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참 재미있는 것은 초저금리로 진입하면 할수록 성실히 벌어 먹고 살만큼 돈을 쥔 사람들은 더욱더 돈을 쓰지 않고 이자가 없어도 은행에 넣고 스켈핑하듯 아끼며 살아간다는 거죠. 주식투자나 채권 투자요? 이런 사람들이 몇번 경험해 보고 돈을 잃으면 이곳이 얼마나 사기질 충만한 아사리판 이라는걸 알기에 다시는 발을 들여놓으려 하지 않습니다. 돈쓰지 않고 투자도 안하니 당연히 경기는 더욱 안돌고... 초저금리라는 발상 자체가 성실히 살아 저축해 놓은 사람들의 자산을 강탈해 부실한 기업에 배를 불리는 그야말로 반자본주의적 강도질에 불과 한 겁니다. 앞으로 보시길..... 돈을 아무리 한계상황까지 푼다 해도 디플레가 올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시중에 풀린 돈을 처먹기 위해 소위 기업이나 여러 투자사들은 실상 부가가치가 없어도 있는것 처럼 사기를치며 쓸데 없는 생산을 거듭해 시중에는 필요하지 않는 생산물이 쌓이기 때문이죠. 세계는 지금이라도 초저금리를 멈추고 고금리로 선회해 부실한 기업과 투자사들을 제대로 정리해 실물경제와 그동안의 허상적 경제수치를 일치시켜 현실화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가 20여년전에 겪었던 IMF사태때 처럼 말입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수많은 기업이 도산하고 그보다 몇배 맣은 사람들이 자살을 선택해야 겠죠. 그렇지만 이게 바로 현실입니다. 우리가 IMF로부터 제대로 조련 받고 10여년전 세계금융위기를 가볍게 이겨내고 도약 했던것처럼 말입니다.
그래서 미래에셋은 클어들인 자금으로 어디다 투자해서 고객에게 원금과 수익을 돌려두는 걸까? 채권? 적금? 주식? 사채? 수익형부동산? 부동산투자? 그러다 손실이 생기면? 그것은 고객 몫? 현재의 사태는 누구도 경험해보지 않은, 이론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기간 아니 시간이 문제해결의 키포인트가 될까? 일자리가, 어떤 일자리인가가 문제해결의 실마리. 양적완화는 재기할 시간을
물가 변동의 개념이 빠졌네요. 0금리라도 물가상승이 마이너스라면 구매력이 커져서 재산이 증식되는 것이고 금리가 높아도 금리보다 물가 상승이 더 높으면 실질 구매력은 낮아지므로 재산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에서는 물가 상승에 따른 적절한 금리 수준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일 물가 상승률보다 낮은 금리를 유지한다면 국가에서 저축한 자의 돈을 훔치는 것과 같고 노후를 망치는 것이 되어 경제를 망치는 셈이 되리라 봅니다.
내가 1989년에 사업을 시작했을 때 금리는 10 퍼센트로 돈을 빌렸습니다. 그 때는 천만원에 10만원의 이자를 준다고 생각했지요. 은행에 정말 많은 이자를 냈지요. 지금은 사업하기 참 편한세상 입니다. 자기 신용등급을 높이고 목돈을 만들어 투자기회를 찾거나 사업을 시작하세요. 공부도 성작을 잘 받아 좋은 대학에 가는 목표를 세우지 말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전공이나 특이한 사업 아이템을 생각하라고 권하고 싶네요.
그보다 진짜 저금리가 문제될 소지는 자금이 부동산으로 몰릴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값싼 금리이니 대출을 해서 부동산 투기붐이 일어난다면 이거야 말로 사회경제적 엄청난 재앙이 되어 버리죠. 단순히 저금리 상태 그것만이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저금리라는 것은 절대적으로 몇 퍼센트 이하 이런것이 아니라 은행금리보다 부동산 지가상승율이 더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은행대출해다가 부동산투자 했더니 그 수익가지고 은행 빛 갚고도 남았다라고 한다면 결국은 부동산 투기붐을 부추기는 꼴이 되어 버립니다. 이런 풍토를 막는것이 국가가 해야 할 책임입니다. 부동산 지가상승율은 은행금리보다 항상 낮도록 해야 할것이고 은행금리를 오버한 만큼 중과세가 따라야 합니다.
