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작일 일본이 독일을 월드컵에서 이겨 큰 이슈가 됐었죠? 시기에 맞춰 일본 이야기를 한 번 전해드렸습니다. 오늘은 왜 벌어지는 미국과 일본의 금리 격차에도 일본이 왜 금리 인하를 고집하는지, 엔화의 현황은 어떤지, 다양한 일본 이야기를 전해드렸네요. 일본의 역전승처럼 여러분도 매력적인 엔화 안전 자산 투자로 역전승을 내고 싶으시다면 곧 론칭되는 저의 [안전자산 VOD]에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많은 기대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박사님 영상을 2년 넘게 듣고 있습니다. 인생에서 절호의 투자 공부를 박사님 통해서 하고 있고 저도 주변 사람들에게 전문가 소리를 듣고 있네요. 물론 박사님 영상을 대부분 추천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현시점도 중요하지만 미래세대를 위해 화이팅 부탁드립니다. 늘 헌신적인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박사님의 부동산에 대한 예측은 어찌보면 정확했다고 볼 수 있겠으나, 부동산 상품의 특성을 잘못 인지하고 계신듯합니다. 부동산은 고가성이 있어서 한 번 거래시 대금 자체가 크고, 관련 수수료등 제비용 부담도 큽니다. 때문에 거래를 연속적으로 하기 쉽지 않아 투자목적으로 집입시 하락기에 빠져나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부동산을 사라'고 하셨다고 초반에 말씀하셨다면 투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의 수요, 그 사람들이 적절한 시기에 빠져나올만큼 충분한 상승기간이 남았는지를 고려하셨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드린 고가성의 이유로 이자부담이 크고 금리인상기에는 체감 되는 비용이 더욱 크게 느껴지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공인, 전문가로써 어떤 상품을 '사라'고 할 때는 더욱 많은 주의가 필요할거 같아요.
@chunukhong 16
2022년 11월 24일 12:07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작일 일본이 독일을 월드컵에서 이겨 큰 이슈가 됐었죠?
시기에 맞춰 일본 이야기를 한 번 전해드렸습니다.
오늘은 왜 벌어지는 미국과 일본의 금리 격차에도
일본이 왜 금리 인하를 고집하는지,
엔화의 현황은 어떤지, 다양한 일본 이야기를 전해드렸네요.
일본의 역전승처럼 여러분도 매력적인 엔화 안전 자산 투자로
역전승을 내고 싶으시다면
곧 론칭되는 저의 [안전자산 VOD]에서 참고 부탁드립니다.
많은 기대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JenJTW 9
2022년 11월 24일 12:33전근대적 사고 맞습니다. 매일 항의나 파업이나 하고.ㅠㅠ.
@kyungkyunnoh415 8
2022년 11월 24일 13:33좀 특이한게 제가 봐온 분들중 홍박사님이 젤 겸허하게 말해왔는데, (사실 좀 심하게 자극적으로 말한 인간들도 있긴합니다). 홍박사님 탓하는 인간들도 있군요;;: 아니 사실 자극적으로 말했다고 한들 최종 선택의 책임은 본인이죠. 다들 남한테 인생을 맡기고 사는건가??
@요구르트-q1d 4
2022년 11월 24일 13:30타이밍놓치기싫어서 알람설정해두고 따끈따끈한 영상보면서 경제공부합니다!! 저희가족은 덕분에 안정적으로 집 마련하고 소소하게 달러채권투자해서 지금은 흐뭇합니다
매번감사합니다~^^ 이제야 댓글을 쓰네요~~
@warriet29 3
2022년 11월 24일 13:31이상한 놈들 많아요. 신경 쓰지 마시길.
@Lose11801 3
2022년 11월 24일 12:30영상 잘보겠습니다... 지식나눔 감사합니다.
@hoyapharm 3
2022년 11월 24일 13:15오늘도 감사드립니다.
잘되면 내탓 안되면 니탓 하는 전갈들은 차단이 정답!
바른 구독자들만 박사님 영상을 보기를 기도합니다.
@라디오-u1l 3
2022년 11월 24일 17:19홍박사님 잡음 신경쓰지마세요 공인이라 생각하시고 악플도 관심이란 넓은 마음으로 나아가주시길 바래요 건강하세요
@댕기동자 3
2022년 11월 25일 15:33아직도 기우제나 예기 하는 양반들 계시군요.
예상이 맞으면 내 덕분! 틀리면 너의 탓!?
@손경원-h6q 2
2022년 11월 24일 23:50일본 주식은 건재하고 좋던데요😮 일본 주식은 언제 하락하나요? 일본 망한다고들 하지만 주식 시장봐서는 체감이 안됩니다
@최원준-x5o 2
2022년 11월 24일 14:24소리를 들을 수 없어서 자막틀고 봤는데 와.... 발음이 얼마나 정확하시면 자막이 또박또박 나오는지 신기하네요! ㅋㅋㅋ
@미래소년-j6v 2
2022년 11월 24일 15:48물론 홍박사님 욕하는 사람이 훨신더 많다는걸 구독자들도 알고 박사님도 알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사님을 구독하고 아직 이야기를 들어보려는 사람도 많습니다!
화이팅입니다!
