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되는 직업: '돈이 되는' 정보를 많이 듣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투자기회를 잡을 수 있는 직업. Ex. 공인중개사. --> 너무나 힘들고 고되다. 워라밸/페이/근무환경 등이 열악하지만, '돈 되는 정보' 를 많이 접하고 겪을 수 있다. Ex. 증권가. --> 아무나 못 들어간다. 진입장벽/페이/근무강도 모든 게 높다. 그렇지만 들어가서 Top급 실적을 내면, 반년에 20억 30억 연봉도 가능하다.
부자가 안되는 직업: 안정성을 보장하는 직업. Ex. 교사 --> 추가수입을 만들어야 한다. 불법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Ex. 경찰관 --> 위와 동일. 그렇게 모은 돈을 시드머니로 해서 굴려야. Ex. 회사원 --> '이 직원이 회사를 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월급을 받음.
-'노동으로 부자가 될 수 없다' 는 공식은 잘못되었다.
-'부자가 되는 직업군' 에서 TOP이 되면 반년에 수십억을 벌 수 있다.
-회사에서 대충하고 재테크에 올인하라? 글쎄.. 2030이라면 재고해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김동환 프로님과 함께 한 지난 영상의(5부) 볼륨이 작아 듣기 힘들었다는 의견이 많아, 최대한 편집 과정에서 수정을 해보았습니다. 지금의 소리는 듣기에 괜찮으신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늘 구독자 여러분들의 소중한 의견을 받아 최대한 반영을 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프로님 말씀은, 공무원 교사 등등 직업을 선택하는 분들은 리스크를 헷지하는 대신 저수익으로 가는 재테크랑 똑같은 삶을 사는거죠 . 짤릴 일 없고 노후도 보장되지만 그렇다고 부자는 안되고 적당히 중산층으로 사는. 수도권에 집한채 사서 일년에 한번 가족들과 동남아도 다니고 번듯한 SUV나 준대형 세단 한대 몰고 처자식과 드라이브도 다닐 수 있는. 그래도 건물을 가지고 세를 받고 노동이 아닌 돈이 돈을 벌어주는 삶은 못살죠. 재테크 잘해봐야 수도권 살다가 강북 입성 가능한 수준이겠죠(적어도 지금은. 과거엔 잘만하면 강남 입성도 중산층 가능). 예적금 붓는 사람하고 주식, 선옵 100% 몰빵하는 사람의 차이랄까. 성과급(말로만 성과급 말고 실제 자기 성과가 연동되는) 받는 직장은 기본급은 굉장히 작죠. 그리고 성과가 안나오면 수년내로 잘릴 수도 있고요. 대신에 그 안에서 탁월성을 입증하면 부자가 되니까요. 직업도 재테크처럼 리스크 수준이 있다고 봅니다.
현직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분 말씀 정확하구요. 다만 중개사는 흐름만 알면 손꾸락빠는거구요. 그 흐름을 자기것으로 만들고 투자자를 설득시킬수있는가? or 자기 돈으로 투자하는것. 이 2가지로 큰돈버는직군입니다. 중개만,해서 큰돈 자주 못만져요~ 큰수수료가 상가,분양권 땅 통매 등등잇는데 중개수수료 많이 받는 상가나 토지 이런걸 중개할려면 자격증따면 되는게아니라 자격증따는순간 0부터 시작입니다~~~ 즉 자격증 공부하는게 중요한게아니라요. 실무에서 세세한 노하우와 인적영업이 중요합니다~ 중개사 공부법? 개뿔 도움 1도 안됩니다. 차라리 중개보조원으로 몇달일해보고 자기 적성에 맞으면 고 아니면 과감히 접고 직장생활하는게 맞아요~ 중개사 자격증은 도구일뿐. 없어도 중개 가능. 보조원도 월 1천이상 가져가는 직원들 많습니다~~~ 자기성격이 조금 분석적이거나 남들을 리드하고 설득잘하시는분이면 중개사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이런성향이신분들은 2년 3년안에 무조건 큰건 하나 이상 터칩니당~~ 파이팅하십혀
제가 신과함께 잘 듣고 있어서 김동환 프로님이 김작가TV에 나오시길래 끝까지 다 봤습니다.저도 재무/회계부서에서 4년 일하다 그만두고 현재 공인중개사 하고 있습니다.중개사를 선택한 이유가 프로님이 말하시는 내용과 너무 똑같아서 소름이.....ㅜㅜ회사 다니면서 느낀 건 정말 프로님이 말하신 것처럼 '안나갈 정도만 월급준다.'는 것이죠.느끼는 것이 많았고 그래서 직업을 바꾸는 결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공인중개사가 중개만 하지 않을꺼에요...젊은 중개사분들은 프롭테크를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으로 변화를 계획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가능성 있는 분야입니다.
