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를 과학 이론으로 풀어주셨네요! 어떤 목표를 달성했다라도, 그게 끝이 아니라 그 뒤에 더 발전적인 목표를 세우고 성장하는 것이 필요하죠. 한편으로는 지금 당장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더라도, 좌절하기 보다는 그것에 가까워져가는 과정 자체가 의미있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네요 ㅎㅎ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물질창조의 원리를 실험으로 나타낸거라 봅니다. 색즉시공.공즉시색인 신의영역이 실험으로 알게되는것같습니다. 생과죽음이 둘이 아님을 말합니다. 보이는현상을 실제라고 인간은 알고있지만 실제는 보이지않는 곳에서 비롯된다는거지요.그곳에는 참생명 자체이고 살아있는 생명의 근원인데 심안으로밖에 생명의 본질 볼수 없는데 과학으로는 설명이 안되는부분인거 같습니다.
양자역학은 세상을 거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친절한 도구라고 생각을 합니다. 역설적이지만 불완전한 성질 때문에 오히려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해요. '걸쳐있다'는 상태에 입각하여 '존재'에 대한 지금의 나를 제 3의 눈으로 본다고 가정하면, 그저 겸허해지는 기분이에요. 지금 나의 기분과 상태에 너무 얽매이지 않을 수 있고요.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에 대해 완전히 동떨어진 것 같지만 그 둘에 대해서 언급된 책이 있습니다. 요즘 세바시에 양자역학에 대한 강연을 보다보니, 그 책을 다시 읽는 기분이 듭니다. (물론 정독하진 못했습니다 ^^;)
궁금한 게 있는데,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동시성의 상대성이 있잖아요? 지구의 '지금'에 해당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지금'이 없다는 것이 상대성인데요. 그런데 양자얽힘에서 말하는 '동시'라는 건 무엇이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한 관측자가 볼 때 중첩된 양자가 동시에 결정되는 현상도, 다른 관측자가 볼 때에는 시간차가 나게 보일 수 있지 않나요.
@hhi3170 13
2022년 12월 26일 20:23’인생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를 과학 이론으로 풀어주셨네요! 어떤 목표를 달성했다라도, 그게 끝이 아니라 그 뒤에 더 발전적인 목표를 세우고 성장하는 것이 필요하죠. 한편으로는 지금 당장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더라도, 좌절하기 보다는 그것에 가까워져가는 과정 자체가 의미있음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네요 ㅎㅎ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Ha_roo 4
2022년 12월 26일 22:01평소 양자역학 좋아했는데 세바시영상으로 찾아볼 수 있어 좋아요
@dnftmdal 2
2022년 12월 26일 21:24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whirlwhirlfly 2
2022년 12월 27일 12:53중첩이 이해가 어려운 이유는 무의 세계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인 거 같아요. 살아있거나 죽어있는 상태는 유의 모습이고 유의 세계에서는 둘이 겹칠 때 하나의 상태만 남습니다. 하지만 혼돈, 즉 무의 세계에서는 두 상태가 공존할 수 있습니다.
@해피-v5n 2
2023년 1월 02일 22:09물질창조의 원리를 실험으로 나타낸거라 봅니다. 색즉시공.공즉시색인 신의영역이 실험으로 알게되는것같습니다.
생과죽음이 둘이 아님을 말합니다. 보이는현상을 실제라고 인간은 알고있지만 실제는 보이지않는 곳에서 비롯된다는거지요.그곳에는 참생명 자체이고 살아있는 생명의 근원인데 심안으로밖에 생명의 본질 볼수 없는데 과학으로는 설명이 안되는부분인거 같습니다.
@contax-i4r 1
2022년 12월 26일 23:06Yoshimi Battles the Pink Robots! :)
@momsartroom 1
2022년 12월 30일 21:41항상 양자컴퓨터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비트코인에 관련된 질문을 올리면 답변을 받아 본 적이 없어요 양자 컴퓨터로 비트코인 의 암호 체계를 모두 풀어 버릴 수도 있다는데 사실인가요?
@jyallee 1
2022년 12월 30일 11:45양자역학은 세상을 거시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친절한 도구라고 생각을 합니다. 역설적이지만 불완전한 성질 때문에 오히려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해요. '걸쳐있다'는 상태에 입각하여 '존재'에 대한 지금의 나를 제 3의 눈으로 본다고 가정하면, 그저 겸허해지는 기분이에요. 지금 나의 기분과 상태에 너무 얽매이지 않을 수 있고요.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에 대해 완전히 동떨어진 것 같지만 그 둘에 대해서 언급된 책이 있습니다. 요즘 세바시에 양자역학에 대한 강연을 보다보니, 그 책을 다시 읽는 기분이 듭니다. (물론 정독하진 못했습니다 ^^;)
@이은미-v5n 1
2022년 12월 27일 00:58읽어보고싶어요
@ratulee
2023년 1월 08일 19:04궁금한 게 있는데,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동시성의 상대성이 있잖아요?
지구의 '지금'에 해당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지금'이 없다는 것이 상대성인데요.
그런데 양자얽힘에서 말하는 '동시'라는 건 무엇이 기준인지 궁금합니다.
한 관측자가 볼 때 중첩된 양자가 동시에 결정되는 현상도, 다른 관측자가 볼 때에는 시간차가 나게 보일 수 있지 않나요.
@베가성-j3f
2023년 2월 26일 09:24중첩된 또는 얽힌 고양이가 두마리 모두 살았거나 죽어있을 경우는?
@이유경-z9i
2023년 1월 11일 16:12사랑의신을 입증할것같다.💙
설렌다.🇰🇷🇮🇱
@모카고릴라
2023년 1월 04일 17:28빛의 속도로 갈수 없다면 애초에 그자리에 있으면 되는거 아닌가?
@지수김-k5z
2023년 2월 27일 22:18이상욱 교수님 멋있어요 지루하고 답답할 듯 한 과학이론을 철학적 사고와 함께 품격있게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아꼬하망
2023년 1월 30일 13:34어려운 개념을 정말 흥미있게 설명해주시네요. 이상욱 교수님의 강의는 항상 재밌고 그 안에 되새길수록 깊은 내용이 들어있어서 좋아요!! 닥터리 강의가 또 나왔으면 좋겠어요.
@름구-p6y
2024년 6월 08일 19:44양자이론에 대한 해석이 코펜하겐 해석만 있는 게 아니라는 점을 잘 말씀해주셔서 좋은 강의라 생각합니다.
@최준하-g4g
2023년 1월 01일 18:43과학이 주는 인생의 통찰 정말 흥미로워요!
@hanryu7895
2022년 12월 27일 17:15아이게 빅뱅이론에서 알려주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인건가
@original632
2023년 1월 01일 23:30슈뢰딩거가 논리를 반박하기 위해 만든 고양이 이론이 양자역학을 설명하는 말이 돼서 너무 재밌다는 생각이 들어요
양자역학이라는 과학에서 아직 완벽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점이 앞으로 계속 뭔가 나올듯해서 기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