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다만 섀넌스 데몬은 고점에서 팔고 저점에서 산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하는 가설입니다. 오르면 팔고 내리면 사면 물론 좋죠. 허나 본인의 매수가격이 과연 매도의 기준이 될 수 있나요. 판단을 잘못해 물타기 계속하다간 지하로 박힐 수가 있습니다 ^^; 리밸런싱은 필요하나 거래세와 환차손 등을 고려시 리밸런싱 주기는 길게 가져가야 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재테크공부 시작하고 실전투자하고 있는 1인입니다. 홍박사님 영상보면서 경제에 대한 느낌적인 느낌(?)을 많이 배우고 있어요. 근데 막상 리밸런싱을 실천하려다보니 일단 매번 가격이 오른 자산을 팔아야 하지 않습니까? 그렇게 되면 15.4%인가 소득세(국내기준)를 내야하잖아요. 저에겐 이 또한 총알(투자자산)의 감소라 고민이네요. 이 문제를 어떻게 보시는지 고견부탁 드립니다^^.
리밸런싱을 하기 위해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를 해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한다 해도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하는 순간 양도소득세 22% 떼이지 않나요?(해외etf 연250만원 이상 오른 경우) 그래서 부족한 저의 관점에서는 비싼 자산을 매도해서 싼 자산을 매수하는 리밸런싱하게되면 세금(22%)+매도수수료 에서 더 손해를 보는것 같은데 이에대해 박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리밸런싱에 대해서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폭락전에 한국주식과 미국국채를 5:5로 맞춘 상태에서 리밸런싱을 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폭락전에 수익이 난 부분을 팔고 가격이 떨어진 것을 사서 리밸런싱 하는 것이 이상적일거라 생각하는데 이걸 알 수 있는 시점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자신의 수익률 기준을 정해놓고 리밸런싱을 하는건가요? 한가지 더, 폭락이 시작되는 시점 혹은 폭락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해도 괜찮을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연금굴리기 초보입니다 ^^ 퇴직금을 개인연금계좌로 수령하였고, 마법의 연금굴리기 내용 참고해서 5개 ETF에 자산분할하고 주기적인 리밸런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이 코로나 악재 가득한 시장에서는 퇴직금 투자를 피하고 투자 개시 시기를 미루는게 나을까요? 투자를 시작하되 자산을 쪼개서 투자하는게 맞을까요? 퇴직금 과세이연 신청한 상태이니 리밸런싱으로 자산 매도시 15.4% 세금 부과에 대한 부담은 없는거 맞을까요?
감사합니다! 요즘 같은 변동성 심한 장세에서는 리밸런싱을 자주 해야겠습니다. ㅎ 그런데 리밸런싱을 자주하면 의도치 않게 국내외 ETF 모두 불필요한 세금을 계속 내야할 우려도 있지 않을까요? 오른 자산만 계속 팔아서 수익을 실현하니까요.. 이러다보면 전체 포트는 마이너스 인데 세금은 내야 하는 비정상적인 상황도 있을거 같은데요. 장기적으로 보아도 세금부담이 너무 심해질거 같고요. 그래서 혹시 오른 자산을 팔아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하는 방식이 아닌, 추가입금으로 떨어진 자산만 매수하는 방식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퍼플써니 5
2020년 3월 11일 09:31한달전 부터 주식투자를 시작했어요.
푼돈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의 주식시장을 보니 정말 많은 관심이
생기더라구요. 선생님의 영상보며
공부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
@juliuskim9656 3
2020년 3월 11일 20:21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다만 섀넌스 데몬은 고점에서 팔고 저점에서 산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하는 가설입니다.
오르면 팔고 내리면 사면 물론 좋죠. 허나 본인의 매수가격이 과연 매도의 기준이 될 수 있나요. 판단을 잘못해 물타기 계속하다간 지하로 박힐 수가 있습니다 ^^;
리밸런싱은 필요하나 거래세와 환차손 등을 고려시 리밸런싱 주기는 길게 가져가야 한다고 봅니다.
@JUTOPIA 2
2020년 3월 11일 10:49잘읽었습니다. 저도 요거 포스팅 준비중이였는데
저랑 지금 생각하시는 그림이 비슷하신가봐요 ㅋㅋ
역시 홍춘옥 박사님이십니다!! :D
감사합니다.
