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택자들도 2019년 이후에 사신 분들은 수단 방법을 가리지 말고 팔 수만 있다면 파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80년에 처음으로 하락하면서 2008년에 4차 하락이 있었고 지금은 5차 하락입니다. 지금의 하락은 처음으로 거품 붕괴에 의한 하락입니다. 따라서 앞선 하락과 결과가 다르게 나올 것입니다. IMF때의 하락과 지금의 하락을 비교하면 IMF처럼 급락하는 것 이외에는 같은 점이 없습니다. 그 당시에는 부동산에 거품이 거의 없었고 외환위기라는 부동산의 관점에서 보면 외부적 요인에 의한 급락이 있었습니다. 대외환경의 호조로 인하여 무역수지가 급증하면서 외부적 요인이 사라지자 급반등했습니다. 그리고 2008년의 하락은 부동산 거품이 많이 있는 상태에서 외부적 요인(미국의 금융위기)이 결합하면서 하락이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니 거품이 걷히고 외부적 요인이 안정되자 하락이 멈추었고 상승은 정부가 빚내서 집사라고 권하게 되면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부동산 거품에 의한 붕괴로 인하여 하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08년과 비교하면 그 당시는 주택구매지수가 157이었지만 지금은 187(혹자는210)로 그 당시보다 20%이상 거품이 있으며 2008년 10월 기준금리가 5.2%에서 4개월만에 2.0%까지 급격하게 내렸지만 지금은 그 반대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인구적 측면에서 보면 서울의 인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구수도 급증하였지만 지금은 최근 5년간 인구는 급감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감소 인원은 65만에 달합니다. 이는 강남구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그리고 공급부족론자들의 전가의 보도인 가구수 증가란 것은 이미 끝났습니다. 통계작성후 최초로 서울의 가구수가 4개월 연속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1인 가구수가 이미 42%(인류 역사상 처음 발생한 현상) 넘었기에 가구 분화도 사실상 끝났다고 보여집니다. 2008년의 거품이 발생할 때는 전세자금 대출이란 것이 없었기에 하락시에 전세가가 하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전세자금 대출이 대부분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영향은 주담대보다 더 빨리 더 높게 받기 때문에 전세가가 집값보다 더 빨리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세자금대출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집값 하락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급락하면 일시적 반등(데드캣반운스)은 반드시 생기지만 그것에 속으면 안됩니다. 향후 10년간 서울의 인구는 30만 감소하고 가구수도 20만가구 줄어들 것이 확실합니다. 따라서 영원히 21년 가격을 회복하지 못할 것입니다. 끝으로 부동산 시장에서 무시 못할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경기인데 지금의 정부에서 경제를 살릴 실력이 있는지 의구심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계산해 보면 작년4/4분기부터 마이너스 성장에 들어갔고 4분기 연속 마이너스가 될 확률이 95%입니다)
@장사의신-g5m 76
2023년 1월 06일 18:221주택자들도 2019년 이후에 사신 분들은 수단 방법을 가리지 말고 팔 수만 있다면 파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80년에 처음으로 하락하면서 2008년에 4차 하락이 있었고 지금은 5차 하락입니다. 지금의 하락은 처음으로 거품 붕괴에 의한 하락입니다. 따라서 앞선 하락과 결과가 다르게 나올 것입니다.
IMF때의 하락과 지금의 하락을 비교하면 IMF처럼 급락하는 것 이외에는 같은 점이 없습니다. 그 당시에는 부동산에 거품이 거의 없었고 외환위기라는 부동산의 관점에서 보면 외부적 요인에 의한 급락이 있었습니다. 대외환경의 호조로 인하여 무역수지가 급증하면서 외부적 요인이 사라지자 급반등했습니다.
그리고 2008년의 하락은 부동산 거품이 많이 있는 상태에서 외부적 요인(미국의 금융위기)이 결합하면서 하락이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니 거품이 걷히고 외부적 요인이 안정되자 하락이 멈추었고 상승은 정부가 빚내서 집사라고 권하게 되면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부동산 거품에 의한 붕괴로 인하여 하락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008년과 비교하면 그 당시는 주택구매지수가 157이었지만 지금은 187(혹자는210)로 그 당시보다 20%이상 거품이 있으며 2008년 10월 기준금리가 5.2%에서 4개월만에 2.0%까지 급격하게 내렸지만 지금은 그 반대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인구적 측면에서 보면 서울의 인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가구수도 급증하였지만 지금은 최근 5년간 인구는 급감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감소 인원은 65만에 달합니다. 이는 강남구보다 많은 숫자입니다.
그리고 공급부족론자들의 전가의 보도인 가구수 증가란 것은 이미 끝났습니다. 통계작성후 최초로 서울의 가구수가 4개월 연속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1인 가구수가 이미 42%(인류 역사상 처음 발생한 현상) 넘었기에 가구 분화도 사실상 끝났다고 보여집니다. 2008년의 거품이 발생할 때는 전세자금 대출이란 것이 없었기에 하락시에 전세가가 하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지만 지금은 전세자금 대출이 대부분 변동금리이기 때문에 금리인상의 영향은 주담대보다 더 빨리 더 높게 받기 때문에 전세가가 집값보다 더 빨리 하락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전세자금대출의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집값 하락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급락하면 일시적 반등(데드캣반운스)은 반드시 생기지만 그것에 속으면 안됩니다. 향후 10년간 서울의 인구는 30만 감소하고 가구수도 20만가구 줄어들 것이 확실합니다. 따라서 영원히 21년 가격을 회복하지 못할 것입니다.
