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살 8세 아이 엄마인데 강연이 너무 와닿습니다. 저희 부부는 양가부모님 도움 없이 결혼을 시작했고 아이를 한명 만 출산한 이유도 저희 부부 노후 때문이기도 합니다 사교육은 안 시키기로 진직에 맘 먹었고 아니 시킬 형편도 안됩니다. 헌데 주변 아이 친구들은 진직에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먹고 싶은거 사달라는거 다 사주고 해외 여행은 저희집 만 못갔더군요 아이가 자기만 비행기 못타봤다며 투덜 대면 많이 미안하기도 했고 사교육 못시켜 가끔 불안하기도 했는데 아이가 인성 바르게 커서 자기 앞가림 잘하고 살게 하고 싶은게 제 교육관이 였는데 이제 확실하게 소신이 생겼습니다 강연 듣고 나니 없는 살림에 잘 키워주신 부모님께 진심 감사드리고 3층연금 꼭 실행할께요 강연 가슴에 깊이 새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부모들은 지독하리만큼 자식에게 집착을 한다~ 지나친 집착으로 인해 자식들을 무능한 바보로 만들고 있다!!! 이 집 저집 둘러봐도 대학나와 집에서 노는 자식들!!! 부모들은 파스 붙여가며 아픈 몸 이끌고 일 다니고~ 자식들은 부모들이 해주는 것을 너무도 당연히 여기고~ 잘못되도 너무 잘못된 대한민국의 자식 사랑!!!
연금의 필요성에 대해서 깊이 인식한 강의였습니다! 1. 자녀들의 집까지도 챙겨주려는 우리나라의 모든 부모님들... 정말 대단합니다! 2. 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할 것은 리스크를 다루는 방법.. 극히 공감합니다! 3. 100세 부모의 70세 자녀... 전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네요. 정말 생각을 바꾸고 미래를 대비해야겠습니다..
자식에게 의지하지 않는 삶을 살기위해 30대 때부터 준비해 왔어요. 그덕에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자식에게 손 벌리지 않고 살고 있습니다. 자식에게 사교육 많이 시킨다고 자녀리스크가 없진 않아요. 적당한 사교육과 본인 노후준비하면 나중에 자식들에게도 부담이 안되죠.
부모님으로부터 자발적으로 돈 하나 받지않고 결혼해서 열심히 대출 상환하며 2년째 살아오는 신혼부부입니다. 아버지께도 주택연금 신청하시라고 안내드렸고 저희 부부도 최소한의 생활비 말고는 선저축 하며 살아가고있습니다. 저희 부모님, 다음 세대에 꼭 전해주고 싶은 좋은 강연덕에 마음이 넉넉해지네요. 감사합니다:)♥️ 책도 너무 기대되네요>_<
강창희 대표님 한말씀 한말씀이 와닿았고 영상 혼자보지말고 남편과 꼭 같이 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오늘 마침 소액이지만 꾸준히 모았던 재형저축 만기라 5학년 아이랑 같이 은행에 가면서 적금이 뭔지 예금이 뭔지 둘의 차이가 어떤건지, 보험과 연금에 대해서 설명해주었는데 생각보다 흥미있게 듣더라구요. 생각해보니 이런 설명들을 해준적이 없더라구요. 제 생각에 아직 앤데 용돈이나 잘 관리하면 다행이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거 같아요. 이번 영상을 통해 초등학생 두아이에게 어떤 것을 물려주면 좋을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1. 장수 시대를 맞이하는 미래 준비 방법 강창희 트러스톤연금교육 대표 2. 미국, 유럽, 일본과는 다른 자녀교육관 -> 한국 마인드 3. 과다한 결혼비용, 사교육비 -> 부모 평균 은퇴나이 50세 4. 대학 졸업생 취업률 67%(한국) -> 냉혹한 세대 5. 자녀대상 제대로된 직업관에 대한 중요성 6. 월급많이주는곳, 사람이 몰리는곳에 가지 마라 -> 자신만의 것을 찾는것 7. 리스크없이 풍요로운 인생이 어려운 시대 8. 돈관리, 경제적 자립 교육 -> 부모의 소신 9. 노후의 최소생활비가 연금으로 충족되는가
노후 생활과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은 유심히 볼거란 생각이듭니다 특히 직장인이라면 모두가 갖고 있는 고민이란 생각도 드네요 ㅎㅎㅎㅎ 꾸준히 계속적으로 교육하고 동기부여 받는것이 중요한 시점이라 보여지네요 강창희 대표님 동기부여 영상 감사합니다~!^^
부족함 없이 받고만 자란 제가, 가정이 어려워진 이후로 생활이 많이 변했습니다. 처음엔 몸과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데, 힘든만큼 성장하는게 저 스스로 느껴지더라구요. 고생을 하는만큼 제 인생이 풍요로워짐을 느끼고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인생을 더 멀리 내다보고 자립, 자생을 위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 지 고민을 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얼마전 취준생 딸과 올해 대학생인 아들 앞에 두고, 제가 가슴을 치며 우리나라 교육을 한탄한게 있는데^^;;; 그게 바로 '경제관념- 돈관념'을 왜 어릴때부터 교육을 하지 않았냐였지요.(학교와 가정(부모)에서) 그래서 이렇게 어렵게 살아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강창희 대표님의 '노인(자식)이 노인(부모)을 어떻게 모십니까?' 무서운 말씀으로 들립니다. 자식들에게 제대로 심어 줄것은 바로 "직업관"이다...잘 알겠습니다!!! 이 영상 가족들끼리-가까운 지인들끼리 서로 공유 해야겠네요!!!
제 나이 41살이라 말씀이 더 가슴에 와닿습니다..마흔에 들어서부터 줄곧 노후대비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면서부터 재테크 책도 읽고 경제 관련 뉴스도 접하고 있습니다..그러다 문득 입시위주의 교육을 받다보니 이런 경제와 관련한것에 대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구나..하는 생각이 들더군요..어찌보면 살아가는데 있어서 국어 수학보다 더 중요한데 말입니다..다시 한번 나의 노후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상기시켜주는 감사한 영상이였습니다..감사합니다
아이들 대학등록금까지는 책임져야한다는 생각으로 살아왔는데 방금 강의 듣고 나의 노후 인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이따 퇴근하고 돌아올 남편하고 함께 자녀지원을 언제까지 할것인지도 상의하고 점검해 봐야겠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세바시는 사랑입니다♡
2년 전부터 강창희 대표님 강의를 많이 찾아 들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부모님들 당신께서 "자식 도움 필요없다" 하더라도 정작 돈 없이 늙고 병들고 정신이 흐려지면 자식 발목을 잡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ㅠ 자식에게 가장 큰 부조는 학비, 결혼자금, 집이 아니라.. [스스로 노후보장 확립하여 죽을 때까지 자식에게 의지하지 않는 것] 일 것 같습니다.
