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을 여러번 연속해서 맞추는 사람은 없음 100년이 넘는동안 지금까지 계속 맞춘 사람이 어딨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추종하면 그사람은 꼭 부러짐 이분이 대단하고 똑똑한것 맞고 내가 감히 판단할수없는 분이지만 대부분 사람이 이분은 항상 맞춘다고 추종하면 꼭크게 틀림 모든 자산시장에서 명심해야함
저는 어께에 집팔고나서 계속오르길래 뒤늦게 영끌하려다가 소장님 영상보고 참았습니다. 벼락거지라는 용어 쓰며 올해 폭등할거라고, 몇몇 유툽어들이 엄청 뽐뿌질했는데, 공급부족타령하고.. 집값떨어지니 없던 공급이 갑자기 막늘어나네요 ㅎㅎ 부x남, 아x유, 이x우. 정말 그때는 상당히 거만해보였는데 지금은 급 겸손해졌더군요.
평택 와서 택지개발 하는거 보면 기절 할 정도다. 인구 증가는 한계가 있는데 도데처 뭐하자는 짓인지.... 아직도 계속 택지지구를 지정하고 어쩌자고 이러는지 지역에 사는 사람 입장에서 보면 아찔한 생각마져 든다. 삼성이 공장 커다랗게 짓고 있으니 인구가 엄청 늘거 같지만 삼성 반도체 공장에 고정근무 인력이 몇명이나 될거라고 이 난리인지.... 아마도 엄청난 후유증이 있을거란 생각이 든다.
부동산 잘은 모르지만... 송파나 노도강이 먼저 떨어지는 이유는 우선 둘다 대단지가 매우 많은 지역이고, 또 어쩌면 <영끌족,다주택자,갭투자자>가 진입하기 쉬운 지역이었기 때문 아닐까요...?
노도강의 경우 폭등장 끝물에 확 따라붙으면서 올랐어요. 왜냐하면 "상승이 진짜구나! 가만있으면 벼락거지 되는거구나!"하고 초조해진 영끌족이나 다주택자들이, 상승장에 참여는 하고 싶은데 인기지역은 이미 너무 올라서 도저히 진입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인서울이면서 진입 가능한 노도강으로 몰린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또 송파의 경우 노도강보다는 구매력이 있는 영끌족이나 갭투자자가 몰렸던게 아닐까요..? 당시 일각에서 강남4구로 불릴 정도로 좋은 지역이면서도 강남3구 정도로 진입장벽이 높지는 않으니, 자녀를 키우던 구매대기자들은 "지금을 놓치면 앞으로 우리가족은 평생 강남3구는 커녕 송파 진입도 어렵다."는 초조함에, 영끌 및 갭투를 통해 송파로 약간 무리하여 많이들 진입하셨을 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하락장에서 이자를 부담하기 힘든 영끌족, 갭투자자, 다주택자가 이 두 지역에 몰렸던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2021년에 금리 때문에 이렇게 집값이 급격히 빠질거라고 예상한 사람은 없습니다. 소장님의 팬이지만 소장님도 이런 상황을 예상하진 못하셨습니다. 미래 인구 감소가 큰 원인이 될지 아니면 2차적 요인일지는 동의하기가 좀 힘드네요.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합니다. 어느 누구도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난다고 예상하지 못한다는게 정확하겠죠.
저도 동의하고 있는 서울의 핵심 지역은 인구가 몰려 미래에도 꾸준히 상승할 확률이 높다는 대전제도 미래에는 어떻게 변할지 지금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사람도 없을겁니다.
소장님 인구론이 아니라 고령화론이 더 중요합니다 10년뒤면 30프로가 65세 이상 50프로가 50세 이상입니다 지금 집값을 주도하는 헌아파트 재건축아파트는 강남 일부지역 제외하고 절대 재건축 불가하고 슬럼화 됩니다 낼모래 죽는 노인들이 10년씩 기다리는 재건축울 왜하겠습니까 새아파트는 몰라도 재건축시장은 서울빼고 다 끝났습니다
하락장의 경우.. 지금 생각보다 하락세가 버티는 이유는 갭투자자들의 전세갱신일이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영끌하신 분들은 당장 이자의 영향으로 먼저 체감하셨지만, 갭투하신 분들은 현재 전세세입자가 아직 살고 계시니 피부에 와닿진 않으실 것 같아요. 이자를 내시는게 아니니까요. 내심 '우리 세입자가 나갈때쯤엔 금리가 떨어져서 다시 집값이 회복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버티고 계실 것 같아요.
