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인구, 경제 팽창의 시대에서 이제 본격적인 수축의 시대..이미 한국 수도권 거품집값은 미래 소득까지 다 땡겨서 투기, 담합꾼들이 현재 모두 챙깁겁니다.. 인구 절대 무시 못합니다..요즘 사람들 과거 짧은 고성장 시대만 경험했으니 인구 줄어 수요가 사라진다는 생각은 전혀 못하는듯요
지금 출산율 추세를 보면 40년후에 인구가 3800만명, 노인 인구가 50% 이상이 될거라고 합니다. 그때되면 서울 강남이나 종로 등 핵심 지역 제외하면 집값 거품 빠지는건 무조건입니다. 즉 집값 폭탄돌리기가 40년이면 무조건 끝날것입니다. 100세 시대인 지금 20대 30대 분들 40년 후에도 여전히 20년 30년 더 살아야 합니다, 그런데 젊었을때 대출 끌어 집 한채 사고 대출빛 갚고 있는데 부동산 거품 터지면 남은 30년 어떻게 할것입니까. 지금의 거품들을 만든 50대 이상들은 부동산 거품 오기 전에 대부분 죽겠지만 20대 30대는 그렇지 않습니다.
일본 지방공항과 한국 관광객의 관계가 그러한 관계로 이어져 있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부동산(주택) 가격은 시간이 어는 정도 지나면 도심 중심부와 도심 외곽지역이 양극화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갑니다.~ << 쉽게 배우는 부동산투자 >>
이런식으로 이야기들 하는데 과거 일본도 똑같았음. 10년후라면 위의 얘기가 맞을지 모르겠는데 20년 후라면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이 성인이 되는 시기다. 인구가 반토막이 된다는 이야기.. 과연 집값이 올라갈까? 아니 그전에 그 반토막난 인구에서 집을 살수있는 능력이 되는이가 몇이나될까? 수요가 없으면 떨어지는게 시장원리다..
부동산 폭락 올수밖에 없는거 아닐까요? 지금 20대.30대 분들 결혼? 출산? 누가 하나요? 이 미친 나라에 결혼.출산 할사람 아무도 없어요. 부동산은 인구하고 연결될수 밖에 없는 구조에요. 사람이 있어야 사고 팔고 하는데 자연스럽게 인구감소 오면 부동산 남아날텐데 당연히 폭락 오죠.
한국 부동산은 일본처럼 평당 10억 했던적이없어요.거품이었던적이 없는데. 어떻게 거품이 꺼집니까. 강남 한군데가 평당 1억 됐다고 놀라구들 계신데. 일본은 말씀데로 평당 10억했던. 1/10 됐다는 곳이 현재 평당 1억이 훨씬넘어요. 그리고 오르고 있습니다. 일본 거품경기 때 평당 10억이 이상한 가격이예요. 다마신도시는 한국 분당이나 일산보다 훨씬 먼곳이에요. 그리고 초고속 전철이 없어요. 그나마 있는 느린 전철이 가격은 비싼데. 출퇴근시간이 왕복 3시간 걸려요. 한국은 이미 신분당선 같은 준고속 전철이 있고 현재 표정속도 110km GTX 가 착공했고 공사 중입니다. 광화문, 강남 출퇴근 시간이 30분 대로 바뀝니다. 어떤 분들은 무임승차 말씀하시는데. GTX는 노인 무임승차가 없습니다. 한마디로 기존 무임승차 하고있는 전철노선은 승차료인상 등이 가능하지만. GTX는 급격한 인상이 불가능한구조예요. GTX 가 ktx 같은 장거리 용이고 비싼 열차가 아니냐고 말씀하시는데. 아닙니다. GTX는 출퇴근용 초고속 전철이예요. 좌석배치와 한번에 수송인원도 기존전철과 비슷합니다. 출퇴근시간에 6분당 1대 꼴로 옵니다. 가격도 일산에서 강남 삼성동까지 정기권으로 2400원입니다. 이돈으로 일본은 전철 탈수나 있나요? 한국은 신분당선,gtx,월판선,신안산선, 동탄선,s-brt 등 광역교통망이라는 일본이 부러워할 전무후무한 교통망이 생깁니다. 이렇게 일본의 실패를 거울삼아 일본과는 다르게 움직이고있습니다. 한마디로 부동산 거품을 만들 수가없는 구조고 그렇게 가고있어요. 현재가격이 정상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일본 처럼 거품경기였던적이 없습니다. 맞지않는 정보는 사람들에게 잘못된 선택을 하게하고 후회를 줍니다. 일본의 실패를 참고할만 하지만 단순한 대응은 하지마시길...
대한민국 대학교 입학 정원이 50만이 넘는데 2019년 신생아 총 수가 30만을 간신히 넘었습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더 심해서 20만이라도 넘으면 다행이라고 하네요. 19년생이 대학갈때쯤엔 지방대 절반이상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겁니다. 그 인원이면 회사, 자영업이 절반 이상 사라지는건 물론이거니와 여성까지 싹다 군대보낸다 해도 제대로 된 자주국방도 안됩니다. 그런데 부동산? 서울 외각에 모든 신도시의 고스트 타운화는 이미 정해진 미래에요.
이렇게 보니 부동산 중심 성장은 미래세대의 고혈을 빨아먹는 짓이라고 느낌이드네요 물론 기업이나 편의시설이 몰리면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지만 따로 그린벨트 같이 주거지역을 정해서 가격 상한선을 구역마다 두면 좋을것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각 세대별로 들어올수 있는 비율도 제한해놓으면 공정할듯
좋은 내용이네요. 한국도 일본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합니다. 이미 인구 절벽은 시작되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는데 명확한 답이 없다는게 답답할 노릇이죠. 한국은 서울, 서울 중에서도 일부 지역에 인프라와 교육 인프라가 몰려 있기 때문에 그 지역의 부동산은 금방 꺼지지는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지금 같은 출산율로 10년, 빠르면 5년 정도 지나면 막으려고 해도 문제가 스멀스멀 새어 나올 거에요. 그래서 투자를 할 때 자산 배분과 안전자산 확보가 앞으로 더 중요해질 거에요.
2017년에 8.2대책후 TV에서 일본부동산 시장에 대한 다큐를 봤어요 대출금액보다 집값이 너무 떨어져서 도쿄를 제외한 타지역의 집은 공시율도 높았어요 그래서 저희는 서울로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우리나라도 제2주택세금비율을 높인다고해서 그때 경기도 오피스텔,아파트팔아서 전세끼고 서울입성했죠 그당시 친한언니가 옛말에 애엄마가 주식시장 나오면 끝물이라며 비웃기까지 했어요 제가 하니까 끝물이란거죠 그래도 저희는 17년10월 서울에 주택을 마련했고 그언니는 사려고 해도 너무 올라서 포기했어요 그후 저보고 잘샀다고 하더라구요 지금도 그때 우리의선택이 맞다고 생각해요 지금은 현금보유와 현물금을 보유하고 있어요 주식으로 지방집한채를 해먹었지만 그래도 꾸준히 노력해서 김프로님이 말씀하신 물질에서 자유로와지는 삶을 계속 도전하렵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김작가님 감사합니다 👍👍❤
솔직히 영상을 끝가지 보지는 않았습니다. 일본의 부동산이 왜 무너졌는지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무조건 거품이 꺼져서 그렇게 됐다고 결과론적으로만 접근하면 오산입니다. 일본은 미국과 플라자합의를 통해서 본국의 통화 가치가 올라가면서 세계 부동산은 물론 다양한 곳에서 엄청난 매입 매집이 있었습니다.
그 와 더불어서 기업의 가치도 올라가서 주식도 상당히 호황이였죠. 이런 상황에서 G7이 일본을 견재하기 위해서 BIS 7% 정책을 가지고 오면서 일본 견재 성공으로 잃어 버린 20년이 온 겁니다. 이런 일련의 상황을 알아야 일본 부동산 얘기를 할 수 있는것 같아요.
