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나라 가장 큰 문제는 출산률이다 나라에 근간이 흔들린다 그냥 이데로 계속 이어진다면 일본 판박이 이상으로 나빠질 것이다 특정 기간이라도 정해 놓고 정말이지 3 자녀 이상 낳으면 뭐 확실한 혜택을 주는 (일 예로 3번째 아이가 18세 될때까지 달마다 지역 소상공인들 한테만 쓸수 있는 상품권을 한 50만원 정도 지급)그런 정책이 나왔으면 함 엉뚱하게 악용 할려는 것은 법을 만들어서 철퇴를 가할 수 있게 하고 국민들 인식 속에 무조건 자녀는 3명 이상 뭐 이런 기본적인 생각이 깔릴 수 있게 정말 답답해서 써 봅니다.
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에서는 일본을 앞서야 한다고 했는데 정말 그 말대로 된 모양이 다. 일본 올림픽 보안솔루션을 책임지는 나라 중 하나가 우리란다. 게다가 올림픽이 정상 개최됐다면 5G올림픽을 볼 수 있는 단말기는 한국산 스마트폰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될 참이기도 했다. 이메일대신 팩스를 훨씬 많이 쓰고 신용카드나 전자화폐보다 현금을 많이 쓰는 나라, 그런 나라가 갑자기 정보화사회로 진입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지. 4차산업이 시작될 찰나에 한일 두 나라의 리더가 서로 다른 결정을 한 것이 이런 차이를 낳았다는 생각을 한다. 리더가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거듭거듭 확인하고 깨닫게 된다.
역사적으로 일본에 악감정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우리입장에서 눈에 불을 켜고 왜색을 배척하고 찾아내서 비난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는건 아니지만.. 사실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전세계에 모든나라들이 인접국간에 문화적, 언어적 영향을 받는건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 아니겠습니까. 특히나 기존에 없던 개념이 들어오는거라면 더더욱 그럴것이구요. 양쪽에 강국들을 끼고있는 우리입장에서는 생존과 존립을 위해서라도 무시못할 강국이 되어야하고 나아가 이들을 뛰어넘어야 할 것인데 그렇기 위해서는 감정에 치우쳐 무조건 배척하고 부정적으로 보기보단 지극히 객관적인 차가운 시선으로 현실일 파악하고 그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장점은 취하고 단점은 버리면서 공략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상대를 알아야 이길 수 있는거 아니겄습니까? 이 좋은영상과 서적도 단순히 잠깐의'국뽕'에 심취하여 소비되기보단 많은분들이 보시고 그들과 우리의 장단점을 잘 분석해 더 나은 훗날을 도모할 수 있는 좋은 정보로서의 가치가 더 부각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효율'에 포커싱하는 능력은 한국인들과 한국사회가 그들보다 압도적으로 우수한 기질이라고 생각하고 그로인해 우리가 언젠간 그들을 앞지르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허나 요즘 자주볼 수 있는 일본관련 소식들과 양국간의 상황들은 너무 감정에 치우쳐 현실적인 실리를 놓치고있는 부분들이 많다고 생각하네요. 무튼 좋은영상 잘봤습니당!
외국에서 생활하다 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발전 되었고 발전 할지 생각과 기대감이 듭니다. 15년전 중학생 때 갔던 일본은 충격이었습니다 깨끗한 도로 친절한 사람들 편한 교통 많은 즐길거리들 하지만 지금 한국은 정말 살기 편하고 안전하고 강한 나라라는게 느껴집니다! 일본과 비교 할 것 없이 부강하고 살기 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안조심해도 된다... 밖에서 아무리 한국은 선진국이야 해도 빠득빠득 아니라고 우리는 후졌다고 우기는게 한국인 본인들이기땜에... 물론 자만심과 자긍심은 다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민족부심은 오랑캐한테 쳐맞을때도 옥수수죽 먹으며 찢어지게 가난할때도 늘 존재했다 그냥 우린 이대로 아무리 너정도면 이뻐라고 해도 거울보며 난 못생겼어 ㅠ 하며 푸념하고 그래도 우리민족은 짱하고 부심부리고 살듯
철학을 순 한국말로 번역하면 희학? 정도 된다고 하던데. 일본이 산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데엔 번역도 큰 몫을 차지 했으니까. 특히 과학 분야에선. 메이지유신 하면서 가장 공들인 분야가 번역. 한국은 일본에서 번역된 서적을 받아들여야 했던 상황이고. 한국이 잠깐 뒤쳐졌던 시절의 흔적이랄까. 그렇지만 그게 큰 의미는 없는 것 같다. 작금에 와서는. 일상에서 쓰는 소소한 단어들은 고쳐 쓸 필요가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학문적인 단어들은.
너무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우리가 일본에 대해 아는 게 부정확게 많습니다 정말 재미있고 여러모로 참고할 만 합니다 100% 공감했습니다. 세상이 이렇게 무섭게 변하는군요. 80년대 젊었을 적 일본 해외연수 가서 굽실굽실 배웠던 게 생각납니다. 그 때는 정말 넘사벽이었지요. 우리 한국인들이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Sunshine 그말씀이 맞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제가 75년에 이민와 77년에 그때 당시엔 최고의 기업에서 일을했는데 오늘날 상황을 보면 여러면에서 기울어져 가고 있습니다 일본도 80년대에는 일본에 관광가고 일본 사람들이 우리 회사에 많이 출장도 왔는데 지금 일본은 많이 어려운 것같에요
일본 삼년살고 귀국하지만 정말 일처리 비효율적이고 도장 찍고 서류 업무로 시간 다보내고 나라가 발전 가능성이없다 나는 그나마 대졸이고 월 20만엔 언저리 받앗는데 세금 존나 떼가서 세후 17만엔 남음..... 한국돈 170-180수준 일본인 들 중에 세후 15만엔도 못받는 사람도 꽤 잇는거에 놀랏음 게다가 물가대비 정말 월급 정말 적다고 생각함 한국보다 이제 중산층도 못삼.. 오죽하면 한달에 식비 만엔 2만엔으로 버티기 이런 유튜브가 인기잇겟어... 일단 초봉은 한국ㅇㅣ 일본보다 높고 월급 인상률은 일본이 더 높긴한ㄷ데그만큼 세금 부담률도 높아서 세후 (테도리)금액 보면 진짜 얼마 남지도 않음 일본 일자리많고 잘나간다고 허황된 꿈꾸시는분들 와보시면 알아요 한국에서 별볼일없으면 일본와도 저임금 일자리 밖에 일할곳 없고 좋은데는 일본애들도 서로 가려고합니다 무스펙으로는 초봉 세후 15만 언저리 받으면 감지덕지일겁니다 그걸로 일본에서 살면 집도 거지같은데서 살고 식비 절약해야해서 외식도 못하고 생활수준 한국보다 못할겁니다 그냥 한국에서 죽어라고 취업해사세요 ..그나마 한국최저임금받으면 세금떼도 170가까이는 받잖아요^^
1. 각종 소재들(화학,세라믹,철강) 2.각종 부품들(전기,전자,통신) 3.계측기분야, 측정기분야 4. 의료장비분야(내시경,MRI 등) 5.전투기엔진 분야 6.우주분야 7.특수 섬유분야 등등에서 일본에 아직 밀리고 있다. 물론 하나하나 각개격파하는 중이기는 하다. 아무리 과학,기술이 일본을 능가하고, 아무리 군사실력이 일본을 능가해도, 한국이 일본을 쉽게 따라잡기 힘든 분야가 있다.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금융력이다. 일본은 준기축통화이다. 발권을 해도 인플레에 빠지지않는 것은 해외에 엔화수요가 그만큼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준기축통화 자리에 어떻게 오를 것인가. 내 생각에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미국의 승인을 받는 것이다. 어떻게해야 미국의 승인을 받을 것인가. 첫째, 신남방정책을 앞으로도 10년은 더 펼쳐서 아세안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자리를 한국이 차지하는 것이다. 둘째, 신북방정책을 기막히게 펴서 러시아를 서방진영으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독일과 연합전선을 펴야 한다. 동쪽으로는 한국이 러시아 연해주 및 부리야트 공화국 정도까지 개발을 하는 것이고, 서로는 독일이 우랄산맥까지 개발하는 것이다. 결과는, 러시아가 중국을 버리고 서방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지금이야 미국 조야에서 러시아를 견제하고 있지만, 중국의 힘이 더 세지면 미국은 러시아를 필요로할 것이다. 셋째는 한국이 신아프리카 정책을 3년후부터 펴기 시작해서 20년간 펼치는 것이다. 알다시피 아프리카는 중국이 공들이는 땅이다. 왜인가 ? 2050년이면 인구가 25억에 도달하는 아프리카이기 때문이다. 선수를 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아프리카에 대한 마땅한 전략하나 제대로 세운 게 없다. 아프리카에 한국이 가서 중국을 견제하고 한국의 영향력을 키우며 한국의 경제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다. 아세안을 넘어서 아프리카까지 한국의 영향력이 막대해지면 미국은 틀림없이 한국을 활용한 전략을 펼칠수밖에 없다. 한국이 해놓은, 이룩한 결과들을 인정할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때 준기축통화자리를 달라고 하면 되는 것이다.
