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일본의 장기금리 인상폭에 대해 알려드리며, 엔화 강세 현황에 대해 공유드렸습니다. 엔화는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제가 생각하는 대표적인 안전 자산 투자처입니다. 새롭게 론칭된 제[안전자산 VOD]에 엔화 투자 방법의 모든 것이 담겨있습니다. 하루에 한 강, 딱 한 달만 들으셔서 제 30년 투자 내공이 담긴 내용과 함께 내년 수익률을 높여보세요, 여러분에게 기회가 곧 찾아옵니다.
올해 코스피는 24% 하락. 20개국 중 19위 전쟁 중인 러시아가 20위로, 사실상의 꼴찌 미증시 시계열은 음의 복리를 유도하기 위해 추가 하락을 앞둔 시점이지만 한국 시계열은 공매도 주체가 음의 복리를 누리는 시점으로 (-24% 하락까지 팔아넘긴 공매도 물량을) (+30% 상승시켜 제자리에 돌려놓는 중에 싸게 회수하려는 횡보 구간)입니다.
여기서 더 하락해도 상승구간이 길고 높아질 뿐 상승가도를 달리게 될 것은 변함없습니다
어차피 오를 구간이니 주가는 무의미 주식 수를 늘려가야 하는 시점입니다. 물량 매집하는 윗호가에 n주씩 매수!
※게임스톱이 시장가매수로 공매도를 몰아낸 것과 달리 우리는 방어적 (윗호가) 매수로 공매도 스스로 물러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공매도) |||||||||| ————————————————— 윗호가) |||||||||||||||| ※ 공매도 매수 대기창 최저점) |||||||||||| 주식을 보유치 않은 공매도가 가능한 이유는 공매도 주문 시점과 실제 결제시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공매도는 이 시차를 이용해 공매도 주문시점 보다 싼 물량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즉, 살(초도 물량)을 넘겨주고 뼈(투항매물) 를 넘겨받고자 하는 것이죠. 그 방식은 이러합니다.
1. 동시호가 대기 물량은 가격>시간>수량 순으로 체결됨을 이용해 장전에 대량 매수 대기합니다. 2. 우선순위 매수 체결될 최저점) ||||||에 닿도록 공매도를 합니다.
공매도는 매수 물량을 소화한 초도물량 이상의 투항 매물을 윗호가) ||||| 에서 매집해야 합니다.
따라서 몇 번이고 매수 대기를 채워넣는데 그 뒤로 개미가 달라붙는다?
호가를 더 내리거나 확 올려놓아야 합니다.
분명한 것은 공매도 또한 실제 결제 시점에 이르면 상환을 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현재 공매도는 팔아넘긴 초도물량만큼의 투항매물 을 넘겨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빌린 주식(초도물량)보다 값싼 물량(투항매물)을 확보하지 못한 공매도는 손실을 확정하게 됩니다. 상환 기일은 다가오는데 투항매물은 초도물량에 비해 턱없이 모자르다면 상당히 초조하겠죠?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공매도 입장에서는 저점에 100주 대기한 개미보다 저점 (윗호가)에 1주씩 달라붙는 개미를 털어내는 일이 까다롭습니다.
궁금한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지금은 2월말인데 새BOJ총재 언급되며 다시 엔화약세 기조로 바뀌는거같고 일본정부에서 기업에 임금인상압력넣는다는 뉴스가 들려서 임금인상발 인플레를 유발하려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은 듭니다. 임금인상발 인플레는 경기에 안좋다고 해서 일본정부가 유도하려는 방향은 뭔지 제 식견으로는 잘모르겠어요. 임금인상발 인플레와 일본금리와의 관계 설명부탁드립니다.
@chunukhong 6
2022년 12월 30일 20:32🔒저의 온 힘을 다한 '안전자산 투자' 인강이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주 모집이 마감될 수 있으니 바로 신청하세요.
https://bit.ly/3I8NOtB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일본의 장기금리 인상폭에
대해 알려드리며, 엔화 강세
현황에 대해 공유드렸습니다.
엔화는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제가 생각하는 대표적인 안전 자산
투자처입니다.
새롭게 론칭된 제[안전자산 VOD]에
엔화 투자 방법의 모든 것이 담겨있습니다.
하루에 한 강, 딱 한 달만 들으셔서
제 30년 투자 내공이 담긴 내용과 함께
내년 수익률을 높여보세요,
여러분에게 기회가 곧 찾아옵니다.
저, 홍춘욱의 안전자산 투자하기의 모든 과정에 대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
전화 : 1833-2295
카톡 : http://pf.kakao.com/_MQUfs
@깝지의미술강의 4
2022년 12월 31일 08:46올 한해 고생많으셨습니다 박사님!! 박사님 덕분에 항상 매크로한 경제를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좋은일만 생기시고 건강하세요! 원하시는 목표 다 이루시기 바라요👍
@monica2825 3
2022년 12월 30일 21:34감사합니다 박사님
@hyunsoolim4073 2
2022년 12월 30일 21:09올해 코스피는 24% 하락. 20개국 중 19위
전쟁 중인 러시아가 20위로, 사실상의 꼴찌
미증시 시계열은 음의 복리를 유도하기 위해
추가 하락을 앞둔 시점이지만 한국 시계열은
공매도 주체가 음의 복리를 누리는 시점으로
(-24% 하락까지 팔아넘긴 공매도 물량을)
(+30% 상승시켜 제자리에 돌려놓는 중에
싸게 회수하려는 횡보 구간)입니다.
