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맡김을 이해하려면 우리의 마음이 본질(공=성령=아미타불)과 에고(생각과 감정)로 이루어져 있다는걸 알아야합니다. 지금을 살아간다는건 일 없을때 "공"의 상태로 있고 일 있을때 "공"에서 얻은 대지혜로(평상심)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내맡김은 마음중 본질에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인생은 일어난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사건으로 인생이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반응에 의해 바닥에 떨어지거나 전화위복이 된다.. 돌이켜보면.. 습관과 태도가 인생의 전부이며, '내맡김'이란 아버지 품에 안주하란 뜻이 아니라, 아버지의 뜻대로 황금률을 지키며 하루하루를 고군분투하며 살라는 '실천'이다.. ♥️
모든 수행방법은 지금, 현재에 머무르게 하는데 있는데 시간적인 의미가 아니라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금 여기 하나에 집중함으로써 바깥의 경계에 흔들리지 않고 객관적으로 보고 판단하는 힘을 가지는 것입니다. 그 집중의 하나의 방법이 내어맡김입니다. 내어맡김 연습을 계속하다보면 어느 순간 저절로 마음이 내어맡김이 되어지는 단계가 될 것입니다.
축구선수들이 처음 연습하면서 볼을 컨트롤을 시작할때 힘이 들어가지만 어느 순간 힘 조절이 되는 것처럼요 골프, 수영에서 힘을 빼라고 하는 단계, 어느순간 나도 모르게 힘이 빠지고 자연스럽게 공을 치고 수영하는 단계.. 그렇게 내어맡김도 힘을쓰지 않아도 되는 단계가 오겠지요.
내 맡김 이란 말을 어떤 행동을 해라 또는 어떤 행동을 하지말라 라는 방식으로 이해하면 혼란스러워 질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맹수가 다가오는데 상황에 내맡긴다고 가만히 있다면 ?? 결과는 뻔하겠죠? 제가 생각이 짧을때는 이런식으로 생각했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제시대가 도래했는데 내맡기고 거스르지 말아야지 하면서 일본에 순응하며 사는게 내 맡김일까요? 아니면 내안에서 일어나는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싸워야지 하는 마음에 순응하며 사는게 내 맡김일까요? 제가 느끼기로는 그런차원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쓰고 있는 마음은 사실 내마음인거 같지만, 전체와 연결된 한마음입니다. 그래서 쉼이 필요할땐 쉬고자하는 마음이 일어나고 , 열심히 무언가를 해야할땐 자연스레 의욕이 일어나고 합니다. 무언가 잘못된 방향으로 마음이 흐를땐 저항감이나 걸리는 것같은 것이 느껴집니다. 그러나 제대로 된 방향은 자연스레 길이 인도되고, 갈등없이 편안하게 흐름을 타게 되지 않나 싶어요. 그 흐름에 맡겨져서 흘러가는게 아닌가 합니다. 오늘도 써니즈님 도반님들 모두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ㅡ맡김에 대하여ㅡ 맡긴다는 것은 어떤 일을 신, 불, 본성에 맡긴다는 것인데, 그것은 작은 내가 맡지않고 큰 신불, 본성에 맡기는 것으로, 자기가 하겠다고 나서지 않는다는 것, 송아지가 어미소에게 짐을 다 맡긴다는 것, 자기의 의지로 유위의 행동을 하려 나서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양변의 의지의 깃발을 내세우지 않고 중도의 상태가 되고 중도의 행을 한다는 거지요.
상처받지 않는 영혼을 다시 꺼내 명상저널과 함께 조금씩 읽고 있어요. 밑줄까지 그으며 읽었더라구요^^ 마음은 책상에 앉아 영상을 보는 중에도 아냐. 바로 운동나갈걸. 어? 기분이 살짝 안좋아지네..왜지? ... 지금을 떠나려고 절 움직이는게 보이네요^^ 내게 허용되는 시간안에 이거하랴 저거하랴 바쁘게 움직이는 나.. 다른 사람들에 비하면 난참 여유가 많다 생각했는데..마음은 늘 조급했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ㅡ시간, 지금의 문제ㅡ 시간은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주어진 세상파악의 범주의 하나이지요. 좌뇌의 기본기능인 논리작용의 하나로, 의식을 우뇌로 옮기면 그런 시간관념은 사라지는 거지요. DMN영역이 오프되고요. 일일시호일, 오늘 하루로 살아라 등, 근심의 무게를 하루 정도로 삼는게 좋겠지요.
@keepnormalmind 94
2022년 11월 28일 08:11내맡김을 이해하려면 우리의 마음이 본질(공=성령=아미타불)과 에고(생각과 감정)로 이루어져 있다는걸 알아야합니다. 지금을 살아간다는건 일 없을때 "공"의 상태로 있고 일 있을때 "공"에서 얻은 대지혜로(평상심) 살아간다는 것입니다. 내맡김은 마음중 본질에 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Consciousness-401 86
2022년 11월 28일 07:49인생은 일어난 사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반응에 의해 결정된다..
