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서영수 이사님과 현 부동산 시장의 이슈들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내년 상반기까지 어두울 예정인데요, 부동산은 위험자산으로, 현재 투자해야 할 자산이 아닙니다. 오히려 채권, 금과 같은 안전 자산에 투자해야 할 타이밍이라고 믿습니다. 새롭게 론칭된 제[안전자산 VOD]를 하루에 한 강, 딱 한 달만 들으셔서 제 30년 투자 내공이 담긴 내용과 함께 내년 수익률을 높여보세요, 여러분에게 기회가 곧 찾아올겁니다.
좋은 자리로 가게 돼서 당분간 방송 못 하신다니 혹시 정부 기관으로 가시나요? 그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서영수님 책과 영상들 보면서 이런 분이 정책 입안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닐시 민망) 아무튼 한동안 방송에 안 나오실 거라니 좀 섭섭한데요, 기회 되시면 연구한 내용들 또 책으로 내주세요. 그동안 부동산과 금융에 대한 분석과 통찰을 서이사님한테서 가장 많이 배웠기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묵시적 계약이 무슨 의미인가요?? 그러면 계갱권을 쓰면서 추가로 2년 계약해도 세입자는 2년 계약기간을 지킬 의무 없이 중간에 아무때나 나가고 싶으면 뺄 수 있고 임대인은 전세금을 뺴줘야 한다는 뜻인가요??? 반대로 임대인은 그럴 권한없이 2년 임대기간을 지켜야하구요?? 그런건가요??
서영수이사님의 반론 서울부동산정보광장 Data 상 월세는 1년간 계속 8천건대 수준이었고 전세는 계속 11~12천건이었다가 23년 10월부터 8천건으로 줄어들었음. 그렇다면 전세입자가 월세로 돌렸으면 월세가 늘어나야 하는데 안 늘어남. 결국 전세입자가 월 3천건정도가 어디로 사라졌는지가 궁금할뿐. 가설은 1) 전세입자가 집을 사서 들어감 2) 묵시적 계약의 연장 (신고 필요가 없음) 만약 서영수이사님 말씀하셨듯이 계약 중도 해지라면 신규 계약 건수가 월세든 전세든 늘어났어야 했음.
@이쁜엄마-w7f 12
2022년 12월 27일 12:47서영수이사님, 언제쯤 나오시나 기다린 1인 입니다^^
@chunukhong 10
2022년 12월 26일 18:32🔒저의 온 힘을 다한 '안전자산 투자' 인강이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주 모집이 마감될 수 있으니 바로 신청하세요.
https://bit.ly/3YRhWPS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서영수 이사님과
현 부동산 시장의 이슈들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내년 상반기까지
어두울 예정인데요,
부동산은 위험자산으로,
현재 투자해야 할 자산이 아닙니다.
오히려 채권, 금과 같은 안전 자산에
투자해야 할 타이밍이라고 믿습니다.
새롭게 론칭된 제[안전자산 VOD]를
하루에 한 강, 딱 한 달만 들으셔서
제 30년 투자 내공이 담긴 내용과 함께
내년 수익률을 높여보세요,
여러분에게 기회가 곧 찾아올겁니다.
저, 홍춘욱의 안전자산 투자하기의 모든 과정에 대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
전화 : 1833-2295
카톡 : http://pf.kakao.com/_MQUfs
@bmck58 9
2022년 12월 27일 03:40서영수 이사람 너무 부자들편에서 얘기해서 싫긴한데.
애널리스트 중에 다른 얘기 들을수있는 몇안되는 사람임.
전문가 행새하는 앵무새들이 너무 많아서..
@ttlgmp 8
2022년 12월 26일 20:332부가 기대됩니다!
@tmzkffpt 7
2022년 12월 27일 03:08좋은 자리로 가게 돼서 당분간 방송 못 하신다니 혹시 정부 기관으로 가시나요?
그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서영수님 책과 영상들 보면서 이런 분이 정책 입안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아닐시 민망)
아무튼 한동안 방송에 안 나오실 거라니 좀 섭섭한데요, 기회 되시면 연구한 내용들 또 책으로 내주세요.
