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1,2등은 의대간다는 말이 사실이었네요ㅎㅎㅎ 책 읽는 습관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 책 읽을기회가 더 많았다면 꿈이 바뀌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책은 너무 신기해요 글 한 줄로 지식을 얻기도 하고 또 위로받기도 하고 웃게하기도 하니까요 책 읽는 습관이 공부습관 기르는데도 좋다는 말이 사실이었네요!!!
첫째, 메타인지능력의 활용이다. 메타인지란 뇌가 인지 능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말한다. 인지기능은 단편적으로 지식을 암기한다던지 수학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하지만 메타인지기능이란 이러한 인지능력을 최대화 되도록 관리해 나가는 능력을 말한다. 예컨대 내가 수학 시험을 보고 점수가 안나오는 부분이 분수인지 미적분인지 알아보고 이 분야를 어떻게 하면 성적이 나오게 될 것인가 연구하고 계획을 세워 실행해 나가는 일이다. 혹은 내가 밤에 집중이 잘 되는지 새벽에 잘 되는지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공부 시간을 찾아내는 일이다. 첫째 의사는 하루에 반드시 공부해야할 일을 정하고 매일 매일 꾸준히 양을 늘려가면서 공부했고 두번째 의사 역시 계획을 세위 실행하는 친구를 보고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인지능력이 사람마다 다르듯이 메타인지 또한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무수한 학습 전략과 비법들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자신에게 맞는 학습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인지 능력을 조절하는 메타인지 능력을 우선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독해능력이다. 우리의 뇌는 자라나면서 겪은 경험들로 스키마가 짜여있다. 이 스키마란 뇌가 가진 배경지식을 말한다. 이 스키마 조직이 촘촘하고 잘 엮여 있으면 어떤 문제를 맞이하더라도 탄탄한 배경지식으로 문제 해결 능력이 올라간다. 즉 부딧치는 수능문제들을 쉽게 해결해 나간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 뇌 속의 배경지식인 스키마 조직을 어떻게 하면 잘 조직하느냐가 공부 비법 중 하나인데 그 유일한 방법은 책을 읽는 길이다. 우리가 살면서 모든 일들을 직접 겪고 관련 배경지식을 쌓기란 불가능하다. 하지만 책을 통해서 만큼은 무한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다. 무협지을 읽더라도 등장인물의 성격과 적을 제합하는 패턴을 읽어 낸다. 김민식 피디님처럼 음란 마귀 상황을 눈치로 포착해내는 스키마 조직을 쉽게 만들어 훗날 드라마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셋째, 겸손의 자세이다. 이 세분 의사께서는 자신만의 방식이 절대적인 방법이 아님을 누차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 항상 자신이 틀릴 수도 있음을 경계하고 부단한 자아 성철을 해오시는 분들이라 할 수 있다. 내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다른 방법도 써 보고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지 항상 고민해나가시는 보습이 보인다. 이런 인생에 대한 태도가 그들을 상위 1%로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위 의사들의 부모는 절대로 공부하라고 강요하는 부모가 아니다. 공부는 결국 자신의 몫인 셈이다. 여기서 부모가 할 일은 격려와 따뜻한 칭찬의 말 한마디 건네기일 뿐이다. 요약컨대 공부, 학습 전문가가 아닌 보통 의사들이 전하는 공부 비법이란 - 메타인지활용을 높인다. 책을 많이 읽는다. 겸손의 자제를 지킨다. - 이다.