사건으로 인생이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반응에 의해 바닥에 떨어지거나 전화위복이 된다..
돌이켜보면..
습관과 태도가 인생의 전부이며,
'내맡김'이란 아버지 품에 안주하란 뜻이 아니라, 아버지의 뜻대로 황금률을 지키며
하루하루를 고군분투하며 살라는 '실천'이다.. ♥️
"고통이 너를 붙잡고 있는 것이 아니라,
네가 고통을 붙잡고 있는 것이다.." 《여래》
@정은지-l5u 53
2022년 11월 28일 09:19요즘 저는 자주 저에게 물어요
“지금 뭐 해야하지?”
설겆이 운동 요리 일기 기타연습 청소 장보기 등등
그 순간순간 답이 나오고
그걸 미루거나 저항하지않고 행동해요.
하루가 바쁘게 지나갑니다.
이렇게 살고 있어요.
오늘 이야기를 들으며 저를 돌아보았습니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
@mindcleaning 33
2022년 11월 28일 08:21도입부 써니즈님의 '지금 이 순간'에 머물렀던 체험담이 참 아름답습니다.
저도 함께 머뭅니다.
짝짝짝 ~^^
@MultiRockingman 32
2022년 11월 28일 08:58모든 수행방법은 지금, 현재에 머무르게 하는데 있는데
시간적인 의미가 아니라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금 여기 하나에 집중함으로써 바깥의 경계에 흔들리지 않고
객관적으로 보고 판단하는 힘을 가지는 것입니다.
그 집중의 하나의 방법이 내어맡김입니다.
내어맡김 연습을 계속하다보면 어느 순간 저절로 마음이
내어맡김이 되어지는 단계가 될 것입니다.
축구선수들이 처음 연습하면서 볼을 컨트롤을 시작할때 힘이 들어가지만
어느 순간 힘 조절이 되는 것처럼요
골프, 수영에서 힘을 빼라고 하는 단계, 어느순간 나도 모르게 힘이 빠지고 자연스럽게
공을 치고 수영하는 단계..
그렇게 내어맡김도 힘을쓰지 않아도 되는 단계가 오겠지요.
@anais7297 23
2022년 11월 28일 07:48지금 이 순간을 삽니다
지금 감사와 평온함이 온 몸을 감쌉니다
감사합니다
써니즈님과 이 영상을 보시는 모든 분들이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가리-g9t 11
2022년 11월 28일 14:52저도오늘 가게에서 불친절한직원때문에 화가많이나있었는데
참았네요 그화도 내가생각으로 화나는상황이다 라고 생각하고 반응해서그런것같아서요
순간 올라오는 제감정 돌아보게되는 영상인것같아요.
@어설픈사슴 10
2022년 11월 28일 13:06내 맡김 이란 말을 어떤 행동을 해라 또는 어떤 행동을 하지말라 라는 방식으로 이해하면 혼란스러워 질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를 들어 맹수가 다가오는데 상황에 내맡긴다고 가만히 있다면 ?? 결과는 뻔하겠죠?
제가 생각이 짧을때는 이런식으로 생각했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제시대가 도래했는데 내맡기고 거스르지 말아야지 하면서 일본에 순응하며 사는게 내 맡김일까요?
아니면 내안에서 일어나는 우리나라 독립을 위해 싸워야지 하는 마음에 순응하며 사는게 내 맡김일까요?
제가 느끼기로는 그런차원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쓰고 있는 마음은 사실 내마음인거 같지만, 전체와 연결된 한마음입니다.
그래서 쉼이 필요할땐 쉬고자하는 마음이 일어나고 , 열심히 무언가를 해야할땐 자연스레 의욕이 일어나고 합니다.
무언가 잘못된 방향으로 마음이 흐를땐 저항감이나 걸리는 것같은 것이 느껴집니다. 그러나 제대로 된 방향은 자연스레 길이 인도되고, 갈등없이
편안하게 흐름을 타게 되지 않나 싶어요. 그 흐름에 맡겨져서 흘러가는게 아닌가 합니다.
오늘도 써니즈님 도반님들 모두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sophiapark9348 9
2022년 11월 28일 07:28감사합니다! 즐거운 한주의 시작 되세요 써니즈님
@바람의검객-b5f 9
2022년 11월 28일 09:57ㅡ맡김에 대하여ㅡ
맡긴다는 것은 어떤 일을 신, 불, 본성에 맡긴다는 것인데,
그것은 작은 내가 맡지않고 큰 신불, 본성에 맡기는 것으로,
자기가 하겠다고 나서지 않는다는 것, 송아지가 어미소에게 짐을 다 맡긴다는 것,
자기의 의지로 유위의 행동을 하려 나서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양변의 의지의 깃발을 내세우지 않고
중도의 상태가 되고 중도의 행을 한다는 거지요.