아직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입니다. 젊을 때 이런 좋은 방향제시 해주시는 명쾌한 강의 듣게 되어 참 복되다 생각이 드네요!! 강사님 책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부부가 함께 배우고 대화하여 자녀교육, 결혼, 자립문제에 대한 공통된 인식과 소신을 세워나가는 시간을 가져야겠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본인몫은 본인이 책임지고 사는게 인간으로써 최소한의 도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식이라고 당연히 받는것을 기대하고 부모라서 마땅히 해줘야하는것은 없습니다.. 물론 다주고도 넘치게 남아서 주체하지못할만큼의 재산이 있다면 예외겠지만, 허례허식과 체면때문에 부모 등꼴휘게 만들고 자식에게 짐을 지우는 부모자식이라면 남보다못한 이름만 가족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각자의 몫을 해내며 부담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건강한 관계를 유지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제 나이 40. 현재 재직중이지만, 미래를 생각하면 암담해서 또 이직을 고려중이고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잠을 설칩니다. 늦었다고 생각이 들면서도 100세 시대에 내가 무엇을 준비해야 살아 남나...먹고 사나...결혼 7년차 아직 아이는 없지만 지금 둘이 사는데도 항상 빠듯한 살림살이에 아기를 가질 생각을 하면 막막합니다. 강창희 대표님 강의 들으며 기억에 남는 말씀은...시험 못봐도 씩씩해야 한다! (제 유일한 장점ㅋ), 자기만의 주특기를 만들고 인성을 중요시 여기는 부분, 3층 연금(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3층 연금 준비 못한 노년은 주택연금 등. 막연하게 고민만 하다가, 강 대표님의 강의 들으니 조금은 묵은 체증이 내려가는 듯 합니다. 밤낮없이 미래 고민만 하던 제가 실질적인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강 대표님의 저서를 꼭꼭! 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3층 연금 명심하고 꼭 준비해놓아야될꺼 같아요. 이제는 자식에게 의지하지않고 부부가 스스로 독립하고 발전할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것이 가장 중요하고 자식또한 스스로 독립할수 있도록 하는것이 가장 이 시대를 현명하게 살 수있는 비법이라고 느껴지네요. 오늘부터 실천하겠습니다.
너무 감사하게 잘 들었습니다. 정신이 바짝 드네요 전 중등 초등을 키우고 있습니다 중학생 딸과는 신용카드의 무서운 점 체크카드와 다른점등 실생활에서 경제교육을 많이 합니다. 우리집 수입과 큰지출등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구요. 나름 소신있게 하고싶은거 위주로 최소한의 사교육만 시킨다고 생각했는데 대학등록금이나 집값 조금은 보태줄려고 생각 했는데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이었어요. 유익하고 깊은 생각을 하는 시간이었어요. 책은 꼭 한번 읽어 볼게요. 감사합니다.
현실적인 조언이 와닿아요~ 30대후반인데 말씀하신데로 경제활동을 할수있는 나이가 한정되어있고 한창 일할 때라 하더라도 회사경영악화라던지 자연재해같은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갑자기 경제활동이 중단되는 경우도 생기더라구요 정말 대비가 필요하다고 절실히 느낍니다~또한 부의 대물림에 대해서도 많이 깨닫고 있거든요 물려주는 재산의 규모가 다르기도 하지만 부모가 물려주는 돈에 대한 생각과 사용가치가 중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고 있어요 책을통해 동영상보다 좀 더 깊게 알고싶어요 ^^
해마다 돈 나갈 곳은 많아지는데 돈 들어올 곳은 적어진다는 말이 저희 부모님을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아팠습니다. 아직 대학생인 저로서는 공감할 수 없는 말이지만 그래도 공감이 됩니다. 한국 사회에 대학은 이제는 꼭 가야만 하는 교육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자신의 적성을 찾고 어울리는 학생들이 다녀야 하는 곳이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 많은 내용이 담겨있네요. 6번이 이직해야 60세까지 사는 시대. 시험 합격해야 사는 시대가 아니라 씩씩해야 하는 시대. 리스크에 도전하되 관리할 수 있는 지혜를 배워야 한다. 이런 주제로 어른들과 아이들이 모이고 , 대화하고, 솔직한 질문과 토론을 하는 시간이 쌓여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수학, 영어만 가르치고 있었는데 깜짝 놀랐어요ㅜㅜ 그렇죠. 씩씩하게 크면 되는데 말이죠. 경제공부를 시키고 싶어도 제가 아는건 '저축이 최고다' 였어요. 외벌이에 아프기까지 하니 노후가 더 걱정이데 마음만 급한건 사실이예요. 애들한테 손만 안 벌려도 좋은 부모라는 생각에 열심히 노후 준비하려고 강의듣고 책을 보는데 리스크 관리하며 준비하는게 쉽지 않네요.
40대 중반으로 접어든 제 입장에서 뜨끔했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집에 있는 초등학생 아이들이 국영수만 공부하고 있거든요.ㅠㅠ 다른 건 손도 못대고 그거라도 하면 마음이 좀 놓이는 것 같아서.. 그런데 지금 당장 중요한 건 국영수가 아닌가봅니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어떻게 경제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는지 남편과 대화하고, 아이들의 경제 공부를 조금씩이라도 준비해야겠습니다. 무엇보다도 학교 성적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어리석은 저를 반성해봅니다. 부모가 깨우치지 못하면 어린 아이들의 미래는 앞으로 없을 것 같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요즘 경제상황이 어려지고 사람들이 일확천금만을 생각하며 주식으로 빚내서 뛰어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녀였을때 경제관념에 대해 교육을 받지 못해 쟤들하니 나도 해야지. 멋모르고 시작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다행히 좋은 말씀 해주시는 분들께서 이렇게 직접 오랜세월 경험한 말씀을 허심탄회하게 이렇게 세바시를 통해 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2013년부터 강의하며 세바시는 꼭 들어라 했는데 제가 시간이 갈수록 더 빠져드네요. 감사합니다. 강창희님께서 말씀해주신대로 저도본받아 제 인생 3단콤보로 만들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신이 확 드네요. 연사께서는 연금을 말씀해 주셨는데 저도 그 방법으로 아주 최소한의 생계는 마련해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국가 차원에서 세금의 효율적 운영이라는 부분이 잡히지 않는다면 그마저도 기대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월급대비 물가가 전체적으로 너무 오르고 있으니까요. 그래도 연사님 덕분에 사업 외 다른 면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전쟁을 격은 부모 밑에서 저축의 중요성을 배웠고 ‘want’ 가 아닌 ‘need’ 를 중심으로 돈쓰는 지혜를 미국에서 자란 내 자식들에게도 가르치려 애 썼는데 주위의 환경이 그걸 힘들게 했습니다. 다 옳은 말씀 하셨는데 한가지.... 미국은 학교에서 경제개념을 가르키고 중학교 졸업하게되면 경제에 대한 이해가 한국 학생들 보다 높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미국에서 25년동안 중학교 교사생활하고 두 아이를 키운 엄마로서 동의 하지 않습니다. 여기 아이들도 저축이란 것 모르고 소비 만능주의에 젖어 있습니다.