공무원 연금은 수차례에 걸쳐서 개정되어 현재 2016년 이후 임용된 신규들은 100만원대 초반입니다. (만기 납입시) 아직도 다들 350으로 알고 있더라구요. 저 역시 노후 준비에 관심이 많습니다. 나라 망하면 그리스처럼 연금 지급이 제대로 안될 수도 있구요. 물론 국민연금 참 그렇죠...제 부모님은 평생 일하셨는데 100만원 안된다고 하시더라구요..ㅠ 오늘도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
제 생각에는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자산 증식의 속도는 선형적으로 느려지는 것 같습니다. 5%일 때 자산이 2배가 되는 시간이 14년걸리고 0.5%일 때 140년이 걸린다고 했는데, 정확히 이자가 1/10이 될 때 자산이 두배되는 시간이 10배가 됩니다. 따라서 가속적이라기보다는 선형적이라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그냥저냥 183
2020년 3월 30일 08:59앞으로는 농사짖고 자급자족하는게 젤 편하게 사는방법 입니다 세상은 돌고 도는거니까요 언젠가 농업이 최고의 직업이 될것같은데요
홍익농장 123
2020년 3월 27일 03:47미래에셋 응원합니다
수익은 미래에셋으로 손실은 고객에게로..
S. T. Kim 115
2020년 3월 26일 22:05내가 번게 내돈이 아니라,
내가 쓴게 내돈입니다.
함규 75
2020년 3월 30일 03:12그런데 참 재미있는 것은 초저금리로 진입하면 할수록 성실히 벌어 먹고 살만큼 돈을 쥔 사람들은 더욱더 돈을 쓰지 않고 이자가 없어도 은행에 넣고 스켈핑하듯 아끼며 살아간다는 거죠. 주식투자나 채권 투자요? 이런 사람들이 몇번 경험해 보고 돈을 잃으면 이곳이 얼마나 사기질 충만한 아사리판 이라는걸 알기에 다시는 발을 들여놓으려 하지 않습니다. 돈쓰지 않고 투자도 안하니 당연히 경기는 더욱 안돌고... 초저금리라는 발상 자체가 성실히 살아 저축해 놓은 사람들의 자산을 강탈해 부실한 기업에 배를 불리는 그야말로 반자본주의적 강도질에 불과 한 겁니다. 앞으로 보시길..... 돈을 아무리 한계상황까지 푼다 해도 디플레가 올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시중에 풀린 돈을 처먹기 위해 소위 기업이나 여러 투자사들은 실상 부가가치가 없어도 있는것 처럼 사기를치며 쓸데 없는 생산을 거듭해 시중에는 필요하지 않는 생산물이 쌓이기 때문이죠. 세계는 지금이라도 초저금리를 멈추고 고금리로 선회해 부실한 기업과 투자사들을 제대로 정리해 실물경제와 그동안의 허상적 경제수치를 일치시켜 현실화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합니다. 우리가 20여년전에 겪었던 IMF사태때 처럼 말입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수많은 기업이 도산하고 그보다 몇배 맣은 사람들이 자살을 선택해야 겠죠. 그렇지만 이게 바로 현실입니다. 우리가 IMF로부터 제대로 조련 받고 10여년전 세계금융위기를 가볍게 이겨내고 도약 했던것처럼 말입니다.
올리브영 58
2020년 3월 27일 09:32초저금리면 연금도 안올라요.
