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도움을 많이 받는 선원의 원장님이 한번 이런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체험이후에 생각은 끊임없이 정리해서 말로 바꾸려 한다고요.. 그래서 이렇구나 하고 정리하면 또 시간이 지나고 더 익숙해지면 또 달리 표현하게 되고, 또 지나면 또 달라지고 한다더군요 그래서 그냥 이 생각과 감정이 여법한지 아닌지 혹여, 먼가 제대로 깨친사람이 보면 꾸지람 하지 않을지.. 위축될 경우가 있는거 같으더라구요.. 그냥 생각과 감정에 관계없이 그 자리는 있고 모든것들이 여기서 나오기에 그냥 솔직하게 표현하며 사는게 최선인거 같더라구요. 다만, 지금 감정이나 정리된 내용이 최종답안이라고 꽉 붙들지만 않으면 상관없는거 같구요. 어떤 말에도 시비분별만 하지 않으면 그냥 그 말을 한 사람의 자기표현일 뿐 다 별일은 아닌거죠. 어떤 분은 이제 깨달음이라는 거창한 단어 쓰지말고,, 인식의 전환 같은 소프트한 표현을 쓰면 어떨까? 라는 말씀을 하셨어요. 상당히 일리있는 말씀인거 같아요. 지금은 깨달음이 모두에게 환하게 열려있고, 쉽게들 얻는거 같으더라구요... 오늘도 구독하시는 모든 도반님들에게 평온하고 행복한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지금의 인간들은~ 뭐가 옳은지 그른지도 모른체~ 이 세상에 다수의 이기적인 인간들이 합의하에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들에 세뇌되어서 뭐가 뭔지 모른체~ 다수의 고정관념이라는 것에 휘둘려서 그냥 살아갑니다!~★아주 단순한 예로써 그것을 증명해 드리겠습니다!~ 개를 개고기로 먹는것이 나쁜 것일까요?...대답이 조금 망설여 지시죠?~ 그럼! 돼지를 삽결살로 목살로 먹는것이 나쁜 것일까요?...아마도 거의 대부분에 인간들이 돼지고기를 먹는것은 나쁜것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말할 겁니다! 식용이니까...그럼!~개고기는 왜? 먹으면 안좋게 보는 걸까요? 애견인들은 왜? 개고기를 먹는것을 나쁘게 생각할까요?~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오리고기등은 너무도 맛있게 먹으면서~ 아무런 죄책감도 가지지도 않고, 나쁘다는 생각조차도 하지 않는 것일까요?~ 이러한 모든 것들이 이기적인 인간들이 오랜 세월동안 살면서 다수의 합의를 거쳐서 뭐는 좋고 뭐는 나쁘다!라고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들입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올바른 이치라고는 찾아볼수가 없고~그냥 그 시대의 대다수의 인간들이 합의하에 동의하면 그것이 그냥 좋은 것이 되는 겁니다! 만약에 현시대에 닭을 키우는 인간들이 지금의 애견인들보다 더 많다고 가정을 하고 개를 키우는 인간들은 아주 극소수라고 가정을 해본다면~ 인간들은 닭고기 식용을 금지하는 시위를 할것이고, 개고기를 먹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하고 아주 여러가지 요리를 만들어서~맛있게 먹으면서 먹방을 즐길 것입니다!... 이러하듯이 인간들이 악한 마음을 가진 인간들이 대다수이고 선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극소수라고 한다면~ 악하고 이기적인 마음을 가진 인간들이 정상이라고 생각을 하게 되고 선하고 이타적인 마음을 가진 사람들은 비정상이라고 매도하면서 그 사람들을 그 사회에서 고립 시킬수도 있는 존재들이~바로 인간인 것이지요! 여러분들은 인생을 살면서 내가 왜? 태어났으며~ #무엇을 이루기 위해서 인생을 살아가는 것일까?라는 생각이라도 깊이 있게 해봐야 할 것입니다!...인생을 살면서 여러분들이 접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들은~ 진정 깊이있게 생각해보지 않는다면~ 옳고 그름도 분간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아무런 깨달음도 얻을수가 없고...여러분들의 소중한 인생을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이라는 틀에 갖혀서 허송세월을 보내다가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라도 올바른 교육을 받고 노력을 한다면~진정 사람다운 사람이 될수 있습니다!★초야의 ㅇㅌㅂ 다행철이★★★
@연-n7y 12
2022년 10월 21일 07:28감사합니다.. 여기 계신 분들이, 제가 만나는 사람들 모든 분들이 스승님들이네요.. 좋은 하루 되세요~^^
@Consciousness-401 11
2022년 10월 21일 07:34Every early morning.. am07:00
Mind therapy time,,
때론 그냥 살아가세요
무엇이 되지 않아도 좋으니
때론 그냥 살아가세요
고민을 완벽히 해결하지 못해도 좋으니
때론 그냥 살아가세요
슬픔이 있어도 좋으니
때론 그냥 살아가세요
어떤 힘든 일이 앞에 있어도 기죽지 말고
그냥 용기있게 살아가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당신을 위해...
