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을 잘 못내리는 이유 :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에. /// 모든 일에는 장단점이 있다. 세상 일에는 정답도 없고 오답도 없다. "인생에는 짬짜면이 없다." 모든 선택에는 기회비용으로 잃는 것이 있다. 결정에는 다른 것을 포기한다는 것도 포함된다. /// 1. 자기 신뢰가 없는 것. 2. 욕심이 있어서 결정을 못 내리는 것. /// 장단점을 다 따진 다음에, 내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그 후, 가서는 장점만 본다. /// 아무리 장점을 보려고 해도 장점이 하나도 안 보이고 계속 후회가 될 때, undo, 되돌리기를 해라. undo 가 안된다면, "I can handle it" 해야 한다. 그리고 '거기서 무엇을 배웠는가?' 를 생각해본다. /// 자신의 취약한 부분을 배우자나 자녀에게 이야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장점에 집중해라. /// 자녀를 키웠을 때 가장 큰 궁극적인 목적은 자립이다. 한국 문화는 자율성을 존중해주도록 변해야한다. /// 창의성, 비판적 사고, 협력, 의사소통. (4C :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 가치와 마음자세. 정직, 성실, 기여, 배려. 긍정적인 마음자세.
지나영쌤의 말씀을 듣고 있으면 위로를 받는 기분입니다. 세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저 역시 처음부터 엄마가 아니었기에, 책임감 딸린 결정과 판단들이 지속되는 매순간마다 "이게 최선일까?" "이 아이를 위해 더 좋은 선택은 무엇일까?" 많은 고민을 합니다. 하지만 절대 정답을 앞에 가져다주는 엄마가 되지 않으려고 노력하다보니 주위 다른 엄마들과 달라서 가끔씩 흔들리더라구요. 나영쌤 말씀들은 저에게 "잘 하고 있어~" 라고 말해주는 것 같아 힘이 납니다. 빨리 앞서가는 것에 박수쳐주는 세상이지만 조금 느릴지라도, 남과 다를지라도 스스로 선택하고, 그 선택에 책임질줄 아는 사람으로 키우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특히 후반부에 입시 얘기하시면서 가치에 대해 말해주실 때,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주변에 보면 지식은 많은데 지혜가 없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요. 어딘가 생기가 없는 동태눈깔 같은 느낌을 가지고 그냥 하루하루 원래 이런거지 (봐온게 배운게 이거니까) 회사다니고 공부하면서 정작 중요한건 놓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에요.
문제는, 이 놓치는 중요한 부분이 뭔지조차 자각하지 못하거나 찾지도 않는 세대라는거.
그냥 그저 삶의 유행 따라가고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사는 무의미한 삶들 같아보여요 같은 또래가봐도.
분명 윗 세대들이 지내는걸 보면 뭔가 생명력 없게 느껴지거든요.
그러니까 말도 안되는 것들에 의미를 찾고 쾌락을 찾는거 같은데 이게 또 내 미래인거죠.
삶의 이유, 존재의 목적, 가치, 지혜 그에 따른 생명력을 찾는거. 그게 사실 인간의 궁극적인 삶의 이유이자 목표이자 삶의 희망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드는 영상이였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실제로 주변 사람들이랑 얘기해보면 정말 비혼주의가 많아요. 여자,남자 불문하고 교수님이 말하신 것처럼 내가 애였을 때 너무 힘들었어서. 제일 많이 생각하는 부분을 딱 말씀해주셔서 놀랐어요.
내가 행복해야 행복한 부모로서 아이를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내가 행복하지 않기 때문에 가정을 완성하기 두려운거죠.
@doyunnam3124 63
2022년 10월 11일 20:26결정을 잘 못내리는 이유 : 자신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기 때문에. /// 모든 일에는 장단점이 있다. 세상 일에는 정답도 없고 오답도 없다. "인생에는 짬짜면이 없다." 모든 선택에는 기회비용으로 잃는 것이 있다. 결정에는 다른 것을 포기한다는 것도 포함된다. /// 1. 자기 신뢰가 없는 것. 2. 욕심이 있어서 결정을 못 내리는 것. /// 장단점을 다 따진 다음에, 내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그 후, 가서는 장점만 본다. /// 아무리 장점을 보려고 해도 장점이 하나도 안 보이고 계속 후회가 될 때, undo, 되돌리기를 해라. undo 가 안된다면, "I can handle it" 해야 한다. 그리고 '거기서 무엇을 배웠는가?' 를 생각해본다. /// 자신의 취약한 부분을 배우자나 자녀에게 이야기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자신의 장점에 집중해라. /// 자녀를 키웠을 때 가장 큰 궁극적인 목적은 자립이다. 한국 문화는 자율성을 존중해주도록 변해야한다. /// 창의성, 비판적 사고, 협력, 의사소통. (4C :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llaboration, Communication). /// 가치와 마음자세. 정직, 성실, 기여, 배려. 긍정적인 마음자세.