@strong_mentalTV 8
2022년 11월 28일 08:22아침 출근길에 듣는 써니즈님의 영상 감사합니다 🙇
@김인숙-k2b 8
2022년 11월 28일 11:30어려운 책,
쉽게 설명해 주셔서 기쁜 시간이었고
감사합니다.♡
@yongyongj1299 8
2022년 11월 28일 16:04도입부가 마치 명상가이드 같아요 언제 들어도 좋은 저의 영성지도자 에크하르트톨레와 마이클싱어 여기저기 기웃대다가다 집에 돌아오면 편안함을 느끼듯 제게는 늘 끼고 다니는 책들입니다
@ksiksi6167 8
2022년 11월 28일 08:24써니즈님 깨달은.사람이 되어가는 느낌입니다. 감사합니다🙇
@김현화-f6e 8
2022년 11월 28일 07:28오늘도 감사합니다 😍
@juingong007 7
2022년 11월 28일 08:27호르몬 입니다
뇌에서 도파민 호르몬이 나오면
기분이 좋아서
현실의 모든게 아름다워 보이고
고통 호르몬(이름이 뭔지는 모르겠음)이 나오면 바늘로 허벅지를 찌르듯이
아프니 그아픔의 원인을 현실의 내앞에 있는 상황을 범인으로 몰죠
비유하자면 물이 반 채워진 컵이 있는데
도파민 호르몬이 뇌에서 나오면
물이 반이나 있네라고 현실을 아름답게 보지만
고통 호르몬이 나오면
컵에 물이 왜 반밖에 없어 라고
아픔의 원인을 컵에게 전가합니다
내맡김이란건 뇌에서 나오는 고통 호르몬에 물을 타는거죠
20도 소주에 주스를 섞어 마시면
먹기좋은것 처럼요
현자는 칵테일 기술자죠
^^ 잘보았습니다
호르몬이 계속 나오네 .. 젠장
얼릉 막걸리 한병 사와야겠네
@박군주 7
2023년 3월 03일 05:51지금 마음의 고통 있어 힘들어 하던 중입니다 전에도 써니즈 님의 영상을 보긴 했었기에 지금 써니즈 영상을 보다가 이 영상으로 고통을 놓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처럼 많은 이 들에게 도음이 될 것 같습니다
@Sm-ju9yx 7
2022년 11월 28일 09:04마음이 평안해지네요...감사합니다..
@반야-g2q 7
2022년 11월 28일 08:58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inlight 6
2022년 11월 29일 08:46써니즈님의 그 체험이 현존이고 깨어있음입니다. 박수 짝짝짝~ ♡♡♡
@행복한아침-u6q 6
2022년 11월 28일 07:37항상 감사합니다
Suyoun Kim 6
2022년 11월 28일 08:02운전할 수 있슴을 운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기적이고 감사임을 알게 됩니다 당연하듯 받았던 모든것이 지금 내가 할수 있는 것들이 기적이고 사랑임을 잃고나서야 알게 되죠
지금 사랑한다고 미안하다고 말할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오늘도 최고입니다 👍
@MKG-s7f 6
2022년 11월 28일 09:12상처받지 않는 영혼을 다시 꺼내 명상저널과 함께 조금씩 읽고 있어요.
밑줄까지 그으며 읽었더라구요^^
마음은 책상에 앉아 영상을 보는 중에도
아냐. 바로 운동나갈걸. 어? 기분이 살짝 안좋아지네..왜지? ... 지금을 떠나려고 절 움직이는게 보이네요^^
내게 허용되는 시간안에 이거하랴 저거하랴 바쁘게 움직이는 나..
다른 사람들에 비하면 난참 여유가 많다 생각했는데..마음은 늘 조급했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Macrocosmnouveauriche 6
2022년 11월 28일 07:14감사합니다
@sinmiyi1783 6
2023년 3월 02일 06:38저항한다는 건
꽉 붙들고 있는 것도 맞지만 그냥 그때 일어나는 감정들을 인정하고 받아주고 느껴주지 않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반대로 한다면 저항하지 않는 것이 되어 그 고통을 주는 감정들은 날아가게 되고 맘에 묵혀있던 고통들이 빠져나가 조금씩 정화가 일어나게되죠
@leeeunmi4367 6
2022년 11월 30일 20:52내맡김 이제서야 이해가 되는듯합니다
늘 좋은 내용의 책들을 만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낭만야옹이-b2l 6
2022년 11월 29일 07:25이 순간
지금 ....에 이름표를 붙치지 않고 계속 내어맡기겠습니다.써니즈님 함께 성장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후후브라더스 5
2022년 11월 30일 10:59경험되어지고 있는 이 모든 순간!!