그동안 부동산과 금융에 대한 분석과 통찰을 서이사님한테서 가장 많이 배웠기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thinkandgrowrich7754 7
2022년 12월 26일 23:59감사합니다 🙏
@여유-w7y 6
2022년 12월 27일 10:19서영수님 책 읽어봐야겠어요~
강의 감사합니다.
@power9119 5
2022년 12월 28일 09:52홍박사님 서이사님 잘 보았습니다
다 맞추는 분은 세상에 없습니다
참조하고 최종 판단은 본인이
@65점 5
2022년 12월 28일 13:38서이사님 상무 승진 축하드립니다. 마지막방송이시라니 너무 아쉽습니다.
hb Jeon 4
2022년 12월 26일 21:49홍춘욱님은 주식/환율만 하시고 부동산은 제발 자중하시죠...
@4fourthway303 3
2022년 12월 26일 19:07홍박사님 주택포지션이 궁금하네요
이미 매도하셨는지
매수후 보유중이신지
@모찌-z5h 3
2022년 12월 27일 02:35부동산 ... 기가차네영
@시에스포 3
2022년 12월 29일 12:45계약갱신청구권으로 5%밖에 못올렸던건 임대인으로써는 진짜 고마워해야할 일임. 당시 50%올렸다면 지금 보증금 못빼줄걸? ㅋ
@donglee5884 2
2022년 12월 27일 11:27묵시적 계약이 무슨 의미인가요?? 그러면 계갱권을 쓰면서 추가로 2년 계약해도 세입자는 2년 계약기간을 지킬 의무 없이 중간에 아무때나 나가고 싶으면 뺄 수 있고 임대인은 전세금을 뺴줘야 한다는 뜻인가요??? 반대로 임대인은 그럴 권한없이 2년 임대기간을 지켜야하구요?? 그런건가요??
@어찌살꼬 1
2023년 1월 29일 20:58서영수 이사님 sk증권 기획재무본부장으로 영전 축하합니다. 이젠 애널리스트가 아니니 이사님의 좋은 인사이트를 보기 어렵겠군요
@joshuabscho4612 1
2022년 12월 27일 14:39계약갱신 청구권쓰고 아무때나 해지 요청할 수 있지만 해지는 3개월후에 되는 특약이 있었는데 그걸 몰랐으면 부동산 전문 애널리스트라고 하긴 어렵네요. 역시나 별내용이 없어요
@chpark5465 1
2022년 12월 31일 12:15저분 사라고하신것 같은데
@Hellchang500 1
2022년 12월 27일 13:37한창 오르는 시기에도 폭락론은 신뢰는 안가지
성진 정
2022년 12월 26일 22:30서영수님이 왜 이런인간과 방송하시나요?
@1정의
2023년 2월 01일 17:2519년도에 하락을 예상했으면 예상이 틀린거죠. ㅎㅎ
물론 당시정권의 말도 안되는 삽질로 인한 괴이한 일이라서 인정합니다. ^^ ㅎㅎ
@lachesis3207
2023년 1월 31일 17:30서영수이사님의 반론
서울부동산정보광장 Data 상 월세는 1년간 계속 8천건대 수준이었고 전세는 계속 11~12천건이었다가 23년 10월부터 8천건으로 줄어들었음.
그렇다면 전세입자가 월세로 돌렸으면 월세가 늘어나야 하는데 안 늘어남. 결국 전세입자가 월 3천건정도가 어디로 사라졌는지가 궁금할뿐.
가설은 1) 전세입자가 집을 사서 들어감 2) 묵시적 계약의 연장 (신고 필요가 없음) 만약 서영수이사님 말씀하셨듯이 계약 중도 해지라면 신규 계약 건수가 월세든 전세든 늘어났어야 했음.
투자의제왕
2022년 12월 26일 22:19폭락론자인 서영수 초대하셨으면
상승론 전문가도 초빙하심이
밸런스가 맞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서영수는 주식하는 사람인데
부동산 전망을 묻는다는게...
pdhfjr
2022년 12월 26일 22:34합방은 별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