세입자가 2년 계약 만료되어 나가게 되는 시점... 2021년 갭투 구입 기준으로 볼때 2023년이 되어 전세금을 돌려주어야 할때, 갭투자자들이 하락장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참고로 현재 전국 아파트 경매 매물이 지난달 대비 약 35프로 급등했고, 그중 70프로의 매물이 구매하려는 사람이 없어 유찰되었답니다. 유찰 매물들은 결국 더 저렴한 가격으로 주인을 찾을테고, 그만큼 빚을 진 사람의 부담은 더 커지겠지요...
결국 내년 갭투자자들의 전세매물이 나올때쯤까지 금리 및 경기가 회복될지가 관건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bytheway3102 115
2022년 11월 25일 18:55시장을 여러번 연속해서 맞추는 사람은 없음 100년이 넘는동안 지금까지 계속 맞춘 사람이 어딨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추종하면 그사람은 꼭 부러짐 이분이 대단하고 똑똑한것 맞고 내가 감히 판단할수없는 분이지만 대부분 사람이 이분은 항상 맞춘다고 추종하면 꼭크게 틀림 모든 자산시장에서 명심해야함
@비비추-q7z 94
2022년 11월 25일 17:53경매도 2차까지 유찰되는게
수두룩 합니다
@큰나무-e7x 88
2022년 11월 25일 19:01정말 이런 주제 짜증납니다 !! 여직껏 비 정상으로 올른 비율이 얼마인데 그런 말이 나옵니까? 60프로 빠져야 한다고 봅니다 ! 젊은 이들 집좀 사게 !!
@임창완-g2f 80
2022년 11월 26일 17:48진짜 이소장님이 제일정확하다.
다들 집사라고 할때 이분만 거의 유일하게 위험하다고했다.
@lljljljlljll 75
2022년 11월 25일 17:14소장님 영상은 무조건 봄
@성욕이없는남자 72
2022년 11월 25일 19:43우리의 예상보다 집값은 더 큰 폭으로 폭락할 수 있습니다
거품도 이런 거품이 없죠.
@최수영-v3g4r 63
2022년 11월 25일 17:19소장님 말씀 꾹 믿고
갑니다
@박영미-w7u 62
2022년 11월 25일 18:01아직도 서민이 다가가기에는 너무 올랐어요~~
Y Jin 60
2022년 11월 25일 18:11작년에 딸이 집 사려는걸 소장님 방송 보면서 강력히 말렸는데, 최고의 부모 노릇이 됐지요. 지금도 소장님 방송은 몇번씩 반복해서 들으면서 딸에게 좀 더 기다리자고 자신있게 말하고 있습니다. 이소장님과 좋은 방송 해주시는 김작가님께 감사 드립니다.
@jun.h7062 56
2022년 11월 26일 10:47저는 어께에 집팔고나서 계속오르길래 뒤늦게 영끌하려다가 소장님 영상보고 참았습니다.
벼락거지라는 용어 쓰며 올해 폭등할거라고, 몇몇 유툽어들이 엄청 뽐뿌질했는데,
공급부족타령하고.. 집값떨어지니 없던 공급이 갑자기 막늘어나네요 ㅎㅎ
부x남, 아x유, 이x우. 정말 그때는 상당히 거만해보였는데 지금은 급 겸손해졌더군요.
@yllyou4940 55
2022년 11월 26일 04:5770대 중산층 유주택자 입니다ㆍ
아파트는 반드시 3분의 1토막 날 것이고 또한 그래야만 젊은이들의 미래가 있습니다ㆍ
미친 집값 입니다ㆍ
@권영순-q2h 52
2022년 11월 25일 18:54김작가님
정말 수고 많으시군요!
