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길을 걷네요. 제가 30년 전에 오사카에 5억에 집을 샀는데 현재 1억 정도 입니다.. 세금 문제도 있으니, 자식들도 필요 없다고 하네요. 특히 수리비가 너무 비싸 수리하기가 엄청 힘들고, 팔고 싶어도 중고집은 안팔려요. 집값은 제로고, 땅 값만 입니다. 팔릴지 어쩔지도 모르죠. 그러니 더더욱 짐덩어리 예요. 여기 젊은 사람들은 주택 안 삽니다. 우리나라도 인식이 바뀌어, 절대 부동산 안 올른다고 봅니다.
전에 김영익 교수님 영상을 인상깊게 봐서 오늘 뜬 것을 보고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경제 용어조차 모르는 저지만 이상하게 여기서 올려지는 교수님 영상은 집중하고 보게 되서 신기해 집니다. 교수님도 교수님이지만 김작가님의 중간중간 정리멘트로 내용을 되짚어 주며 질문해 주셔서 경제를 모르는 저도 교수님의 설명의 포인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서 즐겁게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아이들이 독립할시기가 다가오고 있어 사기는 당하지말아야 한다는 맘으로 부동산유트브를 3년전부터 쭉 듣고 흐름을 보고 있읍니다. 그러다 인구정점이 되었다는걸 보고 앞으로 집을 투자의 개념으론 생각하지 말아야한다 결론내려지더군요. 그래도 실거주는 있어야한다 생각해서 아이들에게 그러케 방향을 알려줄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당
집이 없는 분들도, 영끌해서 집을 구입한 분들에게도 밤은 엄청 길게 생겼습니다. 없는 분들이나 있는 분들이나 언제까지 떨어질지에 대한 관심으로 고민이 많겠지만 한쪽에서는 희망을 품은 고민이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절망을 품은 고민이겠군요. 이 또한 지나가리라, 육체를 편안하게 하는 입장에서의 집, 그 인생은 어차피 공수래공수거 인생인 것을, 육신만 허물어지면 고대광실이 무슨 소용이랴~~~
일단 다른 나라들은 치우고 한국 사정만을 보면 부동산과 주식이 좋아지려면 국내총생산(GDP)가 커져야 가능하지. 경제 규모가 커진다는건 한국 제품이 해외로 수출많이 하고 해외의 자본들이 한국으로 투자가 많이 되어야 하는데 2023년에 한국제품들이 수출많이 해서 돈을 많이 벌어들이고 해외자본이 한국으로 투자 많이 할지 잘 생각해 보면 앞으로 한국 경제 상황 답이 나오지. 앞으로 미래는 이전과 같은 소비중심 시대 안올거야. 기본에 충실해야 살아남는 시대가 오는거지.
@jung5258 341
2022년 12월 29일 23:04교수님! 아파트가 너무 비싸다는 말씀! 감사드립니다 신혼때부터 아파트를 가지고 있지만! 젊은이들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아야지요 투기는 근절해야 합니다
@TV-om7yg 92
2022년 12월 29일 20:30대출이자가 두배올랐네요. 겨울에 가족 해외여행갈까하다가 접었습니다.
@ajisairan9635 81
2022년 12월 29일 21:57일본의 길을 걷네요.
제가 30년 전에 오사카에 5억에 집을 샀는데 현재 1억 정도 입니다..
세금 문제도 있으니, 자식들도 필요 없다고 하네요.
특히 수리비가 너무 비싸 수리하기가 엄청 힘들고, 팔고 싶어도 중고집은 안팔려요.
집값은 제로고, 땅 값만 입니다.
팔릴지 어쩔지도 모르죠.
그러니 더더욱 짐덩어리 예요.
여기 젊은 사람들은 주택 안 삽니다.
우리나라도 인식이 바뀌어, 절대 부동산 안 올른다고 봅니다.
@고구려29대왕대조영 70
2022년 12월 29일 21:06부동산으로 돈벌러는 환상에서 깨라.
아 옛날이여!
이제 10년지나도 부동산은 끝났다.
명언이다.
@목표를이루리 69
2022년 12월 30일 00:13전에 김영익 교수님 영상을 인상깊게 봐서 오늘 뜬 것을 보고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경제 용어조차 모르는 저지만 이상하게 여기서 올려지는 교수님 영상은 집중하고 보게 되서 신기해 집니다.
교수님도 교수님이지만
김작가님의 중간중간 정리멘트로 내용을 되짚어 주며 질문해 주셔서
경제를 모르는 저도
교수님의 설명의 포인트를 이해할 수 있게 되서 즐겁게 보게 되는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교수님의 좋은 영상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김춘우-w9f 58
2022년 12월 29일 23:24올바른 지적입니다. 인구 감소 가구 감소 특히 부모님 장모님 집을 동시에 받는다에 격한 공감을 느낍니다.