나라가 어려우면 연금도 깍인다는 사실.저출산으로 연금줄 사람이 줄어드는상황-결국 또다시 연금개혁해야되는 상황발생
그리고 신입 공무원,교사,군인들은 연금개혁으로 기성세대와 달리 혜택이 적어요 잘알아보세요
잘잘잘TV 57
2020년 3월 27일 06:08그래서 미래에셋은 클어들인 자금으로 어디다 투자해서 고객에게 원금과 수익을 돌려두는 걸까? 채권? 적금? 주식? 사채? 수익형부동산? 부동산투자? 그러다 손실이 생기면? 그것은 고객 몫? 현재의 사태는 누구도 경험해보지 않은, 이론적으로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기간 아니 시간이 문제해결의 키포인트가 될까? 일자리가, 어떤 일자리인가가 문제해결의 실마리. 양적완화는 재기할 시간을
Mainland짱 vs 섬짱 52
2020년 3월 29일 00:2312:40 지금 들어가는 사람들은, 공무원 연금 300만원 절대 못 받아요! 200 받을까 말까일텐데
인생은아름다워 51
2020년 3월 27일 15:07저금리시대에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알려주는 좋은 책소개 감사합니다~
살아가면서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ㅎㅎ
J UTOPIA 44
2020년 3월 26일 22:06다만 저금리를 잘이용해서 레버리지로 큰 수익을 낼수도있죠
금융지식의 여하에따라 더 부익부 빈익빈이 되죠
뉴스기사와 책을접목해서 쓰시는컨텐츠 너무 좋네요 :) 잘보고갑니다
박일홍 42
2020년 3월 27일 06:44일리가있낀 있는데 미래엣셋의투자 운영능력은 축구로비교하자면 2부3부리그를 오가는 수준아닌가하는데 저만의생각.^^!
이홍균 38
2020년 4월 01일 14:35물가 변동의 개념이 빠졌네요. 0금리라도 물가상승이 마이너스라면 구매력이 커져서 재산이 증식되는 것이고 금리가 높아도 금리보다 물가 상승이 더 높으면 실질 구매력은 낮아지므로 재산이 감소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에서는 물가 상승에 따른 적절한 금리 수준을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일 물가 상승률보다 낮은 금리를 유지한다면 국가에서 저축한 자의 돈을 훔치는 것과 같고 노후를 망치는 것이 되어 경제를 망치는 셈이 되리라 봅니다.
김두영 38
2020년 5월 07일 20:42근데 나이든 사람이 수십억이 있으면
굳이 이자만으로 살 필요있나?
12억으로 한달에 5백만원써도 20년쓸수 있는데
릴예지TV♥ 33
2020년 3월 26일 21:16초양극화가 무섭도록 빨리 .진행되겠군요..
Alex Ko 32
2020년 3월 26일 22:32그래서 존리께서는 은퇴를 위해서 주식에 투자하라는....
gunil lee 31
2020년 3월 30일 00:28지식이 부 라는게 진짜로 와버렸다
이중환 29
2020년 3월 30일 22:29한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아쉽지만
미국이 작년까지 금리가 올라갔는데요. 경기가
좋아서 올립니다. 지금은 ...
라일락향기 29
2020년 3월 28일 11:55어제 듣고 또 듣고..ㅎ
아..숙연한 마음으로 저희의 노년을 계획하게 만드셨습니다.
이상헌 24
2020년 4월 03일 13:39350만원을 안벌고 그냥 15억을 써는게...
Robin Hood Dark 24
2020년 3월 29일 15:31머라는거야 무슨 노후를 은행 이자보고 하나 ㅡㅡㅋ 어이없는 논리
보험설계사o 24
2020년 3월 26일 23:35블랙홀 같은 금리인하....