일리있는 말씀 고맙습니다. 근데 반론의 여지가 좀 많이 있는거 같네요.. 첫째 소프트웨어 산업이 한국이 더 발달했다는데... 말씀하신건 단순히 소프트웨어종류 몇가지만 말씀하신건데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되죠... 소프트웨어를 말씀하실려면 소프트웨어큰틀에서 말씀을 하셔야죠 소프트웨어가 말씀하신 IT,통신시스템밖에 없습니까? 그것말고도 엄청나게 많아요 소프트웨어 종류는,,,,, 자 그럼,, 팩트체크 해드릴께요 소프트웨어 큰틀에서 봐봅시다. 일본이 현재 소프트웨어 산업규모가(2019년기준) 819억달러로 세계 2위를 했습니다. 어? 이상하지 않나요? 어떻게 한국보다 소프트웨어가 못하는데 일본이 2위를 할수가 있지? 하드웨어만 만들줄 아는 나라인데? 그럼한국이 1위라는건가요? 당연히 아니죠... 미국이 넘사벽 1위 5938억달러.. 한국은 16위 입니다.... 127억달러.. 소프트웨어도 종류가 다양합니다.. 한국의 소프트웨어 대표는 게임>it 순입니다.. 일본은 업무시스템>콜라보레이션>데이터베이스 순입니다. 말씀하실려면 정확하게 알고 말씀하셔야죠... 지금말씀하시는건 단순히 보고싶은것만 보고 이분법으로 말씀하시는데 그렇게 말씀하시지 마세요. 요즘분들 똑똑합니다. 자료도 조금만 뒤져보면 다 나오구요.. 그리고 엔터테이먼트 이것도 상당히 위험한 이분법발언을 하시는데 엔터테이먼트도 당연히~ 종류가 다양하겠죠? 자 그럼 잘못된 지식 또 펙트체크 들어갑니다. 영화,음악,애니매이션등등 엔터테이먼트는 여러종류가 있구요, 말씀하신것만 펙트체크를 해드릴께요. 일본은 아이돌만 하더라도 궂이 해외 수출하지 않는 일본자국시장에서만 규모가 2017년 기준으로 약 1조5404억원 이고 이는 한국이 글로벌시장규모 합쳐도 약 9172억원 나온는것보다 많습니다..... 또한 일본의 문화 자체가 아이돌보다 오히려 밴드문화,콘서트 문화가 더 대접받는 곳입니다. x-japan,라르크앙시엘등 x-japan만 하더라도 재결합후 이미 세계일주 콘서트 몇번했어요 하지만 한국엔 락밴드 문화는 없다시피하니깐 일반인들은 이런것에대해 모르시는분들이 많죠... 그리고 일본이 글로벌로 음반시장을 넓혀조사하면 6조4097억원으로 한국보다 7배 높습니다... 영화시장도 미국에 이어 세계 2번째로 높습니다..... 현재는 조금 줄긴했지만 .. 단순히 bts,블랙핑크,기생충이 세계에서 대접받고있어 그러니까 음반,영화는 한국이 앞서는거야 라는 이분법시각으로 보면 한국의 발전은 없어요 자기만족하며 살면 무슨 발전을 하겠나요? 단순히 저 3개만 인정받으면 우리가 앞서는 겁니까? 국내시장규모,일본시장규모는 따지지 않나요? 흠..... 자,, 그리고 아에 말씀을 안하신 애니매이션을 예로들어볼까요? 애니도 당연히 엔터테이먼트 입니다~~~. 자 그러면 전세계 공중파tv 애니매이션중 60%가 일본 애니매이션을 틀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애니 산업규모가 23조3600억으로 6년연속 사상최대치 기록입니다. 이것중 해외수익이 46퍼센트로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구요.. 물론 최근 한국도 웹툰기반으로 과거보단~~~ 선방을 하고있지만 세계70퍼센트를 차지하고있는 일본을 넘기엔 넘사벽입니다. 이런데 엔터테이먼트가 일본을 앞선다구요? 흠... 이건 아무리 포장을 할려해도.. 생각이 안나네요... 그냥 제가 당신이라면 부끄러워서 아무말 못할꺼같네요...*^^* .. 자 그럼! 정리해보자구요~ 현재 상황은 단순히 몇개를 일본을 앞선다는것인데 그것은 그나라의 문화에 의해서 또한 필요에 의해서 발전하는게 달라지는것 뿐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한국의 소프트웨어는 IT,온라인게임등 그문화, 또한 사람들이 필요로 하게 때문에 그게 발전한것이고 일본은 업무시스템,콜라보,데이터베이스등이 필요하기때문에 그런 소프트웨어가 발전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럼 소프트웨어를 총괄해서 한국과 일본중 누가 소프트웨어에서 돈을 더 많이 버냐? 그건 위에 적은것처럼 일본이 약6배정도 더 돈을 많이 벌죠? 소프트웨어,엔터테이먼트도 아까도 글적었지만 소프트웨어 하나에 종류만 엄청납니다. 근데 거기서 몇개를 한국이 앞서고있어 그래서 한국이 소프트웨어는 한국이 더 강하고 하드웨어는 일본이 더 강해.! 이런 이분법시각으로 보지 마세요 소프트웨어라면 소프트웨어의 큰틀에서 봐야합니다. 그러면 일본이 과연 소프트웨어가 발전하지 못한 국가인데 왜 세계2위의 소프트웨어 산업규모를 가지고 있을까라고 묻는다면 할말이 없으시겠죠? 번외로 아까 오타쿠가 많아서 노벨상을 많이 만들어냈다고 하시는데.... 흠.. 이것도 반론의 여지가 많은 말씀입니다. 일본이 오타쿠가 많은건 사실입니다. 근데 그건 일본의 역사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일본하면 떠오르는 것들중에 장인정신이라고 있죠? 그런것들이 왜 나오냐면 일본은 100국통일되고 임진왜란이후 내전이 끝난뒤 메이지 시대때 일본식 봉건제도를 몇백년간 합니다. 봉건제도가 뭔진 아시겠죠? "넌 농민이니까 농사만져!" "너한테 여기 우동집줄께 우동만 잘만들어!" "너한텐 도검가게를 줄테니 도검만 만들어!" 해서 이시대때부터 나온말이 장인정신 이란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오타쿠때문에 노벨상이 많다? 뭐 한국사람은 재미가없으니 하다 금방 질려버린다? 진짜 ㅋㅋ;;;;;; 그건 아니죠 일본은 과거부터 국가차원에서 꾸준하고 탄탄하게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를 했습니다. 한국은 최근에 투자를 했구요...그것이 이유중에 하나고 두번째는 일본은 1920년대부터 해외유명학자들과 교류하고 초청하며 계속해서 발전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의 경우 하이젠베르크와 닐스 보어등 그시대때 이름날리던 학자들을 초청하며 젊은 대학생들과 교류를 많이 했습니다. 이 두가지와 기다림이 일본에 노벨상이 많게된 이유입니다. 일본 정부는 메이지시대 1886년부터 도쿄대, 교토대, 나고야대, 규슈대 등의 7개 제국대학을 운영하며 기초과학을 가르쳤어요.... 즉 그말은 노벨상은 오타구와 관련이 없다구요, 국가적 꾸준한 투자와 세계천재과학자들과의 지속적인 교류가 노벨상을 만들어낸다는것입니다. 한국도 최근 좀 노벨상에대해서 어느정도 성과가 보이긴 하죠 김필립등 실력파 학자들이 나오긴 하니까요 근데 아직까진 체급차가 큰건 사실입니다. 오우... 잘못된 부분 적느라 글이 길어졌네요.. 아무튼 2부,3부는 안볼께요 1부보니까 틀린점이 많아 다른건 안봐도 똑같을꺼같네요 수고하세요~^^
니뽄은 선진국이었죠 개인적으로 2002년 한일월드컵이 분기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날 이후부터 한국은 계속 달리다가 날게됐고 니뽄은 달리다가 지쳐서 걸었는데 세계적인 흐름에서 뒷걸음쳤던거죠. 현재 스코어 니뽄은 물가 비싼 동남아 수준입니다ㅠ 이웃이 주저 앉는거 좋지만은 않아요ㅠ 같은 지구인으로서 힘내주기 바랍니다
좋은 동영상 잘 봤습니다. 저도 일본 살고 있는데 많이 공감되는 부분이 있네요. 도쿄에서도 살아봤고 지금은 지방 쪽에서 살고 있는데 일본의 인프라를 보게 되면 이를테면 한국의 2000년대까지 있었던 인프라는 꽤 충실한 부분이 있는데 한국에서 2010년 이후 부터 생긴 인프라들은 일본에 없는 것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어로도 번역을 해주면 좋겠네요. 일본 사람들도 많이 보게요.
일본이 지금에 이른것도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중소기업 살리기, 복지, 우월주의 등이 크게 한몫했지.. 좀 살만하다고 복지타령 중소기업 보호에 힘쓰며 경쟁과 혁신을 등안시하고 안주하려 했었지.. 우월주의에 빠져서 주변 개도국에는 갑질하고 선진국에는 건방떨며 이제 우리도 살만하니 붙어보자는 식으로 대했었지.. 그결과 지금도 시스템이 엉망이지.. 아직도 행정 전산화 거의 안되어있고 원시적 행정 시스템으로 머물러있고.. 깝치다가 미국의 소위 길들이기에 잃어버린 20년을 겪어야했고.. 급기가 지금처럼 대한민국, 대만, 홍콩 등에 따라잡히는 현실을 맞이했지.. 계속 나아가지 않으면 제자리가 아니라 뒤쳐지게 된다는걸 잘 보여주는 좋은 예시 일본.. 글로벌 경쟁은 내려오는 에스컬레이터를 거꾸로 올라가는 것과도 비유된다.. 일정 속도로 계속 올라가야 제자리라도 지킬수 있고 멈추면 내려가서 원점에 서게된다.. 조금 살만하다고 긴장을 늦춰서도 안주해서 복지타령을 해서도 안된다.. 정치꾼 나부랭이들이 뭘 모르는 얼치기들이 대부분이라 큰일이다.. 지도자가 안보이니 원..
우리 전자개표 안합니다. 수기로 전부 교체했고, 투표는 인터넷으로 못합니다. 그리고 투표하러 가면 현장에서 투표용지 프린트 안합니다. 주민등록증 제시하고 지문으로 찍으면 인증이 되죠. 그리고 우리 소프트웨어 나라 아닙니다. 현장에서 가공업을 하고 있는 엔지니어지만, 우리나라 하드웨어 부분 정말 잘합니다. 단지 네임드가 일본이 꽉 잡고 있어서 나아가질 못할뿐. 기술력은 절대 일본에 후달리지 않습니다. 근래 들어서 일제 제품들 보면 싸게 많이 품질 좋게 엄청 들어오는데, 이걸 이가격에 일제로 산다고??,... 환장할노릇.. 일본은 말 그대로 싸기때문에 사들이고 여행가는나라.. 이건 공감 됩니다. 더럽게 싸요. 진짜 오지게 싸.. 매이드인 재팬 딱 붙어있는데 가격은 몇천원 .. 하물며 드라이버나 니퍼 같은 수공구들마저도 중국이 아니라 일본제... 일본은 이제 그냥 하청같은 느낌마저 듭니다. 쓰다가 망가지면 버리면 되는 그런 제품들만 파는 나라.. 물론 측정기 부분에서 미쓰토요가 우리나라 측정기 시장을 독과점 하고 있지만, 그런거 제외하고 대부분 그렇다는 이야기..
엥 과학기술 측면에서도 그렇고 일본보다 뒤쳐진 점 많은데...세계적으로도 일본을 선진국으로 보는 시각이 더 보편적임 계속 우리나라가 짱이다 이런식으로 가면 발전이 없을텐데? 차라리 부족한 부분은 인정하고 그 부분을 개발해서 더 나은 국가로 성장하려는 노력을 하는 게 맞지 않나
저는 일본은 아니고 미국에 살고있는데... 미국보다도 한국이 훨씬 앞서있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한가지 예로... 제가 미국 일반집에서 살고있는데... 전자키가 아니고...열쇠다발 가지고 다닙니다.불편합니다 진짜. 완전 한국 90년대 수준... 전자키로 바꾸려고 아마존 앱 가보면 가격은 한국보다 비싼데 품질은 훨씬 떨어집니다. 가성비 거지같음.....에혀.. 결론은...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만큼 많이 발전했다. 다른 나라 살아보면 오히려 없던 국뽕도 생긴다.
