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 두 개를 양자 역학의 입자 두 개로 예시를 들어서 두 개의 동전이 양자 얽힘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고, 동전 A와 동전 B가 있고, 이 둘은 얽혀 있어서 어느 한쪽 동전의 상태를 알게 되면 다른 동전의 상태도 알 수 있다. 이 말에서 중요한 점은, 이 상태에서는 동전이 "앞면" 또는 "뒷면"이라는 확정된 상태에 있다는 것이 아닌, 두 동전 모두 "앞면 또는 뒷면일 수 있다"는 일종의 중첩 상태에 있다는 것, 만약 누군가 동전 A를 던져 앞면이 나왔다고 확인하면, 이 순간 동전 B도 "앞면"이 됩니다. 동전들의 거리와 상관 없이요 고전적인 상식에선 이해하기 힘들지만 양자 얽힘에선 가능해요
양자 얽힘 상태에서 두 입자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게 아니라, 하나의 시스템이에요 한 입자의 상태를 측정하면 다른 입자의 상태가 그 순간 결정되는거에요 이것이 동전 두 개의 예에서 " 동전 1개가 앞면이 나오면 다른 1개도 앞면이다"라는 표현 의미입니다 멀리 떨어진 두 입자간에도 순간적으로 정보가 전달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현상은 실제로 정보 전달로 간주되지 않아요
쉽게 예시를 다시 들어드리면
한쌍의 장갑이 있고, 각각 왼송용 오른손용입니다. 이 두 장갑을 각각의 상자에 넣고 어느 쪽이 왼손 장갑이고 어느 쪽이 오른손 장갑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두 상자를 다른 장소로 보내요 두 상자중 하나를 열어 장갑을 확인했더니 왼손 장갑이 나왔어요 그러면 그 즉시 다른 상자에는 오른손 장갑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거죠? 한 장갑이 왼손용이라는 것을 알면 다른 장갑은 자동으로 오른손용이 될 수 밖에 없는거잖아요 이게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이죠? 하지만 양자 얽힘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이상하게 작용해요 양자 얽힘 상태에서는 상자를 열기 전까진 장갑들이 각각 왼손/오른손 용인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하지만 한쪽 상자를 열어 장갑을 확인하는 순간 마치 그 순간에 두 장갑의 상태가 동시에 결정되는 것처럼 보여요
1. 일반 장갑: 우리가 상자를 열기 전에 이미 장갑은 왼손용인지 오른손용인지 이미 결정되어 있다. 상태가 확정적
2. 양자 얽힘의 장갑: 상태가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고, 우리가 측정하는 순간에서야 결정된다. 그리고 그 순간 다른 입자의 상태도 함께 결정된다.
요약하자면 양자 얽힘에서는 두 장갑의 얽힌 입자가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한 입자의 상태가 결정되면 다른 입자의 상태도 그 즉시 결정되는 것처럼 보여요
질문있습니다. 1. 전자가 얽혀 있어야 저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했는데 모든 전자 는 반드시 쌍으로 얽혀있나요? 그 쌍은 누가 정하죠? 만약 전자가 홀수로 존재한다면 짝이 없는 전자는 뭘 하죠? 2. 아무리 먼 거리라도 발생한다고 하는데, 그걸 어떻게 알죠? 실험을 했다면 어떻게 했죠? 3. 빛보다 빠르게 결정된다고 하는데 그건 또 어떻게 알수있죠? 4. 조금 막연하게 신기한 설명을 하기 보다는 좀더 구체적인 원리나 이유를 알 수 없나요?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 거죠? 5. 전자나 광자만 저런 현상이 있나요? 어느 정도 크기의 물질까지만 가능한 거죠? 6. 왜 분자나 더 큰 물질에서는 저런 현상이 없죠? 7. 양자 단위에서 저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뭐죠? 8. 님은 왜 스티브 잡스 비슷한 분위기로 강연을 하죠?