직장인들 중 임원이 되거나 몸값 올려서 프로페셔널만 살려서 부자가 되는건 가능은 하나 확실히 드문 케이스입니다. 하늘의 별따기죠. 제 직장에서도 스톡옵션 대박 맞아 일시적이지만 CEO보다 5배 이상 많은 급여를 수령한 케이스도 있어요. 여의도 아닙니다~
직장생활은 대충하는게 맞습니다. 짤리지 않게만요. 그러려면 직장이 어느정도 좋아야겠죠. 업종도 전망이 좋은. 단! 직장생활 대충에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투자 공부죠. 저는 주식은 좋게 안봅니다. 코인? 미친짓이라 봅니다. 부동산이 답입니다. 부동산은 길게보면 실패하지 않습니다. 재수가 좋으면 단기간에 로또 몇번 맞는 대박을 터트릴 수 있죠. 단언컨데! 세금은 차치하고라도 가장 확률 높고 가성비 좋은 모델은 직장생활 대충하면서 남는 시간으로 부동산 투자 공부하여 부를 일구는 것입니다.
학교 선생님 공무원 무시하지 마세요. 그들은 최고 등급의 신용도를 갖고 있으며 레버리지를 최대한 당길 수 있습니다. 그 레버리지로 투자를 하면 됩니다.
부자 되는 방법 1.부자 부모 만나는것. 2.운이 엄청 터져서 복권 이나 주식, 부동산으로 잭팟 터지는것. 3.능력이나 재능을 타고 나서 유명인(스포츠스타, 연예인 등등...)이 되서 부와 명예 누리는것.
다 운이 있어야 가능한것... 인생은...-운칠기삼-
돈은 돈이 돈을 벌어다 주지 노동 뭐빠지게 해봐야 절대 부자 못되는건 금융 시스템 조금만 공부 해도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진리.. 근데 인간들은 노력으로 큰 일을 이룰수 있다라는 개소리들을 하는게 어리석음.. 노력이라는건 어떠한 행함에 있어서 한 과정일 뿐이지 큰 비중을 차지 하지를 못함.
부자는 저도 월급받는 사람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정보가 흐르는 곳에 근무하는 직업군은 부자가 될 확률이 높다라는 말은 와닿네요. 정보가 흐르는 곳에 근무하는 직업군으로 재테크에 관한 정보도 많이 받을수 있다면 직업으로, 재테크로 성공할수 있습니다. 안정된 직업은 밥은 굶지 않치만, 부자는 안된다 참 명언이네요. 강의 잘듣고 갑니다.
부자가 되는 것도 어떤 기회나 계기 같은게 오는 것 같은데 심적으로나 , 상황, 누군가를 만난다거나 하는 극적으로 오는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저도 부자가 되고는 싶지만 안주하고 싶은 마음도 있고. 부자가 되려면? 부자되는 습관? 이런 글이나 영상 뜨면 봤는데 이젠 안보게 되네요. 이렇게 보는게 마지막이 될 것 같아요. 이미 평범하게 잘 살고 있는 것을 멍청하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는 생각이 문득 들더라구요. 어떤 계기가 올 때까지 기다리든가.. 계속 나처럼 살면 병신이단 생각을 하며 초조해했었는데 이제야 마음이 편해지네요 부자에대한 집착이 없어졌어요. 이것또한 저에게 어느 계기가 있었죠.. 흘러가는대로 내 능력이 빛나는 곳으로 가겠습니다.
