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너무 똑똑해졌어요. 아이 낳으면 인생 거꾸러 가는거 다 알고 있어요. 집값도 비싸고 너무 치열한 경쟁사회고 일자리도 없고 정말 나만해도 차라리 안태어 났으면 어땠을까 싶은데, 이런 치열한 사회라면 내 아이는 고생 시키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요. 그리고 과거에는 자녀들 위해서 나하나 희생해서 아이들만 잘키우자 그랬다면 요즘은 내가 행복해야되는 사회에요. 아이 낳으면 내 인생 못즐기고 너무 제한이 많아지는데, 아이 안낳고 그냥 내인생 즐기고 싶은 사람이 많을거에요.
얼마전 통계로 가장 먼저 사라질 지방도시 본적 있습니다 제가 그 지방에 살고 있는데 그 통계 보기 전에도 제자신도 느낄만큼 고령화는 고사하고 정말 젊은세대 보기 힘들고 관광객으로 오는 이들이 있어 그나마 젊은세대들을 본답니다 휴일이 지나고 나면 시내거리엔 정말 너무나 조용하지요 그 말을 다른게 본다면 아이들을 보는건 일주일 한두번 볼수있을까 말까 하지요 사회구조도 아이를낳아 기르기엔 저회들 세대와는 다르게 너무나 힘드니 다들 포기 하는것 같습니다 오늘 두분의 대담을 들으며 막막함이 밀려드는듯 합니다 그 숙제는 정치권에서도 많은 노력을 하지만 참 어려운 숙제인것 만은 확실하네요 두분 수고하셨습니다 ~^^
주거와 직업만이 문제가 아니라 이제 1인으로 살아도 삶의 퀄리티가 좋기 때문인 듯. 오히려 더 좋은 경우도 많고요. 옛날처럼 가족이란 유닛을 구성해야 생존이 되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에, 집과 돈을 해결해도 출산율이 회복되진 않을거라 봅니다. 빨리 수긍하고 과거로 돌리려는 시도를 멈추고 생각을 혁신적으로 바꿔야 빨리 준비할 수 있을듯. 과학 기술이나 사회 양육시스템 등으로요
문제를 재인식 시켜주시는건 좋으신데요,,,왠지 수박겉햛기식이라,,,,,아쉬움도 남아요,,, 심각성은 알겠는데,,,그럼 어쩌라고??? 하시네요 ,,,옆에서 같이듣던 지인분이 그리 말씀하시네요,,,대안이나 제안도 제시 할수 있는 방송이 되었으면 합니다ᆞ감사히 잘 듣고 갑니다 ᆞ
부동산 문제의 해결은 기초연금 제도를 없애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 연금을 주니까, 60대 이상의 분들이 계속 수도권에서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초연금을 주지 않으면, 은퇴한 고령 인구가 부동산을 팔고, 지방으로 내려가고, 그 돈으로 생활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일할 젊은 인구들이 더 편하게 주거문제를 해결하고,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초 연금이 우리나라 부동산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앞서가는 공부를 시켜주시고 생각의 품을 키워주셔서 감사 합니다~^♡^~ 자연은 지구환경을 지키는 마지노선인 인구를 70억에 맞추는 작업을 계속 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선진국이 되어 인구가 줄어 들지만 우리가 옛날에 둘만 낳기 운동을 한때 가 있는데 후진국들 도 물질을 돕는것 에 서 삶의 질을 높이는 환경을 가르켜서 세계를 평준화로 만들어야 지구가 정화되는 자정능력을 도와주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인구 증가를 고민하는데서 더 크게~ 생각 해야하는 때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코로나가 끝나면 우리가 살아온 방법이 완전히 달라진다고 는 하고 있지만 대안을 못 내놓는 이때 대한민국은 이제 물건 만들어 먹고사는 시대에서 세계를 가르키는 사업 세계를 위한 일을 하면 경제는 스스로 일어나 잘 사는 나라가 되는 사업을 시작 해야 한다 합니다. 인류를 구할 유일한 사업을 해야하는 국제 새마을 운동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희망의 공유를 합니다~^♡^~ 유튜브에서 ※인류대민사업-기아제로프로젝트
예전에 내가 어느 대통령 한 분을 알지. 수도를 옮기고 지방으로 분산해 한다고 했지. 그런데 난리도 아니었지. 관습법으로 서울이 수도라는 희대의 법원 판결도 있었지. 그때가 마지막 기회였지. 헌데 대다수의 국민이 그를 욕했지. 이제 기회는 없어. 다들 이빨 꽉 깨무시고 각자도생해.
