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님 영상 감사합니다! 결국은 리밸런싱이란, '경기가 지속반복적으로 순환한다'에 투자하는 기법으로 생각하면 되겠네요~ㅎㅎㅎ 어제 S&P500 지수도 미국장기국채도 5%이상씩 빠지는 바람에 조금 허탈했네요...ㅠ 다행스러운건 단기국채 비중을 미리 늘려놔서 그나마 피해를 줄일 수 있었어요... 투자란.. 아직은 참 어렵네요^^;;
박사님 애청자입니다. 1주전 주식가격이 떨어질때 미국채권과 리밸런싱을 하라는 동영상과 이번 동영상은 반대되는 얘기같아서요^^ 이번동영상을 보고나니 외람되지만 요새같은 장은 리밸런싱하기가 좋은지 잘모르겠습니다. 저같은 경우 해외채권은 EDV같은 ETF를 하는데 아직 수익률은 플러스지만 상당히 떨어지고 있거든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리밸런싱을 하기 위해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를 해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한다 해도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하는 순간 양도소득세 22% 떼이지 않나요?(해외etf 연250만원 이상 오른 경우) 그래서 부족한 저의 관점에서는 비싼 자산을 매도해서 싼 자산을 매수하는 리밸런싱하게되면 세금(22%)+매도수수료 에서 더 손해를 보는것 같은데 이에대해 박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궁금하던 내용었는데 감사합니다. 석유 가격이 폭락 하는 등 디플레 요인이 커지면서 국채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 하고 있구요 최근 연준이 금리를 0%로 인하하면서 앞으로 국채 금리가 움직일 공간이 크게 주어들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국채가 리밸런싱의 도구로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juliuskim9656 4
2020년 3월 19일 09:25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의사결정 트리 [1) allocation, 2) portfolio]에 대해 개념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는데 확실히 알게 되었어요.
박사님 유튜브 강의 덕분에 한국의 경제/금융 문맹률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kkkkuuekwon4548 2
2020년 3월 19일 07:34박사님 정보의 홍수로 전문성 떨어지는 정보가 판치는 세상에 이런 양질의 정보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산배분하는 제가 딱 궁금해하던 질문이네요. 그랗다면 공황급 경제위기엔 현금 , 달러가 답인가요?? ...
blue margarita 1
2020년 3월 19일 07:03오오 1등.
@sarkpiens 1
2020년 10월 25일 12:36홍춘욱 선생님의 강의는 언제나 명쾌하군요.
짧고 간결하게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yonghunkim4993 1
2020년 3월 19일 07:49박사님 영상 감사합니다! 결국은 리밸런싱이란, '경기가 지속반복적으로 순환한다'에 투자하는 기법으로 생각하면 되겠네요~ㅎㅎㅎ 어제 S&P500 지수도 미국장기국채도 5%이상씩 빠지는 바람에 조금 허탈했네요...ㅠ 다행스러운건 단기국채 비중을 미리 늘려놔서 그나마 피해를 줄일 수 있었어요... 투자란.. 아직은 참 어렵네요^^;;
@hilanamang 1
2020년 3월 19일 07:36제가 제 손가락이 나가는줄도 모르고 덤볐었네요.ㄷㄷ 조급해하면 안되겠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박사님!!
@taehoonoh2036 1
2020년 3월 19일 07:33박사님 애청자입니다. 1주전 주식가격이 떨어질때 미국채권과 리밸런싱을 하라는 동영상과 이번 동영상은 반대되는 얘기같아서요^^ 이번동영상을 보고나니 외람되지만 요새같은 장은 리밸런싱하기가 좋은지 잘모르겠습니다. 저같은 경우 해외채권은 EDV같은 ETF를 하는데 아직 수익률은 플러스지만 상당히 떨어지고 있거든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hesit 1
2020년 3월 19일 13:12항상 잘보고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inuto3008
2020년 3월 19일 09:13요즘처럼 현금을 제외한 모든 자산이 한꺼번에 빠질 때는 어떻게 하나요? 리밸런싱이 의미가 없어 보이는데요. 현금과 투자자산간에 리밸런싱을 해야하나요? 주식 채권 모든 투자자산이 하락해서 현금비중이 오른 셈이잖아요.
@leerego36
2020년 3월 19일 08:01감사합니다. 그래프는 장투를 감안한 본인 세대(1960여년 부터) 정도를 보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장섭-e9s
2020년 3월 19일 09:03미국의 기준금리가 0에 가까운데도 10년물 국채금리가 상승하는날도 있네요... 대공황시기에도 이랬나 봅니다 !!! 분할매수 들어갑니다. 그리고 좋은내용 감사드려요...
