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절벽이란 말이 절실히 와닿습니다. 개인이 국가를 위해 아이를 더 낳으려면 나라에서 아이를 키우기 위한 환경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과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 모두를 위해서 더 깊은 고민을 해보아야 할 것 같아요. 좋은 강연과 생각할 시간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짝짝짝!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2년 12월 2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강연자 명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주소]를 보내주세요. *해외거주자일 경우 당첨자에서 제외됩니다 *당첨메일 발송 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며, 확인 후 삭제 처리합니다.
미래가 ㅠ 쌓아둔 쓰레기를 예시를 들어주시니 더욱더 체감이 확실하게 되네요 각자도생이 위험을 초래하고 있지만 함께 살아갈 생각은 안하는 사회가 너무 걱정되네요 투표할때도 생활할때도 높은 시민의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나부터 시민의식을 높여 나아가야 하겠습니다 자식한테 집 한채 남겨주려고 노력할 일이 아니라 시민의식을 물려주어야 겠어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덕분에 왜 실천해야 하는지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명강의 감사드립니다~^^
인구절벽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정부차원에서 해결해주려는 노력과 실천이 중요하다 실례로 아이들이 태어난 순간부터 개인의 자식이면서 나라의 미래라는 생각으로 함께 고민하고 도음을 아낌없이 준다면 부모도 자신의 직장과 현생활에서 아이로 인한 어려움과 갈등을 많이 해소돼 인구절벽에서 조금씩 나아지지 않을까요 상상이아닌 구체적인 실천이 절실한 때입니다
7-8년 일해서 월급 저축해야 겨우 1억에서 2억 모으는데. 집값은 24평이 구축이 2억5천임. 부모가 1억에서 1억5천 지원해줘야 대출없이 살수 있는데. 30평짜리가 3억 초반대 구축이 신도시 아파트는 30평이 5억-6억정도 함. 여자들은 구축 아파트 보다 신도시 아파트를 원하고. 신도시 아파트는 아이를 낳아서 키울 인프라가 형성이 되기 때문에. 애들이 많지만 구축은 아이를 낳아서 키울 인프라가 안되기 때문에 애들이 별로 없음. 애들이 없으니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 학교 전부 문닫고 결국 구축으로 들어간 사람들의 자녀들은 태어나서 기본교육조차 못받고 바보가 되고 그대로 성인이 되서 상류층 자녀들의 노예짓을 계속 반복함. 지금 이걸 기득권들이 노리고 있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방법 집을 그냥 주지를 않는거임. 청년한테 5억짜리 아파트를 저금리로 준다고 하는데 계약금만 7000만원임. 지금 20-30중에 현금으로 7000만원이 있는사람이 얼마나 될까? 결국 부모지원받은 금수저들이나 그거 사놓고 떵떵거리는거임. 상류층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지름길은 돈 밖에 없음 그러니까 코인 주식 로또 하지. 왜 국민들이 그거 도박인거 알면서 이러겠음?
오준 이사장님의 강연은 온 국민이 다 들어야 하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차세대에게 엄청난 과업을 다 떠 넘기고, 오늘 당장의 안이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다가 직면 할 수 있는 문제를 세세하게 짚어 주셨네요. 현재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사람들은 무엇을 어디서부터 실천해야 할지 경각심을 깨우쳐 주는 의미있는 강의였습니다.
@yeri3515 11
2022년 11월 19일 01:27인구절벽이란 말이 절실히 와닿습니다. 개인이 국가를 위해 아이를 더 낳으려면 나라에서 아이를 키우기 위한 환경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과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 모두를 위해서 더 깊은 고민을 해보아야 할 것 같아요. 좋은 강연과 생각할 시간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sebasi15 9
2022년 11월 18일 19:27[책이벤트 당첨자] @민정
👏👏👏짝짝짝! 댓글 이벤트에 당첨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2년 12월 2일까지 friends@sebasi.co.kr로 [당첨자 본인 확인이 가능한 유튜브 캡쳐 화면 / 당첨된 영상의 강연자 명 / 유튜브 닉네임 / 이름 / 휴대폰 연락처 / 배송주소]를 보내주세요. *해외거주자일 경우 당첨자에서 제외됩니다 *당첨메일 발송 시 개인정보활용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며, 확인 후 삭제 처리합니다.
@박지언-f3f 9
2022년 11월 19일 16:40이제 60대는 부양 받을 나이가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모두가 자립을 유지해야 하지 않을까요
민정 5
2022년 11월 19일 00:03미래가 ㅠ
쌓아둔 쓰레기를 예시를 들어주시니 더욱더 체감이 확실하게 되네요
각자도생이 위험을 초래하고 있지만 함께 살아갈 생각은 안하는 사회가 너무 걱정되네요
투표할때도 생활할때도 높은 시민의식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나부터 시민의식을 높여 나아가야 하겠습니다
자식한테 집 한채 남겨주려고 노력할 일이 아니라 시민의식을 물려주어야 겠어요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덕분에 왜 실천해야 하는지 생각할 수 있었습니다
명강의 감사드립니다~^^
@freeman55365 5
2022년 11월 20일 19:44인구절벽에 대해 노인들이 걱정하는 이야기는 무용하다.
결혼하지 않는 젊은 여성들, 아이를 가지지 않는 젊은 부부들이 이야기 하게 하라.
그리고 경청하라.
