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거나 주식,부동산 같은 위험자산을 파생상품을 통해 투기적으로 매수하던거는 과거 금융위기 이후 규제를 강화해서 어느정도 통제 가능하지만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인 연기금, 펀드 같은 기관 투자가들이 역시 규제 무풍지대 였던 국채 같은 안전자산을 대상으로 파생상품을 통한 레버리지 투자를 했다 최근 금리가 급등하며 궁지에 몰리고 있다는 우려가 높습니다. 이게 2008년 같은 금융위기는 아니더라도 과거 1998년에 일어났던 LTCM. 사태 같은 펀드런 위기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최근에 신협 등 2금융권에서 대출을 막기 시작했다는 기사를 봤는데, 1금융권까지 번질 염려는 없는 건가요? 코로나때 대출상환을 계속 유예해줬던게 어떤 안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던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영상에 첨부하신 표에 신협은 없기도 하고 해서 문의드립니다.
@chunukhong 13
2022년 10월 26일 18:10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화두에 오르고 있는 '세계 경제 위기론'에 대해
한 번 저의 의견을 전달드려 보았습니다.
저는 은행의 파산과 부도에 대해 더욱 유심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 생각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자산군과 불황에 좋은 투자처인 달러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 확인 부탁드립니다.
💰1. 패밀리 스터디 시즌 2) https://academy.tantanselect.com/academy?code=109
💵 2. 달러투자 스터디) https://c11.kr/10pp0
@yoonchung3852 8
2022년 10월 26일 20:20은행이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하거나 주식,부동산 같은 위험자산을 파생상품을 통해 투기적으로 매수하던거는 과거 금융위기 이후 규제를 강화해서 어느정도 통제 가능하지만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인 연기금, 펀드 같은 기관 투자가들이 역시 규제 무풍지대 였던 국채 같은 안전자산을 대상으로 파생상품을 통한 레버리지 투자를 했다 최근 금리가 급등하며 궁지에 몰리고 있다는 우려가 높습니다. 이게 2008년 같은 금융위기는 아니더라도 과거 1998년에 일어났던 LTCM. 사태 같은 펀드런 위기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강의파는고양이 3
2022년 10월 26일 23:15박사님 오늘도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항상 귀에 쏙쏙 들어와서 경제 지식 잔뜩 얻고 갑니다!~
@LeeMyeongjae 2
2022년 10월 26일 20:08은행 주가 였군요 . 감사합니다
@standfirm99 2
2022년 10월 27일 18:03최근에 신협 등 2금융권에서 대출을 막기 시작했다는 기사를 봤는데, 1금융권까지 번질 염려는 없는 건가요? 코로나때 대출상환을 계속 유예해줬던게 어떤 안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던데, 어떻게 보시는지요? 영상에 첨부하신 표에 신협은 없기도 하고 해서 문의드립니다.
@안산-m4g 2
2022년 10월 26일 21:04우리 나라 은행들이 대출을 엄격히 본다는 오늘 뉴스를 본거 같믄데
설마 초입은 아니겠죠
@mjin6614 1
2022년 10월 27일 15:58늘감사드립니다
@eternally8644 1
2022년 10월 26일 20:47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sopianshin3250 1
2022년 10월 26일 22:56자본주의 다음 시대는 어떤 시대가 나올까요???
132 Ehdghks 1
2022년 10월 26일 22:30박사님! 맞추신 적이 있긴 있는건가요?
@키위세상 1
2022년 10월 28일 15:28유럽은 두번째라치고 중국과 일본의 영향이 더 커지않을까요? 중국 위안화가 휘청하니까 원화도 난리나더만요
@Clara-hb9re 1
2022년 10월 27일 21:05박사님, 저는 세종에 삽니다.
줌으로 강연을 들을 수 있는 기회도 주세요.
@ZZ-tq5wh 1
2022년 10월 29일 15:22유럽은행이 망하면 외국계 자본 빠져나가는거 아님? 유럽 자본 많은걸로 아는데....
@Hee-wo6lm 1
2022년 10월 27일 08:16지금 은해보다 저축은행이랑 증권사들이 위험하다고 하던데요???
현
2022년 10월 26일 21:00홍춘욱 박사님 .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언제 기회가 된다면 꼭 뵙고 싶습니다. 가르침 감사합니다.
@김로건-j6k
2022년 11월 18일 16:35연pd의 목소리가 달콤하구만
B K
2022년 10월 26일 20:13그말은 곧 은행의 위기가 곧 올까요 안올까요.
은행에 까지 위기가 안온다면 지금이 위기의 최대는 맞다는 말씀이실까요?
@younjose3492
2022년 11월 06일 09:26노란불도 위험한거죠
@이지윤-m9q
2022년 11월 09일 19:19실업률이 중요, 실업률낮고 (러-우크 전쟁 장기화 대비, 돈 너무 뿌렸으니 테이퍼링 목적용 등으로) 물가높임
외환위기는 맞음(1년에 환율30퍼이상 오를때 기준)
금융위기는 아직 , 제1금융귄 은행이 파산위기-대출안될때 금융위기인데, 은행 주가 낮아진다면 위험신호.
F 4
2022년 10월 26일 20:32좋은 가르침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