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위기입니다..당장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고 있는중인데.. 보통 월초에 대량주문이 많이 들어옵니다. 거기다가 1월은 연초이고 설날도 앞두고 있어서 물량요청이 미어터져야 정상인데. 원래 주문 물량의 3분의1밖에 안되고 있는중입니다. 아직 폭탄은 터지지 않았고...부동산 하락이 좋게 끝나도 현재 상태에서 -20~30% 빠질겁니다. 중국발 부동산 악재같은 뉴스 뜨면서 -50%이상 빠질거라고 보고있습니다. 현 정부는 대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고...어차피 그들만 살아남으면 경제체제 자체는 안망가질거라고 보고있는거 같습니다.막대한 가계부채+부실기업부채 가 터지면 한국 경제 위기는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서민경제 파탄이 일어날겁니다. 물론 부자와 대기업들은 살아남고여.
여러가지 지표들과 의견이 다른 점은 있지만 팩트는 IMF 이후 우리나라 금융 기관들 특히 메이저 은행들 위주로 겁나 빡시게 관리함 일부 학계나 정치쪽 사람들이 아직도 IMF 전의 관치 금융이라고 욕하지만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아무런 탈 없이 넘길 수 있었던건 정부의 어마무시한 규제때문임.
궁금한 게 있어서요.. 통계청(e-나라지표) 기준, 2022. 3Q 우리나라의 대외 채권은 $ 10,186억, 대외 채무는 $ 6,390억(즉, 순채권은 $ 3,796억)인데, 순자산이 $ 8,000억라는 숫자는 어디서 확인해 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말씀하신 순자산의 기준과 범위는 어디까지를 이야기 하시는 것인가요?
@콜레이시오 15
2023년 1월 06일 18:44네 확실하게 위기가 맞습니다. 산업현장에 있는 분들은 체감 하실겁니다.
@indora2928 12
2023년 1월 06일 19:58지금 위기입니다..당장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고 있는중인데..
보통 월초에 대량주문이 많이 들어옵니다. 거기다가 1월은 연초이고
설날도 앞두고 있어서 물량요청이 미어터져야 정상인데.
원래 주문 물량의 3분의1밖에 안되고 있는중입니다.
아직 폭탄은 터지지 않았고...부동산 하락이 좋게 끝나도
현재 상태에서 -20~30% 빠질겁니다. 중국발 부동산 악재같은
뉴스 뜨면서 -50%이상 빠질거라고 보고있습니다.
현 정부는 대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고...어차피 그들만 살아남으면
경제체제 자체는 안망가질거라고 보고있는거 같습니다.막대한 가계부채+부실기업부채
가 터지면 한국 경제 위기는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서민경제 파탄이 일어날겁니다.
물론 부자와 대기업들은 살아남고여.
@zybr90 8
2023년 1월 06일 20:37그동안 국난을 만들어낸 정치집단과 국난을 극복한 정치집단이 따로 있었죠. 이번에는 우리나라가 아주 운이 나쁜거죠. 가만 있어도 국난을 만들어내는 집단이 정권을 잡았으니
@빵우유-m9l 6
2023년 1월 06일 18:38감사합니다!
@스마트-r4p 6
2023년 1월 06일 19:24박사님!! 빨리 30만 40만 유튜버로 소개하실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김은경-l2j 5
2023년 1월 06일 19:29오늘 유난히 열정적이셔요~~~
@sapphire4409 5
2023년 1월 06일 19:46제가 미국 주식이랑 국채를 샀다는건 결과적으로 미국에 돈을 빌려준거나 마찬가지군요.
이렇게 쓰니까 뭔가 대단한 일을 한것같은 ㅎㅎ
@chunukhong 5
2023년 1월 06일 19:57🔒저의 온 힘을 다한 '안전자산 투자' 인강이 출시되었습니다.
이번 주 모집이 마감될 수 있으니 바로 신청하세요.
https://bit.ly/3X7USL5
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은 시장에서 지속 거론되고 있는
한국 경제 위기, 즉 외환 위기에 대한
가능성에 대해 짚어드렸습니다.
요즘 경제 위기론이 지속 언급되는 만큼
시장이 아직은 불안한 것 같습니다.
올해는, 점차 나아지는 시장의 속도에 맞춰
안전 자산 배분을 해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경기 불황 속에서도 좋은 안전 자산 배분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새롭게 론칭된 제[안전자산 VOD]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하루에 한 강, 딱 한 달만 들으셔서
제 30년 투자 내공이 담긴 내용과 함께
올해 23년 수익률을 높여보세요,
여러분에게 기회가 곧 찾아옵니다.
저, 홍춘욱의 안전자산 투자하기의 모든 과정에 대한 문의는
아래 연락처로 연락주세요.
전화 : 1833-2295
카톡 : http://pf.kakao.com/_MQUfs
@세력차트연구소 4
2023년 1월 08일 02:07영상 잘봤습니당! 모두모두 파이팅입니당^^
@hohohogo246 4
2023년 1월 06일 22:28여러가지 지표들과 의견이 다른 점은 있지만 팩트는 IMF 이후 우리나라 금융 기관들 특히 메이저 은행들 위주로 겁나 빡시게 관리함 일부 학계나 정치쪽 사람들이 아직도 IMF 전의 관치 금융이라고 욕하지만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아무런 탈 없이 넘길 수 있었던건 정부의 어마무시한 규제때문임.
@김채원-k6n8j 4
2023년 1월 06일 18:311
@monica2825 3
2023년 1월 07일 09:08박사님, 늘 명료한 시각
나눠주셔서 감사합니다.
27만구독자 축하드립니다.🎉🎉🎉
곧 30만! 응원합니다.
@정운서-p5v 2
2023년 1월 06일 20:40맞아요
외환위기 겪어봤으니 또 겪을 필요없지요
그리고 어쨋든 전 빚은 싫어요
좋은때일 수록 악성 빚부터 해결하고 점차로 자산을 늘려야죠
외환위기없더라도
가계부채와 기업채무도 줄여야지
버는대로 먹고 쓰고보자는 식은 좀개선해야지
내돈관리 처럼 자산을 어느분야건 늘려
자손만대가 잘 살아야지
좀있으면 북주민도 먹여살려야 하는데
돈이라도 있어야지
손가락 빨며 달래주나
점점더 좋아져야지
@skakfjalasds 2
2023년 1월 06일 23:58감사합니다!
@bigstep203 1
2023년 1월 08일 01:17궁금한 게 있어서요..
통계청(e-나라지표) 기준, 2022. 3Q 우리나라의 대외 채권은 $ 10,186억, 대외 채무는 $ 6,390억(즉, 순채권은 $ 3,796억)인데, 순자산이 $ 8,000억라는 숫자는 어디서 확인해 볼 수 있을까요?
아니면 말씀하신 순자산의 기준과 범위는 어디까지를 이야기 하시는 것인가요?
@집돌이준형 1
2023년 1월 07일 09:17그냥 언론도 그렇고 맨날 심각한 분위기인듯 하니까 그런 거임 ㅋㅋㅋ 사실 자산가들은 위기 왔다하면 더 좋음.
@1정의 1
2023년 1월 30일 16:54박사님 쥐뿔도 모르고 나대는 것들 인도하시느라 노고가 많으십니다.
감사합니다. ^^
dkdndnnf djdkdkn
2023년 1월 06일 19:58외환보유고가 0이 되진 않지만 국민은 0이 될 수 있을듯
@gunstone8065
2023년 1월 09일 17:07반도체는 ???? 답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