전세계에서 it 강국으로 꼽는 나라는 미국을 제외하면 한국 인도 중국 정도입니다. 문제는 사회 전반적으로 원할한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갖추려면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과 기술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사회에 널리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중국은 아직 좀 멀었고 인도는 제조업이 안되죠. 둘다 실행력을 갖춘 나라는 한국뿐이에요. 일본은 하드웨어만 극강이고 소프트웨어는 거의 전무한 상태. 별 의지도 없음 그 하드웨어마저 요즘은 한국에게...
일본이 거품경제 꺼진 이유가 주식에 투자안하고 부동산, 은행에만 돈을 묶어놔서임 그만큼 일본에서는 주식 투자의 중요성을 모름 소름돋는 건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주식에 투자를 더 안하고 부동산 은행에만 돈을 묶어놓음. 정부의 기업규제 강화+코로나+부동산,은행에다만 돈을 묶어두는 행위 이 세가지로 우리나라 경제는 계속 하락세를 유지할거임
좋은 말씀 잘 들었고, 정리 감사드립니다만, 예를 드실때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7:19 홋카이도와 오키나와의 거리는 2200-2300 KM 정도의 거리고 여객기로 3시간 이상 (약 3시간 40분) 걸립니다. 뭐 이정도는 작은 실수라고 할 수 있는데, 화면에 지도상으로는 삿포로에서 도쿄로 가는걸로 나오네요. 좋은 말씀 하실때 경청하고 자세하게 듣는 습관이 있어서요. ㅎㅎ
해외에서 소녀상 로비자금 뿌리고 이외 많은 분야 해외에서 이미지 세탁을 위해 천문학적인 로비자금을 쏟고 있다. 이미 일본의 이미지는 자연재해를 넘어선 영역에 있는데 이것을 돈으로 제어 할수 있다는 생각은 어떻게 해야 발상이 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있었던 일을 없었던일로 어떻게 만들어? 이가 입증하면 노벨상 한개 추가하겠네 ㅋㅋ
앞으로 한국이 나라가 튼튼하고 강해지려면 열심히 공부하고 개개인의 역량을 높여야할 것 같아요..ㅜ 한국사람들 그래도 훌륭한 본성이 있고, 진정성이라는 것이 있어서 현명한 정부가 주도하는 변화된 상황에서라면,아주 짧은 시간에 깜짝 놀랄 만한 것을 이루어낼 것이라 생각해요..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요..지금은 절대 아니지만요..
일본이 과거에 비해서 정체되고 있는 것은 맞지만 경제의 기초체력 자체가 다른데... 경상수지 구조도 우리보다 다변화되어 있고, 한일 주요 기업 시총만 비교해도 차이가 보일 겁니다. 닌텐도의 영업이익이 현대차보다 높았다는 것은 아시나요? 우리도 과거에 비해 많이 발전했지만 소위 '국수주의'에 함몰되고 있는 건 아닌지 조심해야 합니다.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의 성장동력이 빠르게 꺼지고 있어요. 고령화 문제는 우리가 일본보다 심할 겁니다.
비슷하지만 다른 의견입니다. 일본은 소프트웨어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분야에서 규모가 큰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는 거 같더군요. 독고다이가 가능한 8비트 CPU 시스템으로 된 자동차 카셋트같은건 잘 만드는데 수십명이 뭉처야 개발가능한 네비게이션같은 64비트 CPU로 돌아가는 건 준비가 안된게 아니라 만들줄 모르는것 같더군요.
즉 단순하고 반복적인건 잘하는데 창의력이 필요한건 우리나라 사람들은 2,3일만에 쉽게 끝내는걸 일본애들은 2,3달이 넘어도 계속 기록만 할뿐 결과물을 못만드는 인간적 한계가 있는것 같습니다.
일본에대한 막연했던 이해를 이 책을 본다면 논리적으로 알아가게될것같습니다. 특히 왜 어떤부분에선 일본이 더 나은 산업, 의식을 가지고 있고 어떤 부분에선 한국이 더 나은 산업, 의식을 가지고있는지 정리되지 않았었는데 저자님의 한국은 소프트웨어중심 일본은 하드웨어중심의 발전형태를 밟아왔다는 설명이 제 머리속에 정리되지않았던 개념들을 정돈시켜주었습니다. 일본 관찰 30년 재미있게 읽어보도록할게요 좋은책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일본에서 10년째지만.. 아직도 아날로그에서 못벗어나고 자신들은 일본인이기에 메이드인재팬이기에 전세계로부터 사랑받고 존경받고 자랑스럽다고 스스로 착각하며 어떤것도 바뀌려고 변화하지도 않으려 사는게 일본인들 일본의 현실이에요. 그끝이 다온줄도 모르고.. 그런 우월할줄 알았던것들이 그것이 아닐수 있다 까여지는 순간 인정못하고 발악의 혐한으로 노출이 되는거죠. 지금 10.20.30대는 한류에 빠져 안그럴수 있지만 아직도 많은 일본인들이 자신들이 세계의 중심에 서있는줄 알아요. 교수님이 말씀하신대로 아마 제조업과 조금의 오타쿠들이 간바루 애니메이션과 연구등의 분야에선 앞설지 모르겠지만 살아보면 알아요. 일본이 얼마나 후진지.. 장인정신? 웃기는 소리에요. 그저 발전 못하고 후진 시설 설비등 천지..
7:00 일본도 구지 학교에 직접가지 않아도 우편신청할 수 있어요ㅋ 하지만 우표를 붙인 회신용봉투를 같이 넣어야한다는 것ㅋㅋㅋ 이게 대학뿐만 아니라 생활에서도 일반화되어 있는데 예를들어 이사 한 후에 소득증명 떼려고해도 다음년도 6월까지는 정보가 넘어오지를 않아서 이전 주소지의 관할구청에 가서 직접 띠거나, 아니면 우편신청을 해야 한답니다ㅋㅋㅋㅋ
한국은 일본을 모방해서 발전해왔는데 이후의 모습은 일본과 너무도 다르다. 일본은 적당히 배부른 시기에 손 놓아버렸지만 한국은 지금 일본의 레벨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치열하게 경쟁하고 나아가고 있다. 최근 세계 200대 대학 순위에서도 일본을 이겼다. 분명 처음에는 모방 했지만 지금은 다른길로 가고 있다.
@soonja1955 879
2020년 3월 21일 12:48일본이랑은 계속 우호적인 관계유지해야합니다.
과거에 일본이 우리에게 빨대꽂았다면,
우리가 이제는 일본에게 빨대꽂을차례거든요.
@今村由美-f8c 450
2020년 3월 29일 14:12일본에서 살면서 이렇게까지 변화가 없는나라도 있나 싶을정도로 변화가 없음. 선생님 말씀100%공감합니다
@LEESEHWA 279
2020년 3월 25일 21:09동감합니다. 저도 일본 거주하며 알게되었는데 확실히 정보, 시스템 분야에선 한국이 많이 앞서있는것 같아요. 특히 정부기관, 관공서 등등은 모든게 문서, 수기작업이고 행정처리 하는거 보면 90년대같아요.
@푸딩요요요 226
2020년 3월 21일 12:47IT 인프라가 최고지 소프트웨어 강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소프트웨어 원천기술은 다 미국에 있습니다. 구글 안드로이드 아이폰 애플 그리고 OS 및 DB 다 미국에 돈주고 가져다 쓰고 있습니다.
@iiiiillllliliii 198
2020년 3월 22일 18:207광구 2028년 지나면 일본거랍니다 뉴스화해서 지켜냅시다
@shooterjeong 193
2020년 3월 22일 03:58우리나라사람들도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인들 상대할때 잘난체 좀 그만했으면...
@philocoffea 164
2020년 3월 21일 10:15재밌네요. 한국이 이번 어려움를 잘 딛고 일어나 전보다 더 발전된 국가가 되길 바랍니다.
@내가젤잘되게해주세요 157
2020년 4월 16일 14:27지인이 일본코로나 터져서 일본 콘서트표 취소해야하는데 일본은 직접 가서 티켓 취소해야한다고 해서 너무 놀랐었는데...변화를 무서워하는듯요
@crazyshopping412 110
2020년 3월 21일 12:56미국이 선진 제조업국가에서 선진 소프트웨어국가로 탈바꿈한게 대단
Martine Kim 95
2020년 6월 01일 07:33김대중 정부때부터 산업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았죠. 미래는 소프트웨와 하드웨아가 공존. 문화 산업은 그렇게 탄생했고 지금 빛을 발하죠.창의적인 사람이 성공하는거죠.
@c10aking13 78
2020년 4월 03일 10:48아직까지는 우리나라는 SW웨어의 나라가 아니라 SW를 받치는 '인프라'가 좋은 나라이고 하드웨어 중심이라고 생각합니다 SW중소 중견기업들도 있겠습니다만 아직 멀었다고 생각해요
김태일 72
2020년 3월 29일 07:25지금 우리나라 가장 큰 문제는 출산률이다 나라에 근간이 흔들린다 그냥 이데로 계속 이어진다면 일본 판박이 이상으로 나빠질 것이다 특정 기간이라도 정해 놓고 정말이지 3 자녀 이상 낳으면 뭐 확실한 혜택을 주는 (일 예로 3번째 아이가 18세 될때까지 달마다 지역 소상공인들 한테만 쓸수 있는 상품권을 한 50만원 정도 지급)그런 정책이 나왔으면 함 엉뚱하게 악용 할려는 것은 법을 만들어서 철퇴를 가할 수 있게 하고 국민들 인식 속에 무조건 자녀는 3명 이상 뭐 이런 기본적인 생각이 깔릴 수 있게 정말 답답해서 써 봅니다.
James Jim 72
2020년 4월 01일 06:17산업화는 늦었지만 정보화에서는 일본을 앞서야 한다고 했는데 정말 그 말대로 된 모양이
다. 일본 올림픽 보안솔루션을 책임지는 나라 중 하나가 우리란다. 게다가 올림픽이 정상
개최됐다면 5G올림픽을 볼 수 있는 단말기는 한국산 스마트폰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될
참이기도 했다. 이메일대신 팩스를 훨씬 많이 쓰고 신용카드나 전자화폐보다 현금을 많이
쓰는 나라, 그런 나라가 갑자기 정보화사회로 진입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지. 4차산업이
시작될 찰나에 한일 두 나라의 리더가 서로 다른 결정을 한 것이 이런 차이를 낳았다는
생각을 한다. 리더가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거듭거듭 확인하고 깨닫게 된다.
@whth9578 56
2020년 3월 23일 02:53일본이 지금은 우리의 앞에 있어도 뒤로 차츰 물러날 것입니다.