@원영순-o9y 5
2022년 11월 19일 05:52인구절벽문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정부차원에서 해결해주려는 노력과 실천이 중요하다 실례로 아이들이 태어난 순간부터 개인의 자식이면서 나라의 미래라는 생각으로 함께 고민하고 도음을 아낌없이 준다면 부모도 자신의 직장과 현생활에서 아이로 인한 어려움과 갈등을 많이 해소돼 인구절벽에서 조금씩 나아지지 않을까요 상상이아닌 구체적인 실천이 절실한 때입니다
@TVCountrysideDaily 4
2022년 11월 18일 19:329~♡세바시님 안녕하세요 ^^~
좋은영상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haesung-e5w 2
2022년 12월 10일 11:427-8년 일해서 월급 저축해야 겨우 1억에서 2억 모으는데. 집값은 24평이 구축이 2억5천임. 부모가 1억에서 1억5천 지원해줘야 대출없이 살수 있는데. 30평짜리가 3억 초반대 구축이 신도시 아파트는 30평이 5억-6억정도 함. 여자들은 구축 아파트 보다 신도시 아파트를 원하고. 신도시 아파트는 아이를 낳아서 키울 인프라가 형성이 되기 때문에. 애들이 많지만 구축은 아이를 낳아서 키울 인프라가 안되기 때문에 애들이 별로 없음. 애들이 없으니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 학교 전부 문닫고 결국 구축으로 들어간 사람들의 자녀들은 태어나서 기본교육조차 못받고 바보가 되고 그대로 성인이 되서 상류층 자녀들의 노예짓을 계속 반복함. 지금 이걸 기득권들이 노리고 있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방법 집을 그냥 주지를 않는거임. 청년한테 5억짜리 아파트를 저금리로 준다고 하는데 계약금만 7000만원임. 지금 20-30중에 현금으로 7000만원이 있는사람이 얼마나 될까? 결국 부모지원받은 금수저들이나 그거 사놓고 떵떵거리는거임. 상류층으로 가는 가장 확실한 지름길은 돈 밖에 없음 그러니까 코인 주식 로또 하지. 왜 국민들이 그거 도박인거 알면서 이러겠음?
이나라는 2030년 이후로 급속도로 망할것으로 보임.
Hyemee Choi 2
2022년 11월 18일 23:46오준 이사장님의 강연은 온 국민이 다 들어야 하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차세대에게 엄청난 과업을 다 떠 넘기고, 오늘 당장의 안이함과 편리함을 추구하다가 직면 할 수 있는 문제를 세세하게 짚어 주셨네요. 현재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사람들은 무엇을 어디서부터 실천해야 할지 경각심을 깨우쳐 주는 의미있는 강의였습니다.
@melba1483 2
2022년 11월 23일 13:54교수님께서 추천해주셔서 보게되었는데 제가 준비하고있는 글쓰기과제에 너무 도움이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ruelove9395 2
2022년 11월 19일 04:05지구에 사는 사람이라면 책임을 갖고 후손을 위해서 작은 실천부터 해나간다면 우리는 해낼수있을겁니다
지구🌎 는 하나이기에 ....
@모모-l1q1e 1
2022년 11월 30일 09:35정부에서가족수 늘이기 ?위원장에 나경원님이 하시던데요..혼자 사시는 분을 편협되게 보면서 그런 프로 욕하시던데..그런 분이 아니라 이 교수님처럼 정말 인간애가 있는분이 그런 정책 및 직책을 맡으시면 좋겠습니다.❤️
김종신 1
2022년 11월 18일 21:35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 훌륭한 강연입니다 감사합니다
이준엽 1
2022년 11월 18일 19:59눈도장~^^♡♡♡♡♡♡
김형진 1
2022년 11월 19일 10:27지구 환경쪽은 빨리 파괴하며
인간 환경은 속도가 없다
Noah howard marshall 1
2022년 11월 18일 20:10나 70되네 ㅎㅎ 나이스 인구 절반이 나보다 어리네 ㅎㅎ 굿
@J크루 1
2023년 4월 12일 19:58-이미 멸망이 확정된 나라에서
더이상 바라는 것도 없다,
이제는 마음의 준비를 할 때다.
욕심부리지 말고 비교질 하지말고,
작은 것에 만족하면서 오늘을 즐겁게 살자,
마지막 순간에 "참 좋은 인생이었다." 라며
웃을 수 있게.
@꼬부기-n1y 1
2022년 12월 03일 16:00이민준비할까 생각중입니다
@가보자-j9o 1
2022년 11월 19일 05:18광고 너무 많네요
Matteo
2022년 11월 21일 02:36젊은이들이 이토록 소중한 시대인데 새삼스레 불과 며칠 전 사고와 세월호사고가 너무 안타깝게 느껴지네요😞
jin sky
2022년 11월 19일 15:09이분 예전 un대사 아니신가요?
오아속
2022년 11월 19일 18:48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경각심을 통해 우리 사회가 어떻게 능동적으로 변화해야 하는지
알게 되서 매우 유익했습니다
우리 후손들에게 안정적인 미래를 물려주기 위해서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보경-p9z
2022년 11월 21일 18:18맞습니다 ㅡ 국회의원이 국민에게 필요조건이 ᆢ느낌표 가 생각이들정도에요
이은미
2022년 11월 20일 04:07읽어보고싶어요
Ch-Ed
2022년 11월 19일 00:02더 넓은 범위의 공동체적 가치가 공유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과거 몇년간 청년정책은 없다시피한걸 봐왔고, 지금도 지방은 수도권과 여러 면에서 차이가 납니다. 노오력을 해야한다는 말이 우스갯소리처럼 떠돌던 때도 있었는데 다음 세대 카테고리라는게 있기나 한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