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에 계신 분들이 현업에 계신 분들보다 더 잘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는 것...매우 신중해야 할 일입니다 교수님 말씀은 좋으시나 실제 투자하시는 부동산이 없을 가능성이 더 많을지도요? 있다고 하신다면 수익율은 더 회의적일 수 있습니다... 일류 대학 경제/경영학과 교수님들 중 금융/부동산 투자를 통한 자수성가 부자가 몇 명일지 생각해 보면 간단합니다
이번 부동산 하락은 10~20년 장기하락 할거 같은데... 절대 2년안에는 안오름. 이유는 미국 연준발 금리인상으로 내년 우리나라 은행금리 10~12%면 부채 폭탄이 터짐. 그리고.세계 경제위기가 5~7년 지속 될수도 있고, 문제는 예전 부동산은 IMF와 미국 서브프라임발 하락시 2~3년후 급격히 부동산이 올랐지만 이때는 인구가 늘어나고 수도권으로 인구가 늘어나던 시대이고, 현재는 인구감소,베이비붐세대 은퇴, 부동산 공급폭탄, 개인부채도 문제지만 자영멉자및 중소기업발 부채도 문제임. 일본처럼 20~30년 장기 하락에 시작점이 될수도 있음.
14년도 상황과 비교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박근혜 정부때는 추가로 대출 받을 여력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출을 더 받을 수 있는 여력도 없고, 신혼부부 수는 계속 급감해서 미래 실수요 자체가 줄어드는데, 14년처럼 반등할까요? 지금 DSR빼고 대출도 다 풀었는데, 그리고 DSR은 국제협약이라서 풀 수가 없으니 이것도 14년과 다르네요.. 14년에 비해서 자가 비율도 많이 올라도 갔네요
예전 영상 찾아보면 교수님은 집값 상승에 대해 정부에 정책 실패가 요인이라 하셨던 거 같은데 시간이 지나고보니 어떠한 정책도 대세를 막을 순 없었던 것 같습니다. 반대로 생각해서 지금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인해 대세는 집값이 하락하고있죠. 심지어 미국 연준 금리는 4%고 한국 기준 금리는 3%입니다. 연준보다 금리가 낮은 것으로 보아 집값 하락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같아요…
버틸수는 있는데 다시 저금리로 간다고 할지라도 다시 부동산이 가격 회복할수는 없을겁니다. 다들 저금리만 얘기하는데 지난 작년에 부동산이 폭등한건 저금리와 4%의 경제 성장률이 뒷바침 되었기 때문인데 향후 대한민국 GDP가 3% 이상 성장을 하기는 힘들다는게 중론입니다. 중국을 대신해 대한민국 제품을 사줄 국가가 새롭게 출현해야 하는데 신냉전 시기에는 없습니다.
동의합니다. 저도 2년 봅니다. 그동안 인플레 잡히고 주식 오르고 금리 떨어지기 시작하면 급반등 예상 합니다. 심지어 그때까지 공급은 점점 씨가 말라 가니 급반등이 인플레 부분까지 겹쳐서 생각 보다 크게 나올수 있어요. 돈은 항상 나만 없는거고 돈 많은 사람은 항상 생각 보다 많아요.
