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업 투자자입니다. 주로 주식으로 돈을 벌었고, 아파트도 작년 3분기에 팔아서 수익을 많이 봤습니다.
물론 뇌피셜이니 참고 하시고,
제 생각에 어떤 자산이든 간에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공급과 수요의 법칙' 입니다. 금리도 결국 수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구요. 20~21년에 금리가 계속 내려가고 집값 상승에 대한 공포심에 엄청난 수요를 일으켜서 부동산이 전국적으로 급상승 했습니다. 거기에 부동산 정책이 수요를 더 부추기는 격이 되버렸죠. 그 결과 현재는 제 주위만 봐도 싸건 비싸건 집을 안산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대부분 대중들은 공포에 매수, 매도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이건 주식이건 부동산이건 같습니다. 그래서 대중과 반대로 투자하라는 말이 있는 거고 그렇게 하면 투자에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현재를 보면 제가 봤을때는 집 살만한 사람은 이미 다 샀다고 봅니다. 그만큼 수요층이 줄어 들었다는 말이구요. 거기에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CPI 지수가 잘 나왔다고 하지만 당분간 코로나 때만큼의 저금리는 오기 힘들 것입니다. 거기에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GDP 대비 집값이 너무 높습니다. 매수하기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라는 뜻입니다. 결론은 이미 수요를 많이 해버린 탓에 수요층 감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 부담, 너무 높은 집값, 그리고 하락의 공포 때문에 이미 많이 떨어졌지만 앞으로도 상승장이 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럼 언제 매수해야 하냐구요? 부동산은 주식과 달리 분위기가 천천히 달라집니다. 거래량이 늘고 사람들이 매수를 하기 시작하면 그 때 매수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참고로 고가 아파트는 제외입니다. 이건 그들만의 리그이기 때문에... 아무튼 부동산 투자 하시려면 김경민 교수님 영상 열심히 보시고 너무 전문가나 주위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기 보단 본인만의 철칙을 만드시면 투자에 성공하실 수 있습니다.
공급을 왜 신규분양분만 생각합니까 세법을 바꾸어 여유구주택을 시장에 나오도록 해야지 세상에 신구분양만 공급으로 계산하는 나라는 이지구상에 한국밖에 더 있습니까 즉 건설업체와 정부가 서로 짜고 고스톱치니까 한국부동산이 이꼬라지가 된 근본이유죠 금리인상은 부가요인이고 주이유는 한국의 잘못된 세법이죠 근본원인에대해 얘기하는 분은 왜 아무도 없죠 같이 짜고 고스톱치는 분들인가요??
부동산은 금리가 높으면 살 사람이 부족해서 쉽사리 오르기 힘듬. 금리 내려가는 것 보고 적당한 가격에 살 집이다 생각하고 구매하는게 좋다고 생각함. 현재는 금리가 높아 집을 사는게 아니라고 갠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하락 사이클이라 당분간 하락 방향으로 갈것 같네요.
김정섭 73
2022년 11월 12일 12:13일년사이에두배 세배 올랐는데떨어저야지요
소소 49
2022년 11월 12일 13:27수원이 20억이라는건 ㅋㅋㅋㅋㅋ 미친가격이지. 서울도 아닌 수원이 20억 ㅋㅋㅋㅋ 미친거 아니냐? 2억이 적당하다.
두루미 36
2022년 11월 12일 13:06집값은 지금너무빗쌉니다 문정부때 오른마큼 떨어져야 합니다 집값이높으니까 거레자체가안되고 이사도못갑니다 집사면 망하는 때가와습니다
sh sh 26
2022년 11월 12일 12:48규제가 완화돼도 매크로 요인으로 상승장은 안 옴. 이번에 장 분위기 안 바뀌면 '규제를 풀어도 상승하지 못한다'라고 시장은 인식할 것이고 향후 상승동력을 미리 소진하는 악수가 될 것임
커밍툰(힐링채널) 22
2022년 11월 12일 13:21레고랜드 사태가 아니라 김진태 사태라고 해야 더 정확한 표현이지 않을까요?
@lucky_tv 19
2022년 11월 12일 11:47🌟 『서울대 김경민 교수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R_mWdhgeEOo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KQRaievD1H4&t=451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o3ZGzmzthd0
📚 김경민 교수 『부동산 트렌드 2023』 도서 구매
👉 https://bit.ly/3UxQQuD
📚 김경민 교수 『머니 트렌드 2023』 도서 구매
👉 https://bit.ly/3WB3ASC
미래로 15
2022년 11월 12일 14:14이분이 정확하시네요 지난 경험상 경매에 3차4차까지 유찰될쯤이 박근혜정부 말이었는데 이젠 공시지가 까지 올려버렸으니 피부로 느끼는 집값은 배로 올라버렸죠
총사령관 15
2022년 11월 12일 11:53신호입니다 매수 하세요
파트아 14
2022년 11월 12일 12:43구축 소형아파트도 내년에 떨어질까요? 억억하는 거 말구요. 정작 서서민이 실제 좀 싸게사서 거주할수 있는 희망이 있을런지요?