인구 절벽 이야기 이제는 너무 식상합니다. 그리고 인구쏠림 현상 및 앞으로 다가올 통일에 대한 이슈 등 다양한 변수가 있어서 예측하기 힘든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대표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저도 일본 부동산 관련 서적을 어느 정도 읽어서 상당히 공감이 갑니다. 추가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일본 사례에서 미니 신도시가 공동화된 사례는 인구가 5만 이하의 도시 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비슷한 한국의 도시로 일산, 판교를 비교하시더라구요. 일산은 인구가 약 60만 정도이고, 판교 인근 인구는 약 15만 정도 된다고 봅니다. 더욱이 판교는 신분당선 영향으로 직장이 많이 밀집해 있는 강남하고 접근성이 아주 양호합니다. 이런 부분에서 너무 지나친 비교가 아닌가 합니다. 절대 대표님 말씀을 비난하는 댓글 아닙니다. ^^ 이 부분의 대표님 의견은 어떠신지요? 강의는 아주 잘 들었습니다. 일본관찰 30년 도서도 구매해서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저도 집없지만 부채도 없기에 앞으로 집 걱정은 안합니다. 일단 집없으니 세금 적게 내고 직장 있으니 먹고사는 데 문제없고 나중에 은퇴하면 시골에 널려 있는 집 그냥 주워서 고쳐 살 생각 20년전 강원도쪽으로 자전거 여행을 한적이 있는데 국도변의 신축은 아니지만 멀쩡한 아파트 텅 비어 있어서 충격
공감합니다. 지금 기성세대들 다 생산인구가 늘고 집 값이 오르기만하는 30년을 즐겼는데 이제는 생산인구가 줄고 집 값이 줄어드는 30년이 될거에요. 게다가 우리나라 사람들 평균적으로 은퇴할때 은행 빛 9000만원에 4억짜리 집 한채 달랑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부동산 재산 비율이 75퍼센트래요. 이러니까 우리는 일본과 다르다고 정신승리만 하는거 같은데 근본적으로 청년들 취직도 안되고 돈도 없고 생산인구는 줄어들기만 하는데 누가 집을 사요? 영끌해서 집사려는 사람이나 이제 은퇴를 앞두고 하우스 푸어 이신 분들은 정신좀 차리시고 30년간의 부동산 호황의 종말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봤으면 바랍니다.
세대수가 늘어나서 오를거라는 분들의 맹점. 현재 한국 세대당 평균 평수는 30평입니다. 1인가구 증가로 주택수가 증가할 수는 있지만 그건 신규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는거지 기존 주택의 가격 상승혹은 유지랑은 전혀 상관없는 변수 입니다. 집값 상승 혹은 유지 될 가능성이 높은 곳은 강남 뿐입니다. 나머지는 변수가 너무 많아요.
앞으로 대한민국의 수많은 주택을 받춰줄 인구는 없어집니다. 지금까지는 30대후반에서 40대까지 받춰줄수 있었는데 그 밑으로 인구가 절반도 안됨. 시간이 가면 갈수록 인구는 계속 줄어드는데 이미 집은 넘쳐남. 투기꾼도 수요가 풍부할때 투기하지 앞으로는 부동산에 투기는 이번이 끝물일겁니다. 끝물이 파도가 가장큰 법이죠
앞으로 인구는 계속감소하고 인공지능부터 무인자동차 택시운전 기사없이 사람의 일자리가 조금씩 없어지고 결혼은 잘안하고 대신애완견은 늘어나고 공부도 인강샘이랑 영상보고 공부하고 로봇이 서빙하고 음식 무인주문하고 톨게이트도 하이패스 직원이필요없고 집들이 남아돌겠네요.. 결혼한다고 신혼집도많이 구하지도 않고 나이들면 노인들은 늘어나고 교수님 말씀 공감가요... 일본을 보면 미래가 보입니다 다만 일본을 참고해서 보완하면 우리나라는더잘될거라 믿습니다
언제 떨어질지도 모르는데 그날을 기다리면서 아무것도 안하고 등기 한번 안 쳐보고 월급 열심히 모은 사람이 아마 부동산 대폭락하면 훨씬 더 타격이 심할겁니다.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해서 문제가 커질것 같으면 결국 정치인들은 이민정책을 더욱 활발하게 펼칠거고 그러면 당연히 치안도 나빠질거고 치안이 좋은 상급지의 가치는 더욱 올라가고 부동산이든 뭐든 폭락만 기다리며 산 사람들은 상급지 입성한번 못하고 끝날거에요.. 그냥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지금 미국도 출산율이 높은데 그거 다 이민자들이 높인거잖아요
절대 부동산이라는 게 예측하는 것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일본도 오히려 도쿄나 주요도시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도심화가 진행되면서 시골이나 외곽지역은 돈줘도 안사지만 도심 집중화현상 소형과밀집화가 생기면서 기존의 도심은 계속 유지한채 꾸준히 오른다에 무게를 둡니다 저는
인구가 줄어 부동산 수요가 줄어들 수도 있겠죠... 근데 한가지 예전과 다른 점이 있습니다. 바로 1인 가구의 폭발적인 증가세입니다. 염 박사님은 가족들이 모여사는 것을 전제로 말씀하고 계신데, 예전처럼 대가족을 이뤄 모여사는 것이 요즘에는 별로 없습니다. 평균적인 4인 가족이라고 하더라도, 아이들이 성인이 되고, 기회가 된다면, 굳이 결혼하지 않더라도 나가서 따로 사는게 대세가 된 요즘인지라 주택 수요는 여전히 많습니다.
지금 걱정할 것은 주택 수요가 떨어져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어쩌나?? 가 아니라, 인구가 줄어 일할 사람들이 줄어들고, 반대로 노인 인구가 많아지는 것이 더 중요해진 시대라고 생각됩니다.
정부도 이제 잡히지도 않는 부동산 자연스럽게 놔두고 중소기업 투자와 기초소재분야에 주목해야한다. 그래야 서민들 모두가 잘먹고 잘살지. 왜 괜한 부동산은 종부세 쳐맥여가면서 건들였다가 집값띄우고... 미통당이든 민주당이든 그런발상을 할 정치인, 인재가 없는게 너무 안타깝다. 집값은 자연스럽게 놔두면 떨어진다. 투기와 거품도 어떻게보면 자본주의사회에서 어느정도 용인이 되는 일정한 투자형태인거다. 그 것을 무조건 나쁘다고 하면 지금으로써 외치던 갓물주 조물주 꿈을 꾸는 것 조차도 불가능한거다. 그럼 젋은사람들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 희망을 갖고 살겠나. 어자피 집을 가져도 세금으로 다 조지고, 집 없어도 못살고. 지금 정부는 잘사는 사람 못사는 사람 >>> 모두가 못 사는 사람으로 만들고있다
인구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그만큼 외국에서 고급 인력이 들어오게 하는 것입니다. 짐 로저스가 일본에게 조언했듯, 일본처럼 이민자에게 배타적인 입장을 취한다면 부동산 뿐 아니라 일본의 다른 모든 문제를 우리도 떠안게 될 것이고 이민자를 포용하여 다인종 국가로 변화하면 싱가포르처럼 인구문제 위기를 기회로 삼게 될 것입니다.
100퍼 맞는 말이다. 다만, 서울은 예외다. 서울은 적어도 떨어지지는 않는다. 인구줄어들어도 과거와 달리 1인, 2인, 4인이하 가구는 더 많아 지고 있다. 특히, 서울에 직주근접, 학군, 역세, 숲세는 오히려 오를듯. 괜히 투자한답시고 경기도 GTX, 2기 3기 신도시 기웃거리면 폭망이다.
bambi 415
2020년 3월 22일 23:582030년부터 줄어들꺼라는 인구가 올해부터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이초심-i9i 372
2020년 3월 31일 23:50수능보는인구가5년전대비반토막입니다
시작됐습니다 이미
@판교포동이 301
2020년 3월 22일 13:11제 친구 어머님이 아파트 5채 가지고 계신데
작년하반기에 거의 고점에서 3채 파셨다던데 진짜 고수는 이 위기를 피해가나봐요....