100% 맞는 말씀입니다.돈을 얼마를 버느냐가 중요한게 아니고 어떻게 관리하고 쓰느냐가 중요합니다.일류대학이 아니라 어릴적부터 무엇이 내자식의 적성에 맞고 앞으로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갈수록 있는 자립심도키우고.감사할줄아는 인성 교육도 필요합니다 정말로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저는 집안 사정때문에 본의아니게 20살때부터 일을 해와서 경제적인 독립을 일찍이 했습니다.그래서 그에 대한 책임감이 얼마나 큰지 일찍이 깨닫게 되었죠 하지만 요즘 20대 30대 초반의 친구들은 그 책임감이 넘 결여가 되어있는 듯 싶습니다.. 사실 좀 안타까워요. 제가 굉장히 답답했던 부분을 잘 말씀해주신것 같아요! 요즘 시대는 국영수보다 세상을 사는 지혜가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또한 제 경제관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알고는 있었던 내용이지만 자세히 이해되게 설명해 주시니 경각심을 더 느끼게 되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아이 스스로 결핍을 느끼고 채울수 있도록 어려서 부터 경제적 능력을 키워줘야한다. ◇돈관리,경제적 자립 이거 모르면 평생 고생한다. ◇노후에 최소 생활비를 공적.사적 연금으로 꼭 확보하라. (국민연금,개인연금,주택연금,농지연금 등)
부모부양하랴 자녀교육하랴 4050대는 힘들지요 ㅠ 연륜에서 호소하는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후배부모들에게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강의 감사드려요. 아이들 경제교육은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할지도 가르쳐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도 이런 경제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어서, 현재 하고 있는 경제교육이 맞는방법인지도 확신이 잘 서지 않아서요 ;;
우연히 들었는데,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더구나 2년 전의 강의 라는데, 2년이 지난 지금 들어도 신선합니다. 한국인은 옛적부터, 변화 를 좋아하지 않는 국민성 이 있는것 같아요.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사회적 트랜드가 바뀌 는데, 개인적인 인생관, 가치관을 바꾸지 않으면 어떻게 지금의 생활을 소화 할수가 있습니까? 강창희 선생님 강의를 진지하게 잘 시청하고, 용기를 내서 생활지침을 개선하도록 합시다 그렇게 하는것 만이, 살수 있는 길이니까요. 실은 저도 얼마전 부터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1993년 공대 입학당시 공대 교수님께서 경영대 가서 꼭 경제학과 회계학 교양으로 들어라 라는 말씀듣고 경제학원론과 회계학원론 수강했는데 인생에 큰 도움이 되었네요. 재테크에 눈을 떠 시행착오 겪으면서 거북이처럼 부를 늘렸는데, 자식도 대학에 가면 꼭 경제학원론과 회계학 기초 수강하라고 꼭 얘기할 겁니다. 인생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수학과 영어가 아닌 경제학과 회계학인 것 같습니다. 대학졸업 후 대기업에 운 좋게 입사했으나 40대 중반 넘어가니 이제 떠날 때인 것이 대기업의 현실이네요. 30대부터 노후준비해 놓아서 이제는 은퇴가 두렵지 않네요.
@eimnoah3206 261
2020년 3월 26일 11:48세상에... 저렇게 현명하신 어르신이 계시다니 놀랍습니다!
@도화지-h3g 209
2020년 3월 26일 01:18그래서.....
직장이 아닌
직업을 가져해요
@JJ-fs1zc 171
2020년 3월 26일 12:45진짜 현실적이고 중요한 강의네요... 대학등록금을 자기가 벌어다녔으면 일찌감치 공부가 길이 아닌사람들은 다른일거리 찾았을거란 분석이 정말 띵합니다. 편안히 등따숩고 배부르면 오히려 현실감만 떨어지고 판단능력이 떨어지는것같아요. 뭐가 중헌지..
Good Day 137
2020년 3월 29일 20:25모든 재산 아들한테 갈아넣고 늙어서 딸에게 손벌리는 한국.
생각하는대로 이루어진다 125
2020년 3월 26일 01:1742살 8세 아이 엄마인데 강연이 너무 와닿습니다.
저희 부부는 양가부모님 도움 없이 결혼을 시작했고
아이를 한명 만 출산한 이유도 저희 부부 노후 때문이기도 합니다
사교육은 안 시키기로 진직에 맘 먹었고 아니 시킬 형편도 안됩니다.
헌데 주변 아이 친구들은 진직에 사교육에 노출되어 있고 먹고 싶은거 사달라는거 다 사주고 해외 여행은 저희집 만 못갔더군요 아이가 자기만 비행기 못타봤다며 투덜 대면 많이 미안하기도 했고
사교육 못시켜 가끔 불안하기도 했는데
아이가 인성 바르게 커서 자기 앞가림 잘하고 살게 하고 싶은게 제 교육관이 였는데 이제 확실하게 소신이 생겼습니다
강연 듣고 나니 없는 살림에 잘 키워주신 부모님께 진심 감사드리고 3층연금 꼭 실행할께요
강연 가슴에 깊이 새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이은호-o7x 123
2020년 3월 26일 01:33한국의 학생으로써 정말 통찰력 있는 말씀을 이렇게 쉽게 접할 수 있어 감사할따름이네요. ㅎㅎ 앞으로 준비해나가야하는 인생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
최혜심 120
2020년 3월 25일 22:37경제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에 적극 공감합니다.근데 사실부모인 저희도 경제관념이 너무 부족해요.. 그래서 어떻게 교육을 해야할지 참 난감 하네요..
@하말순-v4f 118
2020년 4월 04일 19:18자식을 돕는것은 앞길를 망친다. 돈버는 기술과 살아가는 방법과 노력을 길려야 한다.
@light-ug9lo 84
2020년 5월 25일 11:50우리나라 부모들은 지독하리만큼
자식에게 집착을 한다~
지나친 집착으로 인해 자식들을
무능한 바보로 만들고 있다!!!
이 집 저집 둘러봐도
대학나와 집에서 노는 자식들!!!
부모들은 파스 붙여가며 아픈 몸 이끌고 일 다니고~
자식들은 부모들이 해주는 것을 너무도 당연히 여기고~
잘못되도 너무 잘못된 대한민국의 자식 사랑!!!
K K 83
2020년 3월 25일 22:58부모들 교육이 필요해요. 남들 따라가려다 아이들을 망치는 무지한 부모가 너무 많아요. 우리 부모님도 보시라고 링크 공유했어요. 대표님 책도 읽고 배우고 싶습니다!!
@명언-s1v 79
2020년 3월 25일 23:21연금의 필요성에 대해서 깊이 인식한 강의였습니다!
1. 자녀들의 집까지도 챙겨주려는 우리나라의 모든 부모님들... 정말 대단합니다!
2. 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할 것은 리스크를 다루는 방법.. 극히 공감합니다!
3. 100세 부모의 70세 자녀... 전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네요. 정말 생각을 바꾸고 미래를 대비해야겠습니다..
@jennnykkk 72
2020년 3월 26일 23:23세바시 영상중에 제일 몰입해서 본 영상이네요.... 정말 요즘 시대를 통찰력 있게 말씀해주시는데 소름이 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허예미 70
2020년 3월 26일 21:47위험하니까 하지말자가 아니라 위험을 감수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 배우고 갑니다.
오연정 68
2020년 3월 28일 09:54우리나라 자녀교육비 자녀결혼 땜에 노후가망한듯 공부못하는 아이들 대학안보내야 하고 빠리 자립시켜야한다
@문장민-m3d 67
2020년 3월 28일 10:2550을 넘어가면서, 내 몫으로 준비한 게 없다는것과 , 자식에게 가르친게 없다는 바를 절감하는데, 선생님의 진정어린 조언을 새깁니다. 긴 수명이 덫이 되지않게 새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슬경-r2t 64
2020년 4월 05일 21:45자식에게 의지하지 않는 삶을 살기위해
30대 때부터 준비해 왔어요.