시민 의식과 정치 수준이 높지 않기 때문입니다. 단기간은 몰라도 장기간의 국가 발전에는 민주주의의 성숙도가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저는 신기한게 국민 소득이 일정 수준에 오르면 국민들이 생계 문제에서 벗어나 정치 참여의 욕망으로 분출되는데 일본은 너무 조용합니다.
오히려 문제제기가 더 많은 우리나라를 시끄럽다고 비판합니다. 하지만 저의 의견으로는 우리는 소리가 큰게 아니라 다이내믹한 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정권 교체가 최근들어 빈번히 이루어졌고 매번 박빙이어서 보수와 진보가 긴장을 놓을 수 없고 혁신을 계속 시도해야합니다. 그리고 여당은 국민의 신망을 유지하려 권력형 비리를 조심하게 됩니다.
평소에는 서로 사납지만 결과적으로 깨끗해지는 것입니다.
생각해보세요. 최소 60년 이상 권력 교체가 거의 없고 안정이란 미명하에 역동성을 잃은 그들이 얼마나 많은 문제를 숨길지 말입니다.
이것이 한순간 폭발하면 경제적 위기에 직면할 겁니다.
그래서 저의 결론은 견제를 조금 받는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1당 독주 체제가 유지되고 국민들이 계속 문제제기를 안하고 최소한의 비판만 한다면 정치권은 혁신하지 않고 기득권만 가지려 할 것이고 장기적 발전의 가장 큰 걸림이 된다고 봅니다.
민주주의는 원래 시끄러운 겁니다.
미국의 대선을 보시면 우리보다 휠씬 살벌합니다.
그 과정으로 검증을 거칩니다.
그런 불안정한 분위기가 국민의 눈치를 보게 되고 최강국이 되고 유지하는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eunice5069 50
2020년 3월 21일 10:10이번일을 겪으면 많은 생각이 듭니다.
@강아지순득이 48
2020년 3월 21일 10:27역사적으로 일본에 악감정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우리입장에서 눈에 불을 켜고 왜색을 배척하고 찾아내서 비난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는건 아니지만.. 사실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전세계에 모든나라들이 인접국간에 문화적, 언어적 영향을 받는건 지극히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 아니겠습니까. 특히나 기존에 없던 개념이 들어오는거라면 더더욱 그럴것이구요. 양쪽에 강국들을 끼고있는 우리입장에서는 생존과 존립을 위해서라도 무시못할 강국이 되어야하고 나아가 이들을 뛰어넘어야 할 것인데 그렇기 위해서는 감정에 치우쳐 무조건 배척하고 부정적으로 보기보단 지극히 객관적인 차가운 시선으로 현실일 파악하고 그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장점은 취하고 단점은 버리면서 공략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상대를 알아야 이길 수 있는거 아니겄습니까? 이 좋은영상과 서적도 단순히 잠깐의'국뽕'에 심취하여 소비되기보단 많은분들이 보시고 그들과 우리의 장단점을 잘 분석해 더 나은 훗날을 도모할 수 있는 좋은 정보로서의 가치가 더 부각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효율'에 포커싱하는 능력은 한국인들과 한국사회가 그들보다 압도적으로 우수한 기질이라고 생각하고 그로인해 우리가 언젠간 그들을 앞지르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허나 요즘 자주볼 수 있는 일본관련 소식들과 양국간의 상황들은 너무 감정에 치우쳐 현실적인 실리를 놓치고있는 부분들이 많다고 생각하네요. 무튼 좋은영상 잘봤습니당!
진도산책왕 44
2020년 8월 06일 00:20완전공감. 독일에 고딩때가서 10년을 있다왔는데 한국이 정말 선진국이라는걸 여기 사회생활하면서 느낌. 물론 보완해야할 점도 많지만 한국 정말 대단한 나라임은 전세계 사람은 다알아요.
똥꼬 38
2020년 3월 22일 16:43일본은 지금도 카드보다 현금쓰는 나라입니다.
@jklee3791 37
2020년 5월 03일 16:21외국에서 생활하다 보면 우리나라가 얼마나 발전 되었고 발전 할지 생각과 기대감이 듭니다.
15년전 중학생 때 갔던 일본은 충격이었습니다 깨끗한 도로 친절한 사람들 편한 교통 많은 즐길거리들 하지만 지금 한국은 정말 살기 편하고 안전하고 강한 나라라는게 느껴집니다!
일본과 비교 할 것 없이 부강하고 살기 좋은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Mone H 36
2020년 3월 23일 09:59일본이 건재한 기업이 더 많고 통화가 기축화폐인 점에서 우위에 있는건 사실. 한국 돈이 하루빨리 기축통화가 되길 바람.
Jeffrey Chae 36
2020년 3월 25일 19:10실제로도 일본이 반도체 핵심소재 규제할때 일본 못 핥아서 난리인 사람들 많던데
소리오타쿠 33
2020년 3월 29일 23:45일단 7광구 빨대꽂자.. 싸이드에서..
@user-hd3pg4js7x 32
2020년 3월 23일 12:55우리는 안조심해도 된다... 밖에서 아무리 한국은 선진국이야 해도 빠득빠득 아니라고 우리는 후졌다고 우기는게 한국인 본인들이기땜에... 물론 자만심과 자긍심은 다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랑스러워하는 민족부심은 오랑캐한테 쳐맞을때도 옥수수죽 먹으며 찢어지게 가난할때도 늘 존재했다 그냥 우린 이대로 아무리 너정도면 이뻐라고 해도 거울보며 난 못생겼어 ㅠ 하며 푸념하고 그래도 우리민족은 짱하고 부심부리고 살듯
여현스타 30
2020년 3월 21일 11:18이제. 위아래가. 바뀌는. 시대인것 같다
~~~^^
@hans8426 28
2020년 3월 23일 23:00철학을 순 한국말로 번역하면 희학? 정도 된다고 하던데. 일본이 산업화에 성공할 수 있었던 데엔 번역도 큰 몫을 차지 했으니까. 특히 과학 분야에선. 메이지유신 하면서 가장 공들인 분야가 번역. 한국은 일본에서 번역된 서적을 받아들여야 했던 상황이고. 한국이 잠깐 뒤쳐졌던 시절의 흔적이랄까. 그렇지만 그게 큰 의미는 없는 것 같다. 작금에 와서는. 일상에서 쓰는 소소한 단어들은 고쳐 쓸 필요가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학문적인 단어들은.
@projinox 26
2020년 3월 24일 10:27비교하지 말고 우리갈길 가면 됨.
Mr. You 26
2020년 3월 24일 00:39일본은 투표할떄 이름에서 점하나면 틀려도 무효처리..
신영웅 26
2020년 4월 03일 16:43안주하면 안되지만 열심히하는 대한민국이라 점점 성과를 보는것 같아서 굉장히 뿌듯한 영상이네요...
힘들지만 더 잘해 낼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었음합니다!!
camille vidan 25
2020년 5월 28일 02:04그래봤자 우리나라 인구증가율이 현상태로 유지되면 우리나라가 개털림... ㅠㅠㅠ
Reckless 20
2020년 3월 31일 20:58일반적인 리스크는 적극 감수하고 도전해야 삶이 더 단단해지고 풍요로워진다. 하지만 테일 리스크로 분류될 수 있는 도전은 한번 잘못되면 인생이 파탄 나거나 재정이 파멸에 이르게 될 수 있다.
@LS-pq9wz 19
2020년 5월 30일 01:05일본 살면서 정말 놀라운 것은 국가던 기업이던 모든 프로세스가 아날로그인 것과 그러고 사는 지들이 선진국인줄 아는 것.. 자기네가 변화를 겪어본 적이 없어서 한국도 아직도 8-90년대 머물러 있는 줄 아는 것
한국P 18
2020년 4월 04일 07:12가마우지 자체가 오리가 아니고 가마우지라는 새 이름입니다.
SME 17
2020년 4월 10일 02:44일본만은 그런 좋은 솔루션을 제공해서는 안됩니다. 항상 우리나라로 부터 단물만 빨아 먹고 와서 결국은 우리를 지배해 왔습니다. 그냥 그렇게 살게 내버려 두어야 합니다
@K부동산월드 15
2020년 3월 21일 10:48"산업혁명 프레임"에서 "정보혁명 프레임"으로 변화하는 시대에는 한국이 일본보다
월등한 선진국으로 갈 수 있다는 말씀에 긍지심과 희망이 생기네요~
불모지에서 지금의 대한민국을 건설한 한국사람들의 저력은 정말 대단한 능력입니다.~
<< 쉽게 배우는 부동산투자 >>
@이영찬-v9b 14
2020년 9월 26일 07:44와 진짜 저 교수님한테 수업 듣고싶다..
rilla go 14
2020년 4월 04일 23:30이논리면 중국은 이미 우리나라를 정보산업 AI산업으로 추월해서 선진국이라고 할겁니다.
@dog2142 14
2020년 4월 06일 21:50산업분야에서 화학제품 ,정밀기계 분야와 거기에 관한 부품들은 아직까지 전부 일본이 앞서고 있습니다
Kim Justin iT 13
2020년 3월 21일 17:57일본이 좃망테크트리타는건 팩튼데 경제적 특히 화폐 위상은 일본돈은 은이라면 원화는 폐지정도 될듯
조르바 12
2020년 3월 24일 19:31우리나라도 우버 못하잖아..
@freshstart7031 12
2020년 7월 28일 23:07조근조근 설명을 너무 잘하셔서 쉽게 잘 이해됐어요.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샤넬 좋아하는 여자는 만나지 마세요 12
2020년 3월 21일 20:29아마존 재팬에 가면 도대체 왜 아직까지 이런 물건을 만드나 하는 게 참 많아요 ㅋㅋ
@박아야카-t2n 12
2021년 2월 14일 06:15우리는 지금 부터 추락 시작인거 같은데...출산율 청년취업 부동산폭둥...
자살율 1위 , 출산율 꼴지 도대체 언제까지 유지하는건지 ㅋㅋ
시와 농부 12
2020년 5월 05일 22:04일본도 잘 되고 한국도 잘 되길
푸르미 11
2021년 1월 07일 14:38팩트는 일본은 누구나 다아는 선진국이지민 아직도 외국인 한테 물어보면 10에9은 한국이 선진국인것도 모름 ㅋㅋㅋ 아직까지 선진국 논란이 있는 나라가 한국 이탈리아가 한국보다 선진국이란거
@이제완-o7d 11
2021년 11월 07일 11:31교수님 진짜 설명 잘 하신다 계속 일본강의 듣고 싶다
@정인바디 11
2020년 4월 01일 02:30어디서 많이 봤다 했더니,날개가 없다.그래서 뛰는거다 작가님이시구나.책 여러번 읽었어요.