@태평양-z7y 49
2022년 12월 29일 21:2023년하반기까지 금리인상~
24년하반기까지 금리유지~
내년부터 경매대란~
@MJ-sd2iy 47
2022년 12월 30일 00:33모든 분들은 참고 만하시고 투자하실때는 주의 하십시요. 저도 코로나 시작할때 스탁이 많이
떨어질거라 김교수가 예측했는데 스탁이 많이 올라서 손해 많이 보았습니다.
@정주남-n5b 42
2022년 12월 30일 00:09수학의 정석, 경제의 영익..만고의 진리를 짚어주셔서 애 시청중입니나..
@장준미-j4x 33
2022년 12월 30일 17:42저도 아이들이 독립할시기가 다가오고 있어 사기는 당하지말아야 한다는 맘으로 부동산유트브를 3년전부터 쭉 듣고 흐름을 보고 있읍니다. 그러다 인구정점이 되었다는걸 보고 앞으로 집을 투자의 개념으론 생각하지 말아야한다 결론내려지더군요. 그래도 실거주는 있어야한다 생각해서 아이들에게 그러케 방향을 알려줄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당
@방울새-y6w 31
2022년 12월 29일 21:39강남에는 2020년비해 200프로오랐는데요 30프로 40프로내려봤자 아직도널었음
@신건재-d1k 26
2022년 12월 29일 23:49소중한 영상 감사합니다 ~~^^
@멍게-o3z 25
2022년 12월 31일 09:57장기하락에 공감합니다. 일시적 상승이 있다고해도 흔들리지 말아야합니다.
@park2340 24
2022년 12월 30일 04:43집이 없는 분들도, 영끌해서 집을 구입한 분들에게도 밤은 엄청 길게 생겼습니다. 없는 분들이나 있는 분들이나 언제까지 떨어질지에 대한 관심으로 고민이 많겠지만 한쪽에서는 희망을 품은 고민이고 또 다른 한쪽에서는 절망을 품은 고민이겠군요. 이 또한 지나가리라, 육체를 편안하게 하는 입장에서의 집, 그 인생은 어차피 공수래공수거 인생인 것을, 육신만 허물어지면 고대광실이 무슨 소용이랴~~~
@GreatHumiliator 23
2022년 12월 29일 20:22역시 영익이형이다 멋져
@sunghoonjung9570 22
2022년 12월 29일 22:43일단 다른 나라들은 치우고 한국 사정만을 보면 부동산과 주식이 좋아지려면 국내총생산(GDP)가 커져야 가능하지. 경제 규모가 커진다는건 한국 제품이 해외로 수출많이 하고 해외의 자본들이 한국으로 투자가 많이 되어야 하는데 2023년에 한국제품들이 수출많이 해서 돈을 많이 벌어들이고 해외자본이 한국으로 투자 많이 할지 잘 생각해 보면 앞으로 한국 경제 상황 답이 나오지. 앞으로 미래는 이전과 같은 소비중심 시대 안올거야. 기본에 충실해야 살아남는 시대가 오는거지.
@brinko24able 20
2022년 12월 30일 00:52경제 전반에 대한 지식과 지혜를 나누어 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hockey_doraappa 20
2022년 12월 29일 21:45제2 imf 온다 정신 차리자 금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lucky_tv 19
2022년 12월 29일 21:43📌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EOezM8iV9nU
🌟 『김영익 교수_4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2PlqyvvXmpo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JXi_3urzvT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txnTmK49jdE
👉 4부. https://www.youtube.com/watch?v=Ih5rVDoGMnc&t=607s
@진숙이-y9k 18
2022년 12월 30일 02:48거품이 빠지고 있는것이지 아파트값이 떨어지는것은 아님 50%는 더 떨어저야할듯
@남짱-s6u 17
2022년 12월 30일 08:09현제보다70%이하로정상거래돼야나라가정상으로가는길
@gyunamlee4289 13
2023년 1월 01일 10:56김작가님
올한해동안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늘 잘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전병윤-k7t 12
2022년 12월 29일 23:021가구 2주택 이상자가 생각보다 많아요 ㆍ그간에는 부동산이 돈벌이 수단으로 최고였으니까요?