그덕에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자식에게 손 벌리지 않고 살고 있습니다.
자식에게 사교육 많이 시킨다고
자녀리스크가 없진 않아요.
적당한 사교육과 본인 노후준비하면
나중에 자식들에게도 부담이 안되죠.
Latte 61
2020년 3월 26일 12:33부모님으로부터 자발적으로 돈 하나 받지않고 결혼해서 열심히 대출 상환하며 2년째 살아오는 신혼부부입니다. 아버지께도 주택연금 신청하시라고 안내드렸고 저희 부부도 최소한의 생활비 말고는 선저축 하며 살아가고있습니다. 저희 부모님, 다음 세대에 꼭 전해주고 싶은 좋은 강연덕에 마음이 넉넉해지네요. 감사합니다:)♥️ 책도 너무 기대되네요>_<
@혀니쭈-u4k 53
2020년 3월 25일 22:17자식을 키우며 저도 아쉬웠던것이 저축을 할게 아니라 아이에게 경제 공부를 시키지 않은것이 가장 후회가 됩니다. 진작에 저도 좋은 조언을 많이 접하였으면 내 자식에게 나의 삶을 ㅈ대물림을 하지 않았을거란 생각을 합니다
Jenny Olsen 46
2020년 3월 27일 11:20자식에게 올인 하는 이유 이해가 안 됨...
자기들 일 할수 있게 도와 두고 격려 해 주지.. 무슨 대학 등록금 이랑 결혼 자금 까지..
정말 정상이 아닙니다
18살 된 아들에게 중고차 하나 사 주고 허그 해 주고 인사하고 독립 시켜야 함.
@kimera0813 44
2020년 3월 27일 15:38강창희 대표님 한말씀 한말씀이 와닿았고 영상 혼자보지말고 남편과 꼭 같이 봐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오늘 마침 소액이지만 꾸준히 모았던 재형저축 만기라 5학년 아이랑 같이 은행에 가면서 적금이 뭔지 예금이 뭔지 둘의 차이가 어떤건지, 보험과 연금에 대해서 설명해주었는데 생각보다 흥미있게 듣더라구요. 생각해보니 이런 설명들을 해준적이 없더라구요. 제 생각에 아직 앤데 용돈이나 잘 관리하면 다행이지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거 같아요.
이번 영상을 통해 초등학생 두아이에게 어떤 것을 물려주면 좋을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
GENTLE Daily&Book 41
2020년 3월 25일 22:101. 장수 시대를 맞이하는 미래 준비 방법
강창희 트러스톤연금교육 대표2. 미국, 유럽, 일본과는 다른 자녀교육관 -> 한국 마인드
3. 과다한 결혼비용, 사교육비 -> 부모 평균 은퇴나이 50세
4. 대학 졸업생 취업률 67%(한국) -> 냉혹한 세대
5. 자녀대상 제대로된 직업관에 대한 중요성
6. 월급많이주는곳, 사람이 몰리는곳에 가지 마라 -> 자신만의 것을 찾는것
7. 리스크없이 풍요로운 인생이 어려운 시대
8. 돈관리, 경제적 자립 교육 -> 부모의 소신
9. 노후의 최소생활비가 연금으로 충족되는가
노후 생활과 미래에 대해 고민하는 분들은 유심히 볼거란 생각이듭니다
특히 직장인이라면 모두가 갖고 있는 고민이란 생각도 드네요 ㅎㅎㅎㅎ
꾸준히 계속적으로 교육하고 동기부여 받는것이 중요한 시점이라 보여지네요
강창희 대표님 동기부여 영상 감사합니다~!^^
입닫고빵먹어 37
2020년 3월 25일 22:22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내 인생..가난은 대물림...
내 자식에게는 더 나은 삶을 주지 못할 것을 알기에
혼자 살으렵니다
@꼬마곰-k2f 37
2020년 3월 26일 03:54이제 막 30대가 되었지만 너무나공감가는 내용이에요. 부모님과같이 영상보며 느끼는게많습니다. 이번에 책 당첨되서 꼭 부모님과 같이봤으면 좋겠습니다 ㅎ
@해피마마-j7m 36
2020년 5월 25일 20:47자식에게 일찍부터 독립심과 생활력을
가르켜야 부모지식지간에 서로 행복할 수 없습니다 정말 공감가는 말씀
감사합니다 ~😃👌👍
도토리 29
2020년 3월 25일 23:12이제까지 저는 부모님의 노후 자금을 갉아 먹으며 살아왔음을 고백합니다. ㅠㅠ 지금의 저는 30대이지만 지금부터 조금씩 노후를 대비하려고 합니다. 성찰의 기회를 주신 세바시 감사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Dr.JungFrench 28
2020년 4월 10일 14:35아, 이렇게 좋은 방송을 왜 이제야 찾았지요? 당장 구독합니다.
@leah5485 26
2020년 3월 30일 18:18경제적 자립 가장 중요하다는 말씀 아주 공감합니다~
@badaandnamu4285 24
2020년 9월 09일 21:21부족함 없이 받고만 자란 제가, 가정이 어려워진 이후로 생활이 많이 변했습니다. 처음엔 몸과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는데, 힘든만큼 성장하는게 저 스스로 느껴지더라구요. 고생을 하는만큼 제 인생이 풍요로워짐을 느끼고 있습니다.
영상을 보고 인생을 더 멀리 내다보고 자립, 자생을 위해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할 지 고민을 할 수 있었습니다.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Ji Woong Ha 24
2020년 3월 31일 18:11강의 잘 들었습니다 사실 냉정한 얘기 처럼 들리지만 현실을 직시 하고 변화한 사회에 적응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30대 직장인데 국민연금 추납을 하고 있고 회사가 퇴직연금 가입 의무 직장이 아니라 개인 IRP 도 가입해서 유지 하고 있답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연과 책으로 만나뵙고 싶습니다!
@season_sound 24
2020년 3월 28일 00:50얼마전 취준생 딸과 올해 대학생인 아들 앞에 두고, 제가 가슴을 치며 우리나라 교육을 한탄한게 있는데^^;;;
그게 바로 '경제관념- 돈관념'을 왜 어릴때부터 교육을 하지 않았냐였지요.(학교와 가정(부모)에서) 그래서 이렇게 어렵게 살아가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요.^^;;;
강창희 대표님의 '노인(자식)이 노인(부모)을 어떻게 모십니까?' 무서운 말씀으로 들립니다. 자식들에게 제대로 심어 줄것은 바로 "직업관"이다...잘 알겠습니다!!! 이 영상 가족들끼리-가까운 지인들끼리 서로 공유 해야겠네요!!!
세상에 화낼 일 하나 없다 23
2020년 3월 31일 09:576:38
자식들에게 제대로 된 직업관을
심어줘라
mini Cheon 23
2020년 3월 25일 22:0240을 넘고 보니 너무나 가슴에 와닿는 말입니다. 100세때 집을 물려주면 그 자식도 70이다 라는 말은 생각도 해보지 않았던 사고의 전환입니다. 우리부부를 위한 3층 연금마련과 더불어 자식의 경제공부를 꼭 명심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김명숙 22
2020년 3월 31일 15:22결론 ㅡ집 ,농지 자식에게 다 쓰지말고 노후용으로 연금으로써라.