@jinayoung 50
2022년 9월 24일 17:05안녕하세요 지나영입니다 ^^
결정 좀더 쉽게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또 미래에 준비된 자녀를 기르는 팁도 도움되길요.
김작가님 이렇게 인터뷰해 주시고 영상 잘 편집하여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
@bono-i8d 17
2022년 9월 24일 15:50결정장애 원인은 겸험부족 확신이 안서면 안되고 실수를 겁내하는거지
@해피리치-w1f 14
2022년 9월 24일 21:17지나영쌤의 말씀을 듣고 있으면 위로를 받는 기분입니다.
세 아이를 키우고 있지만 저 역시 처음부터 엄마가 아니었기에, 책임감 딸린 결정과 판단들이 지속되는 매순간마다 "이게 최선일까?" "이 아이를 위해 더 좋은 선택은 무엇일까?" 많은 고민을 합니다.
하지만 절대 정답을 앞에 가져다주는 엄마가 되지 않으려고 노력하다보니 주위 다른 엄마들과 달라서 가끔씩 흔들리더라구요.
나영쌤 말씀들은 저에게 "잘 하고 있어~" 라고 말해주는 것 같아 힘이 납니다.
빨리 앞서가는 것에 박수쳐주는 세상이지만 조금 느릴지라도, 남과 다를지라도 스스로 선택하고, 그 선택에 책임질줄 아는 사람으로 키우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김은혜-h5r 13
2022년 9월 30일 16:06마음이 여린데다 부모나 할머니 어른들의 칭찬과 격려보다는 못하는것을보고 야단만 치는 경우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야단 맞지 않을까하는 두려움으로 결정장애가 오는 경우도 있는것 같아요
제가 그런 삶을 살았던거 같고 지금도 그러고 있는거 같아요
@benedicta8330 13
2022년 9월 28일 05:38교수님 강의 너무 좋네요. 다른 플랫폼에서 본 강의보다 더 편하게 들을 수 있었어요.
@엄마원우 7
2022년 9월 26일 09:51교수님 강의 듣고 긍정적 마음자세(모든 일에는 장단이 있다)를 여기서 또 들으니 좋으네요^^ 애들에게 늘 가르쳐 주려고 애씁니다^^
@violetlove7777 6
2022년 10월 15일 17:15교수님 말씀 정말 공감합니다 ㅎㅎ 저에게 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감사합니다🥰
@별보석-q1b 6
2022년 10월 14일 20:26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늘 응원합니다
@shine5469 6
2022년 10월 22일 12:12지금 시대를 살고있는 2030으로서 정말 중요한걸 말해주신거같아요.
특히 후반부에 입시 얘기하시면서 가치에 대해 말해주실 때, 많은 생각이 들었어요.
주변에 보면 지식은 많은데 지혜가 없다고 느껴지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요.
어딘가 생기가 없는 동태눈깔 같은 느낌을 가지고
그냥 하루하루 원래 이런거지 (봐온게 배운게 이거니까)
회사다니고 공부하면서 정작 중요한건 놓치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에요.
문제는, 이 놓치는 중요한 부분이 뭔지조차 자각하지 못하거나 찾지도 않는 세대라는거.
그냥 그저 삶의 유행 따라가고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사는 무의미한 삶들 같아보여요 같은 또래가봐도.
분명 윗 세대들이 지내는걸 보면 뭔가 생명력 없게 느껴지거든요.
그러니까 말도 안되는 것들에 의미를 찾고 쾌락을 찾는거 같은데
이게 또 내 미래인거죠.
삶의 이유, 존재의 목적, 가치, 지혜
그에 따른 생명력을 찾는거.
그게 사실 인간의 궁극적인 삶의 이유이자 목표이자 삶의 희망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드는 영상이였습니다.
교수님 감사합니다.
+실제로 주변 사람들이랑 얘기해보면 정말 비혼주의가 많아요. 여자,남자 불문하고
교수님이 말하신 것처럼 내가 애였을 때 너무 힘들었어서.
제일 많이 생각하는 부분을 딱 말씀해주셔서 놀랐어요.
내가 행복해야 행복한 부모로서 아이를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내가 행복하지 않기 때문에 가정을 완성하기 두려운거죠.
교수님 말처럼 많은 변화가 필요한 시점인것 같습니다.