공부를 본인이 하고싶어서 한다, 필요해서 한다? 실은 스스로 계획해서 나에게 맞는 학습법을 찾자 라는 것도 정말 어려운 일이죠ㅠㅠㅠㅠ 그래서 꼬꼬독 김민식 선생님이 말해주신 것 처럼 부모님이 만들어준 학습루틴을 따라가면서 잘되는 학생 케이스도 정말 많은 것 같아요. 오히려 요즘은 이런 케이스가 훨 많은 것 같구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닥프 싸랑해....💚💛💜
이 영상을 통해 주변환경의 중요성도 알게되지만, 다른 사람의 강요가 아닌 자신의 의지가 있을 때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의 이분들이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을 공부에 쏟았는지 감히 헤아려봅니다. 그들의 긍정적인 생각, 오랜 수고, 의지가 있었다는 것이 정말 부럽고 멋지십니다! 어렸을 때부터 책읽는 습관이 중요하시다고 하니,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꾸준히 책읽기! 시작해보겠습니다! 오늘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무엇이든지 하려고 마음 먹었는데 막상 옆에서 한소리 하면 하기 싫어지듯이 공부도 강요한다고 되는건 아니죠. 시간이 걸리더라도 스스로 필요성을 느낀다면 아이들은 알아서 잘 해나갈것 같습니다. 부모의 조급함만 버린다면요. 책읽는 부모도 제가 지향하는 모습인데 잔소리보다는 저부터 행동하는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번 더 하게 되네요.☺
재미와 유익을 모두 주는 꼬꼬독 시청했어요~' 남과 있을때 그들을 빛나게 하고 격려하면 좋은 콘텐츠를 만들수있다' 라는 김민식 피디님의 노하우가 물씬 느껴지는 흐믓한 방송이네요. 아이들과 함께 다시 들어보려구요. 선물까지 있다면 더욱 좋구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주야-t4r 19
2020년 3월 11일 00:04전교1,2등은 의대간다는 말이 사실이었네요ㅎㅎㅎ 책 읽는 습관은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어렸을 때 책 읽을기회가 더 많았다면 꿈이 바뀌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책은 너무 신기해요 글 한 줄로 지식을 얻기도 하고 또 위로받기도 하고 웃게하기도 하니까요 책 읽는 습관이 공부습관 기르는데도 좋다는 말이 사실이었네요!!!
@유선희-x6k 9
2020년 3월 10일 18:10자신의 공부법을 아는 것이 중요한것같네요. 스스로를 정확히 알고 스스로에게 맞는 공부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네요
@요플레따꿍 7
2020년 3월 10일 23:025:52 그래선지 지금까지도 진승쌤이 독서를 많이 하시는것같아요!! 확실히 어렸을때 습관이 중요한가봐요👏👏
@9Sunny-r1b 6
2020년 3월 19일 11:26아이들에게 책 읽는 습관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책 읽는 습관은 어느정도 성공이라고 보여지는데,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은 너무 어렵네요. 부모의 역할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오늘도 마음을 다잡오보네요^^
@eunjnkim923 6
2020년 3월 12일 08:44세 의사분이 말하는 공부전략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메타인지능력의 활용이다. 메타인지란 뇌가 인지 능력을 관리하는 기능을 말한다. 인지기능은 단편적으로 지식을 암기한다던지 수학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을 말한다. 하지만 메타인지기능이란 이러한 인지능력을 최대화 되도록 관리해 나가는 능력을 말한다. 예컨대 내가 수학 시험을 보고 점수가 안나오는 부분이 분수인지 미적분인지 알아보고 이 분야를 어떻게 하면 성적이 나오게 될 것인가 연구하고 계획을 세워 실행해 나가는 일이다. 혹은 내가 밤에 집중이 잘 되는지 새벽에 잘 되는지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공부 시간을 찾아내는 일이다. 