@주자왕파킹
2020년 3월 19일 09:17박사님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요즘 시장을 보면
포트폴리오에 달러도 일정부분 포함해야겠네요.
@WhispersRealm-n3e
2020년 3월 19일 10:12감사합니다~ 아침마다 잘 듣고 있습니다~
@stellart5696
2020년 3월 19일 07:03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박사님. 코로나 조심하시고 좋은 하루 보내세요!!
@오디세이아-t3l
2020년 3월 23일 13:27늘 알찬 컨텐츠로 많이 배웁니다.
@윤상혁-w6y
2020년 5월 19일 23:48영상 잘 봤습니다! 궁금한게 있어서요! 포트폴리오 구성시 미국주식이랑 미국장기채권으로 구성한다면 상관관계가 반대인 자산이 맞을까요? 미국주식이랑 미국채권으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투자하려고 하거든요 ^^
@이수연-c5w
2020년 3월 19일 08:33매번 이해가 잘되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SeonghakLee
2020년 3월 19일 07:063등요~~감사드립니다~~좋은동영상만들어주셔서요~~^^
@웜커들
2020년 3월 19일 07:38감사합니다. 근래 시장에서 선진국지수가 원하는 % 보다 좀 떨어졌네하고 넘 자주 리밸런싱을 했는데 이럴땐 리밸런싱도 조금 쉬었다하는게 좋을것같네요.
@JUTOPIA
2020년 3월 19일 13:52자산배분해서 매월 리벨런싱중인데
2월까지는 계속 수익이였고 3월부터 조금 빠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과 미국채 가격이 하락중인데요.
현재 위기 한가운데라서 공포장이라 단기유동성(달라)빼고 자산버블이 꺼지고있죠.
공포가 지나고 차후 천천히 회복되길 기대해봅니다 :D
@TheHanjun0202
2020년 3월 19일 07:15홍박사님, 매번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리밸런싱은 역시 횡보장에 강하군요!!
모멘텀(추세장)에서는 그대로 두는 혹은 동적자산배분 등을 통해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나을것 같습니다.
@hadayam
2020년 6월 25일 02:27지금 미국 10년물 국채 이자율이 0.76 막 이런데.. 솔직히 저는 채권 수익율이 저렇게 높은지 잘 이해가 안가네요 채권은 안정 자산인 대산 수익이 낮고 주식은 고수익이지만 더 리스키한걸로 알고 있었는데
@geangeun-jen
2020년 3월 19일 13:16올해는 쓰나미이후 찾아오는 잔잔한 바다를 생각해볼때 기회라는 생각이듭니다.
수
2020년 3월 19일 07:28교수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천상-d5n
2020년 4월 13일 11:32리밸런싱을 하기 위해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를 해서 떨어진 자산을 매수한다 해도 가격이 오른 자산을 매도하는 순간 양도소득세 22% 떼이지 않나요?(해외etf 연250만원 이상 오른 경우) 그래서 부족한 저의 관점에서는 비싼 자산을 매도해서 싼 자산을 매수하는 리밸런싱하게되면 세금(22%)+매도수수료 에서 더 손해를 보는것 같은데 이에대해 박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t1293
2020년 3월 19일 17:30궁금하던 내용었는데 감사합니다. 석유 가격이 폭락 하는 등 디플레 요인이 커지면서 국채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 하고 있구요 최근 연준이 금리를 0%로 인하하면서 앞으로 국채 금리가 움직일 공간이 크게 주어들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국채가 리밸런싱의 도구로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stockus9498
2020년 3월 19일 07:28감사합니다
@junheekim8279
2020년 3월 19일 07:35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리벨런싱의 주기는 어떻게 가져가면 적절한지 궁금합니다..!
@junyoungyoo3588
2020년 3월 19일 08:04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shindh02
2020년 3월 19일 11:35박사님 요즘 미국 인덱스펀드에 사람들이 관심이 많던데 미국 시장에서 S&P500추종하는 VOO같은것과 한국 코스피에 상장되어있는 코덱스나 타이거에서 S&P추종하는 상품과 다른점이 무엇이고 어떤걸 더 추천하시는지 질문드려도 될까요??
@valentinakwon5255
2020년 3월 19일 08:10채권도 장기채는 안전 자산이 아니고 단기채가 안전 자산이라고 하는데, 장기채는 왜 안전 자산이 아닌가요..? ㅠㅠ 리밸런싱과 주식투자의 위험성을 줄이기위해 단기채로 매수 했거든요.. ㅠ 알수록 어렵다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