@leezj333 2
2022년 11월 28일 00:47박사님 영상을 2년 넘게 듣고 있습니다. 인생에서 절호의 투자 공부를 박사님 통해서 하고 있고 저도 주변 사람들에게 전문가 소리를 듣고 있네요. 물론 박사님 영상을 대부분 추천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현시점도 중요하지만 미래세대를 위해 화이팅 부탁드립니다. 늘 헌신적인 영상에 감사드립니다.
@ttv9585 2
2022년 11월 24일 19:48요즘 mz 세대?? 들이 너무 극단적이라고들 말을 합니다. 박사님의 잘못은 절대 아니죠. 영끌할 때 영상을 좀 찾아보고그랬으면 경기 안좋아진다는 걸 알았을겁니다. 그대만 하더라도 전문가들이 한입모아 모두 부정적으로 애기했죠.
@찬란한인생-r9e 2
2022년 11월 24일 15:27잘되면 내탓~ 못되면 조상탓~
쪽지까지 보낼 정도면 평상시 주변에 어떻게 하며 살고 있을지 보이네요
물론 속이야 상하겠지만 누워서 수고없이 떨어지는 떡먹으려 하면 안되지요
@jimmy__sung 2
2022년 11월 24일 14:51건강한 생각을 가지고계서서 너무 좋아요
@김만-t1s 1
2022년 11월 24일 18:28리스크관리! 안티프레질! 투자에 철직을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누리가온-c6w 1
2022년 11월 24일 19:18작년에 달러 사라는 조언도 잘 들었으면 올해 돈 벌었을텐데 말이죠 ㅋㅋ 홍작가님 파이팅입니다
@zicep5436 1
2022년 11월 24일 19:14그런 사람들은 그냥 그러러니 하세요.
그사람들의 삶의 수준은 딱 거기까지 입니다~
@tv-jp3vf 1
2022년 11월 24일 18:29금융은 대응~~~
@bes7409 1
2022년 11월 24일 14:31아저씨 사랑해혀~~^^
@gltm 1
2022년 11월 27일 09:51저도 투자 실패하고 있지만 ㅋ 이건 전부 제탓이죠. 남탓하는 사람들은 발전할 수가 없어요. 영상 자주 뜨길 고대합니다.
@되고싶다-t5f 1
2022년 11월 24일 13:58참 이상한 사람 많네요. 전 재작년에 박사님 얘기 듣고 나서부터 전략 바꾸고 지금까지 괜찮은 수익 유지하고 있는데요.
아직은 자본금이 크지 않아서 많은 돈을 번 건 아니지만 이대로 꾸준히 하면 노후걱정은 없겠구나 생각하면서 만족하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그알 - 그것이 알고 싶나 1
2022년 11월 24일 13:42이상한 사람들은 피하는게 상책입니다.
@영원히-d4w 1
2022년 11월 24일 12:48잘 보구 갑니다^^*
@factchecker81 1
2022년 11월 25일 18:43매번 영상 감사 드립니다. 덕분에 많이 배웁니다.
@김지숙-d5w 1
2022년 11월 25일 07:29항상 좋은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힘내세요!
@hyejinkim9792 1
2022년 11월 26일 07:20매번 좋은 감사합니다! 힘내세요 ^^
@jaisonyan3597 1
2022년 11월 29일 20:10일본 개가 미국 주인을 물려고 하다니 ㅉ
일본은 죽을 듯 어려운 모양이네요 ㅎㅎ
@oneway4755 1
2022년 11월 27일 09:32일단 남탓하면 발전없고 노답. 여러 의견듣고 스스로 판단해서 선택해야지 쯧쯧
@알수없는떠버리 1
2022년 11월 24일 12:58영상 고맙습니다!
@마마님-b7p
2022년 11월 28일 20:32항상 좋은내용 감사합니다 국내1년채권선물 etf를 개인연금에서 모아가는데 주의할점이 있을까요?
@김로건-j6k
2022년 11월 25일 10:52버티긴. 금리 올리면 바로 국가파산인데. 어쩌라고. 해외자산도 무자비하게 많겟다. 미국채 투매로 미국을 작살내는게 낫지
@돼지왕왕
2022년 12월 06일 07:47이재명 당대표가 비 안온다고 윤통탓하던데 ㅋㅋ
@미카엘-r2u
2022년 12월 04일 16:47박사님의 부동산에 대한 예측은 어찌보면 정확했다고 볼 수 있겠으나, 부동산 상품의 특성을 잘못 인지하고 계신듯합니다. 부동산은 고가성이 있어서 한 번 거래시 대금 자체가 크고, 관련 수수료등 제비용 부담도 큽니다. 때문에 거래를 연속적으로 하기 쉽지 않아 투자목적으로 집입시 하락기에 빠져나오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부동산을 사라'고 하셨다고 초반에 말씀하셨다면 투자로 인식하는 시청자의 수요, 그 사람들이 적절한 시기에 빠져나올만큼 충분한 상승기간이 남았는지를 고려하셨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드린 고가성의 이유로 이자부담이 크고 금리인상기에는 체감 되는 비용이 더욱 크게 느껴지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공인, 전문가로써 어떤 상품을 '사라'고 할 때는 더욱 많은 주의가 필요할거 같아요.
이상 영상 잘 보고 있는 애청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