공감가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돈이 도는 직업과 그렇지 않은 직업이 있다는거 정말 공감합니다. 전 현재 돈이 안 도는 직업을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노년까지 일 하고자만 하면 안정적으로 월급은 받을 수 있는 직업입니다. 하지만 신입이든 10년차든 연봉 1000도 차이 안나요. 심지어 요즘 신입이 10년차보다 돈 더 많이 받기도 하네요ㅠ 그런데 전 적성에도 안 맞고 너무너무 힘든데 돈은 적고... 그래도 노년까지 일 할 수 있으니까 이 직업을 가지면서 내가 그나마 잘 할 수 있고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는 곳을 찾아보고자 이직도 여러번 했는데요. 결론은 아니다입니다. 주변 동료들이 현직업이 좋지는 않지만 노년까지 일 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고 다녀서 내가 이상한가 생각했는데 이제와서 보니까 그런 사람들만 남아있던거였어요. 29살이지만 6개월 있으면 30대네요. 늦었지만 다시 직업교육 받을 생각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전 노년에 일하기 싫고 내 능력을 키우면 키우는 대로 급여 더 받을 수 있고 적어도 부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일 하고 싶어요. 직장에서 인생에서 1/3을 보내는데 안정성 하나보고 다니기는 죽어도 싫어요. 직장에서 시간 죽이는 것도 싫고요. 그게 제가 20대 내내 생각한거였네요. 아직 학생인분들은 내가 뭘 선택하고 뭘 버릴 것인지 꼭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전 다시 시작하려니까 너무 막막한데 그래도 지금은 아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ㅠㅠ
자신의 프로페셔널한 영역에 몰두하는 것의 중요성, 공감합니다. 저는 부자가 되고싶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만 많은 부자가 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사회에 가치를 창출하고 그 가치에 합당한 돈을 벌어서 성공한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 자신의 분야에 몰두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두고 제테크는 부수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동업커플 308
2020년 3월 19일 17:46나가지 않는 만큼 월급을 준다는 게 정말 공감됩니다
@오만동먹 75
2020년 3월 19일 17:59부자가 되려면 부를 꿈꾸고 느껴야한다.
한사람(사장)이 주는돈을 받아선 부자가 될수 없다.
여러사람 ( 고객 ) 이 주는 돈을 받아라.
부와 직장의 안정성은 반비례한다.
부를 원하면 우물에서 나와 도전하고
안정적인 직장을 원한다면 부를 바라지말고 살자.
@최호림-x4i 75
2020년 4월 11일 19:41지나가는 은행원입니다.
너무 공감합니다.
나가지않을만큼만 주네요.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
@gohaenam 69
2020년 3월 19일 18:40안정된 직장도 갖고싶고, 부자도 되고싶고 하는게 욕심인것같네요.
20대때부터 경제와 돈에 관심을 많이가졌어야 했는데..
30대인 지금도 늦지않고 부단히 준비해야할것같습니다.
전 이번강의가 제일좋네요. 감사합니다.
김작가님. 김프로님^^
jinos japikel 68
2020년 3월 21일 06:52평범하게 사는것을 옳게 사는것을 어떤광고에서는 모자란 인간처럼 묘사하는데 ... 때론 평범하게 그리고 성실하게 사는것도 방법입니다
@Sono11593 60
2020년 3월 19일 18:27부자가 되는 직업: '돈이 되는' 정보를 많이 듣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투자기회를 잡을 수 있는 직업.
Ex. 공인중개사. --> 너무나 힘들고 고되다. 워라밸/페이/근무환경 등이 열악하지만, '돈 되는 정보' 를 많이 접하고 겪을 수 있다.
Ex. 증권가. --> 아무나 못 들어간다. 진입장벽/페이/근무강도 모든 게 높다. 그렇지만 들어가서 Top급 실적을 내면, 반년에 20억 30억 연봉도 가능하다.
부자가 안되는 직업: 안정성을 보장하는 직업.
Ex. 교사 --> 추가수입을 만들어야 한다. 불법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Ex. 경찰관 --> 위와 동일. 그렇게 모은 돈을 시드머니로 해서 굴려야.
Ex. 회사원 --> '이 직원이 회사를 나가지 않을 정도로만' 월급을 받음.
-'노동으로 부자가 될 수 없다' 는 공식은 잘못되었다.
-'부자가 되는 직업군' 에서 TOP이 되면 반년에 수십억을 벌 수 있다.
-회사에서 대충하고 재테크에 올인하라? 글쎄.. 2030이라면 재고해볼 필요도 있지 않을까.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lucky_tv 57
2020년 3월 19일 16:54김동환 프로님과 함께 한 지난 영상의(5부) 볼륨이 작아 듣기 힘들었다는 의견이 많아, 최대한 편집 과정에서 수정을 해보았습니다. 지금의 소리는 듣기에 괜찮으신지 의견 부탁 드립니다. 늘 구독자 여러분들의 소중한 의견을 받아 최대한 반영을 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늘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ayssaltvinegar6280 56
2020년 5월 11일 02:5912:10 핵심 시작
@hyojunan8934 45
2020년 3월 19일 20:38김프로님은 삼프로TV에서도 청년들이나 초보 투자자에게 애정을 갖고 조언을 해주시는 느낌을 받습니다. 경제대전망 콘서트에서 뵈었을때도 관객들 한 분, 한 분 인사하시며 진심으로 대해주시던 모습에 너무 감동했습니다. 콘서트 자주 열어주세요!!! 감사합니다.
@chinesestudiokr 43
2020년 3월 19일 17:55저는 개인적으로, 요즘 같은 사회에서는 안정적인 평생직장이 없다고 생강합니다.