고민하지말고 후회하지말고~
뭐든 만들어서 넣어놓고 생각 해야 겠네요
Lee Lee 23
2020년 3월 29일 13:51너 무 너 무 진 지 해 서. 훌륭한 프로듀서와 같 아 요
C G Park 22
2020년 3월 28일 17:32그래서 자본으로 사는 세상은 끝났다
스스로 경제활동으로 사는 삶을 살아야하는 이유
낭만정양이 19
2020년 3월 30일 08:51저한테 투자를 해야겠네요~
지금부터 기술을 배워야 겠어요~ ㅋㅋ
무슨 기술이 있을까여~~~~ >_<
한가리온 18
2020년 4월 03일 07:12왜 이자 소득만을 따지는지 평생에 원금과 이자가 0이될때 까지 살면되니 원금도 쓰면서 생활하면된다
사쪼 17
2020년 3월 31일 19:06감사합니다
많은도움이됩니다
최영숙 17
2020년 3월 28일 09:49정말 현실에 적용 할 수 있는 조언 감사합니다
변경숙 16
2020년 3월 27일 20:25맞는말씀이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푸른하늘 16
2020년 3월 30일 15:31고위직 공무원은 350만원 나올지 몰라도 일반직 평균은 30년 넘게 해도 250만원 나옵니다. 혹시 다른 이들이 많이 나온다고 오해할 것 같아서 적어 봅니다.
lion kim 16
2020년 4월 06일 22:19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3대연금 가입자가 5% oecd국가중 노인 빈곤률1위, 노인자살률 1위 대한민국 금융문맹국 노후준비합시다!
Eric Kahn 16
2020년 3월 30일 21:45내가 1989년에 사업을
시작했을 때 금리는 10 퍼센트로
돈을 빌렸습니다.
그 때는 천만원에 10만원의
이자를 준다고 생각했지요.
은행에 정말 많은 이자를
냈지요.
지금은 사업하기 참 편한세상
입니다.
자기 신용등급을 높이고
목돈을 만들어 투자기회를
찾거나 사업을 시작하세요.
공부도 성작을 잘 받아 좋은
대학에 가는 목표를 세우지
말고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는 전공이나 특이한
사업 아이템을 생각하라고
권하고 싶네요.
하늘에서 내린연 15
2020년 3월 31일 09:31미래에셋으로 주식투자?
예금보다 더 못믿을 게 개미투자지
커피주와 15
2020년 6월 02일 11:39주열아 그동안
올릴수 있을 때 올렸으면
지금 여유 있었을거다
임복선 13
2020년 5월 04일 14:12웅이사님 말씀이 맞아요 앞으론 직업의귀천이 없어요 자기가 할수있는일 좋아하는일을 내안에서 찾는게 중요해요 사람들에게 유익이되는직업을 갖는일 일을할수잇다는건 큰자산이되죠 건강하게 살아서 행복하게 일하며 삽시다 돈이많아야 행복한건 아니라는것이죠 돈많은부모 때문에 일안하고 놀고먹는생각은 버려야된다는것이죠
신지혜 13
2020년 3월 28일 10:14이시대에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감사합니다.
치즈케익 13
2020년 3월 31일 20:25부모보다 가난한 자식세대 - 우리가 맞이할 미래
Mj Kim 13
2020년 3월 29일 17:49차분한 설명 잘 들었어요~
심각하게 노후를 생각해야 겠네요
거송 13
2020년 3월 29일 17:36일본,유럽이 0% 된지 오래 됐지요. 자산 버블 없읍니다. 경제 성장이 없다는 얘기, 중국,인도등 나라는 3%~ 5%이자율 아직 경제 성장 여지가 있다는 얘기. 앞으로 일본처럼 된다는 얘기. 처음 걸어보는 길. 앞으로 자산 버블 없읍니다.
비바체TV 현실미니멀리스트 12
2020년 4월 07일 12:24불황과 초저금리 시대에 어떻게 살아야할지 혜안을 얻게 되는 영상입니다~나에 집중하고 나에게 투자하는 시기로 삼아야겠어요!
요즘 불황에 대한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하던 중 오랜만에 웅이사님의 영상으로 지식이란 방패가 쌓아져서 기분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가지동자 12
2020년 6월 19일 15:55일의가치가 올라간다기보단 금리와 비교했을때 상대적인거겠죠.