첫째 의사는 하루에 반드시 공부해야할 일을 정하고 매일 매일 꾸준히 양을 늘려가면서 공부했고 두번째 의사 역시 계획을 세위 실행하는 친구를 보고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인지능력이 사람마다 다르듯이 메타인지 또한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무수한 학습 전략과 비법들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자신에게 맞는 학습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인지 능력을 조절하는 메타인지 능력을 우선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독해능력이다. 우리의 뇌는 자라나면서 겪은 경험들로 스키마가 짜여있다. 이 스키마란 뇌가 가진 배경지식을 말한다. 이 스키마 조직이 촘촘하고 잘 엮여 있으면 어떤 문제를 맞이하더라도 탄탄한 배경지식으로 문제 해결 능력이 올라간다. 즉 부딧치는 수능문제들을 쉽게 해결해 나간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이 뇌 속의 배경지식인 스키마 조직을 어떻게 하면 잘 조직하느냐가 공부 비법 중 하나인데 그 유일한 방법은 책을 읽는 길이다. 우리가 살면서 모든 일들을 직접 겪고 관련 배경지식을 쌓기란 불가능하다. 하지만 책을 통해서 만큼은 무한한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다. 무협지을 읽더라도 등장인물의 성격과 적을 제합하는 패턴을 읽어 낸다. 김민식 피디님처럼 음란 마귀 상황을 눈치로 포착해내는 스키마 조직을 쉽게 만들어 훗날 드라마 제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셋째, 겸손의 자세이다. 이 세분 의사께서는 자신만의 방식이 절대적인 방법이 아님을 누차 반복해서 강조하고 있다. 항상 자신이 틀릴 수도 있음을 경계하고 부단한 자아 성철을 해오시는 분들이라 할 수 있다. 내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다른 방법도 써 보고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지 항상 고민해나가시는 보습이 보인다. 이런 인생에 대한 태도가 그들을 상위 1%로 이끄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위 의사들의 부모는 절대로 공부하라고 강요하는 부모가 아니다. 공부는 결국 자신의 몫인 셈이다. 여기서 부모가 할 일은 격려와 따뜻한 칭찬의 말 한마디 건네기일 뿐이다. 요약컨대 공부, 학습 전문가가 아닌 보통 의사들이 전하는 공부 비법이란 - 메타인지활용을 높인다. 책을 많이 읽는다. 겸손의 자제를 지킨다. - 이다.
@요플레따꿍 6
2020년 3월 10일 23:10공부를 본인이 하고싶어서 한다, 필요해서 한다? 실은 스스로 계획해서 나에게 맞는 학습법을 찾자 라는 것도 정말 어려운 일이죠ㅠㅠㅠㅠ 그래서 꼬꼬독 김민식 선생님이 말해주신 것 처럼 부모님이 만들어준 학습루틴을 따라가면서 잘되는 학생 케이스도 정말 많은 것 같아요. 오히려 요즘은 이런 케이스가 훨 많은 것 같구요! 재밌게 잘봤습니다. 닥프 싸랑해....💚💛💜
@까꿍-g8s 4
2020년 3월 10일 19:15우리 아이들에게 꼭 필요한 책이네요
영상 보고또보기하네요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화이팅 동네방네 감사알리미하겠습니다 홍보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보네르-m8v 4
2020년 3월 10일 18:03제가 젤 처음 봤나봐요~~
공감가는 말씀이 많네요.
같이 읽고 함께 읽고
꼬꼬독은 일상에서 절 깨우치게 해주는 좋은 영상이어서 친구들한테도 공유해요~~
늘 감사해요♡
닉네임은 저희 아들이 올려놓은거구 저는 두아이를 키우는 주부랍니다 ㅎㅎ
@mjtv8623 3
2020년 3월 10일 21:44사람마다 공부하는 방법,, 무언가 새로운 것을 익히는 방법이 다르겠지만,
나보다 먼저 인생을 살아본 선배들의 이야기를 듣고 나에게 적용해보고 나에게 맞추어 변형 시키는건 참 중요한 것 같아요. 아이들이 보면 좋겠어요^^
@숭이는숭혀 3
2020년 3월 19일 10:36우선 첫 질문 듣고 절망하고 시작합니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상희-k8q3z 3
2020년 3월 10일 18:05꼬꼬독은 30분이상도 가능합니다.영상시간길~~~게.오래보고싶어요~~!!