수도권 집중현상이 인구감소의 원인입니다. 지방을 활성화시켜 주거의 안정, 경제의 안정을 시켜야 출산율이 올라갑니다. 먹고 사는 문제(생존)가 해결되어야 종족보존을 합니다. 지방은 두명, 세명도 낳아도 부모의 노후 생존에 스스로 자신감이 생기는데 수도권은 자식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어 결혼도 출산도 안합니다. 수도권 경제ㆍ교육집중화 인구감소의 원인입니다.
@다잘될거야-x6w 89
2022년 10월 08일 20:21사람들이 너무 똑똑해졌어요. 아이 낳으면 인생 거꾸러 가는거 다 알고 있어요. 집값도 비싸고 너무 치열한 경쟁사회고 일자리도 없고 정말 나만해도 차라리 안태어 났으면 어땠을까 싶은데, 이런 치열한 사회라면 내 아이는 고생 시키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 많아요. 그리고 과거에는 자녀들 위해서 나하나 희생해서 아이들만 잘키우자 그랬다면 요즘은 내가 행복해야되는 사회에요. 아이 낳으면 내 인생 못즐기고 너무 제한이 많아지는데, 아이 안낳고 그냥 내인생 즐기고 싶은 사람이 많을거에요.
@user-ki-g9i 59
2022년 10월 08일 16:552045년 인구절벽이라는데 큰일이에요.
날이 갈수록 개, 고양이만 늘어가는 요즘의 현실 ㅠㅠ
아가들은 어디를 가고
동물들이 많아요~~
@hyejin1763 47
2022년 10월 12일 07:34불혹에 둘째 임신 중입니다.. ㅎㅎ ^^;; '내 일'이 너무 좋은 저라서 둘째 고민을 정말 많이 했는데, 고귀한 생명을 또다시 품게 된 것에 감사하려고요~ (에고.. 언제 낳고 언제 키우나.. 😅😅)
@rye8078 34
2022년 10월 08일 22:03김미경쌤,아이한명 갖지않는 "가정"도"있는거네요~"가 아니라 요즘 갖지않는부부가 태반입니다.ㅎㅎ선생님께서 아이낳았던시대와는 완전다릅니다.
두분의 대담 감사합니다
@jieunlee2712 29
2022년 10월 06일 21:32제가 매우 관심갖고 있는 주제 였습니다. 강의 열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 잘 들었고, 매우 유용합니다
@드라고노비 27
2022년 10월 06일 23:41나혼자 먹을 먹이도 없는데 어떻게 남을 먹이나?
둥지도 없고 먹이도 없습니다 국가에서 이걸 해걸할 방법이 없으니깐
아직도 이모양 이꼴인것이죠
무엇보다 정부에서 저출산에 관심이 없어보여요
관심없고 아무것도 안해주니 어쩌겠습니까?
청년들은 이대로 지금처럼 살아가는 것이죠
@joobari19 25
2022년 10월 09일 10:31임신후 입덧하며 한정거장 마다 내리며 토하며 직장 다니고,
출산휴가 받아 일년 키우고, 다시 복귀.
애는 양가부모님(부모님도 짠함)이나 얼집행..
나도 짠하고 애도 짠하고
애기는 너무 예쁘지만 또 할수가 없다..