역사적으로 노동의 가치가 풍족하게 인정받았던적이 있었을까요.
그리고 늙고 병들어도 죽기 직전까지 일하고싶은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게다가 우리는 자신의 죽는날도 모릅니다.
우한 폐렴 감염정부 12
2020년 3월 30일 08:07그리스는 연금 깍아 버렸는데 ㅋ 정부 재정이 바닥인데 연금이 ㅋ
◆카일라스 11
2020년 4월 12일 08:43초저금리 시대에 백억 자산가
가 은행에 넣어놓고 그 저금리
로 허덕이며 살아간다? 지능이
낮은거죠.. 은퇴 후 살아가야하
는 것이니까..일년에 1억원씩
쓰고 죽는다해도 무려 백년을
써야하는데.. 그걸 왜 은행에
넣어놓고 애태우나요..
로제신라면 11
2020년 3월 27일 02:11고맙습니다
김민재 11
2020년 5월 30일 08:15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아직 미정 11
2020년 3월 27일 12:47경제는 잼병인데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최진현 10
2020년 3월 28일 21:24그래서 order follow 노예의 길을 갈려고 안달
Tube Mermery 10
2020년 3월 30일 09:13틀린건 아니지만 계산법이 굉장히 특이하네요...누가 저 큰돈을 요즘 은행에 넣어둡니까
joe ! 9
2020년 3월 27일 21:26이사님 오늘 공부 너무 재미있었구요 다음 공부도 엄청 기대됩니다
정가랑 9
2020년 3월 28일 10:36웅이사님 감사합니다.^-^
TV 덕분힐링닥터 8
2020년 3월 27일 17:28감사합니다 덕분입니다 최고이십니다
MIKI YOSHIKAWA 8
2020년 3월 31일 21:29목소리가 차분하여 알아듣기만 쉽습니다 감사합니다.🈵♈️❤️💜🧡💛💚💙
염상동 8
2020년 3월 28일 22:08유익한 내용입니다
허짱TV 8
2020년 3월 31일 22:52서민이 아닌 중상층 중심의생각인것 같네요. 대다수 대출에 허덕이며 산다는 사실을 모를고 비현실적인 투자를하는 여유있는 사람들의 이야기 ㅠㅠ
Hyeonsuk Seo 8
2020년 3월 30일 11:03와~똑똑한 분이네요 맞는 말씀입니다 고맙습니다..
전정숙 8
2020년 3월 27일 09:43와닿는 중요한 얘기네요~^^ 감사합니다. 비오는 오늘 힘차게 시작하세요
J LEE 7
2020년 3월 30일 11:48저금리시기에는 이자와 원금을 짤라서 쓰야 합니다. 이게 선진기법이지요.
회피 Mr.P 7
2020년 3월 31일 17:04공무원연금.. 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 생겼네요.. 별거아닌줄알았는데 감사합니다
King엄마 7
2020년 7월 03일 17:55저는 저에게 투자하며 공부중입니다
공부는 거시적인 안목과 통찰을 주는 중요한 포인트인것 같아요
제로금리시대에서 내 자산을 지키기 위해
주식공부 하는 이유입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정fog3356 7
2020년 3월 31일 11:12좋은영상감사합니다
성장테일INFP 6
2020년 3월 27일 18:40알짜.... 웅이사님..
최영국 6
2020년 3월 29일 15:38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연옥 6
2020년 3월 29일 16:20그래서 유비무환 하셨야 합니다!
조영래 6
2020년 3월 28일 21:09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진정한 부는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와 시간과 우리가 일하고 있는 노동의 가치인 것 같습니다
Star 6
2020년 3월 27일 22:03유익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박진성 5
2020년 3월 26일 21:04꾸준하십니당
이한신 5
2020년 6월 11일 13:53나이60에 150만/월 짜리도 일 해야겠습니다..감사합니다..