@flowersempa 10
2020년 3월 22일 19:31자막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_^
@idarimath 10
2020년 3월 22일 02:36못 느끼고 있었는데, 한국이 일본보다 앞서게 된 분야가 많네요. 그 이면을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무실무허 10
2020년 3월 27일 10:40너무 유익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우리가 일본에 대해 아는 게 부정확게 많습니다
정말 재미있고 여러모로 참고할 만 합니다
100% 공감했습니다. 세상이 이렇게 무섭게 변하는군요.
80년대 젊었을 적 일본 해외연수 가서 굽실굽실 배웠던 게 생각납니다. 그 때는 정말 넘사벽이었지요.
우리 한국인들이 너무 자랑스럽습니다.
지찬TV 10
2020년 3월 21일 10:07으음 😳
@chocoli8757 10
2020년 3월 21일 16:31잘 봤어요 ~^^ 응원합니다
@johny.1274 9
2020년 10월 14일 00:45염대표님! 짱! 대표님 푸로를 거의 챙겨보고 즐깁니다.👍👍👍👍👍👍
@jangss6060 9
2020년 8월 22일 18:46알기 쉽게 설명 잘해주시네요 시원합니다
오모뿌랏따 8
2020년 9월 21일 23:46박가네 채널 들어 보면 일본문화 참 어이가 없음 ㅋㅋㅋ
90년대에 멈췄어 ㅋㅋㅋ 아직도 DVD나 블루레이 대여점이 있다는게 놀랍다!! ㅋㅋㅋㅋ
현금사용율이 높은것도 놀랍고 .. 일본은 그냥 변화 하지 말고 쭈욱 이대로 가길 바람
@sunshinerice1486 7
2020년 4월 20일 05:43Sunshine
그말씀이 맞는 말씀인것 같습니다
제가 75년에 이민와 77년에 그때 당시엔
최고의 기업에서 일을했는데 오늘날 상황을
보면 여러면에서 기울어져 가고 있습니다
일본도 80년대에는 일본에 관광가고 일본
사람들이 우리 회사에 많이 출장도 왔는데
지금 일본은 많이 어려운 것같에요
hjis101 7
2020년 3월 21일 12:25김작가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초짜프로 7
2020년 3월 21일 13:56오~~새로운것 많이 배우고 갑니다~ 역시 많이 배울수 있는 채널입니다~~~감사합니다~^^
sungan seo 7
2020년 3월 22일 13:33기초산업도 중요해요 ~
카드값줘체리 6
2020년 3월 21일 13:22김작가님 영상은 언제나 유익함 ㅋㅋ
2런놈 6
2020년 4월 09일 23:54세상이 바꼇는데 사람들이 모르고 잇구나...
정인환 6
2020년 4월 02일 07:46경제=경세제민, 경국제세의 준말.
경제가 어느 나라 말? 일본 말로 쳐야 되나? 왜?
經世濟民, 중국 동진 때 문인, 도교이론가 갈홍의 포박자에 보임
현진헌 6
2020년 7월 02일 16:30하지만 일본의 AV는 넘사벽
세계최고다.
100년 지나도 못 이김
조선 남자들
허리 아래는 다 친일파 라지 ㅋ
@Bjoqmspngmwo17639 5
2020년 3월 29일 17:10'경제'나 '철학'이라는 말은 중국, 대만에서도 다 쓰는말인데, 1900년대 초반당시 얼마나 일본의 영향력이 강했는지 상상이 갑니다. 우리나라가 그러고보면 정말 많이 성장했네요.
p르재 5
2020년 3월 22일 23:51음...그러면 소프트웨어를 수출해서 이제 우리가 로열티를 챙길 수도 있는거네?!
이재현 5
2020년 3월 22일 02:24좋아요👍👍😀
ASMR kimpapa TV 4
2020년 10월 04일 03:03그 국채를 국민이 갖고있는거랑 외국민들이 갖고있는거와의 차이를 설명하셔야죠
그리고나는 4
2020년 9월 27일 03:52일본 삼년살고 귀국하지만
정말 일처리 비효율적이고
도장 찍고 서류 업무로 시간 다보내고
나라가 발전 가능성이없다
나는 그나마 대졸이고 월 20만엔 언저리 받앗는데 세금 존나 떼가서 세후 17만엔 남음.....
한국돈 170-180수준
일본인 들 중에 세후 15만엔도 못받는 사람도 꽤 잇는거에 놀랏음 게다가
물가대비 정말 월급 정말 적다고 생각함
한국보다 이제 중산층도 못삼..
오죽하면 한달에 식비 만엔 2만엔으로 버티기
이런 유튜브가 인기잇겟어...
일단 초봉은 한국ㅇㅣ 일본보다 높고
월급 인상률은 일본이 더 높긴한ㄷ데그만큼
세금 부담률도 높아서 세후 (테도리)금액 보면 진짜 얼마 남지도 않음 일본 일자리많고 잘나간다고 허황된 꿈꾸시는분들 와보시면 알아요
한국에서 별볼일없으면 일본와도 저임금 일자리 밖에 일할곳 없고 좋은데는 일본애들도 서로 가려고합니다 무스펙으로는 초봉 세후 15만 언저리 받으면 감지덕지일겁니다 그걸로 일본에서 살면 집도 거지같은데서 살고 식비 절약해야해서 외식도 못하고 생활수준 한국보다 못할겁니다 그냥 한국에서 죽어라고 취업해사세요 ..그나마 한국최저임금받으면 세금떼도 170가까이는 받잖아요^^
모네기 4
2020년 3월 23일 02:21정치,경제,문화,사회 모두 일본보다 앞서고 있다고 하는데 아직까진 경제는 모르겠으나 정치,문화,사회는 한국이 훨씬 앞서고 있는게 맞습니다. 오래 살아보신분들만 다 아실겁니다.
@악기쟁이이쌤 4
2020년 10월 10일 23:51와..정곡을 찌르시는 내용입니다. 정말 일본은 우리보다 빠른 나라, 선진국 이런 생각을 무의식중에 가지고 있었네요.
@해피이어-h5u 4
2020년 3월 31일 22:041. 각종 소재들(화학,세라믹,철강) 2.각종 부품들(전기,전자,통신) 3.계측기분야, 측정기분야 4. 의료장비분야(내시경,MRI 등) 5.전투기엔진 분야 6.우주분야 7.특수 섬유분야 등등에서 일본에 아직 밀리고 있다. 물론 하나하나 각개격파하는 중이기는 하다. 아무리 과학,기술이 일본을 능가하고, 아무리 군사실력이 일본을 능가해도, 한국이 일본을 쉽게 따라잡기 힘든 분야가 있다. 가장 중요한 분야이다. 금융력이다. 일본은 준기축통화이다. 발권을 해도 인플레에 빠지지않는 것은 해외에 엔화수요가 그만큼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 준기축통화 자리에 어떻게 오를 것인가. 내 생각에 방법은 하나밖에 없다. 미국의 승인을 받는 것이다. 어떻게해야 미국의 승인을 받을 것인가. 첫째, 신남방정책을 앞으로도 10년은 더 펼쳐서 아세안에서 일본이 차지하는 자리를 한국이 차지하는 것이다. 둘째, 신북방정책을 기막히게 펴서 러시아를 서방진영으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독일과 연합전선을 펴야 한다. 동쪽으로는 한국이 러시아 연해주 및 부리야트 공화국 정도까지 개발을 하는 것이고, 서로는 독일이 우랄산맥까지 개발하는 것이다. 결과는, 러시아가 중국을 버리고 서방으로 나온다는 것이다. 지금이야 미국 조야에서 러시아를 견제하고 있지만, 중국의 힘이 더 세지면 미국은 러시아를 필요로할 것이다. 셋째는 한국이 신아프리카 정책을 3년후부터 펴기 시작해서 20년간 펼치는 것이다. 알다시피 아프리카는 중국이 공들이는 땅이다. 왜인가 ? 2050년이면 인구가 25억에 도달하는 아프리카이기 때문이다. 선수를 치고 있는 것이다. 반면 미국은 아프리카에 대한 마땅한 전략하나 제대로 세운 게 없다. 아프리카에 한국이 가서 중국을 견제하고 한국의 영향력을 키우며 한국의 경제영역을 확장하는 것이다. 아세안을 넘어서 아프리카까지 한국의 영향력이 막대해지면 미국은 틀림없이 한국을 활용한 전략을 펼칠수밖에 없다. 한국이 해놓은, 이룩한 결과들을 인정할수밖에 없을 것이다. 우리는 이때 준기축통화자리를 달라고 하면 되는 것이다.
두번째펭귄 4
2020년 4월 10일 23:001:39 개짖는 소리좀 안나게 하라~
ㅠㅠ 그냥 개 낑낑대는 소리가 영상에 포함되는거 같아서여..