@pungryugom 3
2020년 3월 10일 21:37강압보다는 자연스러운 동기부여가 답인 것 같습니다
인터뷰 잼있네요^^
@요플레따꿍 2
2020년 3월 10일 23:03아니 창윤쌤 반2등이 의대면... 와우 목포고 무슨일이야... 🤔
@Ssong-qj2jl 2
2020년 3월 10일 18:57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자녀들과함께할수있는 영상이라
Good~♡
@Grit_Kim 2
2020년 3월 11일 07:17공부는요?
사람마다 다른 것 같아요/집중하는시간에 따라공부는차이가나는것같아요/책을많이읽었어요등 편안하게 말씀하시는데 다 진리네요~~ 세분의 진솔한 이야기들이 가슴에 확 닿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초짜프로 1
2020년 3월 10일 19:27이야....이거 공부머리가 없는 저에게는 쉽지않네요~ㅋㅋㅋ
깡돌 1
2020년 3월 22일 14:25역시 책을 많이 읽어야 되네요
@zephy0426 1
2020년 3월 11일 03:23라이브때 처음 알아서 넘어왔는데 제 첫 입문영상이 이렇게 편집돼서 올라오니까 좋네요❤️
@인스파 1
2020년 3월 11일 01:12역시 맥락에따른 케바케네요
무조건적인 정답은 없고 자기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게 중요할꺼 같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onseonjang355 1
2020년 3월 11일 13:27ㅎㅎ 늘 공부잘하는 분들은 너무 쉽게 얘기하시네요
하지만 너무 재밌어서 자구 보게 되는
꼬꼬독 입니다
@김횬-k7i 1
2020년 3월 10일 19:00역시 모든것의 결론은 독서인듯 합니다. 꾸준히 독서해야 집중력도 높아지고 시야도넒어지고 관심분야도 생깁니다. 저도 자녀가생기면 책읽는습관을만들수있는환경부터조성하려구요~~
@suris8032 1
2020년 3월 10일 18:55꺄 이거 라이브 방송 봤었는데 올라왔네요!
@seonk-kj2kl 1
2020년 3월 17일 23:57이 영상을 통해 주변환경의 중요성도 알게되지만, 다른 사람의 강요가 아닌 자신의 의지가 있을 때 더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의 이분들이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시간을 공부에 쏟았는지 감히 헤아려봅니다. 그들의 긍정적인 생각, 오랜 수고, 의지가 있었다는 것이 정말 부럽고 멋지십니다! 어렸을 때부터 책읽는 습관이 중요하시다고 하니,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꾸준히 책읽기! 시작해보겠습니다! 오늘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열매-o9j 1
2020년 3월 10일 19:13무엇이든지 하려고 마음 먹었는데 막상 옆에서 한소리 하면 하기 싫어지듯이 공부도 강요한다고 되는건 아니죠. 시간이 걸리더라도 스스로 필요성을 느낀다면 아이들은 알아서 잘 해나갈것 같습니다. 부모의 조급함만 버린다면요. 책읽는 부모도 제가 지향하는 모습인데 잔소리보다는 저부터 행동하는 부모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번 더 하게 되네요.☺
@하루키-y8e 1
2020년 3월 11일 10:44재미와 유익을 모두 주는 꼬꼬독 시청했어요~' 남과 있을때 그들을 빛나게 하고 격려하면 좋은 콘텐츠를 만들수있다' 라는 김민식 피디님의 노하우가 물씬 느껴지는 흐믓한 방송이네요. 아이들과 함께 다시 들어보려구요. 선물까지 있다면 더욱 좋구요^^ 앞으로도 좋은 영상 부탁드립니다!!
@조연서-w4j
2020년 5월 30일 19:45영상잘봤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김그림
2020년 3월 23일 18:57어릴 때 책 과할정도로 많이봤는데 난 왜이렇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