Soyoun Kim 5
2020년 11월 25일 17:21일본인 은퇴 늦어진
이유도같음.
장수와제로금리
자식에게 절대 기대지않고살기땜에 아프지 않으면
평생 현역
한국은 노인들 일자리로 없고...안타깝다!
월아 5
2020년 3월 31일 07:55'일의 가치 '에 관한 좋은 내용과 설명에 감사합니다!
그리고 초저금리의 개념에 관한 설명도 감사합니다🙏
천구 5
2020년 3월 27일 17:38좋은 강연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yd choi 5
2020년 4월 07일 11:20논리적인 비약이 너무 심하네요. 파트타이머가 10억대 자산가랑 동일하고 연금수령자가 은행에 10억대 짜리라곤 하고... 그냥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 실물 자산에 투자하라고 해야지. 노동하라네.... 우리나라는 자본주의 국가 입니다. 에휴...
영일만빵선생 4
2020년 6월 11일 21:55초저금리 일수록 노동의 가치가 중요하다라
실물자산의 증식 속도가 훨씬 빠르다
사람들한테 계속 직장 붙잡고 있는게 투자하는거보다 낫다는 오개념을 심어줄수있겠는데
강희송 4
2020년 3월 29일 23:10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안주기본7병 4
2020년 3월 31일 12:52ㅇ프로면 현금 찾아 땅속에 묻어두던가 금 딸라구입 하던가 부동산주식 투자
조명언 4
2020년 4월 30일 20:37ㅇ제로금리라하지만
대출자들은은행서
3ㅡ4%
물론가산금리ㅡ비싸서
소비자에게는 혜택이별로ㅡ없습니다
호랭이 4
2020년 3월 29일 09:35애기통장도 주식계좌로 보냈네요 ㅋㅋ 나중에 커서 몇배되 있기릉
이현숙 4
2020년 3월 30일 00:15고맙게 배우고 갑니다 !
주진평 4
2020년 3월 30일 12:20좋은 정보를 차분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마디로 저금리의 역설이네요~!
KOREA STRONG 4
2020년 4월 02일 02:35구독했습니다.
sally ku 3
2020년 3월 26일 23:10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신의 고독 3
2020년 6월 17일 08:00공무원 연금을 350만원 받는다고요?
대부분은 200만원대 초중반입니다. 350만원은 고위직이나 가능합니다.
수원 손기술 연구원 3
2020년 4월 22일 15:05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마초 3
2020년 4월 01일 08:20대출이자 외이리 비싸죠
사막을 걷는이 3
2020년 5월 30일 15:44알바라도 하세요.
시급이 좋아서 5일 일하면 200은 벌어요.
형오나 3
2020년 6월 07일 18:27150세 초초장수시대 건강저축 가늘고 길게 나오는 마르지않는옹달샘을 찾아야됨
황수진 3
2020년 3월 31일 20:39정말 귀한 정보네요.
감사해요 ^^
황현준 2
2020년 3월 27일 20:41요점이 돈보다 일의 행복에대해 중점을 두라는건가요?
상엽김 2
2020년 6월 16일 00:570금리면 난 1000조 자산 아니 무한대 ㅋㅋ
그냥 열심히살어 돈모아 그방법뿐야 ..
Eeun 2
2020년 3월 27일 17:58늘 시사와 관련된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달의신 2
2020년 12월 04일 15:33초저금리 오래지속함 대출 더마니 해서
대출 규모가 세배 네배됨
이상태에서 금리 정상화됨 대규모 파산
하하영주 2
2020년 12월 23일 12:56100억 은행에 놓고 있으면 뭐하냐. 죽으면 끝인걸. 월 500만원 쓰면 죽을때 까지도 못쓰겠다.
momo shin 2
2020년 3월 29일 14:56실물에 투자하세요.