@샤이니-g5z 5
2022년 9월 24일 23:50안녕하세요 김작가님^^
지금에야 럭키를 봤어요
거기 헤어스타일에 관한 얘기가 나오는데
저도 말씀 드리고 싶네요
지금 헤어스타일 잘 어울리세요
안경까지도 멋지십니다^^!!
@Lulu-dx6xy 4
2022년 10월 09일 14:19ADHD는 유전 되는 것 같아요
@안새봄-v1x 4
2022년 9월 24일 16:02우와
결정장애 해결법이 있다니
@metabooks_ 4
2022년 9월 24일 15:101등
@이영숙-y2q 4
2023년 1월 09일 09:57교수님 강의들으면 희망이 팍팍 생김니다~보라색 옷이 넘 잘 어울려요 감사합니디~~♡
정직ㆍ성실ㆍ기여ㆍ배려 좋아요
@룰루-d7r 4
2022년 10월 07일 17:55김작가님 4부는 언제 올라오나요??
@왕누니-s6b 4
2022년 10월 21일 20:01부조금은 가난해서 생긴 문화에 가깝지요.
과거 실시이후 지금까지도 공부만 잘해도,
대부분 보통 이상의 성공한 인생을 살았죠.
@lucky_tv 3
2022년 9월 24일 21:40🌟 『지나영 교수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nUUaGeFFB4E
👉 2부. https://youtu.be/t2jA64ZWwHg
👉 3부. https://youtu.be/MDmwZQdOodE
👉 4부. https://youtu.be/_8rvqOzN1nQ
📚 김작가 『럭키』 도서 구매
👉 https://bit.ly/3mnVYDq
@moon-ly1wf 3
2022년 10월 26일 11:48실제로 짬짜면을 먹으면
둘 다 맛이 없더라구요ㅠ
@지인-e2n 3
2022년 10월 21일 15:55오늘 대담 특히 귀중하네요~☆
@ilikeeunhatoo 3
2022년 9월 30일 18:59진짜 공감하네요 ❤❤
@sj6683 2
2022년 10월 23일 20:17선거요법 원가족지간에 스스로 할수있게 놔두는 것(자율성존중)
오늘 머리속이 어지러웠는데 뻥 뚫리는 말씀 감사해요
@자미성-k5q 2
2022년 11월 25일 07:08강의 공감합니다.
@백곰-y2x 2
2024년 4월 12일 13:571.모든결정엔 장단점이 있다
2.자기 마음에 드는걸 한다
3.결정한 후 장점만본다
@hchnmn 2
2023년 3월 10일 02:16작가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4편이 upload 되지 않은 것 같은데 혹시 4편도 upload 해주실 수 있을까요?
@양서하-u1j 1
2023년 7월 10일 11:58우연히 동영상을 봤는구요 아이를 키우면서 고민이 참 많았는데..
넘 좋은 말씀해주셔서 깜짝놀랐어요
교수님 멋있어요~❤❤❤
@웃음-y2q 1
2023년 5월 13일 07:14지나영교수님 항상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최고세요^^
고맙습니다^^♡
@jeongpilkim4968 1
2022년 11월 19일 20:00맞아요.
선택에대한 결과에 자신이 없는거죠.
결국,?
자 신 감
@김찬옥-c1r 1
2023년 5월 24일 08:42지나영 교수님 팬이됐어요
계속 영상 올려주세요
경험으로 쌓은지식으로 많은 도움 주시네요
@白頭山族 1
2022년 12월 01일 13:24재미있게 봤습니다.
@jongsookim7202
2023년 6월 06일 20:55반대로 말씀을 하시네요
자기에 대한 확신이나 신뢰가 있어도
완벽한 성격이라 항상 선택을 잘 해 왔기 때문에 잘 못 선택을 용납을 못하기때문에 쉽게 결정을 못내리는것입니다
@빨간망토챠챠-b5h
2023년 2월 14일 11:04나는 결정하는 순간(몸의반응)을 즐기는데 몸에 해로운건 아니겠죠?
@발랄하게살자
2025년 1월 24일 06:06제가 그래요 맨날 단점만 봐요 여기 가도 저기 가도 단점만 보고 그래요 뭐든 일에 기준치가 너무 높아요 undo 결정조차도 힘들어요 😂 I can handle it ! 이 생각을 명심해야겠어요 what did I learn from it? 이런 마인드도 너무 좋네요
@edkoki
2023년 10월 25일 20:50자기신뢰 욕심. 중요한포인트 같아요
@yongzaju
2023년 2월 15일 19:56좋은영상감사함니다
Bob Mani Jusayu
2022년 9월 24일 15:54정직,성실,기여,배려 + 긍정 (창의성 비판적사고 협력 소통) 을 30년 대가리에 박아주기 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