@돈방구-i4e 2
2020년 3월 11일 08:01다소 공격적 포트폴리오를 잡아놔서 그런지 안전자산이 오르는 폭보다 떨어지는 자산의 폭이 커서 비중ㅇ은 이미 맞는데 떨어지고만 있네요ㅠㅠ
@ydgking 1
2020년 3월 11일 07:06오늘도 감사합니다~~
@저스트킵바잉 1
2020년 3월 11일 14:18자산이 플러스든 마이너스든 리벨런싱하는것이 맞나요?
@미국주식읽어주는남자 1
2020년 3월 11일 08:54다음번 장에는 잘 준비해봐야겠습니다. 이번 하락장은 너무 늦은 것 같습니다. ㅜ
@buffettinbusan 1
2020년 3월 11일 23:27박사님 지금 미국 채권수익률이 너무 낮아졌고 미국이 마이너스 수익률까진 가지 않을테니 앞으로 채권은 헷지용으로 적합하지 않을 거란 말이 있던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studionausia9513 1
2020년 3월 11일 15:43안녕하세요? 최근에 재테크공부 시작하고 실전투자하고 있는 1인입니다. 홍박사님 영상보면서 경제에 대한 느낌적인 느낌(?)을 많이 배우고 있어요. 근데 막상 리밸런싱을 실천하려다보니 일단 매번 가격이 오른 자산을 팔아야 하지 않습니까? 그렇게 되면 15.4%인가 소득세(국내기준)를 내야하잖아요. 저에겐 이 또한 총알(투자자산)의 감소라 고민이네요. 이 문제를 어떻게 보시는지 고견부탁 드립니다^^.
@puffeduper 1
2020년 3월 11일 07:12감사합니다^^
@pluslee4075 1
2020년 3월 12일 06:57박사님... 이거 기회맞지요?
@도시탈출-g3g
2020년 3월 11일 10:34이 악물고 달러 모으고 있습니다. 대박의 기운이 스믈스믈...ㅎㅎ
@EarthTraveler-o3i
2020년 3월 22일 13:54박사님 혹시 코덱스인버스x2와 코덱스레버리지 2개를 리벨런싱을 해도 똑같은 개념인가요?
@pale9645
2022년 3월 05일 01:45아 소 배 액팅 들어봤어요 초보자들도 쉽게 접목할수 있다던데
@despairest
2020년 3월 12일 06:20오늘 미국 증시는 MDD에가까워졌는지 TLT 등 국채나 금도 던져지네요.. 이제는 긴 인내의 싸움이 될것같습니다. 좋은 말씀감사합니다.
@BETHANKFUL..
2020년 3월 11일 09:03주식 초보자 리밸런싱에 대해 오늘 배우게 되었습니다. 짧고 굵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핵심만 집어주시니 정리가 더 잘됩니다.
@주자왕파킹
2020년 3월 11일 11:24박사님 오늘도 어김없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바구니에 계랸을 담지 않을 뿐더러
상황별로 바구니의 계랸 개수를 조절 해야하는군요
@minyoungrich7262
2020년 3월 11일 16:07감사합니다 좋은정보입니다
@TheHanjun0202
2020년 3월 11일 07:30홍박사님, 오늘도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요즘처럼 변동성큰 시장은 잘없는것 같습니다. (어제 사이드카 하락장 오늘 다시 급등)
실전을 통해서 스스로 감내할수있는 MDD와 리밸런싱의 효과도 같이 경험하게 되네요ㅎㅎ
@stockus9498
2020년 3월 11일 17:47감사합니다
@omarshaban7255
2022년 3월 05일 01:45주식하기엔 너무 까막눈이라 찾던와중에 저도 소 베 액 팅 추천받아서 쳐봤는데 너무좋네요 ^^
Shadow
2022년 3월 05일 01:45요즘 재테크 하는게 유행인데 찾아보다가 소배 액팅 쳐보고나서 95%수익 내고있어요!
Sosyalix
2022년 3월 05일 01:45주식좀 해볼까하고 찾아보는데 너무어려워서 포기.. 그런와중에 소 베액 팅 은 진짜 혜자 인정;;
@r3byt114
2022년 3월 05일 01:45당일날 바로 소액으로 용돈벌고 당일환젼 해주던데 소 배액 팅 진짜 좋네요
M AKBAR ABDILLAH
2022년 3월 05일 01:45어제 소소하게 소배 액팅 쳐보고 들어가서 3만원으로 10만원만 벌고 나왔어요 시간없어서 ㅠ
borangor
2022년 3월 05일 01:45아아 그거 저도 알아요 소 배 액 팅 ㅎㅎ 어려운것도 없고 간단한 지식만으로 할수있다던데
Asmr Makkah
2022년 3월 05일 01:45소배 액팅 알고나서부턴 왜 내가 직장다니면서 뼈빠지게 일했을까 생각이 듭니다 일찍시작할껄 ㅠㅋㅋ
@ddokki55
2020년 3월 11일 07:18오늘도 감사합니다!