회사에서 짜르지 않아도, 본인이 잘 안 맞는 부분때문에 스스로 그만두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직장을 열심히 다니면서 다른 수익원을 만드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 아닌가 싶습니다^^;;
마니또 43
2020년 3월 19일 18:13공인중개사 지금은 너무 힘들어 숫자가 너무 많아서 하지 말라고 말리고 싶네
@seanchoi1508 42
2020년 3월 20일 20:17김프로님 말씀은, 공무원 교사 등등 직업을 선택하는 분들은 리스크를 헷지하는 대신 저수익으로 가는 재테크랑 똑같은 삶을 사는거죠 . 짤릴 일 없고 노후도 보장되지만 그렇다고 부자는 안되고 적당히 중산층으로 사는. 수도권에 집한채 사서 일년에 한번 가족들과 동남아도 다니고 번듯한 SUV나 준대형 세단 한대 몰고 처자식과 드라이브도 다닐 수 있는. 그래도 건물을 가지고 세를 받고 노동이 아닌 돈이 돈을 벌어주는 삶은 못살죠. 재테크 잘해봐야 수도권 살다가 강북 입성 가능한 수준이겠죠(적어도 지금은. 과거엔 잘만하면 강남 입성도 중산층 가능). 예적금 붓는 사람하고 주식, 선옵 100% 몰빵하는 사람의 차이랄까. 성과급(말로만 성과급 말고 실제 자기 성과가 연동되는) 받는 직장은 기본급은 굉장히 작죠. 그리고 성과가 안나오면 수년내로 잘릴 수도 있고요. 대신에 그 안에서 탁월성을 입증하면 부자가 되니까요. 직업도 재테크처럼 리스크 수준이 있다고 봅니다.
@devapor8656 38
2020년 3월 19일 17:02나름? 안정된 직장에 다니고있습니다..
겸직불가능한곳이고 월급도 천천히오르고.. 하 ㅜㅜ
@jingo1068 36
2020년 3월 20일 14:31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책에서 나오듯이 단기간에 부자되는 거는 직장인은 절대 불가능하죠. 임원 달면 부자될 수도 있는데 임원 달기까지 보통 20~30년 걸리죠. 결국 직장인은 그냥 적당한 여유를 가질 정도 밖에 돈 못 모으죠
@TP.universe 35
2020년 6월 03일 14:103년차 초등교사입니다. 안정적입니다.
밥도 굶지 않습니다.
그게 다 입니다ㅋㅋㅋㅋㅋㅋㅋ
부모가 부자인 동료교사가 제일 부럽습니다.
@jy7181 33
2020년 3월 21일 02:02혹시나 이거보고 때려치는 직장인없겟지..요즘시대에 개업? 나가는순간 정글입니다..살아남을수잇을지는 본인이 판단하시길
@무-v8i 30
2020년 4월 10일 23:28현직 공인중개사입니다. 저분 말씀 정확하구요. 다만 중개사는 흐름만 알면 손꾸락빠는거구요. 그 흐름을 자기것으로 만들고 투자자를 설득시킬수있는가? or 자기 돈으로 투자하는것. 이 2가지로 큰돈버는직군입니다.
중개만,해서 큰돈 자주 못만져요~
큰수수료가 상가,분양권 땅 통매 등등잇는데
중개수수료 많이 받는 상가나 토지 이런걸 중개할려면 자격증따면 되는게아니라 자격증따는순간 0부터 시작입니다~~~
즉 자격증 공부하는게 중요한게아니라요. 실무에서 세세한 노하우와 인적영업이 중요합니다~ 중개사 공부법? 개뿔 도움 1도 안됩니다.
차라리 중개보조원으로 몇달일해보고 자기 적성에 맞으면 고 아니면 과감히 접고 직장생활하는게 맞아요~
중개사 자격증은 도구일뿐.
없어도 중개 가능. 보조원도 월 1천이상 가져가는 직원들 많습니다~~~
자기성격이 조금 분석적이거나 남들을 리드하고 설득잘하시는분이면 중개사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이런성향이신분들은 2년 3년안에 무조건 큰건 하나 이상 터칩니당~~ 파이팅하십혀
@uukss 30
2020년 3월 19일 18:23난 첨에 이분 신과함께서 맞장구 쳐주고 꼰대 야기 가끔하고 해서 음. 하고 봤는데. 계속 보면서 절대 고수라고느꼈음 삶에 고수! 존경!
@꿈꾸는고래472 29
2020년 3월 20일 00:27김작가님~! 저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너무 주제들을 소분했는지 내용이 들을만하면 끊기는 느낌이에요.. 그리고 제목에 몇부 표시가 없어서 순서대로 보기가 힘드네요. 몇부까지 있는지도 몰라서 내용 다본건가 싶기도하구요..