@jeter293 205
2020년 3월 21일 17:17아주 당연한건데
시기는 알 수 없을 뿐~
@MrJoongwook 205
2020년 6월 08일 18:52언제?
제발 그랬으면 좋겠다.
이 미친 집값 때문에 사람들이 결혼도 안 하고 애도 안 낳아. 그렇다고 일자리가 많은 것도 아니고.
M J 192
2020년 3월 22일 13:48과거 인구, 경제 팽창의 시대에서 이제 본격적인 수축의 시대..이미 한국 수도권 거품집값은 미래 소득까지 다 땡겨서 투기, 담합꾼들이 현재 모두 챙깁겁니다..
인구 절대 무시 못합니다..요즘 사람들 과거 짧은 고성장 시대만 경험했으니 인구 줄어 수요가 사라진다는 생각은 전혀 못하는듯요
浪漫劍客 170
2020년 3월 23일 22:45제일 중요한건 출산율 세계최저, 인구가 줄고있다는점 기존 주택수요에 진입할수있는 능력의 세대가 단절되고 있다는점, 당장은 모르지만 어느날 갑자기 온다 그날은,,,기득권자들은 끊임없이 세뇌시키고 인정안하기위해 오늘도 광고를 때린다
@hhhhh-xm9gc 167
2020년 3월 21일 17:37지금 출산율 추세를 보면 40년후에 인구가 3800만명, 노인 인구가 50% 이상이 될거라고 합니다. 그때되면 서울 강남이나 종로 등 핵심 지역 제외하면 집값 거품 빠지는건 무조건입니다. 즉 집값 폭탄돌리기가 40년이면 무조건 끝날것입니다. 100세 시대인 지금 20대 30대 분들 40년 후에도 여전히 20년 30년 더 살아야 합니다, 그런데 젊었을때 대출 끌어 집 한채 사고 대출빛 갚고 있는데 부동산 거품 터지면 남은 30년 어떻게 할것입니까. 지금의 거품들을 만든 50대 이상들은 부동산 거품 오기 전에 대부분 죽겠지만 20대 30대는 그렇지 않습니다.
e fm 162
2020년 3월 21일 17:05근데 ㄹㅇ 인구절벽오면 서울이랑 광역시빼고 폭망함
@user-pporigi 156
2020년 3월 22일 06:13우리나라 언론과 건설회사들 믿지 않았으면 합니다. 부동산이 계속 올라간다고 선동하는자들 조심하세요.
@TV-yg5qg 133
2020년 3월 21일 23:40한국부동산도 일본부동산과 같이 생산인구가 줄어들고 공급이 넘쳐서 집값이 폭락할것이다 역세권 도시중심인 소형가구만 폭락을 피할것이다라는건 마니 공감되네요
@극도-q1x 133
2020년 7월 21일 00:37서울 사는데 부동산 버블 소리를 20년 들었음. 결국 오긴 오겠지만 언제 옴? 5년전에 집 산 애들하고 안 산 친구들하고 넘사벽으로 벌어졌는데..
주식하는 대리기사 123
2020년 3월 21일 16:57세상이치는 상식이다.
부동산은 당연히 떨어진다.
그게 언젤지 모를뿐..
용산토박이 112
2020년 5월 14일 16:37결국 서울 중심지 집사야 되네
@ks3350 94
2020년 3월 24일 01:14그래도 서울에서 금싸라기 땅은 계속 가지고 있을걸 일본을 봐도 비싼 지역은 계속 가드라
@hidae001 87
2020년 3월 22일 08:09일본이나 한국이나 입지좋은곳은 떨어지지는 않는다는말
마이클셈벨로 81
2020년 3월 31일 13:04이래서 선거가 중요한겁니다.. 건설로 경기부양 하자는 세력 좀 이제 그만 찍어요
@supermota6655 80
2020년 3월 21일 23:08울나라 총인구 정점찍고 올들어 벌써 5천명 이상 줄었네요.. 바람이 바뀌면 금방 공기가 달라질 듯.
@오렌지후TV 74
2020년 3월 21일 17:50애초에 위치좋은 헌집사야지 뭐
@K부동산월드 65
2020년 3월 21일 19:15일본 지방공항과 한국 관광객의 관계가 그러한 관계로 이어져 있는지 처음 알았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부동산(주택) 가격은 시간이 어는 정도 지나면 도심 중심부와
도심 외곽지역이 양극화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갑니다.~
<< 쉽게 배우는 부동산투자 >>
신영웅 65
2020년 4월 03일 19:44폭락할듯이 아니라 폭락해야죠~
돈 좀 벌었다고 꽁으로 단합해서 부동산 버블로 돈 벌려고 하는데...
진짜 집 필요한사람~
열심히 일에 집중해야할 인재들 집걱정 돈걱정 없이 일할 수 있는 분위기 만들어줘야 국가에 거 보탬이 되죵~
손강철 61
2020년 3월 21일 23:49다 아는 애기지만 시기를 모르니.. 그리고 누구나 살고 싶은 집은 안 떨어진다
@아마루아-z7r 56
2020년 7월 01일 19:52인구는 계속 줄어드는데 요즘도 계속 집을 만들고 있지 근데 집값이 안떨어지는게 이상한거지 거품이란 이야기야
@소식하는남자들 49
2020년 3월 24일 13:39미래는 신의 영역인듯요 ㅎㅎ
아무도 예측하지못하지요
@노스텔지아-n4e 47
2020년 3월 21일 17:35부동산시장은 절대적으로 의견에 공감합니다.
@노구리싹싹이 45
2020년 7월 07일 00:243개월미래에서왔습니다 아파트값 폭등중입니다 경기도 용인 수원 남양주 다산 별내10억아파트 됐습니다
@bskpjw 42
2020년 7월 12일 22:15우리나라는 다를거다.
전문가들도 정부가 아무리 규제책을 내놔도 집값은 잡을수 없을거다.
이런식으로 이야기들 하는데 과거 일본도 똑같았음.
10년후라면 위의 얘기가 맞을지 모르겠는데 20년 후라면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이 성인이 되는 시기다.
인구가 반토막이 된다는 이야기..
과연 집값이 올라갈까?
아니 그전에 그 반토막난 인구에서 집을 살수있는 능력이 되는이가 몇이나될까?
수요가 없으면 떨어지는게 시장원리다..
다까 TV 41
2020년 3월 22일 13:10게속 올라갈순없죠...더군다나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저출산에...ㅎㅎ
TJ Park 40
2020년 3월 21일 17:19틀림없이 그렇게
일본처럼 될것이다 !!!
그렇게 안된다는 논리적
설명이 불가능 하니까.
@San-gr3vl 37
2020년 3월 30일 20:27덕분에 하나 깨닫고 가네요.
부동산도
새집이시간이 지나서 헌집이 되면
가격이 떨어져야 맞는거라고...
새차가 시간이 지나 중고차가 되면
차값이 떨어지는 것처럼.
Myung Heo 36
2020년 8월 10일 02:04분명한 사실은 서울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집값이 제일 마지막에 떨어진다. 반포에 20억 짜리 아파트가 8억되면 수원에 있는 6억 아파트는 이미 똥값 그래서 죽어라 강남에 아파트 사려고 난리를 치는거다
@이고운-u4t 36
2020년 3월 21일 18:15결국 부동산 가진 사람 마인드 '내 것만 아니면 돼'
용사 35
2020년 3월 21일 18:04우한폐렴 계속 못잡고 1년이상 가면 디플레이션 올테고 하면 당연히 집값부터 작살남 그럼 외곽부터 박살날테고 알아서 각자도생합시다 ㅋㅋ
Beyond The Sky 35
2020년 3월 22일 14:05이미 그래서 양극화가 진행중인겁니다. 일본이라도 오르는곳은 계속 올랐습니다.