양자 컴퓨터는 양자얽힘 보다는 양자 수퍼포지션.. 중첩현상을 유지하여 0과1이 공존하여 엄청나게 빠른 연산이 가능한 큐비트기술이 필수 아닌가;; 양자얽힘이 진짜 위력을 발휘하는 분야는 앞으로 다가올 다행성시대에 빛의 속도의 한계를 뛰어넘는 양자통신.. 그리고 더 나아가 워프같은 기술이고..
양자역학은 사람의 힘으로 증명 할수 없음 그 이유는 대표적으로 양자얽힘임 그걸 증명 하는 순간 그냥 신이 된다고 봐도됨 양자얽힘의 원리는 자연이 원래 그렇게 되어 있음이 인간이 알고있는 최선임 사실 거의 모든 과학의 증명의 마지막 답변이 원래 자연이 그렇게 되어 있다 이기도 함
물리학은 너무나 매력적인 학문이지만 너무 멀게 느껴지곤 하는데, 이런 강연 덕분에 가볍게나마 접근해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아요! 감사합니다 :) 그런데 제가 다른 과학 채널에서 봤던 설명을 동전에 비유하면, 한쪽이 앞면이 나오면 다른 한 쪽은 뒷면이 나온다 였던 것 같은데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걸까요 ㅎㅎㅎ 궁금하네용!
이 이해할 수 없다는 개념이 결국은 새로운 법칙을 발견해야 한단 소리로 이건 천재들이나 가능한 이야기란 소리.. 현재 양자컴이 상용화되기 힘든 이유가 여럿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가 큐비트의 개수임. 양자컴은 엄밀히 말하면 개발된건 맞지만 사용성면에선 아직 제약이 큰 상태임.
@henrychoi4129 292
2024년 6월 29일 17:501분만에 알았습니다. 양자역학을 이해할 수 없다는 걸 이해했습니다. 큰 가르침 감사합니다.
@stopthestill 101
2024년 8월 18일 20:19동전 두 개를 양자 역학의 입자 두 개로 예시를 들어서
두 개의 동전이 양자 얽힘 상태에 있다고 가정하고, 동전 A와 동전 B가 있고, 이 둘은 얽혀 있어서 어느 한쪽 동전의 상태를 알게 되면 다른 동전의 상태도 알 수 있다. 이 말에서 중요한 점은, 이 상태에서는 동전이 "앞면" 또는 "뒷면"이라는 확정된 상태에 있다는 것이 아닌, 두 동전 모두 "앞면 또는 뒷면일 수 있다"는 일종의 중첩 상태에 있다는 것, 만약 누군가 동전 A를 던져 앞면이 나왔다고 확인하면, 이 순간 동전 B도 "앞면"이 됩니다. 동전들의 거리와 상관 없이요 고전적인 상식에선 이해하기 힘들지만 양자 얽힘에선 가능해요
양자 얽힘 상태에서 두 입자는 개별적으로 존재하는게 아니라, 하나의 시스템이에요 한 입자의 상태를 측정하면 다른 입자의 상태가 그 순간 결정되는거에요 이것이 동전 두 개의 예에서 " 동전 1개가 앞면이 나오면 다른 1개도 앞면이다"라는 표현 의미입니다 멀리 떨어진 두 입자간에도 순간적으로 정보가 전달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현상은 실제로 정보 전달로 간주되지 않아요
쉽게 예시를 다시 들어드리면
한쌍의 장갑이 있고, 각각 왼송용 오른손용입니다. 이 두 장갑을 각각의 상자에 넣고 어느 쪽이 왼손 장갑이고 어느 쪽이 오른손 장갑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두 상자를 다른 장소로 보내요 두 상자중 하나를 열어 장갑을 확인했더니 왼손 장갑이 나왔어요 그러면 그 즉시 다른 상자에는 오른손 장갑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거죠? 한 장갑이 왼손용이라는 것을 알면 다른 장갑은 자동으로 오른손용이 될 수 밖에 없는거잖아요
이게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이죠? 하지만 양자 얽힘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이상하게 작용해요
양자 얽힘 상태에서는 상자를 열기 전까진 장갑들이 각각 왼손/오른손 용인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어요 하지만 한쪽 상자를 열어 장갑을 확인하는 순간 마치 그 순간에 두 장갑의 상태가 동시에 결정되는 것처럼 보여요
1. 일반 장갑: 우리가 상자를 열기 전에 이미 장갑은 왼손용인지 오른손용인지 이미 결정되어 있다. 상태가 확정적
2. 양자 얽힘의 장갑: 상태가 미리 결정되어 있지 않고, 우리가 측정하는 순간에서야 결정된다. 그리고 그 순간 다른 입자의 상태도 함께 결정된다.