《이미 어쩔 수 없는 힘듦이 내게 찾아 왔다면..》
by 글배우
써니즈님과 이곳에 모든 써니즈 가족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와 축복을 빌며, 우리 오늘 하루도 무심하게 그냥 살아가 봅시다.. 화이팅 !! ♥️
@seongeonkim6633 7
2022년 10월 21일 08:20출근길에 수많은 사람들을 보면
다들 바빠보이고 삶을 버티는것처럼만 보였는데.
이렇게 많은 스승들이 내 주변에, 우리나라에, 이 세상에 이미 존재하고 있음에 놀랍고 감사합니다.
@suyounkim3507 6
2022년 10월 21일 07:14댓글창에 올라온 글들이 써니즈님 목소리를 입으니
생생하게 팔딱팔딱 살아납니다.
함께 하는 이 순간 이 아침 가슴에 따뜻하게 스며들어 옵니다. 고맙고 감사합니다
오늘도 최고입니다 👍
사랑합니다 써니즈님
함께 듣는 모든 분들♡♡
@트루셀프랩 6
2022년 10월 21일 07:36써니즈님~항상 감사합니다!! 매번 좋은 에너지를 주셔서 제 마음이 평온해지네요!
@미연-c2t 5
2022년 10월 21일 10:43그림 그리는 순간 순간, 붓이건 연필이건 마우스건 그리는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떨림과 감동이 있어요. 완성작이 아니라 그 느낌 때문에 작가는 그림을 그리지 않을까 싶어요. 우리 삶도 그렇겠죠. 고맙습니다.
@화이트숭 5
2022년 10월 21일 08:58어느새
써니즈님
편안한 목소리가
저의 아침을 여는소리ᆢ
랜선도반이자 스승이십니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써니즈님^^♡()
@smj8944 5
2022년 10월 21일 08:05진정한 스승은 내안에 있다는 나눔에 백배공감하며 오늘도 덕분에 감사할수 있어서 고맙습니다♥
@상녀이-u4p 5
2022년 10월 21일 07:15백인백색 이지요!
사람은 사람을 닮고싶어 하지만 가장 두려워하고 거부하는것도 사람이지요.
오롯이 나로 존재하고 싶은 인간의 본능이 이런 모순적 모습을 보이는 것이지요.
육체에 갇여버린 정신의 한계는 매순간 찾아오며 우린 그저 바라보며 인식할 뿐이지요!
@the.franstyle 5
2022년 10월 21일 07:46댓글 읽어주시는 것도 참~~좋네요. 여기 구독자님들 다 너무 좋아요❤️
다같이 성장해서 좋은 세상~~만들어요. 우리
이런 채널 만들어 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써니즈님.!!!
추운 날씨 건강 유의하세요😊
@MJO-o6p 4
2022년 10월 21일 09:57목소리가 너무 편안하고 좋아요. 댓글 다시는 분들도 저의 스승님이시네요^^ 감사합니다.
@58junhe 4
2022년 10월 21일 09:55감솨~~♡♡
@abcdefghlove11 4
2022년 10월 21일 07:01선댓글 후감상! 좋은하루되세요 ㅎ
@어설픈사슴 4
2022년 10월 21일 13:06제가 도움을 많이 받는 선원의 원장님이 한번 이런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체험이후에 생각은 끊임없이 정리해서 말로 바꾸려 한다고요..
그래서 이렇구나 하고 정리하면 또 시간이 지나고 더 익숙해지면 또 달리 표현하게 되고, 또 지나면 또 달라지고 한다더군요
그래서 그냥 이 생각과 감정이 여법한지 아닌지 혹여, 먼가 제대로 깨친사람이 보면 꾸지람 하지 않을지.. 위축될 경우가 있는거 같으더라구요..
그냥 생각과 감정에 관계없이 그 자리는 있고 모든것들이 여기서 나오기에 그냥 솔직하게 표현하며 사는게 최선인거 같더라구요.
다만, 지금 감정이나 정리된 내용이 최종답안이라고 꽉 붙들지만 않으면 상관없는거 같구요.
어떤 말에도 시비분별만 하지 않으면 그냥 그 말을 한 사람의 자기표현일 뿐 다 별일은 아닌거죠.
어떤 분은 이제 깨달음이라는 거창한 단어 쓰지말고,, 인식의 전환 같은 소프트한 표현을 쓰면 어떨까? 라는 말씀을 하셨어요.
상당히 일리있는 말씀인거 같아요. 지금은 깨달음이 모두에게 환하게 열려있고, 쉽게들 얻는거 같으더라구요...
오늘도 구독하시는 모든 도반님들에게 평온하고 행복한 하루가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dono_inspiration 4
2022년 10월 21일 09:41너무 좋은 제목 보고 들어왔어요
좋아요 누르고 댓글부터 쓰는 중 ㅎㅎ
@풍요부인 4
2022년 10월 21일 08:49감사합니다💛
@TV-ek1pt 3
2022년 10월 21일 12:19마음이 복잡할 때 마다 듣고 있어요.