김원철 32
2020년 3월 21일 20:54한국에 모든 국민들이 이 영상을 다 보아야 한다.
@DariAlbes 32
2020년 3월 21일 17:08물건이 닳았으면 가격이 내려가는게 상식인데
한국 부동산 시장이 비정상이었어요
이제 내려갈일만 남았습니다
비정상이 정상으로 간다고해서 이상한일도 아닙니다
막차를 탄 누군가는 희생양이 될수밖에
민준박 30
2020년 3월 21일 22:09지금 강남 아파트 26억짜리
20억에 나와도 안팔린다.앞으로
경제위기 오면서 사업하는 사람들
현금 딸리면 아피트 죄다 팔고
사업망하면서 경매들어 가면서
집값 미치도록 빠질꺼다.
허장수 26
2020년 3월 26일 03:25막차타는분 분명 쫄딱망한다
@자스민-r5i 23
2020년 3월 22일 11:18이번에 애 학교보내면서 놀란게요..
제때는 11반까지 그것도 오전오후 나눠서 학교갔는데 지금 애 학급반수가 4반..
그것도 제때는 한반에 50명 넘었는데 지금 아이들은 25명 남짓이예요.. 제나이 30대후반요~
still me 22
2020년 3월 23일 20:25집값이 너무 높죠.... 한사람이 너무 많은 집을 가지구 있으니.....
@sungwonchoi9326 22
2020년 4월 15일 01:56이 영상 철썩같이 믿고 무주택 10년 후 다시 이 영상 봐주시길 바랍니다.
@김지훈-q9b 21
2020년 4월 23일 02:05부동산 폭락 올수밖에 없는거 아닐까요? 지금 20대.30대 분들 결혼? 출산? 누가 하나요? 이 미친 나라에 결혼.출산 할사람 아무도 없어요. 부동산은 인구하고 연결될수 밖에 없는 구조에요. 사람이 있어야 사고 팔고 하는데 자연스럽게 인구감소 오면 부동산 남아날텐데 당연히 폭락 오죠.
JE 21
2020년 3월 21일 20:3309:49 뼈 때리는 김작가님 ㅋㅋㅋ
이해하기 쉬우라고 본인 예를 드셨다가 멘붕ㅋㅋㅋ 잔인한 작가님...ㅎ
김희민 19
2020년 5월 30일 11:04서울에 살아야겠네
PLANNER TP 18
2020년 3월 21일 20:52김작가님 중간에 팩트 빵빵 ㅋㅋㅋ
Byron Kang 18
2020년 3월 24일 10:25투자는 작가가 아니라 돈 벌어 본 사람에게.
Moon Rich 18
2020년 3월 22일 14:01비정상적인 집값은 더 내려가야 됩니다
실거주 목적으로만 사는걸 외국처럼 어릴때부터 교육시켜야 됩니다
@ulmagonandnya2690 17
2020년 3월 22일 14:21한국 부동산은 일본처럼 평당 10억 했던적이없어요.거품이었던적이 없는데. 어떻게 거품이 꺼집니까.
강남 한군데가 평당 1억 됐다고 놀라구들 계신데.
일본은 말씀데로 평당 10억했던. 1/10 됐다는 곳이 현재 평당 1억이 훨씬넘어요. 그리고 오르고 있습니다. 일본 거품경기 때 평당 10억이 이상한 가격이예요. 다마신도시는 한국 분당이나 일산보다 훨씬 먼곳이에요.
그리고 초고속 전철이 없어요.
그나마 있는 느린 전철이 가격은 비싼데.
출퇴근시간이 왕복 3시간 걸려요.
한국은 이미 신분당선 같은 준고속 전철이 있고 현재 표정속도 110km GTX 가 착공했고 공사 중입니다. 광화문, 강남 출퇴근 시간이 30분 대로 바뀝니다.
어떤 분들은 무임승차 말씀하시는데.
GTX는 노인 무임승차가 없습니다. 한마디로 기존 무임승차 하고있는 전철노선은 승차료인상 등이 가능하지만.
GTX는 급격한 인상이 불가능한구조예요.
GTX 가 ktx 같은 장거리 용이고 비싼 열차가 아니냐고 말씀하시는데.
아닙니다.
GTX는 출퇴근용 초고속 전철이예요.
좌석배치와 한번에 수송인원도 기존전철과 비슷합니다.
출퇴근시간에 6분당 1대 꼴로 옵니다. 가격도 일산에서 강남 삼성동까지 정기권으로 2400원입니다. 이돈으로 일본은 전철 탈수나 있나요?
한국은 신분당선,gtx,월판선,신안산선, 동탄선,s-brt 등 광역교통망이라는 일본이 부러워할 전무후무한 교통망이 생깁니다.
이렇게 일본의 실패를 거울삼아 일본과는 다르게 움직이고있습니다.
한마디로 부동산 거품을 만들 수가없는 구조고 그렇게 가고있어요. 현재가격이 정상입니다.
그리고 한국은 일본 처럼 거품경기였던적이 없습니다.
맞지않는 정보는 사람들에게 잘못된 선택을 하게하고 후회를 줍니다.
일본의 실패를 참고할만 하지만 단순한 대응은 하지마시길...
@cigarno.3y156 17
2020년 10월 02일 19:23대한민국 대학교 입학 정원이 50만이 넘는데 2019년 신생아 총 수가 30만을 간신히 넘었습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더 심해서 20만이라도 넘으면 다행이라고 하네요. 19년생이 대학갈때쯤엔 지방대 절반이상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겁니다. 그 인원이면 회사, 자영업이 절반 이상 사라지는건 물론이거니와 여성까지 싹다 군대보낸다 해도 제대로 된 자주국방도 안됩니다. 그런데 부동산? 서울 외각에 모든 신도시의 고스트 타운화는 이미 정해진 미래에요.
@zitnbit 16
2020년 3월 22일 22:58우리나라가 작년 11월부터인가 인구수가 줄기시작했죠? 이제 진짜 장담못해요...
@LEE-uk8gy 16
2020년 10월 29일 10:441. 입지좋은곳은 안떨어진다.
2. 인구절벽과 인구구조의 변화로 인해 부동산 가격 폭락은 필연적이다. 유사한 예시가 일본이다.
띠아 15
2020년 3월 21일 21:08이미 일부 지방도시들은 인구 감소문제가 심각하다고 하더라구요
B B 15
2020년 6월 25일 15:23할아버지 할머니사는 역세권 소형은 안떨어진다는 말씀
@구글러-t2e 15
2020년 3월 30일 00:34일본의 전철을 따라가는것 뿐 아니라 절대인구감소에 사차산업혁명이라는 변수까지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로 바뀌는 중
@기모기모-j7e 15
2020년 3월 23일 16:20부동산 불패라고 하는데 논리적으로는 떨어질 수밖에 없긴 함
@yeshua7227 15
2020년 3월 21일 20:51재테크로의 부동산은 앞으로 메리트가 없어지겠네요..!
항상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와이낫-g7n 15
2020년 3월 26일 08:00떨어져요..
꼭..
@ghj5249 15
2020년 8월 29일 16:44다른나라보고 뭐든 그대로 받아들이거나 피해선 안됨 나라마다 조건이나 상황이 다르기에...
일본은 내수가 가능한데 우리는 안됨. 훨씬 더 신중해야됨
JW LEE 14
2020년 3월 22일 18:40말씀 참 차분히 잘하시네
hyukran kwon 13
2020년 3월 21일 18:28교정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진진진 13
2020년 3월 21일 19:30좋은 말씀과 방향제시 감사드립니다
Diorlson Rio 13
2020년 10월 09일 05:29ㅋㅋㅋㅋㅋㅋ 일본처럼 폭락한다는 말 기억나는 것만 떠올려도 2000년대 초반부터 지금까지 20년 가까이 들은 거 같다
‥뽀리‥ 12
2020년 3월 24일 16:22저도그런생각 문뜩했었어요
맞는말씀요‥폭락은 시간문제죠‥‥‥
@낭만알파카 12
2020년 6월 15일 15:51이렇게 보니 부동산 중심 성장은 미래세대의 고혈을 빨아먹는 짓이라고 느낌이드네요
물론 기업이나 편의시설이 몰리면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지만 따로 그린벨트 같이 주거지역을 정해서 가격 상한선을 구역마다 두면 좋을것같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각 세대별로 들어올수 있는 비율도 제한해놓으면 공정할듯
@후쿠오카사랑별 11
2020년 7월 01일 10:20좋은 내용이네요.