오골계 12
2022년 11월 12일 11:46반대로 폭등하겠네
@Tgfasoop 10
2022년 11월 13일 17:42쉽게 말해.. 서울 경우 최악 경우 34평이 7억까지 떨어질 수 있단 얘기네요. 강북이겠죠.. 허기사 폭등 전 그 정도였고, 강남도 10억 남짓이었던 듯... 허
마티니블루 9
2022년 11월 12일 12:17확실힌건 DSR 때문에 작년처럼 못삼…
홍나경 9
2022년 11월 12일 13:152년간 너무오른건 사실이니 올해내년에 제자리로 올수있게 규제 풀어야 될듯ᆢ
여린와앙자 9
2022년 11월 12일 13:18이번 하락은 역대 어디와도 경험 못한
반등없이 L자 하락으로 갈수 있어요
산업/인구구조
성장율
가계부체 등€
dybowski Rana 8
2022년 11월 12일 13:49레고사태가 아니라 김진태 사태입니다. 올바른 용어 사용 요망.
숭구리 7
2022년 11월 12일 13:16둘다 사기성이 잇네요 남으돈으로 집값 떠받는 것도 끝나것지
@lilliankim7225 6
2022년 11월 13일 03:23이분이 다들 오른다고 괜찮다고 할때 내려간다고 처음으로 하시분. 미국주식하는 사람들은 전부터 이것이 올줄 알고 있었는데 부동산만 보면 거시적인것을 보기 어려움.
88 Argentina88 6
2022년 11월 12일 14:39이해하기쉽게 말씀 잘하시네요~ ㅎㅎ
처음처럼 6
2022년 11월 12일 13:28내년부터 더 하락하여
몇년동안은 부동산 재미가 없다고 하던데...부동산이 오른다고요?
어떤말이 맞을까요?ㅠㅠ
ik jin Jang 5
2022년 11월 12일 13:17광명 대형 재건축단지는 아직 분양 제대로 시작도 안했지 ㅋㅋㅋㅋㅋㅋ
오스틴핡 5
2022년 11월 12일 12:37그냥 동네 부동산 소장님들한테 전화해서 물어보는게 빨라요 핡
@이주형-t6r 4
2022년 11월 12일 22:39이제 시작 이고 5년 이상 하락 싸이클 입니다
@leonardoan9281 4
2022년 11월 18일 14:12안녕하세요. 전업 투자자입니다.
주로 주식으로 돈을 벌었고, 아파트도 작년 3분기에 팔아서 수익을 많이 봤습니다.
물론 뇌피셜이니 참고 하시고,
제 생각에 어떤 자산이든 간에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공급과 수요의 법칙' 입니다.
금리도 결국 수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구요. 20~21년에 금리가 계속 내려가고 집값 상승에 대한 공포심에 엄청난 수요를 일으켜서
부동산이 전국적으로 급상승 했습니다. 거기에 부동산 정책이 수요를 더 부추기는 격이 되버렸죠.
그 결과 현재는 제 주위만 봐도 싸건 비싸건 집을 안산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대부분 대중들은 공포에 매수, 매도하는 경향이 짙습니다.
이건 주식이건 부동산이건 같습니다.
그래서 대중과 반대로 투자하라는 말이 있는 거고 그렇게 하면 투자에 성공할 확률이 높습니다.
현재를 보면 제가 봤을때는 집 살만한 사람은 이미 다 샀다고 봅니다. 그만큼 수요층이 줄어 들었다는 말이구요.
거기에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CPI 지수가 잘 나왔다고 하지만 당분간 코로나 때만큼의 저금리는 오기 힘들 것입니다.
거기에 한가지 더 말씀드리자면 GDP 대비 집값이 너무 높습니다. 매수하기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이라는 뜻입니다.
결론은 이미 수요를 많이 해버린 탓에 수요층 감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이자 부담, 너무 높은 집값, 그리고 하락의 공포 때문에 이미 많이 떨어졌지만
앞으로도 상승장이 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럼 언제 매수해야 하냐구요? 부동산은 주식과 달리 분위기가 천천히 달라집니다. 거래량이 늘고 사람들이 매수를 하기 시작하면 그 때 매수하셔도 늦지 않습니다.