요약하자면 양자 얽힘에서는 두 장갑의 얽힌 입자가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며 한 입자의 상태가 결정되면 다른 입자의 상태도 그 즉시 결정되는 것처럼 보여요
@foodistk 93
2024년 5월 17일 03:15눈에 보이는 현상에 집중하는것이 아니라 현상을 넘어 미래의 가능성에 집중한다라는 말이 가슴에 와닿네요 그것은 인류학에도 맞겠네요
@정지환-o2l 74
2023년 8월 24일 17:53보이지 않는 나의 미래는 이미 나의 상상속에 존재한다. 과연 어떠한 미래를 상상하는가? 그것이 바로 나의 미래다.
@user-nm2ki2sg3z 50
2023년 1월 13일 15:33한쪽 정보를 알게 되면 거리에 상관없이 즉시 반대쪽 정보가 알게 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죠.
@깜빡이-u7e 36
2024년 10월 05일 12:08역시 양자는 가까이하기 어렵습니다 모두 친자하고 잘 지내시기를 바랍니다
@유은선-j4s 30
2024년 7월 06일 10:06양자역학의 핵심은
심은대로 행한대로 뿌린대로 나타난다는 의미같다
동전 앞면의 에너지가
옆 동전까지 영향을 미치듯이
내가 한 말, 행동, 마음씀씀이가 옆 사람에게 미친다는 의미
진짜 인생은 심은대로 거두게 되는 것을 확인한다
사랑하며 살자~♡
@warden5055 27
2023년 6월 11일 07:18앞면이면 뒷면이고 뒷면이면 앞면이라는게 맞는 설명이겠죠
@rush_dark1788 21
2023년 4월 11일 00:54어떤 경우에 두 동전이 양자 얽힘 상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Tee-vs7qw 20
2024년 9월 30일 21:50이 교수님 진짜 대단한 여성 물리학자심… 한국에 계셔준 것만으로 감사한거임.. 설명이 부족한건 편집을 채널주인이 못해서 그래…
@황토가좋아 18
2023년 12월 11일 21:18채은미교수님 짱 짱이다
@ABC-kx5gy 11
2024년 1월 02일 18:08질문있습니다. 1. 전자가 얽혀 있어야 저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했는데 모든 전자 는 반드시 쌍으로 얽혀있나요? 그 쌍은 누가 정하죠? 만약 전자가 홀수로 존재한다면 짝이 없는 전자는 뭘 하죠? 2. 아무리 먼 거리라도 발생한다고 하는데, 그걸 어떻게 알죠? 실험을 했다면 어떻게 했죠? 3. 빛보다 빠르게 결정된다고 하는데 그건 또 어떻게 알수있죠? 4. 조금 막연하게 신기한 설명을 하기 보다는 좀더 구체적인 원리나 이유를 알 수 없나요? 왜 저런 현상이 나타나는 거죠? 5. 전자나 광자만 저런 현상이 있나요? 어느 정도 크기의 물질까지만 가능한 거죠? 6. 왜 분자나 더 큰 물질에서는 저런 현상이 없죠? 7. 양자 단위에서 저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뭐죠? 8. 님은 왜 스티브 잡스 비슷한 분위기로 강연을 하죠?