한국도 일본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합니다.
이미 인구 절벽은 시작되었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대비를 해야 하는데 명확한 답이 없다는게 답답할 노릇이죠.
한국은 서울, 서울 중에서도 일부 지역에 인프라와 교육 인프라가 몰려 있기 때문에 그 지역의 부동산은 금방 꺼지지는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지금 같은 출산율로 10년, 빠르면 5년 정도 지나면 막으려고 해도 문제가 스멀스멀 새어 나올 거에요.
그래서 투자를 할 때 자산 배분과 안전자산 확보가 앞으로 더 중요해질 거에요.
@zerg4me 11
2020년 7월 25일 11:29서울 염창초, 은혜초 애들이 없어서 폐교 중 입니다. 각박해진 사람들이 애를 더 많이 낳을까요? 향후 20년... 서울에도 빈집들 많을 겁니다.
스페셜 레이블 Special Lable 11
2020년 3월 22일 00:21오와... 어디서도 듣지 못한 이야기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책 사서 더 봐야겠어요 ^^
carrotpig1977 10
2020년 3월 23일 00:12코로나 여파로 경제가 망가져 내년 태어날 아이들은 더욱더 줄어들거고... 부동산도 뻔하지..
제이아르 10
2020년 3월 21일 17:332017년에 8.2대책후 TV에서 일본부동산 시장에 대한 다큐를 봤어요 대출금액보다 집값이 너무 떨어져서 도쿄를 제외한 타지역의 집은 공시율도 높았어요 그래서 저희는 서울로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우리나라도 제2주택세금비율을 높인다고해서 그때 경기도 오피스텔,아파트팔아서 전세끼고 서울입성했죠 그당시 친한언니가 옛말에 애엄마가 주식시장 나오면 끝물이라며 비웃기까지 했어요
제가 하니까 끝물이란거죠 그래도 저희는 17년10월 서울에 주택을 마련했고 그언니는 사려고 해도 너무 올라서 포기했어요 그후 저보고 잘샀다고 하더라구요 지금도 그때 우리의선택이 맞다고 생각해요 지금은 현금보유와 현물금을 보유하고 있어요 주식으로 지방집한채를 해먹었지만 그래도 꾸준히 노력해서 김프로님이 말씀하신 물질에서 자유로와지는 삶을 계속 도전하렵니다 앞으로도 좋은영상 많이 부탁드립니다 김작가님 감사합니다 👍👍❤
마포당나귀 10
2020년 7월 10일 02:46비트코인 떡상할 때 가즈~아 하던것처럼 요즘도 아파트 가즈아~타이밍인 듯
@arniekimstudios 8
2021년 2월 17일 05:3120년 전만해도 우리가 일본을 따라잡으려면 최소 50년 이상은 걸릴거라했어요. 지금은 10년정도 후면 완전히 추월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bloveletter 8
2022년 12월 20일 20:05이게 2년전 이었네 ㄷㄷ
Ryu Oscar 8
2020년 10월 15일 10:11그냥 놔뒀으면 알아서 떨어질건데
문재인,김현미 선수가 나대다가
폭증 시킨거지요
재들 그만두면 떨어집니다
john Lee 7
2020년 3월 21일 21:33떨어지는 건 기정 사실, 언제 쯤 어느 정도 떨어질 것인가를 논해야 전문가의 영역이지...전문가 맞아?
@trbhwasun 7
2021년 1월 11일 11:35너무 설명을 잘해주셔서 이해가 쉽네요!!
@천장지구-z8q 7
2020년 3월 26일 17:43좋은 설명 잘 들었는데 20년전 일산 3억 7천 ㅋㅋㅋ 3년전에 저돈으로 대출끼고 아파트를 샀어도 10억은 됐는데 전문가도 모른는게 집값입니다
J hoon 7
2020년 8월 10일 15:29인구부족하다고 난민 받아드리고 외귝인들 무조건적인 수용은 제발 지양했으면 한다
그나마 지금이 저녁이 안전한 도시인데
외국인들 무차별적으로 늘어나면 나중엔 우리나라도 서양의 나라처럼 저녁에 밖에 나가지도 못하는 나라될까 무섭다
Shin뽀갱 7
2020년 7월 28일 11:32지방은 급락하고 서울은 폭등한다는 얘기.
자본주의 7
2020년 12월 11일 08:46떨어져?? 집값 고공행진인데 ~~
@youngbokyi8662 7
2020년 6월 23일 12:16설명이 귀에 쏙쏙 박히네요. 고맙습니다.
Ricky 6
2020년 6월 06일 16:26서울시 24-34평대 역세권구입이답
oo m 6
2020년 3월 21일 17:46이미 이번 코로나 이전 부터 일본 따라갈거 많은 일반인들은 예상 했습니다. 그래도 안 떨어진다는 투기꾼들 만 절대 안 그런다 였구요
@richyi.8585 6
2020년 6월 30일 16:03제발 일본하고 비교할때는 85년 프라자합의를 알고 비교 하세요 경제를 모르는 사람은 진짜 속습니다
유럽에 일본처럼 폭망한 나라를 찾아 보세요 유럽 집값이 반 토막 난곳 있으면 알려주세요
집값 떨어진다 반토막난다 20년 넘게 들어 오고 있는 것 같아요
Baracuda C 6
2020년 3월 22일 23:28한가지...
일본 부동산 애기 나오면 대부분의 분들이 버블 전성기 대비 많이 떨어졌다고 하는데 대부분 몇년 전 자료만 가지고 애기해서 완전히 믿을 수가 없네요. 혹자는 도쿄 중심부는 많이 회복한 곳도 있다는데.
yun kim 6
2020년 3월 27일 16:33큰 교훈 감사합니다. 저는 아이를 10명 낳겠습니다.
@Sapwbxu 6
2020년 7월 07일 14:40인구절벽 오면 확실히 공급이 너무 많아 떨어지긴 할듯. 지방은 박살나고 경기권부터 떨어지고. 그나마 서울만 선방
Lazarus 6
2020년 4월 12일 17:46제발 대폭락하게 해주세요! 아멘!
김상우C 6
2020년 7월 02일 13:10솔직히 영상을 끝가지 보지는 않았습니다. 일본의 부동산이 왜 무너졌는지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무조건 거품이 꺼져서 그렇게 됐다고 결과론적으로만 접근하면 오산입니다. 일본은 미국과 플라자합의를 통해서 본국의 통화 가치가 올라가면서 세계 부동산은 물론 다양한 곳에서 엄청난 매입 매집이 있었습니다.
그 와 더불어서 기업의 가치도 올라가서 주식도 상당히 호황이였죠. 이런 상황에서 G7이 일본을 견재하기 위해서 BIS 7% 정책을 가지고 오면서 일본 견재 성공으로 잃어 버린 20년이 온 겁니다. 이런 일련의 상황을 알아야 일본 부동산 얘기를 할 수 있는것 같아요.