하락론자들은 어딜가나.. 2017년 4~5억하던 아파트 하락론자들은 비싸다 떨어진다 했었고, 결과는 9~10억까지 치솟았지. 하락론자들은 그때도 떨어진다 했고 결국 현재 7~8억 선에서 호가 형성, 실거래는 안되고 있다. 만약 최악의 상황에사 2017년 상황으로 돌아간다 할진대 하락론자들의 말이 옳았다고 볼 수 있는가? 개인적으로 2018~19년 선에서 연착륙 정도만 해도 매수 대기자는 꽤 있겠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전으로 회귀한다 해도 강남 준신축 국평 15억, 서초 12억, 마용성 9억, 광역시 핵심지 5~6억.. 이미 총알 준비 된 사람들은 많고 현재 무릎까지 내려온 대구같은 경우는 2017년 가격으로 이미 돌아가서 벌써부터 부동산 카페맘들 신축 매수예약 문의가 꽤 있는 상황. 아무리 강남 8학군이지만 시멘트 덩어리가 15억, 20억이라며 비웃지만 현실은? 거리마다 빌딩이 즐비하고 돈 많은 건물주는 차고 넘친다. 강남 8학군 아파트가 15억 하든 20억 하든 돈 있으면 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서 자식 농사에 당연히 투자하는 것. 대구 수성구 경신고 의치한의대 한해에 110명, 지방 집값이 무슨 10억 15억 하냐지만 학군 찾아 다니는 돈있고 능력있는 사람들은 암만 지방광역시라도 그 돈 주고 산다. 지금 아파트값은 확실히 거품이 꼈고, 나도 중산층 맞벌이가 애 키우면서 최소한의 저축도 하고 집값 대출도 갚아 나가는 그림정도는 그려지는 게 당연하다 생각함. 그게 4~5년 전 정도라고 생각 하는거고.. 근데 최저임금은 매년 상승했고 물가도 상승, 양적완화로 아직 회수 안된 자금도 넘쳐나고, 월급 200 받던 사람들 내년에 220 받는데 아직도 2억까지 떨어져야한다느니 하는 헛소리들은 무엇인지? 그냥 웃고 지나쳐도 되는 이야기지만 혹시나 그 말도 안되는 말에 현혹되어 첫 단추 잘못 끼우는 어린 양들이 있을까 걱정되어 써봄. 현실은 현실이고 부정하면 도태됨. 그냥 눈 가리고 평생 부정하면서 사는거임.
연준은 능력이 없습니다. 인플레가 아니다!! 그래서 금리인상 시기를 놓치면서 이 사단을 만든겁니다!! 물론 계획적으로 미중패권에서 중국을 잡기위해서 였다면 모를까 연중은 무능력합니다. 더불어 연준이 피봇을 한들 그 시간이 정말 혹독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반대급부로 주식시장은 활황이겠죠!!
소득 상승분에 적정한 부동산 가격은 21년 가격이 아닙니다. 2년동안 떨어진 다음 21년 가격이 올때까지는 시간이 최소한 5년이상 입니다. 그리고 수요는 공급에만 달린건 아니고 수요가 더 문제입니다. 작년까지 공급이 많았나요? 올해는 내년은... 공급 프레임은 아니라고 봅니다. 결국 오르기는 하겠지만 시간은 최소한 5년 이상입니다.
이런거 듣고 판단하지 말고 현재 감당된ㅡㄴ 사람은 버티고 아님 빠른 처분이 답이다 지금 4~50% 빠졋는데 회복이 2년이면 얼마나 더 빠지고 회복될때 누가 파나 경기 잘풀려 원상복구하는데 2~3년이다 그럼 5~6년 버티다 원상복구 햇는데 팔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더 오를것 같은데 이래서 어차피 이런거 신경 안쓰는 돈 있는 놈들만 버는거지 자기 반성하면서 본인이 주거 목적이고 그냥 평생 살거다 하고 집장만 한 사람은 버티고 이윤을 목표로 무리하게 산 사람은 버려야지
@imago74 114
2022년 11월 13일 16:30김경민 교수가 이 채널 마음에 드나봐요. 본 중 제일 본심으로 단순하게 말해주시는듯.
@빌카소 48
2022년 11월 13일 13:35지난번 부동산 폭락은 5-6년 떨어졌어요. 쉽지 않을 거에요
@Bookcafe0217 47
2022년 11월 13일 16:22교수님 스타일 너무 좋으시네요. 사모님 센스쟁이 시네요
피코크그린 41
2022년 11월 13일 12:472년?글쎄요
설사 2년 하락기가 멈추더라도 상승기는 힘들겁니다
더구나 고점은 절대 안올겁니다
@planlibre2020 36
2022년 11월 13일 13:58학계에 계신 분들이 현업에 계신 분들보다 더 잘 미래를 내다볼 수 있다는 것...매우 신중해야 할 일입니다
교수님 말씀은 좋으시나 실제 투자하시는 부동산이 없을 가능성이 더 많을지도요?
있다고 하신다면 수익율은 더 회의적일 수 있습니다...