낳을순 있겠지,, 잘키울수 있게 해달라
@shj1083 23
2022년 10월 10일 00:56모든청년들에게 정규직을 주면 문제가 해결된다는 아저씨말이맞는듯
@ygk8783 22
2022년 10월 06일 20:19얼마전 통계로 가장 먼저 사라질 지방도시
본적 있습니다
제가 그 지방에 살고 있는데
그 통계 보기 전에도 제자신도 느낄만큼 고령화는 고사하고 정말 젊은세대 보기 힘들고
관광객으로 오는 이들이 있어 그나마 젊은세대들을 본답니다
휴일이 지나고 나면 시내거리엔 정말 너무나 조용하지요
그 말을 다른게 본다면 아이들을 보는건 일주일 한두번 볼수있을까 말까 하지요
사회구조도 아이를낳아 기르기엔 저회들 세대와는 다르게 너무나 힘드니 다들 포기 하는것 같습니다
오늘 두분의 대담을 들으며 막막함이 밀려드는듯 합니다
그 숙제는 정치권에서도 많은 노력을 하지만
참 어려운 숙제인것 만은 확실하네요
두분 수고하셨습니다 ~^^
@Kuhnchalala 21
2022년 10월 10일 17:40주거와 직업만이 문제가 아니라 이제 1인으로 살아도 삶의 퀄리티가 좋기 때문인 듯. 오히려 더 좋은 경우도 많고요. 옛날처럼 가족이란 유닛을 구성해야 생존이 되는 세상이 아니기 때문에, 집과 돈을 해결해도 출산율이 회복되진 않을거라 봅니다. 빨리 수긍하고 과거로 돌리려는 시도를 멈추고 생각을 혁신적으로 바꿔야 빨리 준비할 수 있을듯. 과학 기술이나 사회 양육시스템 등으로요
@miumi1566 18
2022년 10월 08일 19:46과도하게 급격히절벽으로 된건 지금 삼사십대들이 젊을 때 과도한 경쟁에서 너무 심하게 스트레스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이다. 한국사회서살면 숨이 확확막힌다.
@아기윙 18
2022년 10월 08일 05:49별거없어요~ 미국처럼 이민정책장려하고 현 결혼제도를 미혼모 미혼부 동거제도 적극적으로 더 밀어줘서 애낳는 것으로 가야함 ㅋㅋㅋㅋ
@오호-x1k 17
2022년 10월 07일 13:39출산... 결혼 적령기 미혼 여성임에도 진짜 먼나라 이야기 같아요..
근데 굳이 결혼해서 아이까지 낳고 싶지는 않다는 마음이 있습니다... 굳이 뭐 이런맘이죠..
@dreamstar1012 16
2022년 10월 07일 10:01모든 산업을 자동화하고, 거기서 생산되는 물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보편적기본소득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르바-k7d 15
2022년 10월 07일 11:24문제를 재인식 시켜주시는건 좋으신데요,,,왠지 수박겉햛기식이라,,,,,아쉬움도 남아요,,,
심각성은 알겠는데,,,그럼 어쩌라고??? 하시네요 ,,,옆에서 같이듣던 지인분이 그리 말씀하시네요,,,대안이나 제안도 제시 할수 있는 방송이 되었으면 합니다ᆞ감사히 잘 듣고 갑니다 ᆞ
@freeman4823 15
2022년 10월 07일 20:32인구절벽은 지금 피부로 느낌니다..지방 군단위만 가도 군의 중심가 밤거리가 썰렁합니다...사람들 너무 없더라구요..
@hausfan-7561 13
2022년 10월 09일 12:10정부예산으로 무조건 똑같이 줄 게 아니라 애기 1명 낳으면 세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가면 인구증가, 일자리 창출 등등 여러가지로 좋을 거 같네요
@다잘될거야-x6w 12
2022년 10월 08일 20:13부산도 정말 많이 노령화 된것 같아요. 20년전이랑 많이 바꼈어요. 일자리가 없으니 전부 서울로 올라가고 지방은 갈수록 소멸되는것 같아요. 큰일입니다. 또래 친구들은 대부분 서울로 갔네요.
@hangyulchoi646 12
2022년 10월 09일 02:09지금도 너무 힘들어서 결혼하고 애낳고 할 마음의 여유가 없어요 ㅠ
@여왕마마-u1b 11
2022년 10월 08일 10:16국가에서 지역 구역별로 아이를 낳으면 모든것을 책임을 질수있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산딸나무아래서 10
2022년 10월 11일 08:32인구유지선 한국은 22년 0.75 정도로 국제비교 수치로 봐도 놀라운 수치라고 하셔서 우리나라의 인구소멸, 축소사회가 실감납니다.
@mild11 10
2022년 10월 10일 11:40좋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밝은 미래가 오길 기도합니다. 전영수 교수님 감사합니다. MKTV감사합니다.
@kim.serenaemery7569 9
2022년 10월 12일 20:14인구가 줄면 물건을 팔아도 누가 살 것인가? 생각해봤었는데 이런 강의 감사합니다.
@장은희-w4i 9
2022년 10월 16일 15:56버려진 아이들도 많습니다
그 아이들 지원하고 키우는 방법도 고민해보아야 하지 않을까요?
