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채권이 많이 빠진거 아닐까요? 한때 4.6% 까지 올랐던 한국 국채 10년물이 이미 3.4% 까지 떨어졌어요. 앞으로 다시 초저금리가 올 가능성이 희박해 보이는데요. 많이 떨어진다 봐도 2%, 또는 2.5% 정도 아닐까 싶은데요. 그러니 이미 떨어진 금리가 1.2%, 앞으로 떨어질 여력이 0.9~1.4% 정도.... 이미 반타작이 난 상황인거 같아요. 뭐 그거라도 어디냐 싶긴 하지만... 연준 아재들 말이 금리를 단기간에 하락시킬 거 같진 않고, 상당기간 고금리를 유지할 거라기에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채권'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현재 외국인들의 순매수 규모가 매우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저는 국내 채권의 전망이 좋을 것으로 이야기 드렸습니다.
국내 채권은 안전 자산의 한 종류인데요, 여러분. 내년 상반기까지는 안전 자산의 비중을 높이셔서 투자하셔야 내년 안정적으로 좋은 수익을 내실 수 있습니다. 시기에 맞춰 새롭게 론칭된 제 [안전자산 VOD]를 하루에 한 번, 한 달만 들으셔도 내년 투자에서 빛을 보실 겁니다.
박사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예전 영상부터 계속 채권 영상 보면서 궁금했던 내용인데요, 올해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한 후 현재 상승속도가 조금 줄어들긴 했지만 내년에도 금리 인상 기조는 조금 더 갈 것으로 보여지잖아요. 현재보다는 내년 중순정도에 채권을 사는게 가장 채권 가격이 낮을 때 살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아니면 지속된 금리상승을 못이겨내고 부도 기업이 많아지거나 경제위기가 심화되어 채권 가격이 더 큰 폭으로 떨어질 때) 굳이 내년이 아닌 지금부터가 적기라고 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어떠한 이유가 있을까요?
선물은 청산 과정이 없어서 개인들이 투자하기엔 변동이 큰 손실상품으로 압니다만? 모르시는 분들은 가격이 떨어져도 버티면 쿠폰가를 받고 청산 받는줄 압니다. 선물을 일반 채권처럼 설명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모르진 않으실텐데??? 그리고 지금 연준의 금리 인상이 1% 상승도 남지 않았는데..지금 채권이요? 그것도 선물로요?? 이게 맞아요?
채권에 관해 저도 몇개 봤는데요. 채권은 몇% 이자를 주는지와 매일 변동하는 채권 자체 가격 이 두가지를 보는데요. 국채와 지방채는 경제가 좋고 주식이 활황이면 가격이 떨어지죠. 반면 인기가 없으니 싸게 살 수 있죠. 반면 회사채는 주식과 같이 활황이면 잘 팔리고 가격도 올라갑니다. 즉 국채와 회사채는 거의 반대로 움직이죠. 그래서 채권투자 적기다 이런 말은 틀린 얘기입니다. 회사채의 경우 향후 경제가 암울하다면 가격이 폭락합니다. 물론 만기까장 들고 있으면 이자도 주고 만기에 원금도 돌려 받죠. 금리가 올라 이자는 많이 주겠지만 가격폭락과 자칫 부도위험이 높죠. 그래서 각자의 향후 경기전망에 따라 국채냐 회사채냐 다를 수 있구요. 이자만 받는다면 1%의 추가수익을 위해 부도위험을 감수하겠다 그냥 예금하겠다 등 달라질 수 있죠. 글고 채권은 금리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죠. 보통 1% 정책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10%쯤 올라간다고 들었습니다. 향후 본인의 금리전망에 따라 투자시기를 결정하는 것이구요. 금리가 떨어져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영향과 암울한 경제상황에 따른 가격하락 요인이 같이 병존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겠죠. 누가 더 힘이 쎄냐 우량채냐 덜 우량채냐 따라 각각 영향이 다르겠죠. 이처럼 경기와 금리 국채냐 회사채냐에 따라 영향을 받으면서 채권가격과 채권금리가 변동하는 거죠. 갠적으론 향후 경제가 암울하고 곧 금리가 꼭지기 때문에 회사채는 위험하구요. 국채를 사서 불경기와 금리하락에 따른 가격상승을 노리는 것이 맞다구 보이구요. 쥐꼬리 같은 이자엔 상당히 열을 받으셔야 불황을 뚫고 5년 이상 지나 금리 인하기에 웃지 않을까 예상합니다요ㅋ 대신 세금 빼고 이자 3% 남짓한 국채 5년 이상 갖고 있으면 가격이 찔끔찔끔 올라가겠죠. 회사채 들고 매일 회사 부도 뉴스에 가슴 졸이는 것보단 낫지 않겠어요! 곧 창궐하는 부도 뉴스에 용감하게 회사채에 투자하는 사람은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는 숨은 애국자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복이바다 15
2022년 12월 19일 19:59이미 채권이 많이 빠진거 아닐까요?