ㆍ
집도없고 농지도 없는사람? ...무답이네요.
jeonghun j 21
2020년 3월 26일 03:493:03 자막에 "차 값"->"책 값"
4:26 자막에 " 돈 벌고"->"논 팔고"
으로 들리는데요. 한번 확인해두시면 해요.
프머경제 19
2020년 3월 25일 21:53저 또한 우리나라 돈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경제적인 문제는 어쩌면 수학 영어보다 더 중요한데 아쉽네요. 인터뷰 잘봤습니다!!
@ssk6137 19
2020년 3월 31일 14:45이 영상을 보고 느낀점은 너무 공부공부 보단 잘할수있는걸 잘 생각.. 선택해 진롤정해야 한다는 생각이드네요
luv q 19
2020년 3월 29일 17:01부양의무부터 없애자 어떤 선진국이 부양의무가 있냐
@제니퍼줄리 19
2020년 3월 25일 23:00제 나이 41살이라 말씀이 더 가슴에 와닿습니다..마흔에 들어서부터 줄곧 노후대비를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면서부터 재테크 책도 읽고 경제 관련 뉴스도 접하고 있습니다..그러다 문득 입시위주의 교육을 받다보니 이런 경제와 관련한것에 대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했구나..하는 생각이 들더군요..어찌보면 살아가는데 있어서 국어 수학보다 더 중요한데 말입니다..다시 한번 나의 노후는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상기시켜주는 감사한 영상이였습니다..감사합니다
@sebasi15 18
2020년 3월 25일 21:37나이가 들수록 돈 나갈 곳은 많은데 들어올 곳은 없어집니다. 모아둔 돈은 없고 자녀들도 커가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한 마음만 듭니다. 나이가 들수록 돈 걱정하며 살고 싶지 않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강창희 트러스톤연금교육포럼 대표가 답해드립니다.
✻ 세바시 멤버십에 가입하세요. 더 깊고 유용한 강연 콘텐츠를 만날 수 있습니다. http://bit.ly/2URQKU4
✻ 강창희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이 번호로 문의주세요! ☞ 02-2652-2102
✻ 강연 영상이 올라올 때마다 보고 싶다면 지금 클릭(알람설정)! ☞ http://bit.ly/2odEydm
✻ 가장 빠른 세바시 강연회 신청 https://apply.sebasi.co.kr
✻ 내 삶을 위한 더 깊은 공부, 세바시 클래스 https://class.sebasi.co.kr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딸기우유조아 17
2020년 4월 01일 18:26아이들 대학등록금까지는 책임져야한다는 생각으로 살아왔는데 방금 강의 듣고 나의 노후 인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이따 퇴근하고 돌아올 남편하고 함께 자녀지원을 언제까지 할것인지도 상의하고 점검해 봐야겠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세바시는 사랑입니다♡
@이리아-s6b 15
2020년 3월 30일 11:32우리가족은 4명인데 각자도생시스템입니다
가끔 마음이 흔들릴때 이렇게 유용한 강의들으며 마음을 잡아봅니다
좋은강의 참으로 감사합니다
김도도 15
2020년 4월 03일 17:15부모가 바껴야 자식도 바낍니다.
발등을 본인들이 찍고들 살죠.
자식들이 찍는게 아니라~~~
쌩콩 14
2020년 4월 11일 23:10저는 아무것도안해줬어요 자식새끼도 그렇고 주위사람들도 뭐저런부모가있나 그러더라구요 그러거나말거나 나자신이 살고봐야지 실컷욕해보시라 키워줬으면되는거지 취직하든지말든지 너벌어 너살고나벌어나산다
코코코코 14
2020년 3월 25일 22:11세상이 바뀌면서 노후자금 준비도 변해야된다
zzzibbbo7 11
2020년 3월 28일 12:34좋은강의 감사합니다. 4월이면 곧 아기가 태어나는데, 인성교육/성교육/발달교육 여러모로 고민중입니다.
경제교육도 어렸을때부터,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
그리고 노후자금과 연금에 대해 고민해보아야겠어요 :)
@supermota6655 11
2020년 3월 28일 23:302년 전부터 강창희 대표님 강의를 많이 찾아 들었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부모님들 당신께서 "자식 도움 필요없다" 하더라도 정작 돈 없이 늙고 병들고 정신이 흐려지면 자식 발목을 잡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ㅠ
자식에게 가장 큰 부조는 학비, 결혼자금, 집이 아니라.. [스스로 노후보장 확립하여 죽을 때까지 자식에게 의지하지 않는 것] 일 것 같습니다.
@2아웃9회말 11
2020년 3월 25일 22:08대표님 영상을 보니 부모님께 많은 것들 하나부터 열까지 의지 했던 제가 부끄럽고 죄송하네요
이 영상을 보니 정신이 바짝드네요
정신차려서 살아야 겠다고 생각합니다
몸과 마음 홀로서기 하도록 더 노력해야 겠다는 생각으로 가득차네요
고맙고 감사합니다🙏🙏🙏💕💕💕
마음보렴 11
2020년 3월 26일 00:12아직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입니다. 젊을 때 이런 좋은 방향제시 해주시는 명쾌한 강의 듣게 되어 참 복되다 생각이 드네요!! 강사님 책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부부가 함께 배우고 대화하여 자녀교육, 결혼, 자립문제에 대한 공통된 인식과 소신을 세워나가는 시간을 가져야겠습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정미숙작가tv 10
2020년 4월 01일 01:01이제 생각을 바꿔야 해요.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살아야 해요.
그래서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책을 읽고 찾는중이에요.
제가 알아야 우리 애들한테도 가르켜 줄수 있죠.
돈관리,경제적 자립에 대해 많이 공부해야 할것 같아요.강의 감사합니다~^^
@임사라-v3h 10
2020년 3월 28일 21:13본인몫은 본인이 책임지고 사는게 인간으로써 최소한의 도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식이라고 당연히 받는것을 기대하고 부모라서 마땅히 해줘야하는것은 없습니다.. 물론 다주고도 넘치게 남아서 주체하지못할만큼의 재산이 있다면 예외겠지만, 허례허식과 체면때문에 부모 등꼴휘게 만들고 자식에게 짐을 지우는 부모자식이라면 남보다못한 이름만 가족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각자의 몫을 해내며 부담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건강한 관계를 유지해나갔으면 좋겠습니다.
@바로-m6r 9
2020년 4월 01일 21:29몇번을 되돌려 듣게 되네요~~고개숙여짐니다.소신있는 삶 살고싶습니다
@윤샘다락방 9
2020년 3월 26일 10:31모든게 맞는 말씀이세요 지금이라도 생각을 바꿔야곘어요~~!!!!!