일류 대학 경제/경영학과 교수님들 중 금융/부동산 투자를 통한 자수성가 부자가 몇 명일지 생각해 보면 간단합니다
양반 26
2022년 11월 13일 13:0824년을 바닥으로 보시는거군요.... 근데 바닥을 그때 치더라도, 치고 바로 터닝하는경우는 어렵지 않나요ㅎ 좀 바닥을 다지는 기간이 있지 않은지. 김작가님도 24년까지만 잘 버티시길 ㅎㅎㅎ
@hev3160 25
2022년 11월 18일 12:33이번 부동산 하락은 10~20년 장기하락 할거 같은데... 절대 2년안에는 안오름. 이유는 미국 연준발 금리인상으로 내년 우리나라 은행금리 10~12%면 부채 폭탄이 터짐. 그리고.세계 경제위기가 5~7년 지속 될수도 있고, 문제는 예전 부동산은 IMF와 미국 서브프라임발 하락시 2~3년후 급격히 부동산이 올랐지만 이때는 인구가 늘어나고 수도권으로 인구가 늘어나던 시대이고, 현재는 인구감소,베이비붐세대 은퇴, 부동산 공급폭탄, 개인부채도 문제지만 자영멉자및 중소기업발 부채도 문제임. 일본처럼 20~30년 장기 하락에 시작점이 될수도 있음.
@gerrardchoi900 24
2022년 11월 13일 14:2514년도 상황과 비교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박근혜 정부때는 추가로 대출 받을 여력이 있었지만, 지금은 대출을 더 받을 수 있는 여력도 없고, 신혼부부 수는 계속 급감해서 미래 실수요 자체가 줄어드는데, 14년처럼 반등할까요? 지금 DSR빼고 대출도 다 풀었는데, 그리고 DSR은 국제협약이라서 풀 수가 없으니 이것도 14년과 다르네요.. 14년에 비해서 자가 비율도 많이 올라도 갔네요
@착카게실자 21
2022년 11월 13일 16:16버티라고 하시는게 너무 무책임하네요 2년후반등 오는게 확실하다면 그말이 맞지만 횡보후 하락이든 상승이면 기약없이 몇년를 대출이자에
피멍이 들텐데 그땐가서 무슨말를 할지 궁금하네요
@lucky_tv 20
2022년 11월 13일 17:08🌟 『서울대 김경민 교수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R_mWdhgeEOo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KQRaievD1H4&t=451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o3ZGzmzthd0
📚 김경민 교수 『머니 트렌드 2023』 도서 구매
👉 https://bit.ly/3WB3ASC
Sung Hee 19
2022년 11월 13일 14:21과연 2년 버텨서 해결될 일일까요??
@everyday_is_christmas 18
2022년 11월 17일 19:49예전 영상 찾아보면 교수님은 집값 상승에 대해 정부에 정책 실패가 요인이라 하셨던 거 같은데 시간이 지나고보니 어떠한 정책도 대세를 막을 순 없었던 것 같습니다. 반대로 생각해서 지금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으로인해 대세는 집값이 하락하고있죠. 심지어 미국 연준 금리는 4%고 한국 기준 금리는 3%입니다. 연준보다 금리가 낮은 것으로 보아 집값 하락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같아요…
Yoo Sun Reiss 18
2022년 11월 13일 13:26김교수는 투자부동산이 많은듯
Daein Park 17
2022년 11월 13일 13:49금리 올랐다가 떨어진다고 해도 현재 수준일텐데 과연 예전처럼 폭발적인 구매 수요가 있을까?
김콩 15
2022년 11월 13일 13:27가격 하락 말씀하실땐 칭송하더니 하락이 짦다고 하니 댓글이 비난일색이네요..
Wooseok Lee 13
2022년 11월 13일 13:062년간 폭락할듯...
그 이후론 완연한 하락...
매수 시점은 5년뒤쯤!
@전홍재-b3z 12
2022년 11월 21일 22:28문제는 과거와다르게 떨어진 가격이 오르지않을거란사실입니다...
러버덕 12
2022년 11월 13일 12:21김경민교수님 자주 나와주세요~~^^
JY A 12
2022년 11월 13일 12:11안녕하세요? 30년 후의 서울 일부 지역을 제외한 주택 시장의 대폭락이 예상된다고 전문가라는 분이 말씀하셨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저출산과 핵가족화 및 고령화 등이 원인이라고 하는데 저는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SL 10
2022년 11월 13일 13:46금리 3% 위에 있음
집값 오르기 쉽지 않음.