@gyunamlee4289 9
2022년 10월 09일 23:45국회의원들
정신똑바로 차리시고
곧 닥쳐올 위기 인구감소에
신경좀 써주세요
@대숲향기 9
2022년 10월 07일 18:26소유할수있는 주택수에 제한을 두면 좋겠다. 주택은 공공재 개념으로 접근해야 맞지. 내돈으로 내가 여러채 사는게 뭐가 잘못이냐 하는데 그 이기심 때문에 이 지경까지 온 거임.
@컨설턴트-u6y 9
2022년 10월 08일 05:57부동산 문제의 해결은 기초연금 제도를 없애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기초 연금을 주니까, 60대 이상의 분들이 계속 수도권에서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기초연금을 주지 않으면, 은퇴한 고령 인구가 부동산을 팔고, 지방으로 내려가고, 그 돈으로 생활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일할 젊은 인구들이 더 편하게 주거문제를 해결하고,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초 연금이 우리나라 부동산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blueus2972 9
2022년 10월 08일 09:49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모여드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의를 하는데 한편으로는 지방에 사는 사람들이 수도권으로 이사를 하기 위해서는 살던 집을 누가 매수를 해줘야 가능할텐데 그러지 못하면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것도 한계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worldJblms 8
2022년 10월 09일 18:14앞서가는 공부를 시켜주시고 생각의 품을 키워주셔서 감사 합니다~^♡^~
자연은 지구환경을 지키는 마지노선인 인구를 70억에 맞추는 작업을 계속 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선진국이 되어 인구가 줄어 들지만
우리가 옛날에 둘만 낳기 운동을 한때 가 있는데
후진국들 도 물질을 돕는것 에 서 삶의 질을 높이는 환경을 가르켜서 세계를 평준화로 만들어야
지구가 정화되는 자정능력을 도와주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인구 증가를 고민하는데서 더 크게~ 생각 해야하는 때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코로나가 끝나면 우리가 살아온 방법이 완전히 달라진다고 는 하고 있지만
대안을 못 내놓는 이때
대한민국은 이제 물건 만들어 먹고사는 시대에서
세계를 가르키는 사업
세계를 위한 일을 하면
경제는 스스로 일어나 잘 사는 나라가 되는 사업을 시작 해야 한다 합니다.
인류를 구할 유일한 사업을 해야하는
국제 새마을 운동이라는 것을 알게 되어 희망의 공유를 합니다~^♡^~
유튜브에서
※인류대민사업-기아제로프로젝트
@배민이-h4v 8
2022년 11월 03일 09:13마주하고 싶지 않은 현실과 마주하게 되었네요.
더이상 피할 수 없다는걸 알면서도 그 상황이 올까봐 두려워만 했는데 준비해야겠네요.
좀더 현명하게 마주하게 조언해준 명강의 감사합니다!!
@hsc1009 7
2022년 10월 10일 07:20지금 우리 사회는 사람보다는 강아지를 더 선호하며 애키우는것보다 강아지, 고양이를 더 사랑합니다.
자본주의 사회가 되면서 더 여유적 자본을 강아지 시장에 쏟아 붓고 있기에 일자리창출도 강아지와 고양이에 관련된 다양한 시장들이 커지고 있는 현실...
@동가홍상 6
2022년 10월 08일 18:57인구 감소 공론 감사합니다.^^♡
@zeajoo5720 6
2022년 10월 22일 09:26미국처럼 비정규직의 월급이 정규직월급보다 많은 구조로 가야함
@이지연-i7e1k 5
2022년 10월 08일 10:23다 맞는 말인듯하지만, 어른 말 잘 듣고 순종하고 열나 공부만 시키다가 이제 네 의견을 내라면? ㅋ 기적이죠?
@swkym0683 5
2022년 10월 29일 00:13나두 고양이 많이 키우지만~
방송들이 동물방송 줄이고 아기나 사람냄세 풀풀나고 사람으로인해 즐겁고 아름다운 방송이 많이 필요할것 같네요
@솔라시-l9y 5
2022년 10월 12일 12:18부부가 되려 하지 않는게 가장 큰 문제 아닌가 싶네요 힘겹게 결혼을 해도 출산을 하지않으려하고 나중엔 국가가 유지될지도 의문이네요
@zozozoly 5
2022년 10월 31일 06:22치열하게 경쟁과 싸우고, 진절머리 나는,사회구조에 희생을 맛 본 나의세대는, 열에 아홉"이 싱글이고, 결혼은 무덤이라,여긴다
@여누아부지-t7d 5
2022년 10월 07일 11:54수도위주의 발전이 지금 인구 소멸이 되는거죠! 지방에 질좋은 일자리 창출! 외국인과의 결혼도 쉽게 할수있는 조건이 필요치 않을까 싶네요.
