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하신 동영상을 보니.. 어려울때 재정정책을 적극 펴야한다고 자주 말씀하시는데... 경쟁력 없는 저신용 기업이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도퇴되지 못하고 연장시켜 시장을 더 악화시키지 않을까요? 다만, 유동성위기에 빠진 기술경쟁력 있는 기업을 선별해서 지원하는 정책은 필요해 보입니다만 재정이나 금리는 저신용 모든 기업에 혜택이 돌아가기때문에 장기적으로 시장에 부담으로 돌아올것은 자명해 보입니다
제가 보고 있지 않던 지표까지 짚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하이일드채권 이자가 너무 높아져서 레포시장에 단기자금을 풀고 있다는 뉴스를 봤는데요. 레포는 은행에 돈을 빌려주는건데 이 돈이 규제때문에 하이일드 회사채에까지 흘러들어가지는 않을거 같은데 왜 레포시장에 돈을 계속 푸는걸까요? 제가 알기론 은행의 유동성은 서브프라임시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우수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죠.
@crossover8224 5
2020년 3월 16일 10:17출연하신 동영상을 보니.. 어려울때 재정정책을 적극 펴야한다고 자주 말씀하시는데...
경쟁력 없는 저신용 기업이 시장에서 자연스럽게 도퇴되지 못하고 연장시켜 시장을 더 악화시키지 않을까요?
다만, 유동성위기에 빠진 기술경쟁력 있는 기업을 선별해서 지원하는 정책은 필요해 보입니다만
재정이나 금리는 저신용 모든 기업에 혜택이 돌아가기때문에 장기적으로 시장에 부담으로 돌아올것은 자명해 보입니다
@tiankong.chinese 4
2020년 3월 16일 13:43이런 고퀄리티 강의는 홍춘욱 박사님만이 가능하시죠~~^^ 매일 정말 감사합니다.
@김시종-x6u 1
2020년 3월 16일 08:06좋은 영상감사합니다 언제나 큰 도움받고있습니다
@uptownguy7 1
2020년 3월 16일 09:19유럽은 이제 ecb에 영국까지 대부분 제로 금리로 가는것같습니다. 그래서 현재 상황에서 금리정책은 물론이고, 추가적인 완화정책을 더 쓸게 없서 암것도 안하는것같은데, 진짜 할수있는게 없는건가요? 아니면 상황이 경제적으로는 괜찮다고 보는 건가요?
@wanabcul 1
2020년 3월 16일 12:13감사합니다.마이크는 하나 장만 하시는게...
@davidshin4072 1
2020년 3월 16일 08:54정말 궁금한 부분인데 너무 감사합니다~~^^ 항상 많은 도움 받습니다.
@김용찬-l4c 1
2020년 3월 16일 13:48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요
양적완화도 재정적책에 해당 되는 건가요?? 아니라면 뭐가 다른 건가요??
그리고 질적 완화라고 말들이 나오는데 양적 완화랑 재정 정책이랑 차이가 무엇인가요??
@주자왕파킹 1
2020년 3월 16일 08:58박사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박사님 말씀대로
오늘 연준이 제로금리를 선언했네요.
한편으로는 트럼프의 재정정책도 궁금해집니다.
@junyoungyoo3588
2020년 3월 16일 07:25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yunhwancha
2020년 3월 16일 23:08우리 박사님 예상대로 한은도 금리를 내리고...국가는 재정정책을 확~ 펼치고..위기를 극복 하기 희망 합니다.
허재원
2020년 3월 16일 12:31좋은 강연 고맙습니다. 혹시 Nonfinancial corporate business; corporate bonds; liability, Level 까지는 찾았는데 그뒤 Level/Gross domestic product는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sunghokim4011
2020년 3월 16일 10:17오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녹화에 쓰시는 마이크와 캠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minyoungrich7262
2020년 3월 17일 01:15감사합니다 좋은정보입니다
@May12Miko
2020년 3월 22일 12:25key message를 밑단에 정리해주시니 더 쏙 들어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깔끔한 강의였습니다.
@찰스-n6c
2020년 3월 17일 09:18부동산 오를 까요
박정우
2020년 3월 16일 12:10감사합니다. 점심식사 잘 하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ㅎㅎ
@forestbetter8545
2021년 8월 13일 13:09너무 좋아요. 설명이
@geesuck185
2020년 3월 16일 07:39회사채 값이 똥값되는 것이군요
매번 헷갈리네요
@발톱-h9l
2020년 3월 16일 07:23좋은설명 감사합니다 많은도움이됬습니다^^
@햄이-v4h
2020년 3월 17일 15:40감사합니다.
@JUTOPIA
2020년 3월 16일 14:21다음위기는 회사채 란 말이있어서
관련 내용 유심히 보고있었습니다.
앞으로도 회사채 뉴스에 대해 정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
@apple4126
2020년 3월 17일 00:26제가 보고 있지 않던 지표까지 짚어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하이일드채권 이자가 너무 높아져서 레포시장에 단기자금을 풀고 있다는 뉴스를 봤는데요. 레포는 은행에 돈을 빌려주는건데 이 돈이 규제때문에 하이일드 회사채에까지 흘러들어가지는 않을거 같은데 왜 레포시장에 돈을 계속 푸는걸까요? 제가 알기론 은행의 유동성은 서브프라임시기와 비교하면 상당히 우수한것으로 알고 있는데 말이죠.
@황민혁-g1z
2020년 3월 17일 01:41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홍춘욱 박사님, 경제에 관심이 생겨 구독하고 보고 있던 지도 꽤 됐는데 요즘 같은 불황시기에 미국도 금리인하 양적완화 카드까지 꺼내고 있는 걸 보면서 문득 궁금한 게 생겨서 여쭙고 싶습니다
바쁘신 분인 줄은 알지만 제가 혼자 생각하기에 이해하기가 힘들어 가능하다면 도움을 얻고 싶습니다
일본은 그 전부터 돈을 어머어마하게 풀었음에도 그 뒤에 따라와야할 경기 부양이나 소비심리 증가, 자산버블, 엔화약세, 외환위기 같은 어떤 현상도 보이질 않고 있습니다
일본이 기축통화국이고 신뢰가 있다는 얘기는 많이 들었으나 그럼에도 솔직히 납득이 안 되는 상황이라 생각되어 계속 고민입니다
일본의 돈은 대체 어디로 사라진 걸까요??
@블루스카이-q2c
2020년 3월 16일 18:19영상 감사합니다. 지금은 생각보다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는 말씀이신거죠? 혹시 유가가 더 급락해 신용경색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얼마나 된다고 생각하시는지도 궁금합니다. 요며칠 전세계가 끝이 안보이는 터널 속에 빨려들어가는 것 같아 공포심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