늘~감사합니다!^^
세프포독심 43
2022년 11월 25일 17:23대한민국 유일한 부동산 전문가
@푸바오-k6e 41
2022년 11월 25일 19:31지금껏 소장님강의 예측이 전부 맞았어요
강남도 하락할거라 하시더니 강님이 경매건수가 가장 많더라고요
강남이 사업가가 많아 지인들중 시행하는분들 입니다, 강남 압구정동 ,반포 에서 살아요, 몇분 사시는데 전부 부도직전 입니다. 강남은 대출이 없어 안무너질줄 알았어요~!
@최영순-u8c 40
2022년 11월 25일 17:03김작가님
늘.감사합니다
@bluesky1135 39
2022년 11월 25일 18:25작년말 올초 꼭지에 집을 산 103만명이 걱정입니다..내년에 큰일날꺼같던데...무정부상태와 마찮가지인 지금상황에 과연 얼마나 잘 버틸것인가...잘버팁시다..
@fmdnlstmzl 36
2022년 11월 25일 21:14이분이 정말 현장에서 느낀것과 공부한걸 적절히 녹혀내서 말하는 전문가인듯.. 이거 맞추신분이 얼마안되는데 이분이랑 그 서울대교수님이랑 재파? 요정도
@비와당신-x8x 35
2022년 11월 26일 16:46대체 몇명을 살리신건지...국빈이십니다
@자유시장-g4i 35
2022년 11월 25일 21:29최고의 전문가👍👍👍👍👍
@돌아와요오징어떼 34
2022년 11월 26일 06:03이한철 소장님♡♡ 지상파에도 종종 등장하시니 더 반갑습니다 부동산 정상화에 일조해 주시는거 같아요
@조해순-m7h 33
2022년 11월 25일 17:17영끌해서 꼭대기에서 산 젊은 세대가 걱정입니다
폭등했으니 좀 내려야죠
젊은 사람들은 이럴 때 사야죠
@hjh0329 31
2022년 11월 26일 00:48평택 와서 택지개발 하는거 보면 기절 할 정도다. 인구 증가는 한계가 있는데 도데처 뭐하자는 짓인지.... 아직도 계속 택지지구를 지정하고 어쩌자고 이러는지 지역에 사는 사람 입장에서 보면 아찔한 생각마져 든다. 삼성이 공장 커다랗게 짓고 있으니 인구가 엄청 늘거 같지만 삼성 반도체 공장에 고정근무 인력이 몇명이나 될거라고 이 난리인지.... 아마도 엄청난 후유증이 있을거란 생각이 든다.
@minjihome 27
2022년 11월 25일 23:38부동산 잘은 모르지만... 송파나 노도강이 먼저 떨어지는 이유는 우선 둘다 대단지가 매우 많은 지역이고, 또 어쩌면 <영끌족,다주택자,갭투자자>가 진입하기 쉬운 지역이었기 때문 아닐까요...?
노도강의 경우 폭등장 끝물에 확 따라붙으면서 올랐어요. 왜냐하면 "상승이 진짜구나! 가만있으면 벼락거지 되는거구나!"하고 초조해진 영끌족이나 다주택자들이, 상승장에 참여는 하고 싶은데 인기지역은 이미 너무 올라서 도저히 진입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인서울이면서 진입 가능한 노도강으로 몰린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또 송파의 경우 노도강보다는 구매력이 있는 영끌족이나 갭투자자가 몰렸던게 아닐까요..? 당시 일각에서 강남4구로 불릴 정도로 좋은 지역이면서도 강남3구 정도로 진입장벽이 높지는 않으니, 자녀를 키우던 구매대기자들은 "지금을 놓치면 앞으로 우리가족은 평생 강남3구는 커녕 송파 진입도 어렵다."는 초조함에, 영끌 및 갭투를 통해 송파로 약간 무리하여 많이들 진입하셨을 것 같아요...