그런데 현재는 돈이없어서 매수를 하는 사람이 부족해지니까
이사도 못가는 실정이되니까 신축아파트에서 빈집이 많아지는것 같아요ㆍ
@gyunamlee4289 11
2023년 1월 01일 10:57맞아요
부동산 집값 대출이자 갚다가
인생 다가네요
@인공위성-z9l 11
2022년 12월 30일 05:12부동산 자산가들인 저의 친척들은
희망을 접지는 않는거 같아서
누구말을 믿어야할지 모르겠어요
유동성과 심리의 팽창으로
이상 폭등을 했던 열기가 돌아오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평생 이번같은 저금리는 없었어요
금리떨어져도
상당기간 일정금리가 유지될듯합니다
@전투짭새 9
2022년 12월 30일 16:39상승때는 상승한다고 전망 하락할때는 하락한다고 전망 그때그때 분위기에 따라 휩쓸려서 하는 전망들 의미가 있을까요?작년에 계속 상승한다고 예상했던 사람들도 이유는 들어보면 그럴듯했어요
@이정훈-u7o2m 9
2022년 12월 29일 21:46시중에서 는 자금 돈이 없어서 대출금리 10프로를 주어도 못구하고 있는데요
@MrOBking 9
2022년 12월 31일 08:072022년 김영익 교수님 말씀 잘 들은 사람은 큰 손실 안봤다는게 팩트
@user-lc9nm7yz2i 8
2022년 12월 30일 00:30가구수 하락
인구수 하락 .... 의 원인은
높은 집값이다. ... 집값 오르면 더 악화 된다
@힐링-v9l 8
2022년 12월 30일 06:34계속 쭉~~~~~내려가야 합니다
@이재윤-i6y8s 8
2022년 12월 29일 23:19🙂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 이런 귀한 말씀에 많은 영감을 얻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하며 시청하고 있습니다💥💫~♡
@원으뜸-r4u 7
2023년 1월 01일 14:40영상 고맙게 잘 보고 공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와이리좋노 7
2022년 12월 30일 10:48집값이 안전하고 저렴해야
합니다.
집값 상승으로 인구 감소하고
있습니다.
고의적인 집값 상승은 나라를 좀먹는 정치입니다.
@까르페디엠-o5y 6
2023년 1월 01일 08:55새해 아침부터 아주 훈훈한듯 뜻깊고 정겨운 소식이네요
@ds1ayd 5
2022년 12월 30일 06:46외상이라면 소도 잡는다는 국민성 개조가 필요합니다
@heep6566 5
2022년 12월 29일 21:16걱정입니다
@임병도-t3u 5
2022년 12월 30일 06:06기업 할동저하
실업자발생
경기 하락
소득 둔하
가구소득 저하
고물가 장기불항
집값 내례간다ㆍ
@김정식여-z6y 5
2022년 12월 30일 11:20이젠 젊은 이들이 애들 놓고 . 집 사고 거리에서 아이 들 이 사는 세상이 되어야 한다 ㆍ
@simbakang5088 4
2022년 12월 31일 17:08금리를 인하했는데 부동산 경기가 안 살아나면 드디어 부동산불패가 끝나는 시점이긴 한데, 그게 이번 사이클 일지는 그 누구도 모름. 각자 잘 판단하시길.
@고구려29대왕대조영 4
2022년 12월 29일 21:03가구수는 남북통일로 인구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어요.2030년대 통일합니다. 통일해도 집값은 오르지 않습니다.
@qwer0909tyuiop 3
2023년 1월 02일 09:353분의1토막 날때까지 관망이 답
@sankim6393 3
2022년 12월 31일 19:08다른이보다 한발먼저 움직이는 순발력
반대의견에도 귀를...
@FGLJK 2
2023년 1월 30일 16:14김영익 교수님의 거시경제적 관점의 설명이 유익했습니다.
@youngcheulpark9173 2
2022년 12월 31일 22:20앞으로는 절대로 사람들이 부동산에 투자를 안할거에요 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이 투자가 없을거에요
@ThankQ-vl4vg 2
2023년 1월 01일 09:25작년 이맘때 금리예측 국내외 전문가 모두 꽝..
전망은 전망이다. 판단도 각자도생해야 살아 남는다.
전문가는 없다.
@강만석-o9q 2
2023년 1월 05일 01:46앞으로 는
경제가 문제가아니구
앞으로 인구문제 땜시
부동산 심각하지않을까
저출산 문제
노령층 인구
이 문제 생각 해야지 않아요
@이승기-r8l9n 2
2023년 1월 14일 06:03소중한강의. 감사합니다
아파트. 부동산. 집값
완전. 개판. 입니다
@이무장-y1o 1
2023년 1월 03일 19:09대한민국 건국이래 범 국민적으로
집사서 망했다는 경험을 한적이 처음입니다.
이 경험이 너무 강해서 앞으로 영끌로 집사는 일이 많지 않을거에요.
@김끔틀 1
2022년 12월 30일 16:56국내부동산 시가총액 1경8천조.
GDP대비 거의 8배.
일본 1990년 부동산 시가총액 GDP대비 8배...
@배상미-r8t 1
2023년 1월 02일 15:18우리나라 아파트 넘 올랐어요ᆢ넘 비싸요ᆢ예전으로 돌아가야된다고 생각해요ᆢ
썬샤인
2022년 12월 29일 20:09이번 기회에 폭삭 가라 우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