@seanpark5766 5
2022년 10월 11일 06:26안타깝지만 현실을 말하자면
더이상의 공존은 없다고 봅니다.
부동산을 볼모로 세대갈등 계층갈등이 정점에 도달했다고 봐요.
2030세대는 그 부모세대에게 상당히 날이 서있는 상태입니다. 특히, 부모가 없어 물러받을게 없는 청년층은 더더욱 그렇겠죠.
@정숙박-q1v 4
2022년 10월 25일 17:13공부해서 노후준비하겠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해요
@ontheroad1846 4
2023년 1월 30일 13:08예전에 내가 어느 대통령 한 분을 알지. 수도를 옮기고 지방으로 분산해 한다고 했지. 그런데 난리도 아니었지. 관습법으로 서울이 수도라는 희대의 법원 판결도 있었지. 그때가 마지막 기회였지. 헌데 대다수의 국민이 그를 욕했지. 이제 기회는 없어. 다들 이빨 꽉 깨무시고 각자도생해.
@이깨달음 4
2022년 10월 07일 18:55인구문제는 딜레마이다
지구인구차원에서 보면 과잉이고
자본주의 입장에서 보면 소비자가 줄어드는 것은 경제불황이 걱정이된다.인공지능이 생산을 하면 많은 인구가 필요하지 않지않을까?
@소통전문가-q9c 4
2022년 11월 27일 20:15지역균형발전이 그나마 현실적인 대안이 될거라고 생각해요. 수도권은 너무 경쟁이 심해서 못낳고, 지방은 너무 없어서 안낳고~
@박도영-s7k 4
2022년 11월 18일 06:08미래는 이미 정해져 있다고 봅니다..
도시국가를 통해서 소멸 단계로
가겠지만 50년 이후에 나타나겠죠...
그땐 저는 늙어 죽어서 없어요 이미..
😂 😆 😂 😆 😂
@e1sin181 3
2022년 12월 01일 19:13한국은 먹고 살기가 힘들지.....한달 월급받아서 이자내고 관리비 내고 기름값 내고 먹을거 사고 나면 없어.....월급들어오면 카드비 나가고 이자나가면 끝이여...
@ekqnls1004 3
2022년 12월 04일 08:55인구가 줄어들면 일자리도 줄어듭니다 지금 당장만 보는 근시안적인 자세와 생각은 미래의 내 자리를 없어지게 만듭니다.
@sejin2892 3
2022년 12월 06일 10:522022년 7월에 아기 낳아 키우고 있어요. 셋째입니다. 뉴스나 이런 대담 볼 때마다 아기가 살아갈 세상이 걱정되요. 이민만이 답인가 싶습니다.
@이지윤-j7i 2
2022년 10월 12일 23:46태어나면서부터 딸이어서 비난받던 세대에 태어난 딸이 결혼도 하지 않겠답니다.
그아이의 엄마인 저도 마음에 상처가 큽니다.
지금 상담도 받고 있어요
그때는 초음파보고 둘째도 딸어서 낙태를
당한 아이들도 종종 있었지요ㅠㅠ
1990년도 전 그때는 그랬어요
할아버지 할머니한테 말이죠
@hyunwookim4113 2
2022년 10월 09일 12:15아직도 청년이라는 단어를 쓰는 사람들이 있네요! 말씀하신대로 늦어서 끝나가고 있네요! 못 바꾸죠! 누가 희생할 건가요?
@김은정-m7f7j 1
2023년 5월 20일 05:48수도권 집중현상이 인구감소의 원인입니다.
지방을 활성화시켜 주거의 안정, 경제의 안정을 시켜야 출산율이 올라갑니다.
먹고 사는 문제(생존)가 해결되어야 종족보존을 합니다.
지방은 두명, 세명도 낳아도 부모의 노후 생존에 스스로 자신감이 생기는데 수도권은 자식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어 결혼도 출산도 안합니다.
수도권 경제ㆍ교육집중화
인구감소의 원인입니다.
SM K
2022년 10월 06일 19:311등!
Pia Lee
2022년 10월 06일 19:402등!
예지봉
2022년 10월 06일 20:31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김혜지
2022년 10월 06일 19:59감사해요😊
밀크초코
2022년 10월 06일 20:035등
변중섭
2022년 10월 06일 19:301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