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두영입니다. 짧은 시간에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편집까지 되다 보니 좀 연결이 안되기도 하네요. 인간관계와 일 모두 다양한 요소에서 밸런스를 갖춰야 한다는 얘기였습니다. 아마 후반부는 편집중일 거라 앞 부분만 나온 것 같네요. 조금이나마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가설명> Q 힘들었던 시절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대학병원에서 암 같은 심각한 질환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다루는 일을 했습니다) 그래서 어린아이와 관련되는 경우가 안타까웠는데 하필 그 사건이 친누나에게 생겼다는 얘깁니다.
이때도 슬퍼하는 가족을 다독거릴 것도 하고 (부정정서, 대인관계) 치료 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도 열심히 데이터 찾아서 알려주고 (인지) 여유시간을 만들어 나의 즐거움 혹은 제 아이와 즐거운 시간을 갖는 것도 챙겼습니다. (긍정정서)
Q 진료실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이 궁금합니다. 좁히면 '일 or 관계' 인데 딱 그것 하나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예를 들면, 일에 집중이 안된다고 하는데 상사와 관계가 틀어져서 멘토링을 잘 못받는 직접적인 원인도 있고. 긴장하고 일만 하다 외롭고 지지받을 곳이 없어 정서가 무너져 일이 더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요즘은 연애나 친구관계를 아예 포기하는 경우도 있죠. 그런데 그 결과로 일도 더 안되는 악순환이 생기기도 합니다.
Q 부부들의 갈등 해결방법 '잘 싸우는 것' (O) = '서로를 이해하고, 잘 조율하는 것' (O) '내가 이겨서, 내가 원하는 대로 하게 만드는 것' (X) (뒷 부분이 잘려서 마치 내가 이기는 것이 '잘' 싸우는 것처럼 드릴 수 있겠네요)
⭐️ 작가는 만 6년 동안 유니스트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매해 약 100명 이상 총 700~800명 정도 상담
1. 힘들었던 시절은? 어린 아이를 둔 누나가 위암 판정을 받았을 때➡️ 가족의 아픔과 고난을 보면서 나를 위한 투자를 하게되는 계기를 가짐<친구들과 어울리는 것도 필요한 만큼 해보자>
2. 작가님 인생의 핵심 가치는 무엇? -작은 실패를 통해 배워 나가는 것<끈기, 일시적 좌절감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게 오래가지 않는 힘을 키우는 것>
3. 진료실에 찾아 오는 사람들이 힘들어 하는 것은? -일과 사람관계 힘들어 함<예: 논문이 잘 써지지 않는다고 하면 사람 관계는 잘 되고 있는지 살펴 봐야함> -인간관계가 잘 되어야 지지받고 궁금한 것이 생기면 인맥을 통해 도움을 받게된다. -즉, 일과 사람관계의 밸런스를 갖자!!
4. 나이가 들어도 인생이 힘든 이유는? -인생의 역경은 누구에게나 지속된다➡️ 나의 멘탈 그릇을 키우자!!➡️ '멘탈 금수저'가 되자!!
5. 관계의 유연성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은? -갈등이 되는 상사나 멘토링을 해주는 상사가 있다고 가정할 때 내가 주도적으로 관계를 정립하고, 주도적인 판단하에 관계를 유지해야 함<너무 힘들게 하는 상사와 관계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너무 괴롭힘이 심해서 힘들다면 감사실에 고발할 것인지 판단> -나의 삶을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나를 위한 것에 최선을 다하자!!
6. 부부들의 갈등 해결 방법은? -갈등이 생기면 경청하고 조율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내가 항상 이기는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조율해서 지속해 나가는게 필요>
7. 심리적 유연성을 키우는 방법은? -인간관계에 갈등이 있어 갈등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으면 기억공간을 그 기억들이 차지하고 있어 집행기능이 어려워 진다. -사람은 긍정적 정서, 재미, 좋은 경험 또는 좋은 경험이 예상되어야 한다. - 좋은 경험이 없는 사람은 마약, 술, 쇼핑 등에 빠져 인공적인 즐거움을 사용함➡️ 따라서 자연적이고 긍정정서인 취미를 갖거나 운동을 하자.
@dooyoung0807 7
2022년 11월 12일 18:50안녕하세요. 정두영입니다.
짧은 시간에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편집까지 되다 보니 좀 연결이 안되기도 하네요.
인간관계와 일 모두 다양한 요소에서 밸런스를 갖춰야 한다는 얘기였습니다.
아마 후반부는 편집중일 거라 앞 부분만 나온 것 같네요.