@hannah1688 9
2020년 3월 26일 14:13제 나이 40. 현재 재직중이지만, 미래를 생각하면 암담해서 또 이직을 고려중이고 진로에 대한 고민으로 잠을 설칩니다. 늦었다고 생각이 들면서도 100세 시대에 내가 무엇을 준비해야 살아 남나...먹고 사나...결혼 7년차 아직 아이는 없지만 지금 둘이 사는데도 항상 빠듯한 살림살이에 아기를 가질 생각을 하면 막막합니다. 강창희 대표님 강의 들으며 기억에 남는 말씀은...시험 못봐도 씩씩해야 한다! (제 유일한 장점ㅋ), 자기만의 주특기를 만들고 인성을 중요시 여기는 부분, 3층 연금(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3층 연금 준비 못한 노년은 주택연금 등. 막연하게 고민만 하다가, 강 대표님의 강의 들으니 조금은 묵은 체증이 내려가는 듯 합니다. 밤낮없이 미래 고민만 하던 제가 실질적인 대책을 세울 수 있도록...강 대표님의 저서를 꼭꼭! 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정환 9
2020년 4월 04일 15:05알콜중독이면
병원비공짜에
용돈까지
나오는
제도 ㆍ 정비합시다.
@마음읽기-g9p 9
2020년 3월 31일 08:28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살아보니 경제관념이 생활속에서는 가장 중요하네요.
불랙커피 8
2020년 4월 14일 19:07이분 많이 늙었네
아직도 미래에셋에 계시나?
주식 펀드투자하면 통장은 마이너스 되는데
미래에셋 대표는 재산이 2조? 늘어만 가고
고객 통장은 비어만 간다 ㅋㅋㅋ
매밀가루 8
2020년 4월 06일 10:58서양 젊은 이들은 월세 로 시작해요.
Erin Cho 7
2020년 3월 27일 10:36취업준비생으로 리스크나 불확실성을 극복못하면 풍요로운 삶을 살수 없다는 것이 크게 와 닫네요 ㅎㅎ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불확실성 때문에 도전하는 것이 두려웠는데
용기내서 시도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드레이캔디스 7
2020년 3월 30일 17:40평생 안전한 직장은 없다. 나만의 멋진 job이 필요하다. 근데 그게 쉽지가 않네요ㅜㅜ
@user-bk5ky5bf5e 7
2022년 10월 25일 08:18좋은 강의 잘 들었어요ㆍ
100%공감함에 숨죽이고 들었네요
요즘 부모들이 정말 진짜 문제예요ㆍ
@lerai007 7
2020년 6월 14일 03:20진짜 현명한 부모 만나기란 쉽지않지... 소신도 웬만해서는 잘 만들어지기 어렵고.
@들꽃장미-o3v 6
2020년 3월 31일 18:263층 연금 명심하고 꼭 준비해놓아야될꺼 같아요. 이제는 자식에게 의지하지않고 부부가 스스로 독립하고 발전할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것이 가장 중요하고 자식또한
스스로 독립할수 있도록 하는것이 가장 이 시대를 현명하게 살 수있는 비법이라고 느껴지네요. 오늘부터 실천하겠습니다.
@조향미-g3c 6
2020년 4월 09일 04:19너무 감사하게 잘 들었습니다. 정신이 바짝 드네요 전 중등 초등을 키우고 있습니다
중학생 딸과는 신용카드의 무서운 점 체크카드와 다른점등 실생활에서 경제교육을 많이 합니다. 우리집 수입과 큰지출등에 대해서도 이야기 하구요. 나름 소신있게 하고싶은거 위주로 최소한의 사교육만 시킨다고 생각했는데 대학등록금이나 집값 조금은 보태줄려고 생각 했는데 다시 한번 생각하는 시간이었어요. 유익하고 깊은 생각을 하는 시간이었어요. 책은 꼭 한번 읽어 볼게요. 감사합니다.
@해바라기-m3y 6
2020년 6월 11일 06:15반대로 받은 것 없이 독립한 자식이 부모를 부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빠져 나올 수 없는 수렁이죠. 살아가는 내내 지칩니다. 주거 비용에 부양 비용에... 사고는 서로 독립적이어야 합니다. 일방적이 아니라...
유지오 6
2020년 4월 05일 16:17일본 취업률은 높아도
직장의 질은 떨어지는 경우가
꽤 많아요.
@마늘부부 6
2020년 4월 01일 17:32자식 땜에 부모는 죽을때까지 갈비가 휘네요좋은 말씀감사 합니다 제가돈벌어보니 너무힘들어요부모님 돈 귀한겁니다
@jkim4742 5
2020년 4월 01일 23:08현실적인 조언이 와닿아요~ 30대후반인데 말씀하신데로 경제활동을 할수있는 나이가 한정되어있고 한창 일할 때라 하더라도 회사경영악화라던지 자연재해같은 외부적인 요소에 의해 갑자기 경제활동이 중단되는 경우도 생기더라구요 정말 대비가 필요하다고 절실히 느낍니다~또한 부의 대물림에 대해서도 많이 깨닫고 있거든요 물려주는 재산의 규모가 다르기도 하지만 부모가 물려주는 돈에 대한 생각과 사용가치가 중요한 부분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고 있어요 책을통해 동영상보다 좀 더 깊게 알고싶어요 ^^
정경심 5
2020년 4월 11일 12:11연금을 잘 운영하는 국가가 되어야합니다
@박보혜-e2l 5
2020년 3월 30일 18:04강창희 팬 입니다 건강하시고 🎶 행복하세요
@dosasu8219 5
2020년 4월 06일 22:17강장희 박사님 의 말씀이 귀에 쏙쏙들어 옵니다. 너무나 감사 합니다. 화 이 팅 ~~~~
장희원 5
2020년 4월 07일 07:42노인인구는 늘어나고 노후준비는 안되었으니 집을 팔어야하는 노인이 늘어나고 짒값은 내릴 수 밖에 없다.
@김대명-y4x 5
2020년 3월 30일 17:13여기저기 기웃거리며 들려오는 재테크에 관한 무수히 많고많은 방법들이 난무하지만 오만가지를 다담을수는없고 이럴까 저럴까 망설임에 시간만가고 답답할때 그래도 경험과 경제인의 원칙의 길을가시는분,특히 노후까지 긴세월을 안정적으로 부자가되는 길을 실생활에서 안내해주시는 보기드문 양심적인 강창희강사님 강의를 옛것부터 찾아듣고 그래 원칙은 바로이것이였지 변함이 없구나라고 결론내리고 한걸음 한걸음 실행해나갑니다.
귀한말씀 하나하나 크게 도움됩니다.감사합니다.무병장수하십시요.
anna Jung 4
2020년 3월 26일 08:58경제교육, 돈에 대한 가치관을 세우는것의 중요함을 다시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장철환-k1c 4
2022년 8월 02일 14:59해마다 돈 나갈 곳은 많아지는데 돈 들어올 곳은 적어진다는 말이 저희 부모님을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아팠습니다.
아직 대학생인 저로서는 공감할 수 없는 말이지만 그래도 공감이 됩니다.
한국 사회에 대학은 이제는 꼭 가야만 하는 교육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 생각은 다릅니다.
자신의 적성을 찾고 어울리는 학생들이 다녀야 하는 곳이 되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선자-n9d 4
2021년 11월 14일 12:30"이런 현실을 만든 것도 부모의 책입니다~"
통탄할입니다.....!
공감배려 4
2020년 3월 25일 23:19감사합니다..좋은 말씀 잘 들었습니다..