그러다보니 하락장에서 이자를 부담하기 힘든 영끌족, 갭투자자, 다주택자가 이 두 지역에 몰렸던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촛불하나-q4x 26
2022년 11월 25일 18:41결국 심리는 금리나 정책 등을 바탕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닐까요 🤔
@신비-d6x 26
2022년 11월 25일 18:03아직이죠~~
2,3년전 시흥 안산
얼마나 오르고 얼마가 내렸는지~~
한참 더 내려가야지요
@meaningoftime 25
2022년 11월 25일 18:482021년에 금리 때문에 이렇게 집값이 급격히 빠질거라고 예상한 사람은 없습니다. 소장님의 팬이지만 소장님도 이런 상황을 예상하진 못하셨습니다.
미래 인구 감소가 큰 원인이 될지 아니면 2차적 요인일지는 동의하기가 좀 힘드네요.
우리나라는 산업화 이후 처음으로 인구가 감소합니다.
어느 누구도 정확히 어떤 일이 일어난다고 예상하지 못한다는게 정확하겠죠.
저도 동의하고 있는 서울의 핵심 지역은 인구가 몰려 미래에도 꾸준히 상승할 확률이 높다는 대전제도
미래에는 어떻게 변할지 지금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사람도 없을겁니다.
@aero6232 21
2022년 11월 25일 18:51심리 전세가 분양 정책은
부동산을 움직이는 핵심4요소.
2차 요인은
시장의 추세를 바꿀 수 없다
시장과 방향이 같으면 큰 힘을 내고
반대면 힘을 못낸다=금리
연관성은 있으나 절대적이진 않다.
일본은 거의 제로금리
지금은 금리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는다.
2차 요인은
방향이 같으면 시너지 효과를 낸다.
대중심리가 상승으로 방향을 잡고
정부가 규제를 막으면 상승한다.
시장 하락할때 정부가 규제를 풀어도
대중심리가 하락으로 잡으면
계속 하락된다.
힘이 어마어마하게 강하다.
하락장에서 상승으로 턴 하는게 전세인데
하락으로 방향을 맞춰놓우면
무슨 수를 싸도 소용이 없다.
@박물관-s3j 21
2022년 11월 25일 22:11갓 이현철!
@cebuuhaknet3959 20
2022년 11월 26일 06:33소장님 인구론이 아니라 고령화론이 더 중요합니다 10년뒤면 30프로가 65세 이상 50프로가 50세 이상입니다 지금 집값을 주도하는 헌아파트 재건축아파트는 강남 일부지역 제외하고 절대 재건축 불가하고 슬럼화 됩니다 낼모래 죽는 노인들이 10년씩 기다리는 재건축울 왜하겠습니까 새아파트는 몰라도 재건축시장은 서울빼고 다 끝났습니다
@lucky_tv 19
2022년 11월 25일 17:11📚 김작가 『머니 트렌드 2023』 도서 구매
👉 https://bit.ly/3WB3ASC
🌟 『이현철 소장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kqygLUa_ka8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LwsDtHwDfLY&t=143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83pfviJConE&t=451s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SKaeeToJm8U
@한규강-s5i 18
2022년 11월 26일 10:23집값은 좀더 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젊은이들 짒없는 사람도. 집을 살수 있도록 .스트레스 받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gwonsp7729 17
2022년 11월 25일 20:46아직 제대로 안떨어진 상황입니다.
현재 노원구 25평 호가와 경매사건 감정가가 100%상승된 가격인 8~9억....
조철민TV 16
2022년 11월 25일 18:16이현철 소장님 화이팅입니다♥
@김제니맘 15
2022년 11월 26일 16:18이현철 소장님이 하는말이 다 맞아들고있네요
미분양부터
@liszthan78 13
2022년 11월 28일 08:40항상감사합니다 이현철소장님 많이배웁니다
@박물관-s3j 13
2022년 11월 25일 22:222011년 압정 현대 12억..그때가 정상가였다고 봅니다
@이하림-h4x 13
2022년 11월 26일 11:34진짜 파동은 내년부터 시작입니다
3-5월 그리고 9-10월 악소리 나는 시작단계
주택매매도 파동 차트가 있습니다
지금은 맛배기
@김종식-h3j 12
2022년 11월 25일 19:13세계부동산추세따라간다 세계경제가살아나야 부동산도 살아난다
진정한그리스도인 12
2022년 11월 25일 17:21노스트라다무스는 영향력없지만~ 소장님은 영향력 많음.