누워서노래 25
2020년 3월 19일 19:20현직 개업공인중개사로서 부동산일거라 예상했는데 맞췄네요ㅎ 다만 성향이나 적성, 열정이 중요한 직업이라 말씀드리고 싶네요 영상 잘보고갑니다 ~
@user-nv4gj5qx7j 22
2020년 3월 19일 22:11재테크 영상이 넘쳐나는 와중에 정말 단비같은 영상. 이런 영상이 나왔어야 하고 지금 여기에 있네
@k-anthony1105 22
2020년 3월 21일 15:20부동산업자들은 정보의 흐름 그 중심속에 있다는게 핵심이다!
James Mr. JANG 19
2020년 5월 03일 17:21선생이 부자가 되는 방법은? 1타강사가 되면 된다.
@sonicboom7317 18
2020년 3월 21일 21:42김동환님 인터뷰한 수많은 방송들중에 여기서 말씀하신게 가장 뜻깊고 실질적인 솔직한 이야기해주시는거같네요 GOOD
@사부작러 18
2020년 3월 20일 14:25김작가님 모든편올라가면 최종적으로 통합본하나올려주세요~
@아이바오-z4m 16
2020년 3월 19일 17:11김프로님목소리톤너무멋지시고, 김작가님진행은 즐겁고편안해서좋습니다^^
Min James 15
2020년 3월 19일 20:17초등학교 선생님 입니다 ㅋㅋㅋ 바로 예시가 되어버리니까 느낌이 묘하네요 ㅋㅋ
@johnlemon6068 15
2020년 3월 22일 22:46ㄹㅇ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인생 진리
@성이름-c9g2b 15
2020년 3월 19일 18:56어느 직업군이든 부익부 빈익빈입니다. 용산, 대치동 김회장님이 가는 부동산도 있지만 하루에 사람한명 보기 힘들어서 문닫는데도 많죠. 그리고 개인적으로 2-30대에 인정받기 가장 힘든 직업 중 하나가 공인중개사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ssabbadan 14
2020년 4월 19일 22:06이분은 말씀에서 진심이 느껴진다. 잘난체하는 사짜가 아니라
맞춤법틀리면지적하는사람 12
2020년 3월 21일 13:29너무 기계적인 리액션이다ㅋㅋㅋㅋㅋ
@정소공 12
2020년 3월 19일 19:13제가 신과함께 잘 듣고 있어서 김동환 프로님이 김작가TV에 나오시길래 끝까지 다 봤습니다.저도 재무/회계부서에서 4년 일하다 그만두고 현재 공인중개사 하고 있습니다.중개사를 선택한 이유가 프로님이 말하시는 내용과 너무 똑같아서 소름이.....ㅜㅜ회사 다니면서 느낀 건 정말 프로님이 말하신 것처럼 '안나갈 정도만 월급준다.'는 것이죠.느끼는 것이 많았고 그래서 직업을 바꾸는 결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공인중개사가 중개만 하지 않을꺼에요...젊은 중개사분들은 프롭테크를 기반으로 새로운 산업으로 변화를 계획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앞으로도 가능성 있는 분야입니다.
@날자날자-r5u 11
2020년 3월 22일 13:51돈 몇푼 버는 것보다 부자들의 정보와 돈의 흐름을 아는것이 중요하겠네요 감사합니다^^
@D.ailyLife 11
2020년 3월 19일 17:39거의 정년이 없는 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심각한 박봉이라..... 젊을때부터 최대한 아껴모아 큰 시드머니를 모아서 굴리려 합니다.. 50대에 걱정없이 은퇴하는게 목표입니다 ㅎㅎ
@Tristan74859 10
2020년 3월 21일 17:05음......어쩌다보니 가장 부자랑 먼 직업에 와있긴 하지만, 또 퇴근하고 혼자 재테크에 시간을 쏟아붓고는 있지만......그래도 아무것도 안 하는 것 보단 낫다는 생각으로 하고 있습니다.
JK 9
2020년 3월 20일 18:04예전에 수의사회에서 김동환프로 강의 처음 들었던 사람입니다. 자기분야에서 프로폐셔널이 되라는 말 깊이 새길께요
@초짜프로 9
2020년 3월 19일 19:50이번에도 역시 잘배우고갑니다 ~
저도 작년 10월 LG전자 퇴사하고 야생으로 뛰어들었습니다~
계속 배우겠습니다~
@skywater9662 9
2020년 4월 13일 22:34직장인들 중 임원이 되거나 몸값 올려서 프로페셔널만 살려서 부자가 되는건 가능은 하나 확실히 드문 케이스입니다.