한때 4.6% 까지 올랐던 한국 국채 10년물이
이미 3.4% 까지 떨어졌어요.
앞으로 다시 초저금리가 올 가능성이 희박해 보이는데요.
많이 떨어진다 봐도 2%, 또는 2.5% 정도 아닐까 싶은데요.
그러니 이미 떨어진 금리가 1.2%, 앞으로 떨어질 여력이 0.9~1.4% 정도....
이미 반타작이 난 상황인거 같아요.
뭐 그거라도 어디냐 싶긴 하지만...
연준 아재들 말이 금리를 단기간에 하락시킬 거 같진 않고, 상당기간 고금리를 유지할 거라기에 걱정입니다.
@blackspaw 13
2022년 12월 19일 19:44ETF 중에 헷지된 미국 채권도 있고, 이번에 나온 만기가 정해진 1~2년짜리 만기 채권 ETF도 있는데요, KODEX 10년 국채 선물을 추천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chunukhong 8
2022년 12월 19일 18:34🔒저의 온 힘을 다한 '안전자산투자' 인강이 출시되었습니다.
이번주에 모집이 마감될 수 있으니 바로 신청하세요.
https://bit.ly/3FZlMzc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현재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채권'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현재 외국인들의
순매수 규모가 매우 커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저는 국내 채권의 전망이
좋을 것으로 이야기 드렸습니다.
국내 채권은 안전 자산의 한 종류인데요,
여러분. 내년 상반기까지는 안전 자산의
비중을 높이셔서 투자하셔야
내년 안정적으로 좋은 수익을 내실 수 있습니다.
시기에 맞춰 새롭게 론칭된 제 [안전자산 VOD]를
하루에 한 번, 한 달만 들으셔도
내년 투자에서 빛을 보실 겁니다.
저, 홍춘욱의 안전자산 투자하기의 모든 과정에 대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
전화 : 1833-2295
카톡 : http://pf.kakao.com/_MQUfs
@존나카리스마있어-s4q 7
2022년 12월 19일 21:48지금 허리까진 온 상황이라 손해는 안보겠지만 큰수익은 힘들거라생각합니다.
@예측불가능 7
2022년 12월 26일 18:55이분 추천할땐 잘 둘러봐야됨
@hyeonwooyang7110 6
2022년 12월 19일 23:03박사님 항상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예전 영상부터 계속 채권 영상 보면서 궁금했던 내용인데요, 올해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한 후 현재 상승속도가 조금 줄어들긴 했지만 내년에도 금리 인상 기조는 조금 더 갈 것으로 보여지잖아요. 현재보다는 내년 중순정도에 채권을 사는게 가장 채권 가격이 낮을 때 살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아니면 지속된 금리상승을 못이겨내고 부도 기업이 많아지거나 경제위기가 심화되어 채권 가격이 더 큰 폭으로 떨어질 때) 굳이 내년이 아닌 지금부터가 적기라고 하시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어떠한 이유가 있을까요?
@라누-n4j 4
2022년 12월 20일 20:40추천하고 하루만에 폭락--
@반칙왕김판사 3
2022년 12월 23일 17:02선물은 청산 과정이 없어서 개인들이 투자하기엔 변동이 큰 손실상품으로 압니다만?
모르시는 분들은 가격이 떨어져도 버티면 쿠폰가를 받고 청산 받는줄 압니다.
선물을 일반 채권처럼 설명하는건 아니지 않습니까? 모르진 않으실텐데???
그리고 지금 연준의 금리 인상이 1% 상승도 남지 않았는데..지금 채권이요? 그것도 선물로요?? 이게 맞아요?
@buzzan 3
2022년 12월 19일 21:08지금 채권 시장은 아래로 -10% 위로 +10% 정도 보는 중간 포지션이 아닐까요?
@phper19 3
2022년 12월 19일 23:070:43 국채선물에 이자?? 잘 모르겠습니다. 언제 채권선물 이론가 계산하는거 쉽게 설명 부탁드려요.
@엄마옷 3
2023년 1월 02일 22:58귀신같이 고점이었네 ㅋㅋ
@hoyapharm 2
2022년 12월 19일 20:47감사합니다.