쌩콩 4
2020년 4월 11일 23:17연금도필요없어요 내돈내가관리하며 살아야지 갑자기 죽으면몰라도 죽을시간이있으면 다계획이 있지요 내돈은내가관리한다
양경자 4
2020년 3월 28일 14:00세상이 변하고 있고 삶의 태도와 방식도 바꿔야 하지요 미리 노후 준비를 한 사람은 괜찮겠지만 자녀 부양으로 노후가 불안하신 분들은 지금이라도 노후대비에 힘써야겠어요 자녀들도 부모가 가난하면 도와주지 못해서 안타깝고 부모도 자식과의 관계에서 껄끄러울 것이라 생각됩니다
sujin Jeong 4
2020년 3월 26일 00:05참 많은 내용이 담겨있네요. 6번이 이직해야 60세까지 사는 시대. 시험 합격해야 사는 시대가 아니라 씩씩해야 하는 시대. 리스크에 도전하되 관리할 수 있는 지혜를 배워야 한다.
이런 주제로 어른들과 아이들이 모이고 , 대화하고, 솔직한 질문과 토론을 하는 시간이 쌓여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심종수 4
2020년 7월 02일 23:48지금60중반어느정도기반잡앗고현수익도연금포함500정도 돈욕심을버려야몸이편한데 출근하면또300이상은버니자꾸출근하게됑니다직장42년째대기업23년포함 몸은늙어가는데돈욕심은여전하네요돈욕심버리고싶습니다
너부리 4
2020년 3월 27일 12:11수학, 영어만 가르치고 있었는데 깜짝 놀랐어요ㅜㅜ
그렇죠. 씩씩하게 크면 되는데 말이죠.
경제공부를 시키고 싶어도 제가 아는건
'저축이 최고다' 였어요.
외벌이에 아프기까지 하니 노후가 더 걱정이데 마음만 급한건 사실이예요.
애들한테 손만 안 벌려도 좋은 부모라는 생각에 열심히 노후 준비하려고 강의듣고 책을 보는데 리스크 관리하며 준비하는게 쉽지 않네요.
휘모리 3
2020년 3월 26일 20:41경제교육이 필요하다는 말에 적극 공감합니다.
윤경 3
2020년 3월 26일 16:5640대 중반으로 접어든 제 입장에서 뜨끔했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집에 있는 초등학생 아이들이 국영수만 공부하고 있거든요.ㅠㅠ 다른 건 손도 못대고 그거라도 하면 마음이 좀 놓이는 것 같아서.. 그런데 지금 당장 중요한 건 국영수가 아닌가봅니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어떻게 경제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는지 남편과 대화하고, 아이들의 경제 공부를 조금씩이라도 준비해야겠습니다. 무엇보다도 학교 성적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어리석은 저를 반성해봅니다. 부모가 깨우치지 못하면 어린 아이들의 미래는 앞으로 없을 것 같네요. 말씀 감사합니다.^^
새옹지마 3
2020년 3월 28일 23:45강대표님을 직접 뵙고 강의를 경청한게 15년전 이었던거 같은데 ...
그 긴시간동안 변함없이 미래 노후에 대해 철저한 준비를 끊임없이 경고하고 계신다...
주식투자에 존리대표가 있다면 노후준비에는 강창희대표^^
힐링재테크&부자독서 3
2020년 4월 13일 03:08경제 교육, 마인드 변화, 노후준비는 젊을 때부터 스스로~!!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이삼호-g6w 3
2021년 11월 20일 15:34선생님 강의 너무 잘 들었어요 ㅡ감사 합니다ㅡ
이석태 3
2020년 3월 30일 10:22좋은 강의 가족과 친지분들과 공유해서 봐야겠습니다. 자식들 경제교육은 물론 노후 준비 3층연금,주택연금 100세시대 선진국형 인간이 됩시다.
@이로운지혜 3
2020년 3월 30일 11:31요즘 경제상황이 어려지고 사람들이 일확천금만을 생각하며 주식으로 빚내서 뛰어들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녀였을때 경제관념에 대해 교육을 받지 못해 쟤들하니 나도 해야지. 멋모르고 시작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다행히 좋은 말씀 해주시는 분들께서 이렇게 직접 오랜세월 경험한 말씀을 허심탄회하게 이렇게 세바시를 통해 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2013년부터 강의하며 세바시는 꼭 들어라 했는데 제가 시간이 갈수록 더 빠져드네요. 감사합니다. 강창희님께서 말씀해주신대로 저도본받아 제 인생 3단콤보로 만들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u k 3
2020년 3월 31일 10:52정신이 확 드네요. 연사께서는 연금을 말씀해 주셨는데 저도 그 방법으로 아주 최소한의 생계는 마련해오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국가 차원에서 세금의 효율적 운영이라는 부분이 잡히지 않는다면 그마저도 기대하기 어렵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월급대비 물가가 전체적으로 너무 오르고 있으니까요. 그래도 연사님 덕분에 사업 외 다른 면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나행복-s2x 3
2020년 5월 25일 02:26지식과 지혜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Liz Oh 3
2020년 4월 01일 04:30좋은 말씀.
남멋쨍이72 2
2020년 3월 29일 08:56냉철하게 생각하고 실천해야겠습니다
happy 2
2020년 5월 27일 04:58그러니까 연금 들으라는거요?
초창기 당신에 강연듣고
미래엣세이 주식사서 폭망한1인 입니더.
Sapóre Mediterráneo 2
2020년 4월 05일 23:16연금의 중요성 잘 배우고 갑니다
크리스탈 뷰티TV Crystal BeautyTV 2
2020년 5월 10일 09:32어우 시원하네요 진짜 맞는 말만 딱딱!!!!! 정말 속시원합니다. 일본과 미국을 예시로 하여 우리나라의 사교육, 결혼자금을 꼬집다니. 맞는 말입니다. 미국은 스스로 벌거나 융자를 많이 받아요.
히도 2
2020년 3월 29일 06:46요즘 눈앞에 놓인 거나 해치우느라 시야가 좁아져있었다는 걸 느꼈습니다.
이 영상 덕분에 제 삶을 길게 보고 설계해야한다는 걸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영상에서 리스크에 도전하되 관리할 수 있는 지혜를 배워야한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배워야할까요?
@이종권bs 2
2022년 11월 10일 17:14강창희 先生님을 積極 應援 합니다.
늘 健康 하시기를 祈願 합니다.
고은영[오카리나] 1
2020년 7월 17일 16:23좋은강연으로 마음을 새로 잡아봅니다
감사합니다.
자녀키우기 힘들었는데..
대학등록금을 안댈수도 없고..
ᆞ가즈아 1
2020년 4월 06일 22:46강창희 선생님
왜?이제 만났을까요?
감동입니다ㅡ
Alex Choi 1
2020년 5월 25일 21:53평균이 86살....그러게요. 집 같은 거 안줘도 되니까 궁상 떨고 좀 안 살았으면 좋겠어요.