하늘의 별따기죠. 제 직장에서도 스톡옵션 대박 맞아 일시적이지만 CEO보다 5배 이상 많은 급여를 수령한 케이스도 있어요. 여의도 아닙니다~
직장생활은 대충하는게 맞습니다. 짤리지 않게만요. 그러려면 직장이 어느정도 좋아야겠죠. 업종도 전망이 좋은.
단! 직장생활 대충에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투자 공부죠.
저는 주식은 좋게 안봅니다. 코인? 미친짓이라 봅니다.
부동산이 답입니다. 부동산은 길게보면 실패하지 않습니다. 재수가 좋으면 단기간에 로또 몇번 맞는 대박을 터트릴 수 있죠.
단언컨데! 세금은 차치하고라도 가장 확률 높고 가성비 좋은 모델은 직장생활 대충하면서 남는 시간으로 부동산 투자 공부하여 부를 일구는 것입니다.
학교 선생님 공무원 무시하지 마세요. 그들은 최고 등급의 신용도를 갖고 있으며 레버리지를 최대한 당길 수 있습니다.
그 레버리지로 투자를 하면 됩니다.
@givedog9824 8
2020년 5월 19일 23:05사업을 해서 성공할수도 있지만 망할확률도 높다는 현실을 잘 알고 준비를 오래철저히 하는게 뽀인뜨....
하지만 부자될사람 따로 있고
장사 잘 할사람 따로 있으니 자기 그릇 잘 판단하시길....
@moonriverh 8
2020년 6월 09일 08:45단지 주식투자만이 최고다 라는 차원이라는 다르고, 더 넓은 시야로 이 주제를 볼 수 있는 시점이네요. 역시 김프로님의 경험과 관록이 뭍어나는 유익한 인터뷰에요.
좋은 영상 잘 봤어요. 감사합니다!👍👍👍
@davidkim314 8
2020년 6월 04일 09:05지나가는 아무개입니다.
엄청난 통찰력이십니다
격하게 공감합니다
Candy Sweet 8
2020년 3월 19일 22:27상가가 계속 망해 나가니깐 중개 수수료를 많이 발죠
@반가워용-i9k 8
2020년 3월 20일 11:45주식사라고 한 아저씨보다 이 분이 더 말도 잘하고 좋네요
히바 7
2020년 3월 20일 03:07안정적인 직군도 일반 직장보다 돈더받습니다. 요즘같이 취업어려운시기에 계약직 인턴 전전하는거보다 공무원 중에 좀 빡신거해서 수당챙기면 월평균 330은가져갈거에요
tc boy fly 7
2020년 6월 03일 12:33부자 되는 방법
1.부자 부모 만나는것.
2.운이 엄청 터져서 복권 이나 주식, 부동산으로 잭팟 터지는것.
3.능력이나 재능을 타고 나서 유명인(스포츠스타, 연예인 등등...)이 되서 부와 명예 누리는것.
다 운이 있어야 가능한것...
인생은...-운칠기삼-
돈은 돈이 돈을 벌어다 주지 노동 뭐빠지게 해봐야 절대 부자 못되는건 금융 시스템 조금만 공부 해도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진리.. 근데 인간들은 노력으로 큰 일을 이룰수 있다라는 개소리들을 하는게 어리석음.. 노력이라는건 어떠한 행함에 있어서 한 과정일 뿐이지 큰 비중을 차지 하지를 못함.
@TV-yg5qg 6
2020년 3월 19일 17:58부자는 저도 월급받는 사람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정보가 흐르는 곳에 근무하는 직업군은 부자가 될 확률이 높다라는 말은 와닿네요.
정보가 흐르는 곳에 근무하는 직업군으로 재테크에 관한 정보도 많이 받을수 있다면 직업으로, 재테크로 성공할수 있습니다.
안정된 직업은 밥은 굶지 않치만, 부자는 안된다 참 명언이네요.
강의 잘듣고 갑니다.
@홍은동커피맨 6
2020년 5월 07일 15:57와 얼마나 많이 평소에 생각하시면 줄줄막힘없이 말씀하실까
hee seok 6
2020년 3월 20일 12:02김작가님 ㅋㅋㅋㅋㅋ 리액션이 신을 우러러 보는 닉김 ....😭
둘리 6
2020년 3월 23일 03:25공인중개사도 공부 열심히 해야 합니다. 요새 손님들이 지식이 장난이 아니거든요.ㅎㅎ
@파비안느-v8p 6
2020년 5월 12일 18:18부자가 되는 것도 어떤 기회나 계기 같은게 오는 것 같은데
심적으로나 , 상황, 누군가를 만난다거나 하는 극적으로 오는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저도 부자가 되고는 싶지만
안주하고 싶은 마음도 있고.