땅
꿀호떡. 2
2020년 6월 16일 22:22ㅋㅋㅋㅋㅋㅋㅋ
저금해서 노후준비하는 사람도 있냐 ㅋㅋㅋㅋ
Sehyuk Park 2
2020년 6월 13일 15:17수정할 사항: 1년에 한 번 한 강의한 가치가 아니라 한 달에 한번이죠. 7억 일년 이자가 천만원이 넘는데 적은돈은 아니죠
정재성 2
2020년 6월 10일 16:17그보다 진짜 저금리가 문제될 소지는 자금이 부동산으로 몰릴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값싼 금리이니 대출을 해서 부동산 투기붐이 일어난다면 이거야 말로 사회경제적 엄청난 재앙이 되어 버리죠.
단순히 저금리 상태 그것만이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저금리라는 것은 절대적으로 몇 퍼센트 이하 이런것이 아니라 은행금리보다 부동산 지가상승율이 더 높은 경우를 말합니다. 은행대출해다가 부동산투자 했더니 그 수익가지고 은행 빛 갚고도 남았다라고 한다면 결국은 부동산 투기붐을 부추기는 꼴이 되어 버립니다. 이런 풍토를 막는것이 국가가 해야 할 책임입니다.
부동산 지가상승율은 은행금리보다 항상 낮도록 해야 할것이고 은행금리를 오버한 만큼 중과세가 따라야 합니다.
김준희 2
2020년 4월 24일 09:22감사합니다
최은경 2
2020년 5월 06일 18:16♡♡♡
SuziBart 2
2020년 6월 06일 19:21오~~너무 유익해요~목소리도 조곤조곤..👍🏻👍🏻
ip V 2
2020년 4월 04일 22:16금리를 따지기 전에
돈이란 무엇인가부터 생각 해보길 바란다
Coco 2
2020년 4월 18일 11:32방송 넘좋아요 구독합니다!!^^👍
최영호 1
2021년 1월 02일 11:15금리 올려야 한다고 봄
김영수 1
2020년 6월 09일 13:21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Sun Song 1
2020년 6월 09일 18:09머리스타일이 내용만큼 훌륭합니다
황선하 1
2020년 6월 09일 23:38감사합니다
왕세 1
2020년 4월 22일 10:07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mina ryu 1
2020년 4월 05일 23:55공무원 연금은 수차례에 걸쳐서 개정되어 현재 2016년 이후 임용된 신규들은 100만원대 초반입니다. (만기 납입시) 아직도 다들 350으로 알고 있더라구요. 저 역시 노후 준비에 관심이 많습니다. 나라 망하면 그리스처럼 연금 지급이 제대로 안될 수도 있구요. 물론 국민연금 참 그렇죠...제 부모님은 평생 일하셨는데 100만원 안된다고 하시더라구요..ㅠ 오늘도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
성이름 1
2020년 3월 30일 19:33나이먹고도 일하게 기슬 배워야겠다
Jin 1
2020년 4월 05일 15:37시청후 감상평:
1.일의 가치상승을 위한 졸꾸필요
2.노동의 가치가 다시 회복됨(정기급여자)
*알아볼 사항
1.양적완화는 장기적으로 물가상승 초래(장기 인플레이션)
-> 떨어지는 화폐가치를 물가가 반영된 근로소득(실질임금)으로 커버가 될것인가?
chang Lee 1
2020년 6월 02일 08:01초저금리는 다 양면의 효과가 있어요
금융자산은 망하고 ...다흔 실믈자산은 늘어나고..
즉 은행이나 현금예금자는 손해보고....부동산 기업등은 이익보고..
섬진강 1
2020년 4월 03일 00:41참 일차원적 단순한 발상 말이야 방구야.. 세상이 이렇게 단순하면 난
지구를 먼지처럼 대하겠다.. 세상의
대통령도 첨부터 지금껏 따지면 현 우리
인류만큼 많다.. 지식의 가소로움.. 막말 허상 본인이나 잘해.. 말장난 ㅎㅎ
Jarod The Pretender 1
2020년 5월 30일 07:02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Eugenie Yeo 1
2020년 3월 29일 01:46Very good.