Lee Ed 4
2020년 3월 21일 18:47새로운 시각을 볼 수 있어 너무 유익합니다
@관이주 4
2021년 2월 20일 22:50일리있는 말씀 고맙습니다. 근데 반론의 여지가 좀 많이 있는거 같네요.. 첫째 소프트웨어 산업이 한국이 더 발달했다는데... 말씀하신건 단순히 소프트웨어종류 몇가지만 말씀하신건데 그렇게 말씀하시면 안되죠... 소프트웨어를 말씀하실려면 소프트웨어큰틀에서 말씀을 하셔야죠 소프트웨어가 말씀하신 IT,통신시스템밖에 없습니까? 그것말고도 엄청나게 많아요 소프트웨어 종류는,,,,, 자 그럼,, 팩트체크 해드릴께요 소프트웨어 큰틀에서 봐봅시다. 일본이 현재 소프트웨어 산업규모가(2019년기준) 819억달러로 세계 2위를 했습니다. 어? 이상하지 않나요? 어떻게 한국보다 소프트웨어가 못하는데 일본이 2위를 할수가 있지? 하드웨어만 만들줄 아는 나라인데? 그럼한국이 1위라는건가요? 당연히 아니죠... 미국이 넘사벽 1위 5938억달러.. 한국은 16위 입니다.... 127억달러.. 소프트웨어도 종류가 다양합니다.. 한국의 소프트웨어 대표는 게임>it 순입니다.. 일본은 업무시스템>콜라보레이션>데이터베이스 순입니다. 말씀하실려면 정확하게 알고 말씀하셔야죠... 지금말씀하시는건 단순히 보고싶은것만 보고 이분법으로 말씀하시는데 그렇게 말씀하시지 마세요. 요즘분들 똑똑합니다. 자료도 조금만 뒤져보면 다 나오구요.. 그리고 엔터테이먼트 이것도 상당히 위험한 이분법발언을 하시는데 엔터테이먼트도 당연히~ 종류가 다양하겠죠? 자 그럼 잘못된 지식 또 펙트체크 들어갑니다. 영화,음악,애니매이션등등 엔터테이먼트는 여러종류가 있구요, 말씀하신것만 펙트체크를 해드릴께요. 일본은 아이돌만 하더라도 궂이 해외 수출하지 않는 일본자국시장에서만 규모가 2017년 기준으로 약 1조5404억원 이고 이는 한국이 글로벌시장규모 합쳐도 약 9172억원 나온는것보다 많습니다..... 또한 일본의 문화 자체가 아이돌보다 오히려 밴드문화,콘서트 문화가 더 대접받는 곳입니다. x-japan,라르크앙시엘등 x-japan만 하더라도 재결합후 이미 세계일주 콘서트 몇번했어요 하지만 한국엔 락밴드 문화는 없다시피하니깐 일반인들은 이런것에대해 모르시는분들이 많죠... 그리고 일본이 글로벌로 음반시장을 넓혀조사하면 6조4097억원으로 한국보다 7배 높습니다... 영화시장도 미국에 이어 세계 2번째로 높습니다..... 현재는 조금 줄긴했지만 .. 단순히 bts,블랙핑크,기생충이 세계에서 대접받고있어 그러니까 음반,영화는 한국이 앞서는거야 라는 이분법시각으로 보면 한국의 발전은 없어요 자기만족하며 살면 무슨 발전을 하겠나요? 단순히 저 3개만 인정받으면 우리가 앞서는 겁니까? 국내시장규모,일본시장규모는 따지지 않나요? 흠..... 자,, 그리고 아에 말씀을 안하신 애니매이션을 예로들어볼까요? 애니도 당연히 엔터테이먼트 입니다~~~. 자 그러면 전세계 공중파tv 애니매이션중 60%가 일본 애니매이션을 틀어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애니 산업규모가 23조3600억으로 6년연속 사상최대치 기록입니다. 이것중 해외수익이 46퍼센트로 절반정도를 차지하고 있구요.. 물론 최근 한국도 웹툰기반으로 과거보단~~~ 선방을 하고있지만 세계70퍼센트를 차지하고있는 일본을 넘기엔 넘사벽입니다. 이런데 엔터테이먼트가 일본을 앞선다구요? 흠... 이건 아무리 포장을 할려해도.. 생각이 안나네요... 그냥 제가 당신이라면 부끄러워서 아무말 못할꺼같네요...*^^* .. 자 그럼! 정리해보자구요~
현재 상황은 단순히 몇개를 일본을 앞선다는것인데 그것은 그나라의 문화에 의해서 또한 필요에 의해서 발전하는게 달라지는것 뿐입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한국의 소프트웨어는 IT,온라인게임등 그문화, 또한 사람들이 필요로 하게 때문에 그게 발전한것이고 일본은 업무시스템,콜라보,데이터베이스등이 필요하기때문에 그런 소프트웨어가 발전하게 되는것입니다. 그럼 소프트웨어를 총괄해서 한국과 일본중 누가 소프트웨어에서 돈을 더 많이 버냐? 그건 위에 적은것처럼 일본이 약6배정도 더 돈을 많이 벌죠? 소프트웨어,엔터테이먼트도 아까도 글적었지만 소프트웨어 하나에 종류만 엄청납니다. 근데 거기서 몇개를 한국이 앞서고있어 그래서 한국이 소프트웨어는 한국이 더 강하고 하드웨어는 일본이 더 강해.! 이런 이분법시각으로 보지 마세요 소프트웨어라면 소프트웨어의 큰틀에서 봐야합니다. 그러면
일본이 과연 소프트웨어가 발전하지 못한 국가인데 왜 세계2위의 소프트웨어 산업규모를 가지고 있을까라고 묻는다면 할말이 없으시겠죠?
번외로 아까 오타쿠가 많아서 노벨상을 많이 만들어냈다고 하시는데.... 흠.. 이것도 반론의 여지가 많은 말씀입니다.
일본이 오타쿠가 많은건 사실입니다. 근데 그건 일본의 역사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일본하면 떠오르는 것들중에 장인정신이라고 있죠? 그런것들이 왜 나오냐면 일본은 100국통일되고 임진왜란이후 내전이 끝난뒤 메이지 시대때 일본식 봉건제도를 몇백년간 합니다. 봉건제도가 뭔진 아시겠죠? "넌 농민이니까 농사만져!" "너한테 여기 우동집줄께 우동만 잘만들어!" "너한텐 도검가게를 줄테니 도검만 만들어!" 해서 이시대때부터 나온말이 장인정신 이란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오타쿠때문에 노벨상이 많다? 뭐 한국사람은 재미가없으니 하다 금방 질려버린다? 진짜 ㅋㅋ;;;;;;
그건 아니죠 일본은 과거부터 국가차원에서 꾸준하고 탄탄하게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를 했습니다. 한국은 최근에 투자를 했구요...그것이 이유중에 하나고 두번째는 일본은 1920년대부터
해외유명학자들과 교류하고 초청하며 계속해서 발전시켰습니다 예를 들어 물리학의 경우 하이젠베르크와 닐스 보어등 그시대때 이름날리던 학자들을 초청하며 젊은 대학생들과 교류를 많이 했습니다.
이 두가지와 기다림이 일본에 노벨상이 많게된 이유입니다. 일본 정부는 메이지시대 1886년부터 도쿄대, 교토대, 나고야대, 규슈대 등의 7개 제국대학을 운영하며 기초과학을 가르쳤어요....
즉 그말은 노벨상은 오타구와 관련이 없다구요, 국가적 꾸준한 투자와 세계천재과학자들과의 지속적인 교류가 노벨상을 만들어낸다는것입니다.
한국도 최근 좀 노벨상에대해서 어느정도 성과가 보이긴 하죠 김필립등 실력파 학자들이 나오긴 하니까요 근데 아직까진 체급차가 큰건 사실입니다.
오우... 잘못된 부분 적느라 글이 길어졌네요.. 아무튼 2부,3부는 안볼께요 1부보니까 틀린점이 많아 다른건 안봐도 똑같을꺼같네요 수고하세요~^^
@zfkdc 4
2020년 8월 04일 03:12근데 일본이우리보다지금 잘살잖아요 g7에서도 2위아닙니까 시스템만쫌 빠름뭐합니까 하루12시간이상 주70시간일하구 200겨우버는일이 수두룩한데 ㅋ 누굴걱정합니까 서류좀수기로작성하더라도 주40시간만일하구 인간답게 사는나라가 더 좋은나라인거같은데요
@ewa6245 4
2020년 4월 29일 20:44니뽄은 선진국이었죠
개인적으로 2002년 한일월드컵이 분기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날 이후부터 한국은 계속 달리다가 날게됐고
니뽄은 달리다가 지쳐서 걸었는데 세계적인 흐름에서 뒷걸음쳤던거죠.
현재 스코어 니뽄은 물가 비싼 동남아 수준입니다ㅠ
이웃이 주저 앉는거 좋지만은 않아요ㅠ
같은 지구인으로서 힘내주기 바랍니다
@junseoklee69 3
2020년 4월 09일 17:27노벨상 받으려면 우리도 교수들이 수업안하고 연구만 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춰주면 가능하다고 봅니다. 일본에서 노벨상 받은 교수들은 대학강의가 거의 없습니다. 우리나라 교수는 수업을 안하면 안되죠 그래서 적은 것일 뿐이라 생각합니다
징징 3
2020년 3월 21일 10:021빠당
Chanho Choi 3
2020년 6월 23일 04:18대표 국뽕
이기자 3
2021년 2월 12일 09:28국뽕.... 조심... 우리 갈길멀다...
SukHuí Lu 3
2020년 4월 01일 13:55철학이랑 경제가 일본어라구요? 한자를 써서 당연히 중국어라고 생각했는데.
KT PARK 3
2020년 5월 05일 18:46우버는 우리나라에서는 안되는데... 요.... 예를 잘못든게 아닐까유?
areyou Who 3
2020년 3월 31일 17:32앞으로 일본 2000% 부채비율이 될 거라는 예언을 하신거네요.^^
[#]언박싱 라이프 3
2020년 8월 02일 11:03아이러브 대한민국♥
헬리곱터와마법사의돈. 3
2020년 6월 29일 08:45선대인tv인 줄 알았는디 ㅎㅎㅎ
이유철 3
2020년 5월 19일 19:21한국은 지금 일본의 잃어버린20년을 따라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Deus Homo 3
2020년 3월 23일 20:22주문했어요~~☆
lee lee 3
2020년 3월 31일 16:17와세이 칸고 얘기하면 끝도 없어여ㅋㅋ
xJin 3
2020년 3월 24일 09:58컴퓨터 소프트웨어 말고 다른 의미의 소프트웨어 말하시는건데 전달이 잘못된듯..
HONG 3
2020년 3월 24일 03:44감사합니다
@ttube9300 3
2023년 1월 02일 21:53절대 공감합니다~^^
그리고 무엇이든 영원한것은 없죠
그러기에 자만 거만하면 절대 절대 안됍니다 절대 영원하게 절대. 없습니다
그러기에 항상 개발 발전 앞을보고 나가야 합니다~^^
@youngwoo5860 3
2022년 11월 30일 17:54전문가님이 잘 설명하시네요
감사합니다
이고운 2
2020년 3월 21일 11:16현대카드와 한국의 통신업체들이 일본잔치인 도쿄올림픽 대비해서 사업을 성사 시켰던 것만 봐도 어느정도 알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dei mei 2
2020년 12월 19일 09:48ㅋ
감포텐 2
2020년 6월 04일 13:57일본도 금융업 위주로 전향하지 않았나
떠먹는 일본어 2
2020년 3월 28일 18:137:52 2015년 일본에 왔을 때 이런생각이었는데 정말 한국보다 한참 뒤쳐져 있었음 지금도..
인감 증명성원본 말고도 연하장 현금주의 FAX시스템이 여전히 있다는 것은 그걸 제조하는 업체 인력들을 살려주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회사성장이나 산업전체에서 보면 뒤쳐지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면 편리하게 바뀌었다고 정작 본인의 회사 업무량이 크게 변하지 않은 것처럼..
후쿠오카러블리스타 2
2020년 7월 01일 10:01좋은 동영상 잘 봤습니다.
저도 일본 살고 있는데 많이 공감되는 부분이 있네요.
도쿄에서도 살아봤고 지금은 지방 쪽에서 살고 있는데 일본의 인프라를 보게 되면 이를테면 한국의 2000년대까지 있었던 인프라는 꽤 충실한 부분이 있는데 한국에서 2010년 이후 부터 생긴 인프라들은 일본에 없는 것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어로도 번역을 해주면 좋겠네요.
일본 사람들도 많이 보게요.
오해성 2
2021년 2월 22일 00:34출산률 꼴등 취업률 꼴등 나라가 무슨 선진국은 ㅋㅋㅋ
@a__busahutrijug7381 2
2020년 5월 27일 18:38일본거주중이지만 여긴 딴말할필요없이 그냥답이없습니다.