@inhoryu 11
2022년 11월 25일 23:21이자가 비쌀수록 가장 비싼 집값이 가장 많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 돈 은행에 넣어놓으면 가만히 있어도 편히 돈버는데 미쳤나? 얼마나 떨어질지 모를 그런 비싼 집을 사게
@정수진-g7e 11
2022년 11월 25일 22:18올라갈땐 좋아서 가만히 있다가 조금 떨어지니까 부총리까지 나서서 난리부르스
@minjihome 9
2022년 11월 26일 04:37하락장의 경우.. 지금 생각보다 하락세가 버티는 이유는 갭투자자들의 전세갱신일이 아직 오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아요.
영끌하신 분들은 당장 이자의 영향으로 먼저 체감하셨지만, 갭투하신 분들은 현재 전세세입자가 아직 살고 계시니 피부에 와닿진 않으실 것 같아요. 이자를 내시는게 아니니까요. 내심 '우리 세입자가 나갈때쯤엔 금리가 떨어져서 다시 집값이 회복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버티고 계실 것 같아요.
세입자가 2년 계약 만료되어 나가게 되는 시점... 2021년 갭투 구입 기준으로 볼때 2023년이 되어 전세금을 돌려주어야 할때, 갭투자자들이 하락장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참고로 현재 전국 아파트 경매 매물이 지난달 대비 약 35프로 급등했고, 그중 70프로의 매물이 구매하려는 사람이 없어 유찰되었답니다. 유찰 매물들은 결국 더 저렴한 가격으로 주인을 찾을테고, 그만큼 빚을 진 사람의 부담은 더 커지겠지요...
결국 내년 갭투자자들의 전세매물이 나올때쯤까지 금리 및 경기가 회복될지가 관건이 되지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gorinablue706 9
2022년 11월 25일 19:18집값올라가서 난리더니. 이제야 집값이 잡히네
이또킹 8
2022년 11월 25일 18:18이제 하락장 시작한건데..금리 2%대까지 오기전까지는 집값상승은 포기해
곰젤리 좋아하는 곰젤리 7
2022년 11월 25일 17:02다시 폭등은 언제 오나요? ^^
읔홀릭 6
2022년 11월 25일 18:39라이트하우스가 전문가
리 보 6
2022년 11월 25일 18:34집값은 금리 내리면 다시 상승합니다
서울은 인구가 감소해도 세대수 증가가 가장 큰 수요이고
공급이 절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나야나-l8x 6
2022년 11월 26일 00:08거품 80%데로가야
정상이지요
@전창범-r2q 6
2022년 11월 26일 09:17줄어든 거래 중 실질 거래되야하는게 눌려있는데 나중에 터지게 되면 그때가 진정한 하강 국면이겠네요 ㄷㄷㄷㄷㄷ
@김태우-k1c 6
2022년 11월 25일 22:06지금집사는사람은특급바보지요.
@이남길-z1x 6
2022년 11월 26일 09:25감사합니다ㆍ부동산(아파트)에 관한 한 최고 입니다ㆍ
@김석-s2r 6
2022년 11월 26일 01:54지금 전국에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서 걱정이 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누가 걱정하는 것은 그 사람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이치라고 생각합니다
언론에서도 지속적으로 걱정하는 취지의 보도를 하고 있습니다 좀더 기다려야 합니다 행복합니다😎
@성원주-p6g 6
2022년 11월 26일 16:05늘 감사합니다
박후하야 5
2022년 11월 25일 19:02여행지는 사람들로 넘쳐나고 소비는 최고를 찍고 아직 곡 소리가 안들리네요 아직 멀은 듯~
@만사형통-c8h 4
2022년 11월 26일 07:05거래가 왜안되는데 거품집값 때문이지
@들국화-r6c 4
2022년 11월 26일 08:48잘 듣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redtomato8306 4
2022년 11월 27일 12:14다른건 볼필요없음.