조금이나마 여러분의 삶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추가설명>
Q 힘들었던 시절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대학병원에서 암 같은 심각한 질환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다루는 일을 했습니다)
그래서 어린아이와 관련되는 경우가 안타까웠는데 하필 그 사건이 친누나에게 생겼다는 얘깁니다.
이때도 슬퍼하는 가족을 다독거릴 것도 하고 (부정정서, 대인관계)
치료 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도 열심히 데이터 찾아서 알려주고 (인지)
여유시간을 만들어 나의 즐거움 혹은 제 아이와 즐거운 시간을 갖는 것도 챙겼습니다. (긍정정서)
Q 진료실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이 궁금합니다.
좁히면 '일 or 관계' 인데 딱 그것 하나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예를 들면, 일에 집중이 안된다고 하는데 상사와 관계가 틀어져서 멘토링을 잘 못받는 직접적인 원인도 있고.
긴장하고 일만 하다 외롭고 지지받을 곳이 없어 정서가 무너져 일이 더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심지어 요즘은 연애나 친구관계를 아예 포기하는 경우도 있죠. 그런데 그 결과로 일도 더 안되는 악순환이 생기기도 합니다.
Q 부부들의 갈등 해결방법
'잘 싸우는 것' (O) = '서로를 이해하고, 잘 조율하는 것' (O)
'내가 이겨서, 내가 원하는 대로 하게 만드는 것' (X)
(뒷 부분이 잘려서 마치 내가 이기는 것이 '잘' 싸우는 것처럼 드릴 수 있겠네요)
윤 4
2022년 11월 12일 14:12💥🟪 강의 요약 🟪💥
⭐️ 작가는 만 6년 동안 유니스트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매해 약 100명 이상 총 700~800명 정도 상담
1. 힘들었던 시절은?
어린 아이를 둔 누나가 위암 판정을 받았을 때➡️ 가족의 아픔과 고난을 보면서 나를 위한 투자를 하게되는 계기를 가짐<친구들과 어울리는 것도 필요한 만큼 해보자>
2. 작가님 인생의 핵심 가치는 무엇?
-작은 실패를 통해 배워 나가는 것<끈기, 일시적 좌절감을 가질 수는 있지만 그게 오래가지 않는 힘을 키우는 것>
3. 진료실에 찾아 오는 사람들이 힘들어 하는 것은?
-일과 사람관계 힘들어 함<예: 논문이 잘 써지지 않는다고 하면 사람 관계는 잘 되고 있는지 살펴 봐야함>
-인간관계가 잘 되어야 지지받고 궁금한 것이 생기면 인맥을 통해 도움을 받게된다.
-즉, 일과 사람관계의 밸런스를 갖자!!
4. 나이가 들어도 인생이 힘든 이유는?
-인생의 역경은 누구에게나 지속된다➡️ 나의 멘탈 그릇을 키우자!!➡️ '멘탈 금수저'가 되자!!
5. 관계의 유연성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은?
-갈등이 되는 상사나 멘토링을 해주는 상사가 있다고 가정할 때 내가 주도적으로 관계를 정립하고, 주도적인 판단하에 관계를 유지해야 함<너무 힘들게 하는 상사와 관계를 계속 유지할 것인지, 너무 괴롭힘이 심해서 힘들다면 감사실에 고발할 것인지 판단>
-나의 삶을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지 생각하고, 나를 위한 것에 최선을 다하자!!
6. 부부들의 갈등 해결 방법은?
-갈등이 생기면 경청하고 조율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내가 항상 이기는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조율해서 지속해 나가는게 필요>
7. 심리적 유연성을 키우는 방법은?
-인간관계에 갈등이 있어 갈등이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으면 기억공간을 그 기억들이 차지하고 있어 집행기능이 어려워 진다.
-사람은 긍정적 정서, 재미, 좋은 경험 또는 좋은 경험이 예상되어야 한다.
- 좋은 경험이 없는 사람은 마약, 술, 쇼핑 등에 빠져 인공적인 즐거움을 사용함➡️ 따라서 자연적이고 긍정정서인 취미를 갖거나 운동을 하자.
김현숙 3
2022년 11월 12일 12:23🌳 🌳 🌳
정 두 영 교수님!
소중하신 말씀!
잘~ 경청 하였습니다.
항상, 건강 하시고 행복
하시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 🍎
한준희 2
2022년 11월 12일 13:06뭔말인지?
달건이
2022년 11월 12일 17:05멘탈을 키우는 방법이 무엇인지요 그래서? 취미 운동? 너무 설명이 빈약한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