경기가 엄청 살아난다면
모를까~
Shine Sun 9
2022년 11월 13일 16:212010년대와 단순히 비교 가능할까요? 당시 보다 고령화가 더 진행되었고 당분간 경기가 침체된다 하니까요..2013.14년쯤 수출 엄청 잘되고 경기가 좋았어요
@kimmykim1844 8
2022년 11월 14일 09:15무조건 집살 사람은 23년도 사면됨.무릎에 사도 위험하지않음.바닥 기다리다간 좋은 급매물은 노치기 쉬움.지금은 인프레시대.금리가 조금만 안정되도 집값은 더이상 하락 안함.
윤슬 8
2022년 11월 13일 13:452년보다 더 걸리지싶어요
그리고 부동산 상승하긴 어려울 겁니다
2030년쯤 상승하리라 봅니다
큰변수가 없는한~
골.D에이스 7
2022년 11월 13일 12:36도심지(수도권)의 집값에 대한 영향력을 인구수와 관련해서 크게 의미를 두시면 진짜 평생 후회하실 겁니다.
장미경 7
2022년 11월 13일 14:40항상
좋은 내용 잘보고갑니다^^
n.y K. 7
2022년 11월 13일 13:29교수님 현실적인 조언감사드려요~~ 영끌했다고 무조건 팔으라고하는분들보면 저도 의아했거든요. 재산을 더 없애는건데...
더군다나 지금상황에 팔리지도 않고요..
Wowww 7
2022년 11월 13일 15:16v자가 아니라 L자로 가면 못버티죠...폭락후 3~4년간 횡보기간
Gravity 6
2022년 11월 13일 15:33버틸수는 있는데 다시 저금리로 간다고 할지라도 다시 부동산이 가격 회복할수는 없을겁니다.
다들 저금리만 얘기하는데 지난 작년에 부동산이 폭등한건 저금리와 4%의 경제 성장률이 뒷바침 되었기 때문인데
향후 대한민국 GDP가 3% 이상 성장을 하기는 힘들다는게 중론입니다.
중국을 대신해 대한민국 제품을 사줄 국가가 새롭게 출현해야 하는데 신냉전 시기에는 없습니다.
도로시 6
2022년 11월 13일 13:46교수님이 완전한 하락론자 인줄 알았네요.오늘 좋은 인사이트와 유익한 정보감사합니다.김경민교수님 개인 유트브도 구독해야겠네요
@도레미-m9s 5
2022년 11월 14일 00:28우리나라
누구나 살고싶은지역
절대 집값 오릅니다
버팁시다^^
부동산은 입지입니다
지하철근처
아파트 최고입니다😊
윤희연 4
2022년 11월 13일 17:33오르던지 내리던지 내집있으니 편해요. 이사갈필요없고 올라도 걱정없고 내려도 어차피 다른집도 다내렸으니 손해본거 없고.
Muse 4
2022년 11월 13일 13:59교수님
최고예요
자주 가르쳐주세요
Dr. Tobia 3
2022년 11월 13일 14:55이제 금리 고점신호가 나왔기에 주식은 지금 금리수존보디 높은 연수익률이 예상되는 종목은 상승으로 돈이 몰릴겁니다. 다만 부동산은 현재 금리로 유지가 되면 못버티고 쏟아져 나오게 될겁니다
@공원냥꼴통보람사랑한 3
2022년 11월 18일 06:21계속 내려갑니다
@k지니-t9u 3
2022년 11월 13일 21:49코로나로 돈이풀렸고 군중심리에 다들이성을 잃고 패닉바잉에 나선거라 폭락은 멈추겠지만 지루한 횡보장이 올겁니다.
피톤치드 3
2022년 11월 13일 16:21고맙습니다^^
@페이크피스 3
2022년 11월 18일 10:08일본30년전 지금우리나라~~
부동산에너무많은 자금이몰려있는 우리나라가 더위험한듯~~
그리고 여기나와서 자꾸만 부동산투자라는 발언을 이제는하지말아야할듯~
과거처럼 경제성장이않되고 이미저성장인상태에서 그리고인구가 줄고있는데~~
jung 3
2022년 11월 13일 16:26심한곳은 2008년가격대로갑니다
오스틴핡 2
2022년 11월 13일 14:04신축 오피 위험한거는 다들 아실듯 핡
강지형 2
2022년 11월 13일 15:26풀버젼 영상으로 해주세요~~!!