인구 절벽 이야기 이제는 너무 식상합니다. 그리고 인구쏠림 현상 및 앞으로 다가올 통일에 대한 이슈 등 다양한 변수가 있어서 예측하기 힘든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uperjyj3103 5
2020년 4월 14일 07:41떨어진다는 말 이미예전에 나왔는데 계속오름 지방아파트값이 4억이상임. 도대체 언제 떨어진다는건지
방위대지구 5
2020년 3월 24일 19:06국내공항 새로 만들자고 하는 정치꾼들은 다 총살 시켜야 돼. 있는 공항을 더 효율적으로 쓸 방법이나 생각해라.
geteasy 5
2020년 3월 21일 21:28일본도 부동산불패고 버블의 정도늠 우리보다 더했죠.. 영원한건 없어요 언제 무너질지는 모르지만 시기의 문제지 무너집니다
매쉬길가 5
2020년 12월 26일 00:30중요한건 집값하락 외치는 사람은 서울에 본인땅 없다는것임 ㅋㅋㅋ
복순이 5
2020년 8월 10일 15:21와우~~이분정확하게보시네~~
아무리미워도 이웃나라와같습니다~~
알림판 5
2020년 3월 25일 19:43아직까지는 있는 분들이 수요를 감당하기 때문에 유지가 되는 면은 있겠지만 그게 언제까지 이어질까, 그게 문제라 보이네요.
상위 10%가 전체 부동산과 예금액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인데 어떤 요인 하나로 와르르 무너지기 시작하면 끝이 없을지도..
이한경 5
2020년 7월 07일 20:53솔직히 부동산 같은거 잘 모르지만 이 영상이 나온지 곧 4개월이 다 되가는데 부동산 정책의 실패인지 먼진 몰라도 지금 집값이 미친듯이 뛰고 있네요. 아직 멀은거 같습니다.
과수원길 5
2020년 3월 21일 18:45대표님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저도 일본 부동산 관련 서적을 어느 정도 읽어서 상당히 공감이 갑니다. 추가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일본 사례에서 미니 신도시가 공동화된 사례는 인구가 5만 이하의 도시 라고 알고 있습니다. 근데 비슷한 한국의 도시로 일산, 판교를 비교하시더라구요. 일산은 인구가 약 60만 정도이고, 판교 인근 인구는 약 15만 정도 된다고 봅니다. 더욱이 판교는 신분당선 영향으로 직장이 많이 밀집해 있는 강남하고 접근성이 아주 양호합니다. 이런 부분에서 너무 지나친 비교가 아닌가 합니다. 절대 대표님 말씀을 비난하는 댓글 아닙니다. ^^ 이 부분의 대표님 의견은 어떠신지요? 강의는 아주 잘 들었습니다. 일본관찰 30년 도서도 구매해서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김칸쵸-e5t 5
2020년 4월 14일 22:58이런분들 덕분에 오늘도 부동산으로 신나게 돈버는분들이 널리고 널렸다는점. 이게 팩트.
禽獸江山 4
2020년 6월 15일 20:18저도 집없지만 부채도 없기에 앞으로 집 걱정은 안합니다.
일단 집없으니 세금 적게 내고 직장 있으니 먹고사는 데 문제없고
나중에 은퇴하면 시골에 널려 있는 집 그냥 주워서 고쳐 살 생각
20년전 강원도쪽으로 자전거 여행을 한적이 있는데 국도변의 신축은 아니지만 멀쩡한 아파트 텅 비어 있어서 충격
김광현 4
2020년 7월 21일 12:20검정색옷입은분 혼혈임?
o RION 4
2020년 6월 18일 17:39아직도 지어대고 있다. 묘자리 옆에 난개발
벌이는거 보면 이나라 국운이 걱정된다
Luten 4
2020년 5월 04일 13:11지금도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데다가 출산율도 계속해서 하락......
일본의 현재 모습이 우리나라의 10~20년 뒤의 미래라는 소리를 어릴때부터 듣기는 했는데 성인이 되고나니 더 실감하게된다......
숲튽훈 4
2020년 7월 23일 02:45꼭 이거보고 무주택 하시기 바랍니다 다들 ㅎㅎ
Aim Master 3
2020년 3월 22일 18:20인구는 줄고 집은 늘고
@youngk3021 3
2021년 3월 21일 14:00공감합니다. 지금 기성세대들 다 생산인구가 늘고 집 값이 오르기만하는 30년을 즐겼는데 이제는 생산인구가 줄고 집 값이 줄어드는 30년이 될거에요. 게다가 우리나라 사람들 평균적으로 은퇴할때 은행 빛 9000만원에 4억짜리 집 한채 달랑 가지고 있어요. 그리고 부동산 재산 비율이 75퍼센트래요. 이러니까 우리는 일본과 다르다고 정신승리만 하는거 같은데 근본적으로 청년들 취직도 안되고 돈도 없고 생산인구는 줄어들기만 하는데 누가 집을 사요? 영끌해서 집사려는 사람이나 이제 은퇴를 앞두고 하우스 푸어 이신 분들은 정신좀 차리시고 30년간의 부동산 호황의 종말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봤으면 바랍니다.
이동건 3
2020년 4월 03일 17:24....일산 ㅠㅠ
야옹이 3
2020년 6월 06일 14:35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홍도현 3
2020년 10월 19일 21:00부동산은 금리와 인구...인구 올해부터 마이너스 금리가 관건^^
부자아빠 3
2020년 7월 25일 06:42빈집 생기면... 상상이 안가네 저출산이 심각하다
Bari_theDog 2
2020년 3월 23일 23:08인구 수가 진짜 짱이에요.ㅠㅜㅋㅋㅋ
공부할수록 깨달아요
아포아프 2
2020년 7월 31일 17:23아이구 집산애들 나주에 버블터지면 난리나겟네:::::
에쎄체인지 2
2020년 5월 10일 14:19안녕! 빡빡이 아저씨야~
곰곰 2
2020년 3월 23일 17:03감사합니다 김작가님^^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2
2020년 8월 01일 02:51아예 부동산 버블을 터뜨리자...
@joonwoo 2
2020년 11월 30일 23:19말씀 흡입력 있게 잘 하시네요..
kimぎす 2
2020년 3월 23일 20:22개발이.멈추는 순간 떨어지기 시작할텐데
솔스타터 2
2020년 3월 22일 18:07경제도폭망하겠내요 ㅋㅋㅋ
Almighty 1
2020년 7월 24일 23:52현실적으로 보면 서울 코어지역은 가격 안떨어질거라고 보고.... 다른 지역은 이분 말하는거 처럼 폭락 가능성 충분...
엑세라민 1
2020년 3월 21일 16:471
톰치즈 1
2020년 3월 27일 00:011단 원전 반경60km 안에 부동산은 거른다.그리고 4개절 바람부는 방향 체크...
SugiHara JK 1
2020년 7월 08일 14:40나도 저 말 믿고 집 안 샀는데 결국은 집산 친구들이 승리자더라...
@hoyadomi 1
2021년 3월 06일 14:14층간소음 심한 아파트가 왜비싼지 이해가 안갑니다 적당한 땅사서 주택 지어서 살
고있는데 고요한 저녁에 꿀잠하는 것만으로도 너무 행복한데 7억 10억 32평 아파트 이해안갑니다 7억이면 멋찐 주택에 살수있는데
이민호 1
2020년 12월 27일 19:04큰평수말고 25,30평정도를 여러개 사야할까요
정민최 1
2020년 11월 26일 11:30https://bb.bank-mall.co.kr:447/simple.asp
뱅크몰에서 저번달에 진행해서 담보대출껴가지구 구입하게 되었는데요
금리 비교해서 제일 저렴한 금리로 찾아주시고 무료이기도해서 좋았습니다 저는 ㅎㅎ
제가 했던 직원분 링크 보내드릴테니까 한번 상담받아보세요~~
록키발보아 1
2020년 3월 30일 11:23일본 전문가이신데 부동산 전문가는 아닌 것 같다. 책도 샀는데 참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ပျော်ရွှင်ပါစေ မင်္ဂလာပါ 1
2020년 8월 10일 06:14지방 소도시는 원래 안사니까 제외
일산. 수원. 화성 이런곳이 폭탄이지만 당장 떨어지진 않을거임. 아마 한 세대는 더 지나야 떨어지지
소령 1
2020년 12월 27일 13:00서울불바다...서울 집값 대 폭락
스윙바이 1
2021년 2월 17일 23:37저기..1년전에이버봤으면 클날뻔했네
백열 1
2020년 12월 13일 17:12분명떨어지긴하겠는데 일본처럼 급격하게는 안떨어지고 시간이 오래걸리지.모기지사태 일본버블사태 다 과도한 대출과 부동산수의 늘림으로 인해 발생했는데 우리나라는 2개다 큰문제는없다
Ho Ya 1
2020년 7월 07일 19:28이런 말씀 10여년 전에도 많이 들었는데요.. 그때도 서울집값 폭락한다고 그랬던거 같아요. 인구가 줄어든다고요? 매년 늘어나는 외국인 유입은요? 일본이 폭락했으니, 한국도 폭락? 일본이 한국처럼 모든 정치,경제,교육이 도쿄에만 밀집해 있나요?
