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다시 하향세를 맞이할 수 있는 기조 세 가지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금리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제 지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양한 경제 지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수익의 기회를 잡고 싶으시다면 하단 링크 확인 부탁드립니다. 💰패밀리 스터디 시즌 2)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109
빠진 중요한 내용이 있음 미국 실업률은 한국의 수출액 하락 이건 세계적인 추세임 그럼 세계적인 경기 하락과 금리 인하 하기 전까지 높은 금리로 인한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신용이 불안한 경제 구성원들의 몰락 이건 경제 규모의 축소를 의미 모든 자산 가치 대폭락 즉 금리 인하 시점에 이 모든게 터질거임
1월부터 주담대 최소 7%내는게 문제가 아님. 더 높은 이자로 최소 10년을 내야되는게 문제임. 유동성 풀려 올라간 인플래이션은 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물가가 꺽이지 않음. 기간으로 잡는거임. 예를 들면 100원까지 올라간 물건을 금리 높혀도 50원은 안됨. 높은금리를 유지해 10년간 똑같은 100원으로 유지를 시키는거임. 대공항때도, 70년대 오일쇼크때 인플래이션도 이렇게 잡았음. 아님, 심지어 70년말~80년초 미국은 기준금리 20% 올려서, 간신히 때려잡았음.왜 주식시장이 미국 금리 고작 3% 넘기 시작하니 경악하고 있는지 이젠 알라나? 5%때 높혀도 못잡는걸 알아서야. 폴볼크가 했던 금리 20% 악몽이 현실적이어서야
@sonyoonho7518 37
2022년 10월 24일 21:59우리나라 금리는... 3가지 요인이 중요
1. 수출 증가율 : 상관관계 높음
2. 인플레이션
3. 미국 정책금리가 먼저하고, 한국이 금리 인하함
@kimjoonsung4860 19
2022년 10월 25일 09:48인플레 쉽게 잡히지 않을거라 봅니다. 공급 사이드에서 해결된게 없거든요 내년 인하 안한다 봅니다.
@chunukhong 17
2022년 10월 24일 18:28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다시 하향세를 맞이할 수 있는 기조 세 가지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금리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제 지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양한 경제 지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수익의 기회를 잡고 싶으시다면
하단 링크 확인 부탁드립니다.
💰패밀리 스터디 시즌 2)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109
@박시우-u3c 11
2022년 10월 27일 10:40Imf에서도 2025년되야 금리인상 효과가 있다고했는데 내년뿐만아니라24년까지도 올릴거 같은데요
@pdhfjr 8
2022년 10월 25일 08:38금리가 언제 안정화될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내년 초에도 이런 분석 또 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asdfg-c7 7
2022년 10월 27일 08:531997년말에 imf 외환위기 터지고
한국 시중은행 대출금리는 20%까지
치솟았습니다.
그때
미국 기준금리는 4.6%.
2023년 내년에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을
멈추어도
한국의 경제상황이나
국내 금융시장 상황이
나쁘면
내년에 미국 금리하고
상관없이
한국만 대출금리가
지속상승 또는
폭등할수도 있습니다.
가령
개인부채 1900조가
터지거나
정부가 환율방어 못하고
1600원 1700원으로
급등하거나
무역수지 적자가 감당하기
어렵게 커지면
내년에 대출금리가
1998년 그때처럼
20%가 될수 있습니다.
홍박사님~
미국이 기준금리 멈춘다고
하여도
한국 나홀로 금리인상이
계속 될수 있음을
생각하세요.
미국이 기준금리 멈추면
한국도 멈출것이라고
오판하면
한방에 파산 당할수 있어요.
kidragon 7
2022년 10월 24일 22:08레고랜드 사태 설명 좀 해주세요 교수님
@배당생활 5
2022년 10월 24일 22:43감사합니다
@asdfg-c7 5
2022년 10월 27일 08:56대한민국 국채 회사채는
지금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지요.
생각좀 있는 사람은
지금 채권 안삽니다.
@세력차트연구소 4
2022년 10월 25일 00:08영상잘봤어용^^
@choalex8033 4
2022년 11월 15일 18:18발음이 흐릿하고 삼키면서 말하니까 중요한 단어가 안들린다...