참고로 고가 아파트는 제외입니다. 이건 그들만의 리그이기 때문에...
아무튼 부동산 투자 하시려면 김경민 교수님 영상 열심히 보시고
너무 전문가나 주위 사람들의 말에 휘둘리기 보단 본인만의 철칙을 만드시면 투자에 성공하실 수 있습니다.
야블로스 4
2022년 11월 12일 12:18Dti 와 dsr이 모두 완화되야 내집을 팔수 있고. 그래야 나도 대출 받아 살수 있다. 금리도 중요한데 내가 감당이 되면 금리는 차후 문제다. 향후 이자를 만회해줄 집값 인상의 여지가 없으니 매수심리도 없는거예요.
Ordovices 3
2022년 11월 12일 15:06전세대출이 증가하면서 금리 영향력이 커졌죠 전세값이 폭락하니까요
Walker B 3
2022년 11월 12일 12:43정책이 완화되고 있고.. 주식시장은 폭등이 일어났는데.. 주식시장이 피벗이라면 부동산도 폭락할일응 없어보이는데
@jungpil007gy 3
2022년 11월 20일 10:01월세 오르는게 더 문제ㅜ
H K 3
2022년 11월 12일 15:50오르는게 무서운거지 왜 내리는게 무섭냐 축복이지 인식 자체가 바껴야 나라가 살지
namkyu ye 2
2022년 11월 12일 11:461등 ㅋㅋ
황봄 2
2022년 11월 12일 12:54세계가 불경길때 집값내린다면 어쩌나!!!
젊은 친구들 영끌이 할때는 뭐하셨나!!!!
신바람 1
2022년 11월 12일 15:52미국에서 고용율이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해도 인플레를 잡는다고 계속해서 금리를 올릴수있을까요?
남자박재우 1
2022년 11월 12일 15:12공급을 왜 신규분양분만 생각합니까 세법을 바꾸어 여유구주택을 시장에 나오도록 해야지 세상에 신구분양만 공급으로 계산하는 나라는 이지구상에 한국밖에 더 있습니까 즉 건설업체와 정부가 서로 짜고 고스톱치니까 한국부동산이 이꼬라지가 된 근본이유죠 금리인상은 부가요인이고 주이유는 한국의 잘못된 세법이죠 근본원인에대해 얘기하는 분은 왜 아무도 없죠 같이 짜고 고스톱치는 분들인가요??
bongchae kim 1
2022년 11월 12일 14:05결과를 봐야죠ㆍ최종결과 예전 한국 IMF왔을때 서울 집가격과 지금 가격을 비교해보세요ㆍ결국엔 어떤게 이득인지
Hyssop A 1
2022년 11월 12일 15:21시장이 가장 부정적일때가 호기이다
@박키라-b2z 1
2022년 11월 22일 00:32부동산 10년주기로 상승하고 하락
@lovelee7777 1
2022년 11월 30일 17:29집사라고 너무 부추기더라 어디에서든 그걸또 믿고 대출왕창땡겨 집산사람은 ;;; 지금이라도 내려서 파는게 승자일듯...
러버덕 1
2022년 11월 12일 16:00김교수님~잡말 안하시고 깔끔하게 필요한 정보만 전달해주셔서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David-g9m9n
2022년 11월 26일 08:31맞고틀리고가중요한게아니라 싸이클이 언제 반복되느냐지...
■오천만원으로 월오백수익 카톡conprost1004
2022년 11월 12일 15:06닉네임 참고해주세요 몇분만 가능합니다
Jinsub Kim
2022년 11월 12일 16:04금리와 자산이 상관없다니 참 나 나쁜놈들 전부다 사기꾼들이네
카리스마
2022년 11월 12일 16:13집이 부족한 게 아니라 다주택자들이 많은 거에요 법인도 엄청 들고 있음 그리고 국회의원들이 보유세 올리면 끝남 1주택자들 빼주면 좋고요
오재훈
2022년 11월 12일 14:29너무 이론적
실전은 싸이클
희망
2022년 11월 12일 16:37부동산은 금리가 높으면 살 사람이 부족해서 쉽사리 오르기 힘듬.
금리 내려가는 것 보고 적당한 가격에 살 집이다 생각하고 구매하는게 좋다고 생각함.
현재는 금리가 높아 집을 사는게 아니라고 갠적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하락 사이클이라 당분간 하락 방향으로 갈것 같네요.
@haeunepark1553
2022년 11월 17일 20:10앞으로 경기는 더 안 좋아질건데....
Jump Ski
2022년 11월 12일 16:12이참에 투기꾼들 전부 박멸됬으면 좋겠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