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 베이비붐 세대인 90년대생들보다 2000년대생들이 훨씬 적다.조금 있으면 슬슬 2000년대생들이 주택 시장에 진입할 거임. 그에 반해 사망자 수는 엄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가구 분화도 이미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가구 분화에 의한 가구수 증가도 별로 없을 거임. 그에 비해 3기 신도시 등 물량 폭탄이 기다리고 있음. 과연 반등이 가능할지? 반등된다고 하더라도 폭등으로 연결될지? ㅎㅎ 봅시다.
투기 안하고 성실히 열심히 저축하면 내 쉴곳 집을 살수있는 사회가 되야하는데 수구.보수화된 인간들의 욕망에 멀쩡한 사람들도 끌려들어가 투기꾼이 되버린 상황이죠 사회전체가 같이 살수있는 나라가 위기를 딛고 도약하는거지 이렇게 각자도생.투기가 만연한 사회는 처절한 댓가를 치러야합니다 20년전에 비해 오른 집값이 월급이나 소득에비해 비정상이니 쓸돈이 없어서 소비도 안돼 허무주의 자포자기 가 만연하고 이 나라의 미래가 암울합니다 이런 위기를 정치하는 놈들은 건설사.투기꾼들 위한 정책이나 내놓고 참 개나라가 되고 있네요 한심합니다
아무리 학자라도 확신에 찬 언급은 그순간부터 나락으로 떨어지는게 한순간이죠. 과거 imf, 리먼사태때에도 동일하게 말하던 분들은 지금은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어요. 그시절 오히려 중립적으로 생각한 분들은 부동산을 통해 부의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었는데 교수님처러럼 확고한 생각을 가진분들은 오히려 부동산에서 루저가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지금은 오히려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는게 큰 기회로 다가올 수 있는 시점이라고 봅니다
대장동 보면서 다들 느껴야 됩니다 얼마나 부동산에 남겨 먹는지 은행은 평균연봉 1억 성과금 잔치중입니다 왜 열심히 일해서 부동산 업체와 은행 배만 불려주나요 . 욕심을 버리면 삶도 풍요롭습니다 한달에 200씩 저금해도 평생 30년 일한다고 해도 6억입니다 평생 벌어서 6억경우 모을까 말까하는데 그돈으로 살수도 없는게 아파트 가격입니다 그동안 사실을 외면 했지만 이게 현실입니다
@seobang18wang66 52
2023년 1월 16일 21:23견딜만 해야 견디죠 3억대출이야 그런다고 하지만 5,6억대출한 영끌러들은 어떡하죠? 1,2년도 아니고 상승기가 언제가 될지 모르는데 한 7~8년 빚갚다 황천갈것 같은데요
@lachesis3207 40
2023년 1월 16일 20:22전문가분들 자꾸 금리가 내려가면 살 타이밍이란 말씀들 하시는데..
금리가 내려간다는거는 경제가 골로 간다는 뜻이니... 자산 가격이 더 빠집니다.. 금리가 내려간다는건.. 실직이 많아진다는 이야기도 되죠..
@양반-k1v 38
2023년 1월 16일 21:33실제 미국에서 일하고 경험해보면, 지금 미국 상황은 우리나라가 언론보도 하는것보다 훨씬 고용이 타이트해요. 사람 못구하고 여전히 연봉을 시장가 이상 책정해야 구해질까 말까입니다. 업체들도 일감이 여전히 쌓여있구요. 피봇은 섣부른 기대일 가능성이 높아요
@저녁달리기 37
2023년 1월 16일 22:11김경민 교수님 쉽게 말씀하시지만 잘 들어보니 물린애들 니네 인생 파탄났으니까 N잡 뛰면서 노예처럼 살아라 이거네...
언젠가 다시 올 그 기회의 시간까지..
@khn99991 32
2023년 1월 16일 20:02교수님의 뼈 때리는(?) 조언 너무 잘 들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YourHealing-s5i 29
2023년 1월 16일 20:06견뎌라, 기다려라 ... 낙관적인 분위기로 말씀하시는데, 너무 낙관적이지 않나... 하네요.
@KOKO-KO 26
2023년 1월 16일 23:42버티는것도 장기적일지 다른 변수가 생길지 모든 리스크를 다 따져보고 해야지 무턱대고 버티다 다른변수들 때문에 매도시기 놓치면 더 답이 없을것 같기도 합니다.
@코어만들기 26
2023년 1월 16일 21:47더 떨어질건 계산않한듯..,
50퍼까지 떨어지고 올라가는데 10년걸리면 어쩔거죠?
@jiyoon8905 24
2023년 1월 16일 21:30김경민교수님ᆢ 멋져요 분석도 잘하시구요
@정성렬-g2c 20
2023년 1월 16일 21:13부동산 규제완화 떡밥미끼를 던졌다. 물고기는 미끼를 물지만, 똑똑한 사람들은 아파트 사는건 죽는다. 불황, 고금리 , 세계경제 침체 계속된다. 6월부터 역전세가로 인해 깡통전세가 된다.