이루기 2
2022년 11월 13일 20:19동의합니다. 저도 2년 봅니다. 그동안 인플레 잡히고 주식 오르고 금리 떨어지기 시작하면 급반등 예상 합니다. 심지어 그때까지 공급은 점점 씨가 말라 가니 급반등이 인플레 부분까지 겹쳐서 생각 보다 크게 나올수 있어요. 돈은 항상 나만 없는거고 돈 많은 사람은 항상 생각 보다 많아요.
@calling2910 2
2022년 11월 13일 12:021
Hur henry 2
2022년 11월 13일 19:032013년은 그래도 인구가 증가할 때고 지금은 인구가 줄고 있는데 반등이 어떻게 올 수 있나....35-55세 가구수도 2015년 부터 꺾였다는데...
@해안당 2
2022년 11월 16일 10:03아무튼 결론은 영끌족 끝이야
@조성세-x8e 2
2022년 11월 17일 10:23윤석열지지자가하는소리는 신뢰가안가다ㅋㅋ
Dou Hyun Jeong 2
2022년 11월 13일 14:01다운톤 아니라 교수님은 downturn이라 하신거 같은데 ㅋㅋㅋ😂 자막 쓸땐 무얼 의미하시는 거였나요???
@shha3499 2
2022년 11월 21일 20:51더 이상 안떨어져도 이젠 40년간 오를일없다.... 서울도 월 5천명씩 인구감소되고있습니다...
@bluesky1135 2
2022년 11월 19일 07:082009년과 비교하는거보고 글답니다..그때와 지금이 같다고 생각하십니까?투기판이된 부동산이?그리고 앞으로 10년후 집을받아줄 20~30대가 얼마나 줄어드는지는?이제 유주택자가 더많다는사실은?바젤lll는?어느한편에 말만듣고 버티다가 말라죽습니다..선택과 판단은 본인이 하세요..제발..
@yellowoo33 1
2022년 12월 19일 01:56하락론자들은 어딜가나.. 2017년 4~5억하던 아파트 하락론자들은 비싸다 떨어진다 했었고, 결과는 9~10억까지 치솟았지. 하락론자들은 그때도 떨어진다 했고 결국 현재 7~8억 선에서 호가 형성, 실거래는 안되고 있다. 만약 최악의 상황에사 2017년 상황으로 돌아간다 할진대 하락론자들의 말이 옳았다고 볼 수 있는가? 개인적으로 2018~19년 선에서 연착륙 정도만 해도 매수 대기자는 꽤 있겠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전으로 회귀한다 해도 강남 준신축 국평 15억, 서초 12억, 마용성 9억, 광역시 핵심지 5~6억.. 이미 총알 준비 된 사람들은 많고 현재 무릎까지 내려온 대구같은 경우는 2017년 가격으로 이미 돌아가서 벌써부터 부동산 카페맘들 신축 매수예약 문의가 꽤 있는 상황. 아무리 강남 8학군이지만 시멘트 덩어리가 15억, 20억이라며 비웃지만 현실은? 거리마다 빌딩이 즐비하고 돈 많은 건물주는 차고 넘친다. 강남 8학군 아파트가 15억 하든 20억 하든 돈 있으면 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서 자식 농사에 당연히 투자하는 것. 대구 수성구 경신고 의치한의대 한해에 110명, 지방 집값이 무슨 10억 15억 하냐지만 학군 찾아 다니는 돈있고 능력있는 사람들은 암만 지방광역시라도 그 돈 주고 산다. 지금 아파트값은 확실히 거품이 꼈고, 나도 중산층 맞벌이가 애 키우면서 최소한의 저축도 하고 집값 대출도 갚아 나가는 그림정도는 그려지는 게 당연하다 생각함. 그게 4~5년 전 정도라고 생각 하는거고.. 근데 최저임금은 매년 상승했고 물가도 상승, 양적완화로 아직 회수 안된 자금도 넘쳐나고, 월급 200 받던 사람들 내년에 220 받는데 아직도 2억까지 떨어져야한다느니 하는 헛소리들은 무엇인지? 그냥 웃고 지나쳐도 되는 이야기지만 혹시나 그 말도 안되는 말에 현혹되어 첫 단추 잘못 끼우는 어린 양들이 있을까 걱정되어 써봄. 현실은 현실이고 부정하면 도태됨. 그냥 눈 가리고 평생 부정하면서 사는거임.