ジャンジュヨン 2
2020년 5월 30일 00:00음... 개인적으로 IT분야에 있어서 한국 > 일본이다 일본 > 한국이다 이렇게 순위를 매기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IT는 미국미만 도찐개찐이거든요 각각 장단점이 있을 뿐 누가 우위라고 정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김내일 2
2020년 4월 25일 01:27심지어 헌법이라는 단어는 그 유명한 이토 히로부미가 만든 단어임 ㅋㅋㅋㅋ ㅋㅋㅋ
JH K 2
2020년 12월 27일 10:49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 이야기 하는데 지도는 삿포로에서 도쿄까지네
정직남 2
2020년 3월 23일 23:12고속도로도 일본어
Oliver Lee 2
2020년 3월 23일 12:32우와 이분 나오시네요!! 짱짱
@wwoww3792 2
2020년 6월 20일 15:06순위권내에 ruby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도 일본은 독자 개발했죠 거기다 우리는 경쟁상품조차없는 비디오게임, 애니메이션 이런분야는 압도하죠.. 소프트웨어가 약한건 아니고 it인프라가 약하다고 해야겠네요 그래도 최대한 객관적으로 말씀해주셔서 잘보고 갑니다
조선베짱이 2
2020년 3월 24일 02:00일본을 전혀 생각 못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흐름 정보 감사합니다.
@tak1635 2
2020년 9월 18일 15:47그리고 노벨상 자체가 10년이상 꾸준히 그 효과가 증명되야함.
즉 연구하는데 20년 걸려서 완성해도 그 효과 증명하는데 10년정도 소요가 되서 노벨상을 타는데는 30년 걸림.
@최감독-x2d 2
2023년 4월 15일 20:49대단한 통찰이십니다.
ted kim 2
2020년 4월 18일 03:00목소리가..상당히 설득력있는... 배우고싶네요..제가 목소리가..별로라서...
서몬스비마하 1
2020년 3월 23일 09:22바꾸고 싶으면 이 전 단어를 다 고쳐야 겠다
wanna b 1
2021년 2월 15일 21:15세계 3위 경제국을 ㅉㅉ
2020 New Start 1
2020년 4월 14일 23:26검은옷 입은 분 옆모습이 동남아사람같이 생기셨네. 비방이 아니라 그냥 그렇게 보인다고요. 난 외국인이 한국어를 왜 잘하나 했네
@netsbrief 1
2023년 7월 05일 20:55손으로 쓰는 투표가 더 정확 합니다. 현재 한국에서의 전자 개표가 부정선거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전자개표는 부정선거에 취약 합니다. 염종순 사장님의 개표에 대한 착각을 처음으로 한 가지 알았습니다.
대마도한국땅 1
2020년 3월 26일 11:13👍👍👍👏👏👏🇰🇷🇰🇷🇰🇷
hj lee 1
2021년 3월 15일 00:02일본이 지금에 이른것도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중소기업 살리기, 복지, 우월주의 등이 크게 한몫했지.. 좀 살만하다고 복지타령 중소기업 보호에 힘쓰며 경쟁과 혁신을 등안시하고 안주하려 했었지.. 우월주의에 빠져서 주변 개도국에는 갑질하고 선진국에는 건방떨며 이제 우리도 살만하니 붙어보자는 식으로 대했었지.. 그결과 지금도 시스템이 엉망이지.. 아직도 행정 전산화 거의 안되어있고 원시적 행정 시스템으로 머물러있고.. 깝치다가 미국의 소위 길들이기에 잃어버린 20년을 겪어야했고..
급기가 지금처럼 대한민국, 대만, 홍콩 등에 따라잡히는 현실을 맞이했지..
계속 나아가지 않으면 제자리가 아니라 뒤쳐지게 된다는걸 잘 보여주는 좋은 예시 일본..
글로벌 경쟁은 내려오는 에스컬레이터를 거꾸로 올라가는 것과도 비유된다.. 일정 속도로 계속 올라가야 제자리라도 지킬수 있고 멈추면 내려가서 원점에 서게된다..
조금 살만하다고 긴장을 늦춰서도 안주해서 복지타령을 해서도 안된다..
정치꾼 나부랭이들이 뭘 모르는 얼치기들이 대부분이라 큰일이다..
지도자가 안보이니 원..
@nikegrekna 1
2020년 5월 02일 00:05우리 전자개표 안합니다. 수기로 전부 교체했고, 투표는 인터넷으로 못합니다. 그리고 투표하러 가면 현장에서 투표용지 프린트 안합니다. 주민등록증 제시하고 지문으로 찍으면 인증이 되죠. 그리고 우리 소프트웨어 나라 아닙니다. 현장에서 가공업을 하고 있는 엔지니어지만, 우리나라 하드웨어 부분 정말 잘합니다. 단지 네임드가 일본이 꽉 잡고 있어서 나아가질 못할뿐. 기술력은 절대 일본에 후달리지 않습니다. 근래 들어서 일제 제품들 보면 싸게 많이 품질 좋게 엄청 들어오는데, 이걸 이가격에 일제로 산다고??,... 환장할노릇.. 일본은 말 그대로 싸기때문에 사들이고 여행가는나라.. 이건 공감 됩니다. 더럽게 싸요. 진짜 오지게 싸.. 매이드인 재팬 딱 붙어있는데 가격은 몇천원 .. 하물며 드라이버나 니퍼 같은 수공구들마저도 중국이 아니라 일본제... 일본은 이제 그냥 하청같은 느낌마저 듭니다. 쓰다가 망가지면 버리면 되는 그런 제품들만 파는 나라.. 물론 측정기 부분에서 미쓰토요가 우리나라 측정기 시장을 독과점 하고 있지만, 그런거 제외하고 대부분 그렇다는 이야기..
Luke Luz 1
2021년 6월 01일 00:21.... 이 분... 참... 다좋은데..... 많이 왼쪽이시네 ..ㅋㅋㅋㅋㅋㅋㅋ
그릉그릉 1
2020년 3월 27일 00:29??? 경제나 철학도 중국에서 그 한자어 그대로 쓰는데 그럼 그 콧대높은 중국이 일본어를 들여와 쓰는 건가요
김경수 1
2020년 12월 27일 20:02음아직멀었어 열심히해서 완전 나가리시켜야지
manstein 1
2020년 7월 10일 11:30말같지 않은 소리하고 있네
김성숙 1
2020년 5월 02일 22:12돈주고 사온 노벨상
유러브미 1
2020년 7월 13일 18:42최배근 교수님 강의와 일맥상통~^^
염종순님 책도 사서 봤어요^^
이수소년 1
2021년 2월 13일 17:18개인적으로 사업을 해서 성공하고자 하면 한국이 살기 좋고 소시민으로 살려면 일본이 살기 좋은 듯 합니다.
남승민 1
2021년 1월 11일 11:19ㅋㅋㅋ 홋카이도 가자마자 느낀게 '여기는 클래식한 맛이 있네' 였음 ㅋㅋㅋ
zilan김 1
2020년 4월 07일 13:28저쪽에서 뵙고 책 재밌게 읽었습니다. ^^ 혹시 '경세제민'은 일본식 한자가 맞나요? 원래부터 있었던 중국식 고사성어는 아닐까요?
각시 1
2020년 3월 24일 18:32우리나라도 타다 불법이 되지 않았나 우리도 뒤처지는건가
김명룡 1
2020년 3월 31일 11:51일본이 은근 아날로그다 뒤쳐진 종목이 만아졌다
조현수 1
2020년 3월 23일 10:52왜저렇게 됐을까 놀랬네. 설마했는데
양희준 1
2020년 3월 21일 20:45정말 가치있는 정보
SNUscience 24 1
2020년 5월 01일 06:26엥 과학기술 측면에서도 그렇고 일본보다 뒤쳐진 점 많은데...세계적으로도 일본을 선진국으로 보는 시각이 더 보편적임 계속 우리나라가 짱이다 이런식으로 가면 발전이 없을텐데? 차라리 부족한 부분은 인정하고 그 부분을 개발해서 더 나은 국가로 성장하려는 노력을 하는 게 맞지 않나
@in.j4908 1
2020년 7월 24일 23:52저는 일본은 아니고 미국에 살고있는데... 미국보다도 한국이 훨씬 앞서있는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한가지 예로...
제가 미국 일반집에서 살고있는데...
전자키가 아니고...열쇠다발 가지고 다닙니다.불편합니다 진짜. 완전 한국 90년대 수준...
전자키로 바꾸려고 아마존 앱 가보면 가격은 한국보다 비싼데 품질은 훨씬 떨어집니다.
가성비 거지같음.....에혀..
결론은...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을만큼 많이 발전했다.
다른 나라 살아보면 오히려 없던 국뽕도 생긴다.
색채공작Colorcraft 1
2020년 4월 03일 15:37전세계에서 it 강국으로 꼽는 나라는 미국을 제외하면 한국 인도 중국 정도입니다.
문제는 사회 전반적으로 원할한 소프트웨어 인프라를 갖추려면 하드웨어에 대한 지식과 기술력이 뒷받침이 되어야 사회에 널리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중국은 아직 좀 멀었고 인도는 제조업이 안되죠. 둘다 실행력을 갖춘 나라는 한국뿐이에요.
일본은 하드웨어만 극강이고 소프트웨어는 거의 전무한 상태. 별 의지도 없음
그 하드웨어마저 요즘은 한국에게...
별내림밤 1
2020년 7월 30일 11:29일본이 거품경제 꺼진 이유가 주식에 투자안하고
부동산, 은행에만 돈을 묶어놔서임 그만큼 일본에서는 주식 투자의 중요성을 모름 소름돋는 건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주식에 투자를 더 안하고 부동산 은행에만 돈을 묶어놓음. 정부의 기업규제 강화+코로나+부동산,은행에다만 돈을 묶어두는 행위
이 세가지로 우리나라 경제는 계속 하락세를 유지할거임
곰곰 1
2020년 3월 23일 16:58😍😍😍
미개조선 1
2021년 2월 15일 22:10이상 세계 자살율1위 출산율 꼴지 위대한 대한민국의 유튜버 였습니다^^
eta Y 1
2021년 2월 16일 09:40선진국 이고 머고간에 자기집 없는 서민층 은 다 남의일이다 ....
woong woong 1
2020년 12월 29일 22:54무슨말같지않은정신승리영상이냐
일본은 아직도세계3위 경제국가다 대한민국만 우습게봄
@kenpak6014 1
2020년 7월 11일 05:47좋은 말씀 잘 들었고, 정리 감사드립니다만, 예를 드실때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주셨으면 합니다. 7:19 홋카이도와 오키나와의 거리는 2200-2300 KM 정도의 거리고 여객기로 3시간 이상 (약 3시간 40분) 걸립니다. 뭐 이정도는 작은 실수라고 할 수 있는데, 화면에 지도상으로는 삿포로에서 도쿄로 가는걸로 나오네요. 좋은 말씀 하실때 경청하고 자세하게 듣는 습관이 있어서요. ㅎㅎ
김태주 1
2020년 7월 12일 22:39,,???????????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뭐있죠..?? ㄷㄷ
적과의동치미 1
2020년 7월 03일 08:35암 조심 해야지
모야모야웅
2020년 10월 30일 00:45해외에서 소녀상 로비자금 뿌리고 이외 많은 분야 해외에서 이미지 세탁을 위해 천문학적인 로비자금을 쏟고 있다. 이미 일본의 이미지는 자연재해를 넘어선 영역에 있는데 이것을 돈으로 제어 할수 있다는 생각은 어떻게 해야 발상이 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있었던 일을 없었던일로 어떻게 만들어? 이가 입증하면 노벨상 한개 추가하겠네 ㅋㅋ
문화유산 이야기
2020년 12월 27일 15:46기초 소재 분야에서 앞서있는게 일본의 장점인데, 신자유주의 때문에 그나마 그것도 없어진다니 문제가 더 심각해지겠네요.