감사합니다
@바람의검객-b5f 5
2022년 11월 28일 08:15ㅡ오늘의 주제ㅡ
엄청나게 중요한 주제들이네요.
고통, 고의 문제.
시간, 지금의 문제.
맡김의 문제.
인생전체에 대한 문제네요.
이상의 명상 5
2022년 11월 28일 07:37감사합니다
@gangwn7362 4
2022년 11월 28일 19:15항상 좋은 영상 올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많이 배우고 느끼고 갑니다.
@골든보이-n6j 4
2023년 2월 05일 17:02심오할수 있는 지혜를 쉽게 알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다비-p4d 4
2023년 4월 29일 11:00너무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해바라기-t6k 3
2023년 3월 01일 12:57감사합니다 ❤️ 써니즈님 ❤️
최선연 3
2022년 11월 28일 08:34감사합니다
@아나르코스-p1c 3
2023년 1월 10일 18:28참으로 좋은 지적입니다.
바람의 검객 3
2022년 11월 28일 08:29ㅡ고통, 고의 문제ㅡ
1. 육체적 고통.
최근의 실험에 의하면 육체적 고통마저도 뇌의 환상인 경우가 많다네요.
많은 요통환자들은 해부학적으로 아프다고 생각했던 허리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뇌의 환상에 의해서랍니다.
허리수술마저 플라시보 효과였다고하네요.
2. 인생사 일반적 고의 문제는 불교에서 늘 말하는 고집멸도, 무상, 고, 공, 무아의 이야기지요.
본질적으로 무상함에 대해 집착하는데서 생기는 바이지요.
@나시르가러시 3
2022년 11월 29일 23:08잘햇어오 관찰자가된시간들이군요 보이시는하늘도 우리를 관찰하시니 ᆢ
여개미 3
2022년 11월 28일 08:53써니즈님 오늘 내용 너무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36.5도여름 3
2022년 11월 28일 12:20당신이야 말로 최고입니다
@마음의기적 3
2022년 11월 29일 11:21지금을 살자
항상 내면을 관찰하면서 살기
@감사합니다-p5s 3
2023년 6월 14일 19:54나에게 오는 모든것에 감사합니다~~
감사해요~~써니즈님
@oggie3739 3
2022년 11월 28일 20:02너무 아름다운 이야기네요. 언제나
감사합니다.
@Sohnbyunghak 2
2023년 3월 06일 21:50베짱이가 되자😊
@Song-z8o 2
2022년 12월 04일 08:39제이야기 하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영진-f5c 2
2022년 12월 05일 08:55현재를 왜 살아야하는지에 대한 설명 초보자도 이해하기 쉬울것 같아요. 단지 내맡김에 대한 얘기는 온전히 이해하기가 부족한듯 하네요 ㅋ
강의 고맙습니다~ .
@paschainjesus 2
2023년 9월 07일 18:26제 고향도 충북 영동인데 반갑네요ㆍ
지금은 케냐에서 살고있습니다ㆍ
축복합니다 💕
@mkATOMBOY 2
2023년 11월 17일 02:32Danke!
@신유리-d5j 2
2023년 3월 21일 08:19체험 감사합니다
@user-thankslove 2
2023년 1월 05일 06:21늘 보물같은 영상 감사합니다.
늘 새벽을 좋은기운으로
좋은 깨달음으로 시작합니다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사랑합니다
저는 쥐려고 가지련 에고가
컸는데. 이 영상을 보고
지금 이순간을 사랑하고
행복하고 기뻐하란 울림으로
들렸어요^^
@백금희-q6p 1
2023년 8월 08일 09:18감사
감사드립니다~~^^♡
바람의 검객 1
2022년 11월 28일 09:11ㅡ시간, 지금의 문제ㅡ
시간은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주어진 세상파악의 범주의 하나이지요.
좌뇌의 기본기능인 논리작용의 하나로, 의식을 우뇌로 옮기면 그런 시간관념은 사라지는 거지요.
DMN영역이 오프되고요.
일일시호일, 오늘 하루로 살아라 등,
근심의 무게를 하루 정도로 삼는게 좋겠지요.
@식-k6k 1
2024년 7월 03일 18:03있는그대로 감사합니다
Medit You
2022년 11월 28일 10:56감사합니다
@노은미-l6r
2024년 6월 11일 07:33🙏그동안 감사드립니다 🌞 🙏 🙌🏻 💕
@cho367
2025년 1월 26일 07:31나의 있는그대로의 감정을 알아차리고 수용한다..판단, 저항하지 않는다..이 상태에서 행동하는것이 나에게 이득이다..감사합니다
@노은미-l6r
2024년 6월 11일 07:29대단히 감사드립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