@NIS007 10
2023년 1월 13일 13:55YangJa All Kim 👍
@Kevin-re7kt 10
2023년 6월 22일 13:52양자 컴퓨터는 양자얽힘 보다는 양자 수퍼포지션.. 중첩현상을 유지하여 0과1이 공존하여 엄청나게 빠른 연산이 가능한 큐비트기술이 필수 아닌가;; 양자얽힘이 진짜 위력을 발휘하는 분야는 앞으로 다가올 다행성시대에 빛의 속도의 한계를 뛰어넘는 양자통신.. 그리고 더 나아가 워프같은 기술이고..
@kpop-vw8xz 10
2024년 4월 28일 12:37자랑스럽다
이렇게 훌륭한 분이 많았으면
@coingames 7
2023년 7월 18일 10:03설명이 틀렸는데??? 양자얽힘 이해를 못했네요???????
@평온_하세요 7
2025년 2월 27일 23:40최근에 물질의 최소 단위가 입자가 아닌 특정 공간 좌표에 할당된 정보라는 걸 보고 양자역학을 이해 했습니다.
@lord1road729 5
2024년 7월 24일 23:10만약에 빼고 진짜 양자얽힘 상태의 동전으로 보여주세요
@자탐-s3s 3
2024년 5월 22일 01:31아직 그 어떤 누구도 양자역학에 대한 이론만 설명할 뿐 그 의미나 뜻을 이해하거나 아는 사람이 없군요.
@topcleanersdrycleaners7074 3
2024년 7월 07일 05:48세상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양자역학을 공부하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불교에서 말한 것과 같습니다
@hungilee138 3
2024년 10월 04일 10:02조건:양자얽힘상태에 있을때...
결과:양자얽힘이 일어난다.
질문:양자얽힘이 어떤 원리로 가능할까요?
@anais7297 2
2024년 7월 09일 07:10양자얽힘은 성경말씀
심은대로 거둔다
너의 말이 내 귀에 들린대로 내가 시행하리라와 같습니다
@하루살이-k7q 2
2024년 11월 01일 13:42ㅋㅋㅋ 한개가 앞면이믄 다른한개는 뒷면이라고해야지😂😂😂😂😂😂😂
@ssmgag 2
2025년 3월 04일 09:44양자역학은 사람의 힘으로 증명 할수 없음 그 이유는 대표적으로 양자얽힘임 그걸 증명 하는 순간 그냥 신이 된다고 봐도됨 양자얽힘의 원리는 자연이 원래 그렇게 되어 있음이 인간이 알고있는 최선임 사실 거의 모든 과학의 증명의 마지막 답변이 원래 자연이 그렇게 되어 있다 이기도 함
@Shine_7 2
2025년 1월 10일 14:19물리학은 너무나 매력적인 학문이지만 너무 멀게 느껴지곤 하는데, 이런 강연 덕분에 가볍게나마 접근해볼 수 있어서 정말 좋아요! 감사합니다 :) 그런데 제가 다른 과학 채널에서 봤던 설명을 동전에 비유하면, 한쪽이 앞면이 나오면 다른 한 쪽은 뒷면이 나온다 였던 것 같은데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걸까요 ㅎㅎㅎ 궁금하네용!
@Uvho 1
2025년 5월 19일 02:29양탄자 풀매수 완료
@hjkim3567 1
2025년 4월 02일 19:31이런거 공부하고 연구하시는 분들.
감사합니다.
여러분이 인류의 미래를 개척해주십니다.
@유병은-e2x 1
2025년 1월 03일 11:15그냥 간단히 양자보다 큰거말고 양자이하 단위부터는 우리가 일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물리법칙이 적용됨. 그래서 어렵게 들리는거임.