@korea2929 1
2022년 11월 20일 23:42집값은
더이상오르지않는다
총인구감소하는나라들
대부분집값이오르지않는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총인구감소가
시작됐다
절대로오를수없다
윤셀리 1
2022년 11월 13일 16:48ㅋㅋㅋ 교슈님 본인 유투브 이름도 모른다는.... 히히히
@현숙설-n1w 1
2022년 11월 13일 20:012년은 어림없지요 일본을보세요 단기침체는
옛날얘기지요 인구감소
경기침체 고금리 정학히는 모르지만 장기로 갈 가능성이 90%
은주 허 1
2022년 11월 13일 16:08하락기를 2년으로 보시는게 이해가 되지 않네요
부동산이 하락을 하고도 보합시기가 최소 1~2년은 있는데~~
판단은 개인이 각자 하는게 맞는것 같애요 ㅎ
yungoan kim 1
2022년 11월 13일 20:41돈이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많이 풀렸는데,
인플레이션 시대에 돈 가치가 갈수록 팍팍 떨어지는데
집값이 그렇게 폭락할까요?
오를 만큼, 혹은 너무 올랐으니 한동안 주춤하거나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야 충분히 예상되지만...
집값이 폭락한다고 칩시다.
그럼 현금은 안전한가요?
가격 예측이 예측대로 되기만 한다면 세상에 어려울 게 뭐람.
너랑우리 1
2022년 11월 13일 18:365년 하락 보는 전문가들 유튜브 좀 나오던데 그러면 나라 경제사정이 말이 아닐겁니다.. 2년이 현실성이 더 있다고 보구요 그래야 합니다. 그 뒤에도 바짝 오르진 않겠지만 하락이 2년간이어도 충분히 힘든 사람은 힘듭니다..
J. Seung K 1
2022년 11월 13일 19:38연준은 능력이 없습니다. 인플레가 아니다!! 그래서 금리인상 시기를 놓치면서 이 사단을 만든겁니다!! 물론 계획적으로 미중패권에서 중국을 잡기위해서 였다면 모를까 연중은 무능력합니다. 더불어 연준이 피봇을 한들 그 시간이 정말 혹독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반대급부로 주식시장은 활황이겠죠!!
@미탄-f3c 1
2022년 11월 15일 14:12단정적으로 말하는건 굉장히 위험합니다 2년?
@OOO-OOO-k7r 1
2022년 12월 17일 10:49집값이
너무 높긴 했다
계속
떨어졌으면 좋겠다
@TheJmk3037 1
2022년 12월 19일 23:58너도나도 한강다리서 뛰어내리면 그때가 바닥인겨~~ㅋㅋㅋㅋ 생활고로 일가족xx 뉴스 좀 나오다보면 그때가 바닥인겨~~~
@노고단-j3i 1
2022년 11월 30일 06:53갭투자자들은 이미 다 빠졌음.
영끌족이 100만 가구이상임. 매머드급 충격파는 오지도 않았음. 10년도 더 폭락할 수 있음
@이미행복한부자 1
2022년 11월 19일 16:48문재인정권에서 부동산을 폭등시켜 불안감을 느낀 30~40대가 21년을 전후로 영끌해서 집을 샀죠. 그 탓에 지금 금리가 많이 올라서 이자 감당하기 힘드신 분들을 위해서라도 금리가 안정되길 바랍니다.
@쀼-r6j 1
2022년 12월 18일 12:08집값이 올라가면 올라갈 이유가 있어야 하는데 이유가 없다. 물가, 금리, 저출산 인구감소, 공급 뭐 다시 오르기 저어ㅓㅓㅓㅇ말 힘들거같고 올라도 아ㅏㅏㅏ주 소폭 상승일것이라본다.