리밸런싱의 중요성은 전부터 강조해주셔서 이번 폭락장에도 많이 느끼고있습니다
중요한걸 알면서도 업무상 퇴근 후에야 장을 볼 수 있는 직장인은 대응과 변화가 참 어려운듯 합니다
@미미-f2z
2024년 5월 23일 19:53리밸런싱은 무얼 기준으로 해야하나요?수익률 아니면 금액이요?
@천상-d5n
2020년 4월 11일 21:58리밸런싱을 하기 위해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를 해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한다 해도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하는 순간 양도소득세 22% 떼이지 않나요?(해외etf 연250만원 이상 오른 경우) 그래서 부족한 저의 관점에서는 비싼 자산을 매도해서 싼 자산을 매수하는 리밸런싱하게되면 세금(22%)+매도수수료 에서 더 손해를 보는것 같은데 이에대해 박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Liesong710
2020년 3월 24일 23:00감사합니다 팬입니다
리밸런싱 예시에 한국주식 - 미국채권을 섞어주시던데 미국주식 ; 미국채권 의 조합보다 좋은가요??
@우리가족최고-i4n
2020년 3월 11일 17:48박사님 안녕하세요.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시청 중 입니다.
궁금한점이 두 가지 있어 질문드립니다.
1. (리밸런싱 관련해서)최근 영상에 한국부동산과 미국증시의 반대되는 경향에 대해서 말씀주셨는데 어떤 연관성으로 그리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 최근 미국이 제로금리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신흥국 증시로 자금이 쏠릴 수 있다라는 의견을 많이 접하는데 가능성이 있는 얘기인가요? (오히려 미국증시가 더 오를거 같아서요)
감사합니다.
@김왕배-d4j
2020년 3월 12일 10:22리밸런싱에 대해서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폭락전에 한국주식과 미국국채를 5:5로 맞춘 상태에서 리밸런싱을 하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폭락전에 수익이 난 부분을 팔고 가격이 떨어진 것을 사서 리밸런싱 하는 것이 이상적일거라 생각하는데
이걸 알 수 있는 시점이 있는건가요 아니면
자신의 수익률 기준을 정해놓고 리밸런싱을 하는건가요?
한가지 더, 폭락이 시작되는 시점 혹은 폭락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해도 괜찮을 수 있는건가요?
@실천주의자
2020년 3월 11일 18:17박사님 덕분에 오늘도 많이 배웁니다 감사해요
그런데 목표가격은 어떻게 설정하나요? 내 주식 가격이 무릎인지 어깨인지 판단할 자신이 없는데요ㅠ 자산운용사에서 정해놓은 목표주가를 참고하는 것도 괜찮을까요?
@hkj3379
2020년 3월 17일 23:13안녕하세요? 연금굴리기 초보입니다 ^^
퇴직금을 개인연금계좌로 수령하였고, 마법의 연금굴리기 내용 참고해서 5개 ETF에 자산분할하고 주기적인 리밸런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금과 같이 코로나 악재 가득한 시장에서는 퇴직금 투자를 피하고 투자 개시 시기를 미루는게 나을까요?
투자를 시작하되 자산을 쪼개서 투자하는게 맞을까요?
퇴직금 과세이연 신청한 상태이니 리밸런싱으로 자산 매도시 15.4% 세금 부과에 대한 부담은 없는거 맞을까요?
@양준석-u2g
2020년 3월 14일 11:06잘 봤습니다!! :)
@Gold_King
2020년 3월 11일 13:08홍박사님 영상 잘보고 있고 좋아요도 항상 누르고있습니다^^
한가지 여쭤보고 싶은것이 있는데 쓸데가 없어서 여기다가 씁니다
미국주식과 한국부동산의 자산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이신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서울부동산과 지방부동산은 서로 다르게 올라가던데
서울부동산과 미국주식과의 상관계수도 낮나요?