이현철소장님 한문도교수님 나오는것만보면됨.
더이상 말안하겠습니다.
정직 4
2022년 11월 25일 18:32소장님 바쁘시더라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광주광역시 입니다 .
10년임대아파트살고있는데 현재 7년시점인데 건설사에서 조기분양한다고 합니다.
지금 분양 받아야될까요?
아니면 10년 채운후 분양받아야 할까요?
광주도 지금 아파트가 많이 추락하고있네요
제트 3
2022년 11월 25일 17:57둔촌주공후 서울은 분양이 없습니다...
@슬로우-p5q 3
2022년 11월 26일 04:35예측하는것은좋은데 예측이틀리면 사과라도했으면 좋겠네요 조용히 사라지지말고요~
이상윤 3
2022년 11월 25일 17:49임대차3법의 어느내용이 무주택자들의 일부가 매수하게 되었나요? 처음 도입된 제도라서라는 이유로는 납득하기
어려운데요.....다음번에 설명 부탁드립니다.
서경 김 2
2022년 11월 25일 17:2930년이도나 되어야 오른다고 그렇게 외쳐놓고는 금리인상되면 또 오른다고요?ㅠ
경제적자유 2
2022년 11월 25일 17:32미래는 아무도 모릅니다
행복사랑 2
2022년 11월 25일 19:13근데 뭘 알기는 하고 하는 얘기니?
비비와와치 2
2022년 11월 25일 17:001등
KHJ253 2
2022년 11월 25일 19:15이제는 아파트로 돈버는시대 끝남
@EvanWithMay 2
2022년 11월 26일 09:42한동안 버블 효과로 인해서 폭등했던 부동산 시장이 여러가지 경제 문제로 인해서
정상적으로 돌아가는데 왜 큰일이라는 단어를 쓰는거죠 ???????
즐겨 보는 체널 입니다만, 큰일 났다 라는 표현은 이해가 안가네요 ...
큰나무 1
2022년 11월 25일 19:03폭등 소리 고만 하소 집못산 젊은이들 간떨어 집니다 !!! 반토막 나야 정상이라고 봅니다 !!!!
HYUN JA BAEK 1
2022년 11월 25일 18:58진작부터 미분양 많았습니다
사기꾼들이 띄우고
속여 팔아먹은겁니다
길 지나다닐때 보세요
얼마나 매달리는지 ㅡ
잘 팔리면 길거리까지
나와서 그렇게까지하며
팔질 않는겁니다
바보들이 자기돈들 아껴
먹고살 생각들은 않고
남의 물건 팔아주고 남좋게 해주느라 ~
이명백 1
2022년 11월 25일 19:15이현철님 화이팅 입니다~^^
나다운게 때로는 멋진걸 1
2022년 11월 25일 18:36부천 은하마을요
57평을 3억6천에 샀습니다
25년전에요 지금 9억합니다
무슨 거품이요
정상적인거 아닌가요
이건 어찌 해석 하실건가요
25년동안 5억5천 올랐습니다
유기숙 1
2022년 11월 25일 18:13집값 다시오른다 하시는데 언제쯤 오르는지?
목련꽃 1
2022년 11월 25일 18:28미친듯이 오른집값.
w.k cho
2022년 11월 25일 19:39무주택자는 주택구입부담지수보고 사면 됨
서울기준 80-120사이
월루
2022년 11월 25일 18:56다른 말은 전부 이해 할수 있는데 인구감소가 2차요인이 된다는건 이해하기 힘드네요
인구감소와 집값의 상관관계는 일본을 제외하면 실제로 일어난적이 없는 미지의 세계 아닌가요?
김진기
2022년 11월 25일 18:40어쩌다 코로나 어쩌다 양적완화 ~~
유진
2022년 11월 25일 19:30ㅠㅠ 잘보고갑니다
이영기
2022년 11월 25일 18:371차요인 대중심리 전세 분양 정책
2차요인 금리 호재 입지 인구감소 등 우리들이생각하는것들
Johnny_Go
2022년 11월 25일 17:41하락을 하더라도 원웨이 하락은 없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