여기서 더 하락해도 상승구간이 길고 높아질
뿐 상승가도를 달리게 될 것은 변함없습니다
어차피 오를 구간이니 주가는 무의미
주식 수를 늘려가야 하는 시점입니다. 물량 매집하는 윗호가에 n주씩 매수!
※게임스톱이 시장가매수로 공매도를 몰아낸
것과 달리 우리는 방어적 (윗호가) 매수로
공매도 스스로 물러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공매도) ||||||||||
—————————————————
윗호가) |||||||||||||||| ※ 공매도 매수 대기창
최저점) ||||||||||||
주식을 보유치 않은 공매도가 가능한 이유는
공매도 주문 시점과 실제 결제시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공매도는 이 시차를 이용해 공매도 주문시점
보다 싼 물량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즉, 살(초도 물량)을 넘겨주고 뼈(투항매물)
를 넘겨받고자 하는 것이죠.
그 방식은 이러합니다.
1. 동시호가 대기 물량은 가격>시간>수량 순으로
체결됨을 이용해 장전에 대량 매수 대기합니다.
2. 우선순위 매수 체결될 최저점) ||||||에
닿도록 공매도를 합니다.
3. 최저점에 투항 매물을 받아먹다 동시호가
물량이 소진되기 전에 윗호가) |||||||를 채워넣습니다.
공매도는 매수 물량을 소화한 초도물량 이상의
투항 매물을 윗호가) ||||| 에서 매집해야 합니다.
따라서 몇 번이고 매수 대기를 채워넣는데
그 뒤로 개미가 달라붙는다?
호가를 더 내리거나 확 올려놓아야 합니다.
분명한 것은 공매도 또한 실제 결제 시점에
이르면 상환을 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현재 공매도는 팔아넘긴 초도물량만큼의
투항매물 을 넘겨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빌린 주식(초도물량)보다 값싼 물량(투항매물)을
확보하지 못한 공매도는 손실을 확정하게 됩니다. 상환 기일은 다가오는데 투항매물은 초도물량에
비해 턱없이 모자르다면 상당히 초조하겠죠?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공매도 입장에서는 저점에
100주 대기한 개미보다 저점 (윗호가)에 1주씩
달라붙는 개미를 털어내는 일이 까다롭습니다.
다가올 2023년도 건승하시길 바랍니다.😊
@종목왕 2
2022년 12월 30일 21:09늘 감사합니다 도움이 됩니다
@walrus0129 2
2022년 12월 31일 10:25편집하시는분 제발 쓸데없는 효과음 좀 넣지 말아주세요
@이문동-e2b 2
2022년 12월 31일 07:10한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형님 덕분에 경제를 보는 시야가 넓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에도 더욱 번창하시고 건강하세요.
@lazyho9315 2
2022년 12월 31일 10:42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박사님^^ 장기채권금리 상승으로 인해 일본 닛케이 주식시장 전망은 어떻게 보실까요??
@JiChoi-yo6vz 2
2022년 12월 31일 14:34박사님 항상 좋은 영상 감사힙니다!
애널리스트 취준생을 위한 실무 강의도 만들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햇살 1
2022년 12월 30일 20:37박사님 늘 영상 잘 듣고 있습니다 .
@user-ggonagi_ 1
2022년 12월 31일 21:05일본국채 매도하는게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jadekim1818 1
2023년 1월 12일 20:17제가 정말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dlrudf77 1
2022년 12월 31일 10:176:08부분 그래프 나와야 하는데 안나오는거 같습니다.
@ttv9585 1
2022년 12월 31일 14:30임금이 깍이는데도 금리를 올리면
경제 망하는지름길아닌가…
@foggymt2927
2023년 2월 26일 01:08궁금한부분이었는데 감사합니다.
지금은 2월말인데 새BOJ총재 언급되며 다시 엔화약세 기조로 바뀌는거같고 일본정부에서 기업에 임금인상압력넣는다는 뉴스가 들려서 임금인상발 인플레를 유발하려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은 듭니다.
임금인상발 인플레는 경기에 안좋다고 해서
일본정부가 유도하려는 방향은 뭔지 제 식견으로는 잘모르겠어요.
임금인상발 인플레와 일본금리와의 관계 설명부탁드립니다.
@alexlee3898
2023년 1월 15일 02:04임금 인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금리인상을 못하는거라면, 외부적인 요소(유가 상승 및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물가상승이 온다면 일본 국민은 영원히 고통받아야 하는것 같은데...그럼 일본은 물가를 잡을수도 임금을 인상할수도 없는 상황이라는건가요?
@아라플레이
2023년 6월 27일 17:425개월전에는 엔화 강세였었군요. 지금은 엔화 약세시대네요~ㅎ
@릴라고-t8q
2024년 3월 19일 17:55틀렸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