이기훈 1
2020년 11월 21일 15:12폭등했네요 ㅋㅅ
조재훈 1
2020년 7월 30일 11:55세대수가 늘어나서 오를거라는 분들의 맹점. 현재 한국 세대당 평균 평수는 30평입니다. 1인가구 증가로 주택수가 증가할 수는 있지만 그건 신규 주택의 수요가 증가하는거지 기존 주택의 가격 상승혹은 유지랑은 전혀 상관없는 변수 입니다. 집값 상승 혹은 유지 될 가능성이 높은 곳은 강남 뿐입니다. 나머지는 변수가 너무 많아요.
아무개 1
2020년 3월 21일 17:38한국걱정하시기에는 너무 늦은거 아닐까요ㅎㅎ
한국이 이 위기를 넘긴다면 일본과 비교불가의 나라가 되있을것같아요
우선 코로나때문에 미국과도 긴밀히 스왑하는거 보면 한국만 어려운건 아니니까요
다들 존버해봐요
이유찬 1
2020년 3월 23일 15:41와 나 창전동 사는데!! 반갑습니다
정지문 1
2020년 10월 22일 20:06ㅎㅎ
구뜨 1
2020년 6월 15일 15:17인구가 줄면 외곽은 슬럼화!도시집중 현상이~
동편마덤 1
2021년 3월 28일 00:40영상잘봤습니다
@Kimtiger0 1
2021년 6월 20일 17:121년후 가격이두배가 오를지금 이 영상을 보니.....
penopias sisis 1
2020년 8월 11일 13:36이 분은 재테크 실패 한 사람이네요. ㅎㅎㅎㅎ
이 분 말대로 하면 안 될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Seoul v8 1
2020년 8월 23일 21:18미틴ㅋㅋ
@bokdibokdi5719 1
2022년 5월 04일 14:01앞으로 대한민국의 수많은 주택을 받춰줄 인구는 없어집니다. 지금까지는 30대후반에서 40대까지 받춰줄수 있었는데 그 밑으로 인구가 절반도 안됨. 시간이 가면 갈수록 인구는 계속 줄어드는데 이미 집은 넘쳐남. 투기꾼도 수요가 풍부할때 투기하지 앞으로는 부동산에 투기는 이번이 끝물일겁니다. 끝물이 파도가 가장큰 법이죠
Ewa에바 1
2020년 4월 30일 10:29에휴
가는데만 가는데는 계속 갑니다
건강잔소리 1
2020년 5월 16일 19:47앞으로 인구는 계속감소하고
인공지능부터 무인자동차
택시운전 기사없이
사람의 일자리가 조금씩 없어지고
결혼은 잘안하고 대신애완견은
늘어나고 공부도 인강샘이랑
영상보고 공부하고
로봇이 서빙하고
음식 무인주문하고 톨게이트도
하이패스 직원이필요없고
집들이 남아돌겠네요..
결혼한다고 신혼집도많이
구하지도 않고
나이들면 노인들은 늘어나고
교수님 말씀 공감가요...
일본을 보면 미래가 보입니다
다만 일본을 참고해서 보완하면 우리나라는더잘될거라 믿습니다
희망부동산TV
2020년 4월 08일 11:28인정받고 유익한 그리고 끝없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유트브채널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희망부동산TV 허병구공인중개사
illuha
2020년 4월 07일 23:59코로나이후로 우리나라로 다시 들어오는 인구유입도 생기면서 인구수도 조금은 늘어날거라 생각한다.
공돌이
2020년 7월 28일 23:06그러나 우리가 일본과 다른점은 원화가치는 오히려 낮아지거나 변하지 않는 수준이란 겁니다. 거의 10년 동안은 부동산이 폭락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 이후에는 수요의 하락이 눈에 띄게 증가해 하락할 것입니다.
김가브
2020년 4월 12일 15:06진짜 부동산 폭락 원인은 인구감소. 출산을 하고 싶은 사회를 만들려면 복지, 임금올리기(기본소득,최저임금 올리기),부동산은 주거용으로만. 다 연결되네요
동유
2020년 3월 21일 22:48많은 생각을 하게됩니다.책 꼭 읽어 보겠습니다.
추츄
2020년 8월 13일 06:54폭락무새네 ㅋㅋㅋㅋ
멀봐너봐
2020년 9월 09일 14:02어렵다~
lll i
2021년 3월 04일 11:41아직은 폭락을 안했네 ㅋㅋㅋㄱㅋ
jaesuk yu
2020년 8월 04일 09:19ㅋㅋ
psalvation
2021년 6월 01일 02:31문ㅅㅂ 덕임~
jigukbap Deh
2020년 6월 07일 11:12무주택 거지들 특 :응 부동산폭망~ㅅㄱ
Paul Kim
2020년 10월 19일 14:4710:00 하이라이트
고모도도마뱀
2020년 8월 14일 20:59궁금한게 버블이터지고 아파트값이 떨어지면 집없는사람들이 집사는게 좀더 수월해지나요?
rian lee
2020년 4월 23일 22:31재개발 완화를 서울 외곽으로만 해주면 서울에 집중된 투기가 빠질수 있는데
예로 용인, 과천, 송도, 파주, 세종, 부산, 대구등은 지역 경제잖아요 이런쪽은 어느정도 재개발을 완화해서
전국의 질적 공급을 올려도 좋을텐데
그럼나는 꿈에 그리던 마당있는 주택사서 지방 가겠슴
Bring it on
2021년 6월 22일 12:03떨어지는곳은떨어지지만 오르는곳은 훨씬더오르고있다. 다른의견가진분들의견도많던데
So Lee Kim
2020년 7월 24일 13:37인구는 줄지만 세대는 분리 되고 시장은 점진적으로 개방될 것 같아요.
cjnkh jh
2020년 8월 28일 16:53영끌 들은 용감한게 아니라 무개념인듯. 고수들은 좋은거 남기고 다 팔았는데 패닉 바잉이라니ㅠㅠ
회사가취미이고싶어
2020년 3월 22일 22:39이런얘기 계속 해도.. 오를건 계속 오르고~ 우린 계속 살아가야하고~ 어차피 집 장만 못한 부부들은 집 걱정 하는건 마찬가지이죠~
뇨잉
2021년 2월 24일 17:20언제 떨어질지도 모르는데 그날을 기다리면서 아무것도 안하고 등기 한번 안 쳐보고 월급 열심히 모은 사람이 아마 부동산 대폭락하면 훨씬 더 타격이 심할겁니다.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해서 문제가 커질것 같으면 결국 정치인들은 이민정책을 더욱 활발하게 펼칠거고 그러면 당연히 치안도 나빠질거고 치안이 좋은 상급지의 가치는 더욱 올라가고 부동산이든 뭐든 폭락만 기다리며 산 사람들은 상급지 입성한번 못하고 끝날거에요.. 그냥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지금 미국도 출산율이 높은데 그거 다 이민자들이 높인거잖아요
윤정노
2020년 8월 11일 16:47절대 부동산이라는 게 예측하는 것처럼 간단하지 않습니다. 일본도 오히려 도쿄나 주요도시는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도심화가 진행되면서 시골이나 외곽지역은 돈줘도 안사지만 도심 집중화현상 소형과밀집화가 생기면서 기존의 도심은 계속 유지한채 꾸준히 오른다에 무게를 둡니다 저는
J hoon
2020년 8월 10일 15:24도쿄도만 해도 땅덩이가 엄청큼
길이로만해도 80키로정도됨 근데 서울은 그렇게 크지 않기때문에 그나마 서울은 나중에 부동산 폭락이 가시화되더라도 그 피해가 그리 크지는 않을듯
장미
2020년 8월 18일 11:26일본은 도시쪽보다 시골쪽이 훨씬더 매력있음.자연도 아름답고...