써니즈님 목소리와 따뜻한 내용들이 마음을 따뜻하게 하고 평안하게 해요.
감사합니다~~~
@juliekim827 3
2022년 10월 21일 08:26댓글이 이리 좋군요 감사합니다♡
@현-k2r 3
2022년 10월 21일 11:28늘 감사합니다 ^^
함께 성장하고 있어 참 좋습니다~♡
@권연희-u7d 3
2022년 10월 21일 12:20감사합니다
@user-uh9oq7zj7j 3
2022년 10월 21일 12:03감사합니다 ☺️
@user-LBC 2
2022년 10월 21일 19:39★지금의 인간들은~ 뭐가 옳은지 그른지도 모른체~ 이 세상에 다수의 이기적인 인간들이 합의하에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들에 세뇌되어서 뭐가 뭔지 모른체~ 다수의 고정관념이라는 것에 휘둘려서 그냥 살아갑니다!~★아주 단순한 예로써 그것을 증명해 드리겠습니다!~ 개를 개고기로 먹는것이 나쁜 것일까요?...대답이 조금 망설여 지시죠?~ 그럼! 돼지를 삽결살로 목살로 먹는것이 나쁜 것일까요?...아마도 거의 대부분에 인간들이 돼지고기를 먹는것은 나쁜것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고 말할 겁니다! 식용이니까...그럼!~개고기는 왜? 먹으면 안좋게 보는 걸까요? 애견인들은 왜? 개고기를 먹는것을 나쁘게 생각할까요?~돼지고기,소고기,닭고기,오리고기등은 너무도 맛있게 먹으면서~ 아무런 죄책감도 가지지도 않고, 나쁘다는 생각조차도 하지 않는 것일까요?~ 이러한 모든 것들이 이기적인 인간들이 오랜 세월동안 살면서 다수의 합의를 거쳐서 뭐는 좋고 뭐는 나쁘다!라고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들입니다! 이러한 개념들은 올바른 이치라고는 찾아볼수가 없고~그냥 그 시대의 대다수의 인간들이 합의하에 동의하면 그것이 그냥 좋은 것이 되는 겁니다! 만약에 현시대에 닭을 키우는 인간들이 지금의 애견인들보다 더 많다고 가정을 하고 개를 키우는 인간들은 아주 극소수라고 가정을 해본다면~ 인간들은 닭고기 식용을 금지하는 시위를 할것이고, 개고기를 먹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하고 아주 여러가지 요리를 만들어서~맛있게 먹으면서 먹방을 즐길 것입니다!...
이러하듯이 인간들이 악한 마음을 가진 인간들이 대다수이고 선한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극소수라고 한다면~ 악하고 이기적인 마음을 가진 인간들이 정상이라고 생각을 하게 되고 선하고 이타적인 마음을 가진 사람들은 비정상이라고 매도하면서 그 사람들을 그 사회에서 고립 시킬수도 있는 존재들이~바로 인간인 것이지요! 여러분들은 인생을 살면서 내가 왜? 태어났으며~ #무엇을 이루기 위해서 인생을 살아가는 것일까?라는 생각이라도 깊이 있게 해봐야 할 것입니다!...인생을 살면서 여러분들이 접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들은~ 진정 깊이있게 생각해보지 않는다면~ 옳고 그름도 분간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아무런 깨달음도 얻을수가 없고...여러분들의 소중한 인생을 인간들이 만들어 놓은 고정관념이라는 틀에 갖혀서 허송세월을 보내다가 죽음을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은 누구라도 올바른 교육을 받고 노력을 한다면~진정 사람다운 사람이 될수 있습니다!★초야의 ㅇㅌㅂ 다행철이★★★
@이인숙-p6t2s 1
2022년 10월 21일 19:32너무너무 좋아요. 감사. 감사. 감사.
@-mm1159 1
2022년 10월 21일 20:06감사해요 써니즈님 늘☺️
@정임-k7r 1
2022년 10월 21일 15:50고운 심성이 묻어 나는 써니즈님 목소리와 그에 어울리는 비지엠까지.. 마음에 스미고 코끝이 찡해지고.
항상 고마워요~ 성희씨 ❤️
감사합니다 ^^
@hhh0012 1
2022년 10월 21일 15:26댓글에 감사함을 느끼신다는 말씀에 글 남깁니다. 언제 들어도 편안하게 격려해주시는듯한 목소리 큰 위안이 됩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법진-w9e
2022년 10월 21일 21:07진리나 도 ? 라는 주제를 가지고 논하는 카페나 밴드들을 보면 논쟁이 심하고 주장도 강해서 갈등을 피하기위해 표현하는것을 많이꺼리기도 하는데
여기 도반분들은 아주 성숙하신분들이 모이신것 같습니다~~수용하고 배우려하고 의견으로 존중하는 태도~~
써니즈님의 공부하는 태도가 모범이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드네요~~ 수시로 힐링하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