부자가 되려면?
부자되는 습관?
이런 글이나 영상 뜨면 봤는데
이젠 안보게 되네요.
이렇게 보는게 마지막이 될 것 같아요.
이미 평범하게 잘 살고 있는 것을
멍청하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는 생각이 문득 들더라구요.
어떤 계기가 올 때까지 기다리든가..
계속 나처럼 살면 병신이단 생각을 하며
초조해했었는데
이제야 마음이 편해지네요
부자에대한 집착이 없어졌어요.
이것또한 저에게 어느 계기가 있었죠..
흘러가는대로 내 능력이 빛나는 곳으로 가겠습니다.
LoveinTruth 5
2020년 3월 19일 17:01안그래도 부자가 될수 있는 직업군이 궁금했었는데 딱 맞는 정보를 얻게되었네요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유씨네농수산 5
2020년 3월 19일 20:23와...정말 감탄했네요 ㅎㅎ 역시 대단하신 분입니다^^
nasty dog 5
2020년 3월 21일 03:36목숨걸고 사업일으킬 그릇이 안되는 쫄보들에게 노예탈출은 없음 건물주 욕하지만 건물하나 사는데 목숨거는줄은 모름 다 세상은 의외로 공평함 자기그릇만큼 얻어갈뿐
@Just_do_it_common 5
2020년 3월 21일 04:33김프로님 좋아하는 삼프로 TV애독자입니다. 좋은 인터뷰 내용 감사합니다. 3부까지는 모르겠는데 8부까지나 자르니 찾아 보기도 힘듭니다. 담번에는 고려해주세요.
@sjy4193 5
2020년 3월 24일 11:46영상보고 돈 별로 못버는 직업을 기피하고 잘 버는 곳에만 가겠다 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현실적으론 그렇지 않지만 부동산중개에 모두 몰리면 사회시스템은 마비가 됩니다 각자 위치에서 일하고 벌어서 잘되는 회사에 투자해서 돈 버는게 옳은 생각같습니다.
Bruce Lee 5
2020년 3월 20일 01:37만고 불변의 진리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요약 5
2020년 5월 12일 00:535:02 개쌉인정... 그만두기도 애매하고 계속 다니기도 애매할만큼줌 ㅋㅋ 계륵같은..
Channel TV 4
2020년 3월 20일 13:04역시 김프로님이 말하는데로 투자하면 성공할것 같아요.
giino 4
2020년 3월 19일 22:10김프로님 동부이촌동 사시는구나
@최준혁-q9y1g 4
2020년 3월 22일 05:52핵심만 이야기하시네요. 심히 공감합니다.
@이한영-o9c 4
2020년 3월 19일 17:18재밌게 잘봤어요~
Tom Klas. 4
2020년 3월 19일 18:58김프로님의 보통 부자 기준이 궁금하네요
@video-qw2vp 3
2020년 4월 09일 13:52아직 20대 초반 가진건 하나도 없지만, 영심히 살아야 겠다
joboa-C 3
2020년 3월 19일 22:11영화 "돈"에서 나온 증권맨들ㅋㅋ
Jeter2 3
2020년 4월 12일 19:29월급쟁이는 받은 만큼만 일하죠~
장현우 3
2020년 4월 12일 01:05586들은 부럽네 촌지도 받아보고 ㅋㅋㅋ
@방가-f7b 2
2020년 6월 07일 14:39재테크 얘기때메 무슨 부동산 얘기가 주요 주제가 되었지만 김작가 님이 저분이 하시는 말씀을 잘 못 이해하시는거 같은데.. 저분 말씀을 이해하는 1인으로써 참 세상만물 이치를 말씀하시고 계셔서 동감이 많이 갑니다
@dia4816 2
2020년 3월 21일 10:10박수가 절로 나올정도로 말씀을 잘하시네
@오읭-p3p 2
2020년 3월 19일 17:07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이태웅 2
2021년 11월 03일 01:26이정도면 아주 잘 말씀해주셨다고 생각합니다.