@김홍구-v2l 3
2022년 10월 24일 23:34박사님의 식견 오늘도 감사히 듣고 갑니다!😊
@bjz2731 3
2022년 10월 24일 23:34오늘도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펫바이크 3
2022년 10월 24일 22:21그거 한은에도 알려주세요
가능하면 연준도
ㅋㅋ
@hh4691 3
2022년 10월 26일 21:33말씀 감사합니다
@dd6943 2
2022년 10월 28일 22:32박사님. 한국국채도 일반투자자는 ETF로 사면 되는걸까요? 추천 티커가 있을지요. ㅜㅜ😅
@정부장-e2n 2
2022년 10월 24일 21:581빠^^
@선미이-r8g 2
2022년 10월 27일 21:32이해하기 쉽고 중요한 포인트만 쏙쏙~ 😊 감사합니다
@ykjh022kim3 2
2022년 10월 25일 05:59좋은정보 늘 감사합니다.
@선미이-r8g 2
2022년 10월 25일 11:55썸네일이 왜이리 반갑쥬~ 감사합니다 잘 보겠습니당😊
@아름다운세상-s9i 2
2022년 10월 25일 15:55감사합니다 노트 에 매번 정리하며 익숙해 지려 노력합니다.
저같은 아줌마 도 경제에 관심을 가지며 투자 할수 있게 도와 주셔셔 감사합니다
@CAL17153 2
2022년 10월 27일 08:32현재는 미국 금리 때문이지 다른게 있나? 2008년때도 그렇고 지금도 마찬가지지. 앞으로는 미국의존도를 낮춰야 한다.
@양반-k1v 2
2022년 10월 30일 08:38내년 말 내후년 쯤
@gunstone8065 2
2022년 11월 10일 16:53하 벌써 금리인하?
혼란스럽네
@lee8867 2
2022년 10월 25일 08:57감사합니다
@장군님-m2e 1
2022년 10월 31일 23:45선생님 노트북 머쓰시나요?
@amolal3885 1
2022년 11월 17일 07:42기준금리 10%갈겁니다. 그때까지 떨어질일 없습니다.
@순덕김-b2b 1
2022년 11월 14일 19:20전에만냥 저금리는
안좋을듯
부작용이더많아
@mjin6614 1
2022년 10월 26일 04:03감사합니다
@도민매물
2022년 11월 23일 14:41빠진 중요한 내용이 있음 미국 실업률은
한국의 수출액 하락 이건 세계적인 추세임 그럼 세계적인 경기 하락과 금리 인하 하기 전까지 높은 금리로 인한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신용이 불안한 경제 구성원들의 몰락 이건 경제 규모의 축소를 의미 모든 자산 가치 대폭락
즉 금리 인하 시점에 이 모든게 터질거임
Lee Lee
2022년 10월 24일 22:08채권은 한국 채권을 사라는 말씀인가요?? 지식이 짧아서요..ㅠ
@달콤한클레어
2023년 6월 20일 09:36가령 고금리일때 예금 십억을 넣어 이자를 받고자하지만 은행이 여러군데라고하더라도
예긐자보호 오천밖에 안되는데 안전하게 가능한가요?
@godblessyou8367
2022년 11월 20일 06:11기업은행 중금채는 안전한가요?
@초이스굿-p6n
2022년 10월 30일 16:431월부터 주담대 최소 7%내는게 문제가 아님. 더 높은 이자로 최소 10년을 내야되는게 문제임. 유동성 풀려 올라간 인플래이션은 금리를 아무리 올려도 물가가 꺽이지 않음. 기간으로 잡는거임. 예를 들면 100원까지 올라간 물건을 금리 높혀도 50원은 안됨. 높은금리를 유지해 10년간 똑같은 100원으로 유지를 시키는거임. 대공항때도, 70년대 오일쇼크때 인플래이션도 이렇게 잡았음. 아님, 심지어 70년말~80년초 미국은 기준금리 20% 올려서, 간신히 때려잡았음.왜 주식시장이 미국 금리 고작 3% 넘기 시작하니 경악하고 있는지 이젠 알라나? 5%때 높혀도 못잡는걸 알아서야. 폴볼크가 했던 금리 20% 악몽이 현실적이어서야
@이은심-f5r
2022년 11월 03일 11:24홍춘옥박사님 존경 합니다~~~귀에 속속 들어 오네요
@영자-z6z
2022년 11월 21일 12:41금리계속어른다고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