있어서 특유의 가치를 만들어야 하니까.
수요자가 깊어질수록 까다로워지고, 그 까다로워지는 걸 충족시키는 공급자가 성공하게 되어있다.
사실 이미 그들의 욕망은 있었지만 과거에는 지원받지 못했는데, 이젠 만들어낼 수 있으니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좋아하는 걸 해야 한다.
그래야 깊어지기 때문.
이젠 전문가의 애호에 대한 수요가 있으니, 일을 좋아하는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fofounni
2022년 9월 25일 14:08💚💚💚💚
@컨설턴트-u6y
2022년 10월 05일 16:28본질적으로 옛날이나 지금이나 같은 것 같습니다. 인류 역사와 더불어, 건강과 관련된 사업, 돈과 관련된 사업은 계속되는 것 같습니다. 사람이 건강과 경제적 자유(풍요)를 바라니까요... 본질적으로 사람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면 되는 것 같습니다. ^^
@라랜드라-k9e
2022년 12월 12일 18:42완전 찐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