뭉치 1
2020년 8월 04일 16:30출퇴근 두시간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빵우유 1
2020년 12월 07일 10:58아 몰랑.. 주식 때문에 망했어..
민경태
2020년 6월 15일 13:08감사합니다.
양파파
2020년 12월 04일 08:10목소리가 졸 착해요 ㅎ
이광
2020년 12월 13일 16:58좋은 내용이군요. 공감가는 부분도있고 미국연준에서 2023년까지 제로금리유지한다던데 한은이 미국 연준기준으로 움직여서 당분간 금리올라가진 않을것같아요. 돈값어치가 점점없어지니원
박송경
2020년 6월 14일 09:52웅이사님, 초저금리가 일반인의 노후설계에 얼마나 무서운지를 수치로 잘 보여주시네요. 잘 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JINCHUL KIM
2020년 12월 20일 00:49초저금리에 대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병우
2020년 11월 15일 23:36일에 가치에대해 최저임금 노동자지만 제가 얼마가 갑진 사람인지알게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흥렬
2021년 1월 06일 14:46ㄱ~
김머슬베이비
2020년 7월 30일 21:10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하늘별땅
2021년 2월 24일 06:19감사합니다 ^^
무서운 시대, 모두 행복하세요 ~
변금명
2020년 6월 13일 17:45초저금리시대에
살아가야할 지표를
명쾌히 짚어주시니
자신감이 생기며 만족합니다
도전중입니다^^~~
최명희
2020년 11월 30일 08:05넘, 감사합니다
정솜결
2020년 3월 27일 22:24감사합니다ㆍ솜결
한장군
2020년 12월 06일 22:56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변금명
2020년 6월 13일 17:34노후 준비 자산관리 ㅣ층국민연금ㆍ2층퇴직연금.3층개인연금.4층주택연금.5층반퇴연금.감명깊게 들었어요
저금리시대에 노동가치를생각해서 수익을 올릴수있는 방법
평생소득을생각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장인희
2021년 1월 04일 20:15맞습니다 빛 내지 마세요
김빵빵
2020년 6월 07일 23:39웅 이사님은 초저금리에 대한 부담감을 이겨냈네요... 유튜브로!! ^^ 존경합니다
HYE-JUNG JO
2020년 4월 03일 20:251%든 0.1%든 예적금으로 노후준비하긴 힘들어요. 저금리를 이용해 사업을 하던 투자를 해야겠죠. 존리님의 강의 들어보셔요. 존리님 강의 듣고 주식에 대한 생각이 완전 바뀌어 주식시작했습니당.
Wonkun Kim
2020년 4월 01일 05:15제 생각에는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자산 증식의 속도는 선형적으로 느려지는 것 같습니다. 5%일 때 자산이 2배가 되는 시간이 14년걸리고 0.5%일 때 140년이 걸린다고 했는데, 정확히 이자가 1/10이 될 때 자산이 두배되는 시간이 10배가 됩니다. 따라서 가속적이라기보다는 선형적이라고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정광
2020년 6월 11일 16:26좋은 영상 고맙습니다. 직업의 소중함을 깨우쳐주는 장점이 있네요. 소득의 연속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걱정은 자산의 가치, 즉 부동산등이 폭등할까 걱정이 됩니다.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진해성
2020년 12월 01일 14:57일투자 영상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
[Sean & Abigail & Isaac] 권숀 아비가일 이삭
2020년 12월 01일 00:56차근차근 설명 넘 감사드립니다
seok jin kim
2020년 3월 30일 09:3817:43
365 Stock - 365 스톡
2020년 4월 10일 04:30웅이사가 초저금리시대의 절반만 얘기하셨네
JU웰니스
2020년 6월 13일 14:27항상 유익한 정보 배우고 갑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