MRSi0103 1
2022년 11월 13일 18:46교수님 감사합니다 늘 건강하세요 사랑해요
Ko Koon 1
2022년 11월 13일 22:12현재 철근값, 건설 인건비 등이 많이 오른상황이라, 금리 내려가고 대출 잘나오면 위치좋은 아파트는 가격 많이 오를거 같은데 일본처럼
@박강수-p7s
2022년 11월 14일 08:40반갑에팔고사고거레됨니다삼년뒹에됨니다
신상규
2022년 11월 13일 17:39중국도 화이자백신 맞았어요 물론 외국인에 한해서지만 조만간 내국인도 맞지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합니다. 롹다운이 너무길었고 진핑이도 3년연임성공해서 내년 3월이면 새로 취임하니깐 취임선물로 화이자 맞히고 리오프닝 하지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합니다. 뇌피셜임 주식은 11월말이나 12월초에 분위기보고 담아두려구요. 부동산은 내년 가을에나 쳐다볼꺼구요
Sin Meng Jun
2022년 11월 13일 19:38코로나가 잡히지 않는 이상 쉽진 않을것 같은데요
머니
2022년 11월 13일 15:002년정도 버티고나면 작년가격 회복합니까?
sa fe
2022년 11월 13일 16:44이사람 얼굴보면 신뢰가 웬지...
Jaemyung yang
2022년 11월 13일 19:14지금이라도 던져야지
이자 내고 버티다 영혼까지 털림
본전 털린건 자신의 선택에 대한 비용
깨달음
2022년 11월 13일 20:47소득 상승분에 적정한 부동산 가격은 21년 가격이 아닙니다. 2년동안 떨어진 다음 21년 가격이 올때까지는 시간이 최소한 5년이상 입니다. 그리고 수요는 공급에만 달린건 아니고 수요가 더 문제입니다. 작년까지 공급이 많았나요? 올해는 내년은... 공급 프레임은 아니라고 봅니다. 결국 오르기는 하겠지만 시간은 최소한 5년 이상입니다.
nonepapa
2022년 11월 13일 21:38교수님이 2년 버티라면 버텨야죠, 7년 아닌 게 어댜~ 앗, 저도 사랑해요
S. H P
2022년 11월 13일 21:38여러분들 그 때 상황을 보면서 대응하세요
예측을 하지 마세요
@김부영-n7f
2022년 11월 23일 15:11오르면좋겠지만
쉽게 안오를것같아서 걱정예요ㆍㆍ
@손석주-x1d
2022년 11월 26일 22:41집사줄사람이없는데,,,
2년 이니 5 년이니 하는거 의미없는거같습니다,, ,,,
국민모두가 ㅣ인 1가구살자고 하면 가능하겠지요,,,!!!
@Amy-yf4qw
2022년 11월 18일 14:57여긴 서울인가요?
@팔공-x5c
2022년 11월 20일 14:392년을 버티니 그때부터 시작아니가
@울산시민의눈
2022년 11월 25일 01:552008년 미국 리먼사태처럼 가지 않을까요?
@lesanjo2
2022년 11월 18일 11:59저가 주택 공급량 확대로 집없는 서민
집 가질수 있어야
@채쿠라개굴
2022년 11월 22일 02:43이런거 듣고 판단하지 말고 현재 감당된ㅡㄴ 사람은 버티고 아님 빠른 처분이 답이다 지금 4~50% 빠졋는데 회복이 2년이면 얼마나 더 빠지고 회복될때 누가 파나 경기 잘풀려 원상복구하는데 2~3년이다 그럼 5~6년 버티다 원상복구 햇는데 팔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더 오를것 같은데 이래서 어차피 이런거 신경 안쓰는 돈 있는 놈들만 버는거지 자기 반성하면서 본인이 주거 목적이고 그냥 평생 살거다 하고 집장만 한 사람은 버티고 이윤을 목표로 무리하게 산 사람은 버려야지
@홍거북이-u1d
2022년 11월 16일 22:46매도호가는 어떻게 확인해요?
@페이크피스
2022년 11월 18일 09:58P D수첩에서 한 발언하고 왜 다른거같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