@joon-9454
2020년 3월 11일 07:25감사합니다! 요즘 같은 변동성 심한 장세에서는 리밸런싱을 자주 해야겠습니다. ㅎ 그런데 리밸런싱을 자주하면 의도치 않게 국내외 ETF 모두 불필요한 세금을 계속 내야할 우려도 있지 않을까요? 오른 자산만 계속 팔아서 수익을 실현하니까요.. 이러다보면 전체 포트는 마이너스 인데 세금은 내야 하는 비정상적인 상황도 있을거 같은데요. 장기적으로 보아도 세금부담이 너무 심해질거 같고요. 그래서 혹시 오른 자산을 팔아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하는 방식이 아닌, 추가입금으로 떨어진 자산만 매수하는 방식은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HwHwHwHwHwHQ
2020년 3월 12일 00:18아주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s&p 500 와 같은 지수 상품 65%와 해당 지수 2x인버스 35% 비중으로 리밸런싱 꾸준히 하면.. 이거도 먹히는건가요,,
@최민성-c6f
2020년 3월 11일 09:24리밸런싱 열심히 하고 있셔요
@sehirinvalisi
2022년 3월 05일 01:45소 배 액팅 그냥 아무대나 쳐봐도 나와요? 어디서 찾아들어가는거지
@gelberaberoynayak5394
2022년 3월 05일 01:45소베액 팅 많이 유명하죠 그냥 쳐보기만해도 바로나오니까 ㅎㅎ
@BassamAngix
2022년 3월 05일 01:45소 배 액팅은 워낙 유명해서 앞전부터 핫했는데 이게 지금 뜨네요 ㅎㅎ
@herseydahil2764
2022년 3월 05일 01:45그냥 아무곳이나 쳐도 소 배 액 팅 주소 알수있어요 ㅎㅎ 워낙에 믿을만한곳이라
@bhk7664
2020년 3월 11일 08:47오늘도 감사합니다. 박사님
변동성이 심하니깐 여러걱정,궁금증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리밸런싱의 기준이 되는 위험자산의 비중 또는 포트폴리오구성자체를 고민해서 재조정할 필요는 없을지요? 언제 이런 고민을 해야하는건지요?
@hanlee7420
2020년 3월 11일 07:18안녕하세요 박사님!ㅎㅎ 만약 가지고있는 자산들이 모두 하락한경우 어떤식으로 리밸런싱을 해야하나요??
@iloveban222
2020년 3월 11일 07:13감사합니다. 기본을 돌아봅니다. 리밸런싱 주기는 어떻게 정하시나요.
fhdfhfdhz
2022년 3월 05일 01:45저는 요즘 코로나때문에 직장도 힘들어졌는데 소배 액팅 알고나서 부업으로 용돈법니다 ㅠ ㅎㅎ
kr yu
2020년 3월 11일 08:15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가물가물했던 내용을 박사님 덕분에 다시 상기하게 되었습니다.
ZULATR61 :
2022년 3월 05일 01:45시간만 있으면 넉넉하게 재테크 할수있는게 소베 액 팅 이죠 ㅇㅈ
유한양행스터의자산 10억 달성기
2020년 3월 11일 07:22리벨런싱 다시 재편성
다시 안전하게 바꿈
@melonmusk98
2020년 3월 11일 20:21짧은 영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ocean8762
2020년 3월 11일 09:40홍춘욱 박사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geangeun-jen
2020년 3월 11일 11:47홍박사님 형아의 말에 공감합니다. 그리고 리밸러싱 배우고 갑니다^^
@gaonsystem79
2020년 4월 27일 20:35그럼 지금 투자를 시작한다면 미국채에 투자를 해야하나요?
𝑆𝐴𝐷𝐸𝐶𝐸_𝑂𝑍𝐴𝑁
2022년 3월 05일 01:45요즘 소배 액 팅 이라고 주식,코인보다 좋다고 하던데요?
@Cntent_D
2020년 3월 11일 14:49홍박사님 감사합니다~~
리밸런싱 배워서 꼭 자산 배분해야겟습니다~
@arkx8380
2021년 2월 13일 19:13선생님 미국대표지수의 주식들과 미국국채도 반대로 가는 개념이라고 봐도될까요? 전 한국주식은 안해서 여쭤봅니다
@ilovenonogram2334
2020년 3월 11일 21:55kodex200미국채혼합 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valentinakwon5255
2020년 3월 12일 08:24리밸런싱을 하기엔.. 주식을 두달전에 시작하면서 공부하느라 안전자산을 매수를 못했어요 ㅠㅠ ㅎㅎ 공부열심히 할게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