이주아
2020년 7월 09일 15:57알고있어!
3땡
2020년 7월 20일 00:49교수님 존경해요
뱅큐어레이퀀스
2020년 5월 19일 11:10일본을 보면 기술의 진보가 나라의 발전이라는 걸 깨우쳐줌
cube jj
2020년 4월 01일 10:10세계 산업이 제조기반에서 it 기반으로 넘어가는 과정은 획실합니다
세계 상위기업도
모두 it 혹은 it기반플래폼 기업들이죠
그러나 그런회사에 일본기업도 없지만
한국기업역시 끼지 못하죠
일본이 꾸준히 쇠퇴할것은 자명히지만
한국 역시 미래가 그리 순탄치는
않습니다
가마우지 주인이 과거
일본에서 미국이나 유럽의 거대기업으로
바뀌었을 뿐이죠
그러나 한국이
앤드류
2020년 10월 07일 16:01일본 인감, 서류 문제는 발상이 없는 게 아니라 원본, 인감에 매우 집착함.
그게 아니면 효력이 없는 취급이라 문화 자체가 바껴야됨
아카시아
2021년 7월 31일 22:42앞으로 한국이 나라가 튼튼하고 강해지려면 열심히 공부하고 개개인의 역량을 높여야할 것 같아요..ㅜ
한국사람들 그래도 훌륭한 본성이 있고, 진정성이라는 것이 있어서 현명한 정부가 주도하는 변화된 상황에서라면,아주 짧은 시간에 깜짝 놀랄 만한 것을 이루어낼 것이라 생각해요..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해요..지금은 절대 아니지만요..
moon shock
2020년 8월 31일 23:50한국에겐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 문제와
그로인한 필연적인 외국인 유입과 다문화 다인종 사회로의 전환 그속에서의 융합 이란
큰 숙제가 다가올것인데
과연 잘 헤쳐 나갈수있을지는 미지수
A peach
2021년 7월 05일 01:11이번 코로나 사태로 유럽 , 일본이 우리나라의 사회 전산화 발끝에도 못미친다는 걸 알게 되었지요.
Focus
2020년 6월 08일 17:37일본이 과거에 비해서 정체되고 있는 것은 맞지만 경제의 기초체력 자체가 다른데... 경상수지 구조도 우리보다 다변화되어 있고, 한일 주요 기업 시총만 비교해도 차이가 보일 겁니다. 닌텐도의 영업이익이 현대차보다 높았다는 것은 아시나요? 우리도 과거에 비해 많이 발전했지만 소위 '국수주의'에 함몰되고 있는 건 아닌지 조심해야 합니다. 저출산 고령화로 경제의 성장동력이 빠르게 꺼지고 있어요. 고령화 문제는 우리가 일본보다 심할 겁니다.
Seamoon Lee
2020년 5월 05일 17:58비슷하지만 다른 의견입니다. 일본은 소프트웨어 뿐만이 아니라 대부분의 분야에서 규모가 큰 시스템을 만들지 못하는 거 같더군요. 독고다이가 가능한 8비트 CPU 시스템으로 된 자동차 카셋트같은건 잘 만드는데 수십명이 뭉처야 개발가능한 네비게이션같은 64비트 CPU로 돌아가는 건 준비가 안된게 아니라 만들줄 모르는것 같더군요.
즉 단순하고 반복적인건 잘하는데 창의력이 필요한건 우리나라 사람들은 2,3일만에 쉽게 끝내는걸 일본애들은 2,3달이 넘어도 계속 기록만 할뿐 결과물을 못만드는 인간적 한계가 있는것 같습니다.
music jazz
2021년 3월 21일 05:42뭔개소린지모르겠네 ㅋㅋㅋ
김수희
2020년 5월 30일 08:36작년 삼십년만에 일본방문하고
삼십년 전과 똑같아서 무서웠다.
타임슬립한 기분이었다.
Youngmin Yi
2020년 6월 04일 02:13일본에대한 막연했던 이해를 이 책을 본다면 논리적으로 알아가게될것같습니다.
특히 왜 어떤부분에선 일본이 더 나은 산업, 의식을 가지고 있고 어떤 부분에선 한국이 더 나은 산업, 의식을 가지고있는지 정리되지 않았었는데
저자님의 한국은 소프트웨어중심 일본은 하드웨어중심의 발전형태를 밟아왔다는 설명이 제 머리속에 정리되지않았던 개념들을 정돈시켜주었습니다.
일본 관찰 30년 재미있게 읽어보도록할게요
좋은책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토키
2020년 6월 15일 15:23튜펴는 공정하네
Lee mh
2020년 3월 31일 23:32인구감소 는 출산 양육
교육 고용 주택 의료 문 제에 국가가 꾸준히 공적
사회문제로 부담늘려 개 별 세대부담을 확연히 줄
인다면 자연스레 해결가 능하리라봄 문제는 경제
가 선순환되며 뒷받침되
게 정책적고민이 있어야
변웅섭
2020년 3월 28일 21:15십몇년전에 책방에서 일본력이라는 책을 본적 있음 일본이 부활해서 다시 세계를 리드하는 나라가 될것이다라는
내용이었고 나도 수긍했었음
ororaharu
2020년 11월 02일 12:14저도 일본에서 10년째지만..
아직도 아날로그에서 못벗어나고 자신들은 일본인이기에 메이드인재팬이기에 전세계로부터 사랑받고 존경받고 자랑스럽다고 스스로 착각하며 어떤것도 바뀌려고 변화하지도 않으려 사는게 일본인들 일본의 현실이에요.
그끝이 다온줄도 모르고..
그런 우월할줄 알았던것들이 그것이 아닐수 있다 까여지는 순간 인정못하고 발악의 혐한으로 노출이 되는거죠. 지금 10.20.30대는 한류에 빠져 안그럴수 있지만 아직도 많은 일본인들이 자신들이 세계의 중심에 서있는줄 알아요. 교수님이 말씀하신대로 아마 제조업과 조금의 오타쿠들이 간바루 애니메이션과 연구등의 분야에선 앞설지 모르겠지만 살아보면 알아요. 일본이 얼마나 후진지..
장인정신? 웃기는 소리에요. 그저 발전 못하고 후진 시설 설비등 천지..
Snej Hhj
2020년 4월 11일 07:50예시든 소프트웨어 우수 사례는 다 공무원들이 한 거네 ㅋㅋㅋ
성이름
2020년 11월 14일 05:42산업 혁명에서 정보 혁명의 시대로 변화한 게 2000년이다..
Johnlim Male
2020년 6월 05일 06:54실로콘벨리야 말로 소프트웨어 최강자~
Yo7878 12
2020년 7월 01일 02:27오....
YOSHIエアライン
2020년 11월 14일 09:48申し訳ないけど、文化=BTSの考えは浅いと思いますが…
이시현
2020년 6월 30일 15:08처음에 외국인이 인터뷰하는줄알았네요 옆모습이 이국적이심..ㅋㅋ
제주다이어리
2020년 12월 27일 08:00등본 하나 떼는데 구약소까지 직접가서
순번 카드 받고 40분 기다려서 받는 나라에요..
노무현
2021년 2월 18일 01:03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청이
2020년 5월 23일 01:51지금 유럽 이 힘든것이..
산업시대 잔재 가 있어서 빨리 변하지 않는것
일본도 비슷 하고 ... 한국은 그것보단좀더 유연한것이고.
우리보다 더 유연한건 중국이고.
Juhyeok Jang
2021년 2월 21일 14:267:00 일본도 구지 학교에 직접가지 않아도 우편신청할 수 있어요ㅋ 하지만 우표를 붙인 회신용봉투를 같이 넣어야한다는 것ㅋㅋㅋ 이게 대학뿐만 아니라 생활에서도 일반화되어 있는데 예를들어 이사 한 후에 소득증명 떼려고해도 다음년도 6월까지는 정보가 넘어오지를 않아서 이전 주소지의 관할구청에 가서 직접 띠거나, 아니면 우편신청을 해야 한답니다ㅋㅋㅋㅋ
윤필스
2020년 5월 25일 16:00외래어와 외국어 구분좀~
김진수
2020년 8월 02일 15:27역시 교수님이다.
한국이 어떻게 소프트웨어 강국인데?
아닌데....
한국도 하드웨어야
N E A L
2020년 12월 23일 10:40가마우지 낚시법은 고대부터 아시아에 존재했던 것입니다. 일본 것이 아님...
박대박
2020년 8월 09일 11:08멀고도 가까운 나라...일본은 야비한짓만 안한다면 최고의 우방이 될수도 있을겁니다...
임꺽정
2020년 5월 02일 11:00세상은 바뀐다 하루 하루
변화하는 세상을 누가 더 머저
선점 하는냐가 선진국의 초석이된다
Sylvie Song
2021년 2월 13일 07:16ㅎㅎㅎㅎ 참나
carpe diem
2020년 4월 10일 13:19김성태인줄 알았네......헐....
CCY CCA
2020년 9월 16일 19:03한국은 일본을 모방해서 발전해왔는데 이후의 모습은 일본과 너무도 다르다. 일본은 적당히 배부른 시기에 손 놓아버렸지만 한국은 지금 일본의 레벨에 도달했지만 여전히 치열하게 경쟁하고 나아가고 있다. 최근 세계 200대 대학 순위에서도 일본을 이겼다. 분명 처음에는 모방 했지만 지금은 다른길로 가고 있다.
Life is a moment in space
2020년 4월 08일 01:31좋은 정보 감사요.
매천황현
2020년 12월 02일 00:00뮌국이 그렇게...
qazse qa
2020년 4월 15일 17:15정보혁명에서는 미국을 벤치마킹해야한다 그리고 같이 협력하면서 시장을 넓혀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