M S 2
2020년 5월 13일 12:06ㅋㅋㅋㅋㅋ 부자는 커녕 공무원보다도 못사는 직업군이 훨 많으니 문제 ㅋㅋㅋ
사기업들 임금수준 존나 짜닼ㅋㅋㅋ
이재우 2
2020년 5월 29일 12:35김작가님 수갑차는 모션할때 왤케웃기지요ㄱㄱㅋㄱㄱㅋㅋㄱㄲ
Lulzpoint 2
2020년 3월 19일 18:23김프로님 동부이촌동 사시나 ㅎㅎ
장사의 탄생 2
2020년 3월 19일 17:06정말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이시대 부자가되는 직업군이 뭘까 생각하겠습니다
Daniel Cho 2
2020년 6월 07일 17:12동부이촌동이네여 ㅋㅋㅋㅋㅋ
@하하호호하하호호하하 2
2020년 3월 20일 20:21김프로님 좋은 말씀입니다
@blackdream1368 2
2020년 3월 19일 19:39훨씬 현실적이고 피부에 와닿는 이야기네요 ㅎ
@buza_mabu 1
2020년 3월 21일 09:06잘보고 갑니다^^
Avery C. 1
2020년 3월 22일 13:23솔직하시네 이분
[김대리의 REAL MÉXICO]호벤튜브 1
2020년 4월 25일 15:25그러네요, 정말 제가 딱 나가지 않을만큼만 주네요.
@푸딩요요요 1
2020년 3월 19일 17:12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실행만 남았네요~
kkilkkie 1
2020년 5월 28일 18:59공감가는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돈이 도는 직업과 그렇지 않은 직업이 있다는거 정말 공감합니다. 전 현재 돈이 안 도는 직업을 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노년까지 일 하고자만 하면 안정적으로 월급은 받을 수 있는 직업입니다. 하지만 신입이든 10년차든 연봉 1000도 차이 안나요. 심지어 요즘 신입이 10년차보다 돈 더 많이 받기도 하네요ㅠ 그런데 전 적성에도 안 맞고 너무너무 힘든데 돈은 적고... 그래도 노년까지 일 할 수 있으니까 이 직업을 가지면서 내가 그나마 잘 할 수 있고 조금이라도 관심을 가지는 곳을 찾아보고자 이직도 여러번 했는데요.
결론은 아니다입니다. 주변 동료들이 현직업이 좋지는 않지만 노년까지 일 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하고 다녀서 내가 이상한가 생각했는데 이제와서 보니까 그런 사람들만 남아있던거였어요.
29살이지만 6개월 있으면 30대네요. 늦었지만 다시 직업교육 받을 생각입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전 노년에 일하기 싫고 내 능력을 키우면 키우는 대로 급여 더 받을 수 있고 적어도 부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일 하고 싶어요. 직장에서 인생에서 1/3을 보내는데 안정성 하나보고 다니기는 죽어도 싫어요. 직장에서 시간 죽이는 것도 싫고요. 그게 제가 20대 내내 생각한거였네요.
아직 학생인분들은 내가 뭘 선택하고 뭘 버릴 것인지 꼭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어요. 전 다시 시작하려니까 너무 막막한데 그래도 지금은 아니다는 생각이 들거든요ㅠㅠ
작심삼분 UNSTEADY PLAN 1
2020년 4월 18일 08:42자신의 프로페셔널한 영역에 몰두하는 것의 중요성, 공감합니다.
저는 부자가 되고싶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돈만 많은 부자가 되고 싶은 것이 아니라 사회에 가치를 창출하고 그 가치에 합당한 돈을 벌어서 성공한 부자가 되고 싶습니다.
자신의 분야에 몰두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두고 제테크는 부수적인 것으로 여기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EMIR KIM 1
2020년 3월 19일 16:574등!
Stay Fit Keep Traveling 1
2021년 5월 17일 17:08정보의 흐름, 돈의 흐름이 보이는 곳!!
해외주식 슈퍼스탁
2020년 5월 15일 21:38음.......하ㅏㅏㅏ
이채현
2020년 3월 24일 21:04진짜로 한우울만 파서 성공하는건 엄청 힘들고, 어느분야나 부는 상위에 있는 분들의 비중이 크죠ㅎ
근데 사업을 하거나 남들이 하지 않는 일을 해야지 월급쟁이 직장인 해서는 한계가 크죠ㅜㅜ
강무명
2020년 4월 20일 16:39부자되는 거 포기하게 되었습니다. ㅋㅋㅋ
레드불레이싱
2021년 1월 25일 18:06대다수의 젊음층이 월급으로만 부의 추월차선을 만들기가 힘든게 현실이죠 ... 월급으로 또 다른 파이프 라인을 만들어야 합니다
Iced Americano
2021년 4월 16일 19:39ㅋㅋㅋㅋ 초등교사 의문의 1패
열정개미배씨
2020년 6월 12일 16:35더 정확한 표현은 그사람이 딱 죽지 않을만큼만 주는거임...
원래 구조가 그런거임
박채은
2020년 3월 19일 16:542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