@user-oj4dx9um7l 1
2022년 12월 22일 17:17투자 3분법으로 투자중입니다. 1월에 리밸런싱을 할 예정인데, 국내채권을 넣고 4분법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미국채+한국채로 채권비중을 유지할까요? 아니면 투자 3분법 외로 투자를 하는게 좋을까요?
@박찬하-l2q 1
2022년 12월 23일 10:15추천해주신 KODEX 10년 국채 선물에 대해서도 설명해주세요~
@Zinedine-Zidane 1
2022년 12월 27일 15:49국채4.6 때 뭐하고 이제와서 늦어 늦어 그냥 상황에 끼워 맞추는 느낌 매크로는 선행해서 움직여야하는데 너무 늦음요
@M달영 1
2022년 12월 25일 11:07채권도 단기 변동성은 존재합니다. 특히 지금같은 변곡점에서는 더 심하죠. 그러니 국채 가격 떨어졌다고 비아냥거리지 말고 매수 기회로 활용하세요. 최근에 너무 올라 매수할 엄두가 안 났는데 다시 하락해주니 얼마나 좋은 기회인가요?
@가시고기추억 1
2023년 1월 09일 17:38채권에 관해 저도 몇개 봤는데요.
채권은 몇% 이자를 주는지와 매일 변동하는 채권 자체 가격 이 두가지를 보는데요. 국채와 지방채는 경제가 좋고 주식이 활황이면 가격이 떨어지죠. 반면 인기가 없으니 싸게 살 수 있죠. 반면 회사채는 주식과 같이 활황이면 잘 팔리고 가격도 올라갑니다. 즉 국채와 회사채는 거의 반대로 움직이죠. 그래서 채권투자 적기다 이런 말은 틀린 얘기입니다. 회사채의 경우 향후 경제가 암울하다면 가격이 폭락합니다. 물론 만기까장 들고 있으면 이자도 주고 만기에 원금도 돌려 받죠. 금리가 올라 이자는 많이 주겠지만 가격폭락과 자칫 부도위험이 높죠. 그래서 각자의 향후 경기전망에 따라 국채냐 회사채냐 다를 수 있구요. 이자만 받는다면 1%의 추가수익을 위해 부도위험을 감수하겠다 그냥 예금하겠다 등 달라질 수 있죠. 글고 채권은 금리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죠. 보통 1% 정책금리가 하락하면 채권가격이 10%쯤 올라간다고 들었습니다. 향후 본인의 금리전망에 따라 투자시기를 결정하는 것이구요. 금리가 떨어져 채권 가격이 상승하는 영향과 암울한 경제상황에 따른 가격하락 요인이 같이 병존한다는 걸 잊지 말아야 겠죠. 누가 더 힘이 쎄냐 우량채냐 덜 우량채냐 따라 각각 영향이 다르겠죠. 이처럼 경기와 금리 국채냐 회사채냐에 따라 영향을 받으면서 채권가격과 채권금리가 변동하는 거죠. 갠적으론 향후 경제가 암울하고 곧 금리가 꼭지기 때문에 회사채는 위험하구요. 국채를 사서 불경기와 금리하락에 따른 가격상승을 노리는 것이 맞다구 보이구요. 쥐꼬리 같은 이자엔 상당히 열을 받으셔야 불황을 뚫고 5년 이상 지나 금리 인하기에 웃지 않을까 예상합니다요ㅋ
대신 세금 빼고 이자 3% 남짓한 국채 5년 이상 갖고 있으면 가격이 찔끔찔끔 올라가겠죠. 회사채 들고 매일 회사 부도 뉴스에 가슴 졸이는 것보단 낫지 않겠어요! 곧 창궐하는 부도 뉴스에 용감하게 회사채에 투자하는 사람은 대한민국 경제를 살리는 숨은 애국자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dkdndnnf djdkdkn
2022년 12월 19일 23:47기준금리는 피봇도 안했는데 국채가격은 미리 오른다는게 좀 의아하긴한...
@jackiehan183
2022년 12월 23일 00:52Kodex 광고?
@hteacher4086
2022년 12월 24일 11:302달전에 채권 살걸
성공형 인간
2022년 12월 19일 22:23워.. 워.. 워
장영찬
2022년 12월 19일 21:47인플레이션은 끈적끈적 하다
@호롤룰루-l5b
2023년 7월 11일 09:496개월 전에 샀으면....
@정민교-d4q
2022년 12월 26일 01:16감사히 잘 봤습니다!!
부자되자
2022년 12월 20일 00:25차단했는데 왜 자꾸 뜰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