끝으로 부동산 시장에서 무시 못할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경기인데 지금의 정부에서 경제를 살릴 실력이 있는지 의구심이 듭니다. (개인적으로 계산해 보면 작년4/4분기부터 마이너스 성장에 들어갔고 4분기 연속 마이너스가 될 확률이 95%입니다)
@직장인김씨-w4i 27
2023년 1월 07일 10:39확실한건 부동산을 자산으로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이 없는 사람보다 여유있게 살아왔다는 것이다. 6.25전쟁때도 사글세를 내면서 살았었는데, 내 집 하나는 있어야 한다.
@꽃들풀-h7r 22
2023년 1월 06일 17:51시장원리에 의해
정해진 가격이 없다면 답은 하나다.
안사면 가격은 내린다.
안사면 가격은 떨어진다.
툭까놓구 3년만 부동산 거래하지마라.아예 관심을 두지마라.은행에 예금이자받구 자신의 일을 즐기라
지금가격에 3분1가격에 살수있다.
내가 하락기에 산아파트서울중심가 33평 신축 5억6천있는데
6개월후에 4월9천에 돈필요한 급한사람이 급매로 4월9천에 팔더라,
그 아파트가 15억이다.
지금은 사는순간 현시점 가장 비싸게 사는것이다.
거래안되면 아쉬운사람이 누군가 바로 집을 비싸게 팔고자하는 사람들과 누가 이기겠는가!
지금 10억호가 집들 한국주택구입부담지수 230이다. 100을기준으로했을때 지금 멀었단 이야기입니다.
열정 20
2023년 1월 06일 17:17윤대통령이 확전불사라는데. 규제풀어 부동산 부양한다고 한들 .. 부동산 상승이 가능할까요? 가끔씩 확전이라고 윤대통령이 초를 쳐주시는데요...
@악래-h4m 13
2023년 1월 07일 15:07자본주의 국가에서 규제는 다 풀어야된다고 하면서 집값떨어지니 영끌러들과 다주택자들을 왜 도와주려고하죠? 개인책임이지
여기가 자본주의 맞나요? 공산주의인가요?
Chulsoo Lee 11
2023년 1월 06일 17:12촬영일시 안내되어 있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은머해먹을까 10
2023년 1월 06일 18:29집값하락하는거는없던데 일부몇분이급해서파는거외에는 그걸하락햇다고하면안되지 요즈음이사가는집이없음~~
Bamboo Arrow 10
2023년 1월 06일 17:13그냥 시세보다 약간 더 낮게 해서 던져..그래도 팔릴까 말까지..아무리 싸도 손님이 있어야 팔리든 말든 하지..
@또이또이-k1r 8
2023년 1월 08일 22:35무주택자들이 조언할때가 살때다...
@youngmikim5336 8
2023년 1월 06일 17:33특례보금자리론 기다렸다 매수해야 할것 같아요.
특례보금자리론 출시될때까지 더 빙하기 될것 같아요. 모두 기다리고 있어요.
균형 6
2023년 1월 06일 18:50중형빌딩 임장다니는 입장에서 꼬마빌딩은 철저히 공감합니다
지금 꼬마빌딩은 폭탄돌리기와 다를바없습니다
이런 시기에 어느대형유튜버는 꼬마빌딩 세미나를 하더군요 참....무지한건지 의도적인건지.....어떤이유든 악하다고 생각합니다
@seunghwajung8031 5
2023년 1월 06일 18:34또 닥칠 긴 장마만 이길 수 있다면 견디고,
폭우에 다 떠내려갈 수 있다면?
@lucky_tv 3
2023년 1월 06일 17:52🌟 『채상욱 애널리스트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0AzotWg2K88&t=970s
👉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zYw3VG-NSgU&t=14s
👉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g5Rrxu5mlhM&t=7s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EOezM8iV9nU
@클라쓰-h2x 3
2023년 1월 06일 18:40아파트일병구하고.꼬마빌딩정책도펴라.막장으로가는거야.부양정책으로💣폭탄돌리자.대한민국을담보로.전체가아파트공화국만들어보자구 어떻게 되는지?
@Rick_GTcruizer 2
2023년 1월 17일 15:1810:20 꼬마빌딩..
04:00
@갇레옹 2
2023년 1월 16일 20:39채상욱님 구찌 살 돈으로 헤어부터 정리 좀..........
@노동해방-l1b 1
2023년 2월 08일 05:54구찌를 입었는데 많이 힘들어보이시네요. 건강 조심하세요 채상욱님!
@wonjin0219 1
2023년 1월 14일 23:27니트 구찌에요?? 완전 시강^^ 프레쉬 하네요!
@재제우
2023년 3월 06일 13:24미용실을 옮기셔야할듯.
헤어스타일이 김보성?
채상욱님 김보성 스타일 좋아하시나봐요
@재제우
2023년 3월 06일 13:19채상욱님 오랜만이에요!
하나은행 근무하실때랑 이상하게 관상?이 바뀐 느낌입니다
순박하고 선한 얼굴에 말쑥한 외모였는데
이상하게 오늘은 동네 흔하게 보는 부동산 영업사원 같은 얼굴이시네요
옷이 구찌라 그렇게보이는건 아닌거같고 얼굴이 인상이 바뀐건 확실해보이네요
저만 그래보일까요?
넘 오랜만에봤나요@.@
@유자옥-o7y
2023년 1월 13일 23:47그래도 큰빌딩보다는 꼬마빌딩은
괜찮아요
@modestpark4985
2024년 6월 12일 08:01ㅋㅋㅋㅋㅋㅋㅋ 미래에서 왔습니닼ㅋㅋㅋ 서울이 위험해욬????? ㅋ?
@asdf8700
2023년 2월 04일 12:56부동산 투기업자, 언론, 큰손들이 한통속으로
지들끼리 사고 팔면서 값을 올려 해쳐먹은데 원인이 있다. 앞으로 절대 고가의 집은 살생각을 하면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