@heatherk3696 1
2020년 5월 24일 04:45전쟁을 격은 부모 밑에서 저축의 중요성을 배웠고 ‘want’ 가 아닌 ‘need’ 를 중심으로 돈쓰는 지혜를 미국에서 자란 내 자식들에게도 가르치려 애 썼는데 주위의 환경이 그걸 힘들게 했습니다. 다 옳은 말씀 하셨는데 한가지.... 미국은 학교에서 경제개념을 가르키고 중학교 졸업하게되면 경제에 대한 이해가 한국 학생들 보다 높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미국에서 25년동안 중학교 교사생활하고 두 아이를 키운 엄마로서 동의 하지 않습니다. 여기 아이들도 저축이란 것 모르고 소비 만능주의에 젖어 있습니다.
김송주 1
2020년 3월 31일 17:01그자식칠십이거든요~ ㅡㅡ;;
받을것도 줄것도 없어서
기생할수도없네요
뼈때리는말씀 감사드려요~
슈트름게슈쯔Sturmgeschutz 1
2020년 4월 05일 22:23아 ! 이분에게 ..KBS 라디오에서 ...포트폴리오..투자..애기 들었던게... 2009년인데... 그로부터..11년이 지나버렸네...
gmvisck 1
2020년 7월 12일 16:38마지막....내가 하던일 죽어라고 반대하던 울모친 결국 지금 후회하고 내 눈치 보고 산다...나도 모친 얼굴만 봐도 울화통 터지고.
@이시현-y8z 1
2023년 1월 07일 17:5450대중반인데 크게 도움이 되는 강의입니다^^😊
Suk C. 1
2020년 4월 08일 00:48100% 맞는 말씀입니다.돈을 얼마를 버느냐가 중요한게 아니고 어떻게 관리하고 쓰느냐가 중요합니다.일류대학이 아니라 어릴적부터 무엇이 내자식의 적성에 맞고 앞으로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갈수록 있는 자립심도키우고.감사할줄아는 인성 교육도 필요합니다 정말로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
라떼 1
2020년 3월 26일 22:03지금이라도 국민연금가입해야겠어요! ㅠㅠ 좋은강의감사합니다!
양부자정숙 1
2020년 4월 18일 14:03아 좋은영상을 이제야듣네요
비글은지쌤 1
2020년 3월 30일 08:39저는 집안 사정때문에 본의아니게 20살때부터 일을 해와서 경제적인 독립을 일찍이 했습니다.그래서 그에 대한 책임감이 얼마나 큰지 일찍이 깨닫게 되었죠 하지만 요즘 20대 30대 초반의 친구들은 그 책임감이 넘 결여가 되어있는 듯 싶습니다.. 사실 좀 안타까워요. 제가 굉장히 답답했던 부분을 잘 말씀해주신것 같아요! 요즘 시대는 국영수보다 세상을 사는 지혜가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또한 제 경제관에도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감사합니다!
최점순 1
2020년 6월 02일 06:1535년 부모 치닥 꺼리에 내 인생 폭 망 했네요 ㅠㅠㅠ
나도 이젠 늙고 병들었는데 ㅠㅠㅠ
아직도 부모들은 숨 쉬니...
Kim sarah 1
2020년 4월 14일 18:48깨어있는 어르신이시네요
보니또 1
2020년 3월 26일 11:13알고는 있었던 내용이지만 자세히 이해되게 설명해 주시니 경각심을 더 느끼게 되는 좋은 영상이었습니다..
◇아이 스스로 결핍을 느끼고 채울수 있도록 어려서 부터 경제적 능력을 키워줘야한다.
◇돈관리,경제적 자립 이거 모르면 평생 고생한다.
◇노후에 최소 생활비를 공적.사적 연금으로 꼭 확보하라. (국민연금,개인연금,주택연금,농지연금 등)
박은원준맘 1
2020년 3월 28일 10:38부모부양하랴 자녀교육하랴 4050대는 힘들지요 ㅠ 연륜에서 호소하는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후배부모들에게 가르쳐주셔서 감사합니다. 너무 좋은 강의 감사드려요.
아이들 경제교육은 어떤 것부터 시작해야할지도 가르쳐주시면 좋겠습니다. 저도 이런 경제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어서, 현재 하고 있는 경제교육이 맞는방법인지도 확신이 잘 서지 않아서요 ;;
신호 1
2020년 5월 25일 08:02미국화해야함 18 세넘음 쫒아내야 혼자 산다 뭘하던 ᆢ
삼인행三人行 1
2020년 4월 09일 08:35자막에 오타 있습니다. 차=>책 입니다.
유달산 1
2020년 4월 17일 21:03물고기를 잡아다가 주는것과 잡는방법을 가르쳐주는것과 어느쪽이 더 성공적일까
Sunghyun Jung(정성현)
2020년 4월 18일 12:11역시 우리나라 노후,연금관련 최고의 전문가이십니다.
@Bb-nu5wk
2023년 1월 29일 11:05우연히 들었는데, 좋은
내용이었습니다. 더구나
2년 전의 강의 라는데,
2년이 지난 지금 들어도
신선합니다.
한국인은 옛적부터, 변화
를 좋아하지 않는 국민성
이 있는것 같아요.
하지만, 시대가 변하고
사회적 트랜드가 바뀌
는데, 개인적인 인생관,
가치관을 바꾸지 않으면
어떻게 지금의 생활을
소화 할수가 있습니까?
강창희 선생님 강의를 진지하게 잘 시청하고,
용기를 내서 생활지침을
개선하도록 합시다
그렇게 하는것 만이, 살수
있는 길이니까요. 실은
저도 얼마전 부터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장보윤
2020년 3월 28일 11:0640대 초반에 직장맘입니다. 이제 인식부터 바꿔야 된다. 또 제 자식교육을 사교육으로 자녀리스크에 안 빠지고, 노후를 위해 준비하겠습니다. 또 8살 자녀의 경제 교육 즉 부족한 듯하게 경제공부하고, 연습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전민규
2021년 5월 13일 20:12내 노후는 남편도 자식도 아닌 나 자신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함이니 나도 정신차리고 아자!~~~~ 직장이 아닌 내 확실한 직업을 찾아야하겠군요...
@홍귀숙-u7j
2022년 5월 03일 19:33저는 매일매일 듵고
밤낮으로 듣고있고ᆢ
매일매일 반성하고
이제는 취미가 되었습니다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선생님
박녕순
2020년 6월 03일 08:18노년에 필수적인 강연 잘보고갑니다!
일산아저씨
2020년 5월 20일 23:471993년 공대 입학당시 공대 교수님께서 경영대 가서 꼭 경제학과 회계학 교양으로 들어라 라는 말씀듣고 경제학원론과 회계학원론 수강했는데 인생에 큰 도움이 되었네요. 재테크에 눈을 떠 시행착오 겪으면서 거북이처럼 부를 늘렸는데, 자식도 대학에 가면 꼭 경제학원론과 회계학 기초 수강하라고 꼭 얘기할 겁니다.
인생에서 도움이 되는 것은 수학과 영어가 아닌 경제학과 회계학인 것 같습니다.
대학졸업 후 대기업에 운 좋게 입사했으나 40대 중반 넘어가니 이제 떠날 때인 것이 대기업의 현실이네요. 30대부터 노후준비해 놓아서 이제는 은퇴가 두렵지 않네요.
박창신
2020년 12월 09일 23:03우리나라 교육의 문제 정작 인생에 필요한 돈공부는 안시키고 국영수만 가리킴
Michelle Lim
2020년 9월 26일 10:49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 영상을 봤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