@watchdog2167 1
2024년 1월 01일 03:01파동이였던 빛이 슬롯을 지날때 지났다는 걸 직접 보지 않아도, 지났다는 정보만 알아도 파동은 입자로 변한다
@SeanPark7 1
2024년 7월 11일 22:31양자컴퓨터 얘기하면서 원리 쉽게 설명하는 사람 딱 한명 봤음.. 다들 양자얽힘 얘기만 하다가 끝남
@thrma0518 1
2025년 1월 13일 02:13시뮬레이션우주의증거
@조니비 1
2023년 10월 09일 23:40? 한쪽이 업스핀이면 반대쪽은 다운스핀되는거 아님? 왜 동전은 앞면 앞면 뒷면 뒷면임?
@Myunglee-vd7ul
2023년 9월 12일 20:53말로하지 말고 보여 줘야지.😢 그냥 그렇다고만 하면 그결과는 어디서 확인 합니까
@홍운표-r9q
2024년 11월 06일 22:03시간여행
가능합니까
@희망-m5o
2025년 3월 31일 22:16여기 있는 상태를 알면 보이지 않는 곳의 상태도 똑같은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는 것
여기 보이는 곳을 지배해서 보이지 않는 곳도 지배가 가능하다는 의미??
@솔개-v8s
2024년 7월 08일 08:39얽힘 상태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알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ChildOfLightEunsil
2025년 5월 30일 07:19동전 두개 계속 돌리는 나를 발견했다
내가 저 교수님 강의에 얽힌건가…
@김덕신-f7x
2024년 5월 11일 19:21아직은요😢😢😢
@_YouOnlyLiveOnce_
2024년 7월 10일 13:29❤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2023년 1월 13일 11:38풀버전 강연보기 👉🏻 https://youtu.be/ujBdITl6iCs
@sswandive
2025년 3월 27일 23:08칼 융의 동시성
@진맨진
2025년 5월 25일 01:33다 필요없고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이게 핵심임. 여기서 앞면이면, 달에서도 그 순간 앞면.
@그형-o5g
2024년 7월 12일 21:56양자정보의 전송 속도는 빛보다 빠르다는 건가요?
@Hjbjishrstmbj
2024년 7월 09일 04:15은미누나 귀엽네
@지구냥-c9v
2025년 3월 21일 08:07이 이해할 수 없다는 개념이 결국은 새로운 법칙을 발견해야 한단 소리로 이건 천재들이나 가능한 이야기란 소리.. 현재 양자컴이 상용화되기 힘든 이유가 여럿 존재하는데 그중 하나가 큐비트의 개수임. 양자컴은 엄밀히 말하면 개발된건 맞지만 사용성면에선 아직 제약이 큰 상태임.
@daeunkim9922
2023년 9월 02일 18:09err kim씨 대단하네요.
@nang-goo
2024년 11월 24일 09:15앞면이 나오면 다른쪽은뒷면이 나오는거 아닌가요 앞뒤가중첩상태에 있다가 이쪽이 앞이니까 다른쪽는 뒤라고 알게되는거 아닌가요
@0506-0-a
2024년 9월 20일 09:44제가 긁적긁적하면서 이영상을 보고 있다면 미래에 제모습은 이미정해져있다는건가요?
@김도균-z3f
2025년 5월 16일 13:34제가 한 마디 하겠습니다. 그리고 가르침 감사합니다.
MOVE FORWARD WITH POSSIBILITY THINKING.
@chosdaq-r2o
2025년 3월 31일 20:21-0+0=(1+무한)+변수=0+무한=0
@gonggam-bora
2025년 3월 21일 10:08소름, 보이지 않는 것을 엄청나게 주고 받으며 살아가지만 사람들은 보이는 것만 믿음. 보이지 않는 것을 느끼면 인생이 더 쉬워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