자갈
2020년 11월 01일 21:12댓글 보니 왜 지금까지도 자기집을 하나 사지않고 있는 사람들이 이렇게나 많은지 이해가 가네
그리고 일본에서 수십년 살면서 부동산쪽 경제를 전혀 이해못하는 허접한 일본만 전문가인 사람의 말을 듣고 환호하는 수준이라니...
불쌍하다...
야구리
2020년 7월 08일 23:06반대로 얘기하면 서울 역세권 입지 좋은 곳 사면 안떨어진다는 소리네요 ㅋㅋ
eta Y
2021년 2월 16일 17:08당연하다 ....물릴 일만 남았다 ....
키위
2020년 6월 19일 20:28절대 안떨어집니다.
Kakaruss
2020년 10월 14일 03:33결론 : 버블꺼질때 도쿄는 안떨어졌고 도쿄외곽이 떨어졌다
좋은미교
2020년 8월 10일 15:25인구가 줄어 부동산 수요가 줄어들 수도 있겠죠...
근데 한가지 예전과 다른 점이 있습니다.
바로 1인 가구의 폭발적인 증가세입니다.
염 박사님은 가족들이 모여사는 것을 전제로 말씀하고 계신데, 예전처럼 대가족을 이뤄 모여사는 것이 요즘에는 별로 없습니다.
평균적인 4인 가족이라고 하더라도, 아이들이 성인이 되고, 기회가 된다면, 굳이 결혼하지 않더라도 나가서 따로 사는게 대세가 된 요즘인지라 주택 수요는 여전히 많습니다.
지금 걱정할 것은 주택 수요가 떨어져서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어쩌나?? 가 아니라, 인구가 줄어 일할 사람들이 줄어들고, 반대로 노인 인구가 많아지는 것이 더 중요해진 시대라고 생각됩니다.
Kenny Kim
2020년 12월 18일 07:078:40 여기 부터 스토리가 이상한 방향으로 가는군요.. 할머니, 할아버지가 살 동안 아들 내외, 손자 장가간 부분은 또 집이 새로 필요한데...
leica73
2020년 9월 05일 16:29판교는 테크노밸리 1, 2 자체 자생력이 있고 강남 최근접이라 거품이 안꺼질겁니다..
최프만더
2020년 8월 21일 17:47일본처럼 장기불황에 디플레이션 오면 우리도 그렇게 되겠죠
sjsjsjenne
2020년 12월 16일 11:27적당한 규제만 하면 저절로 떨어질걸 강제로 꺽을려고 하니깐 집값이 더 반발하죠...
정부가 부동산을 너무 급하게 잡을려고 하는게 문제 ㅎㅎ
장기적으로 보면서 규제 했어도 지금같은 꼴은 면했을듯
집값폭등에 전세난에 서민들 다 죽는다 대출안돼서 집도 못사고 에효ㅋㅋ
이용가리
2021년 1월 26일 06:49우리나라는 집값 거품 제거를 해야 한다 주거목적이 아닌 투기해서 돈을 벌자 목적이다 집값 잡아야 한다
Ryuhwan Lee
2020년 6월 11일 03:06정부도 이제 잡히지도 않는 부동산 자연스럽게 놔두고 중소기업 투자와 기초소재분야에 주목해야한다.
그래야 서민들 모두가 잘먹고 잘살지. 왜 괜한 부동산은 종부세 쳐맥여가면서 건들였다가 집값띄우고...
미통당이든 민주당이든 그런발상을 할 정치인, 인재가 없는게 너무 안타깝다.
집값은 자연스럽게 놔두면 떨어진다. 투기와 거품도 어떻게보면 자본주의사회에서 어느정도 용인이 되는
일정한 투자형태인거다. 그 것을 무조건 나쁘다고 하면
지금으로써 외치던 갓물주 조물주 꿈을 꾸는 것 조차도 불가능한거다. 그럼 젋은사람들은 도대체 무엇을
위해 희망을 갖고 살겠나. 어자피 집을 가져도 세금으로 다 조지고, 집 없어도 못살고.
지금 정부는 잘사는 사람 못사는 사람 >>> 모두가 못 사는 사람으로 만들고있다
극딜자막러
2020년 12월 30일 16:17팩트) 그때 집 안산사람들 지금 다시 그때로 돌아가면 무조건 살려함 ㅋㅋㅋㅋㅋ
김주영
2020년 7월 14일 23:13자산으로서 당시 일본 부동산 가격 버블은 현재 한국 부동산 가격과 비교할수없을 정도로 높았습니다.
김수정
2020년 5월 29일 18:09인구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그만큼 외국에서 고급 인력이 들어오게 하는 것입니다. 짐 로저스가 일본에게 조언했듯, 일본처럼 이민자에게 배타적인 입장을 취한다면 부동산 뿐 아니라 일본의 다른 모든 문제를 우리도 떠안게 될 것이고 이민자를 포용하여 다인종 국가로 변화하면 싱가포르처럼 인구문제 위기를 기회로 삼게 될 것입니다.
고동필
2020년 6월 09일 00:09생산가능 인구가 2018년인가 19년인가 부터 고점 찍고 내려온다고 하던데요~~
아무래도 일본처럼 될 확률이 높아보이네요.
뭐 강남 같은데야 크게 손해 보질 않겠지만~~외곽쪽은 걱정이 많이 되네요.
이에스비다
2020년 7월 26일 10:29이 동영상을 또 여러군데에 알리겠습니다.
Sungwon Choi
2020년 4월 15일 01:55100퍼 맞는 말이다. 다만, 서울은 예외다. 서울은 적어도 떨어지지는 않는다. 인구줄어들어도 과거와 달리 1인, 2인, 4인이하 가구는 더 많아 지고 있다. 특히, 서울에 직주근접, 학군, 역세, 숲세는 오히려 오를듯. 괜히 투자한답시고 경기도 GTX, 2기 3기 신도시 기웃거리면 폭망이다.
찬이
2020년 7월 07일 00:15ㅋㅋ 부동산 떨어질건 보이는 미래인데 언제 떨어질지만 모를뿐인거지
Scale
2020년 6월 09일 18:13국가가 화폐가치를 유지해야 하는전제조건이죠
주식배당세라도 없애야 돈이 주식으로가는데 주식은 투기성이고
어디에 투자할곳이 있나요
그나만 부동산이죠 그리고 일본은 지진때문에 집을 살필요가없죠
강하리
2021년 2월 21일 12:28저 교수님 말씀 정말 잘하신다 속이 다 시원하네 ㅎㅎ 투자는 장기적으로 봐서 진입하는 겁니다 부동산은 조심해서 접근 하셔요~~10년뒤 얼마나 인구 줄어들지는 아무도 모름
절식남
2020년 5월 19일 21:41우리나라는 지금 일본을 답습하고 있어서
잃어버린 30년까지 답습할까봐 그게 걱정입니다
Jung yu Kim
2020년 7월 06일 20:01도쿄에 멀쩡한 집구하기 힘들죠 젊은 사람들도 월세개념으로 사는 경우도 많고
정말 인구 줄고 하면 강남은 철옹성이 되겠죠😢
타조삐
2020년 7월 13일 03:59폭락하겠죠. '언젠가는'요
다만 역사적으로 볼때 인구 1000만넘는 메가시티의 집값은 역사적으로 떨어진적이 없습니다.
경제위기로 인해 아주 잠깐 꺽인적은 있어도 항상 장기적 우상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