@하모니-b1z 20
2023년 1월 17일 09:20김경민교수님 나오는 뷰튜브 찾아서 봅니다~
항상 집없는 서민을 먼저 생각해 주시는 따뜻함이 느껴져 좋아요...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서연화-w8i 16
2023년 1월 17일 00:07김경민교수님 감사합니다. 유익한 말씀 공부가 많이됩니다
@mokeo-es5in 16
2023년 1월 18일 10:011년만 버티면 된다면 버텨야죠. 근데 하락장 멈추고 다시 상승해서 예전가격 다시 찾기까지 5년이 걸릴지 10년이 걸릴지... 그게 문제죠
폴인써울 16
2023년 1월 16일 20:56에코 베이비붐 세대인 90년대생들보다 2000년대생들이 훨씬 적다.조금 있으면 슬슬 2000년대생들이 주택 시장에 진입할 거임. 그에 반해 사망자 수는 엄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가구 분화도 이미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가구 분화에 의한 가구수 증가도 별로 없을 거임. 그에 비해 3기 신도시 등 물량 폭탄이 기다리고 있음. 과연 반등이 가능할지? 반등된다고 하더라도 폭등으로 연결될지? ㅎㅎ 봅시다.
@푸바오-k6e 14
2023년 1월 16일 20:39교수님 절실한 충고
감사드립니다~~!
@행운의여신-w2i 13
2023년 1월 17일 13:15전업주부인데 미경tv보면서 경제에 관심이 생겼고 미래계획을 하게 되었어요 보고나면 깨우침과 의욕이 생깁니다 큰 가르침 주셔서 넘 감사합니다
포로로 13
2023년 1월 16일 19:35둔촌주공 계약율 낮게 나오면... 허그 보증 세금이 7600억이 날라감 ㅋㅋ 개같이 망했으면...
ㄷ 13
2023년 1월 16일 22:19김경민씨, 작년에는 영끌하라고 했던거 같은데 이랬다 저랬다 하시네요? 웃고갑니다. 초보티 팍팍 내지마세요. 적당히 내야죠!! ㅋㅋㅋㅋㅋㅋㅋ😂😂😂😂😂
@김혜지-w2h 12
2023년 1월 16일 20:06감사해요💕
@장어잡자 12
2023년 1월 16일 23:47버티긴 뭘 버텨 ㅋㅋㅋ
피 떵싸고 있어요.!
팔고 형편에 맞는 집에서 살다가 더 폭락하니 그 때 나은 집을 구하는 것도 좋아요.!
그래 버텨라~~10년 20년 버텨 ㅋㅋㅋ
일본처럼 더 심하게 갈 것이다.!
악성스트레이트 11
2023년 1월 16일 20:00주변에 부자들만 있어서 현실감 없으시네
버틸 수 있으면 영끌이 아닌데?
@행복하세요여러분-x3y 10
2023년 1월 16일 23:01매매가대비 전세가율이 너무낮다. 매매가는 그래서 계속 빠질수밖에없다. 고금리가 유지될거고 수도권에 미분양은 물론 앞으로 입주 새로 분양될 물량이 너무많다
@junsnake_94 9
2023년 1월 17일 11:11아무래도 금리인상으로 인해 부동산 완화라는 정책을 내 놓아도 높은 이자로 인해 부담감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게 현실인 듯 싶네요
@kylee6692 9
2023년 1월 17일 12:48몸빵도 엄청 힘들죠! 건강을 잃으면 모든게 도루묵 되어요!
@성원주-p6g 8
2023년 1월 16일 20:58감사합니다
@jongwonkim9495 8
2023년 1월 17일 04:21김경민 교수님 감사합니다 인사이트 잘 보고있습니다
@시간-d3u 7
2023년 1월 17일 11:30둔촌주공 계약자들은 결국 건설사 구제하는데 필요한 희생양들..
@jiyoon8905 7
2023년 1월 16일 21:48정답 ᆢ미경언니말씀ᆢ 몸으로 막아 ㅎㅎ
@chrisohn7254 7
2023년 1월 17일 01:12자가 구입할 때 거주비는 세전 내 가계소득의 30%만.. 이 룰을 절 지켜야 실거주자들이 정상가에 집을 살 수 있는 나라가 된다. 지금 하는 짓을 보면 현정부는 투기꾼과 한 통속..
@현재가답이다 6
2023년 1월 17일 09:54규제를 푼다는건 부동산이 좋지 않다는것 반대로 규제를 한다는건 부동산 시장이 좋다는 겁니다
MKTV 김미경TV 5
2023년 1월 09일 18:050:00 더 떨어진다 지금 팔자 VS 규제 풀린다 버티자
3:43 올해 부동산 전망, 안정화 될까?
8:09 2023 부동산 정책 현명한 대처법은?
👩🦱 『미경언니의 경제과외』여러분이 궁금한 주제, 모시고 싶으신 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경제과외는 각 분야의 경제전문가를 모시고 경제의 다양한 시각을 제시합니다.
📌모든 투자는 위험이 수반되며 투자자 본인이 신중히 고려해야 합니다.
🟠 매일 나를 성장시키는 습관 【MKYU】
👉🏻 https://bit.ly/3JUEt7D
🟠나에게 딱 맞는 【N잡】 찾고 공부하기
👉🏻 https://bit.ly/3eENu9F
💜'미경쌤과 뉴욕가자' 캠페인 자세히 보러가기
(이벤트 기간 : 2023년 1월 31일까지)
👉 https://bit.ly/3GAQCOU
깜장냥이 5
2023년 1월 16일 20:20그지같은 남편 잘 못 만나서 밖에 나가서 일하게 생겼네~~퉁퉁거리면서 싸우다 이혼각~ 허벌라게 많을것이다....
@마쎄이-v6f 5
2023년 1월 17일 17:00다들 무조건 지킬수있다면 집값이 내릴일이 있겠습니까? 그게 안되니까 하락 과 상승을 반복해 온거지~~이분도 이쪽 저쪽 욕 안먹는 멘트 잘 하시네 ㅎㅎ
@Sophie-rb1lv 4
2023년 1월 17일 07:18이 교수가 그 교수구나
@서진-w6r 4
2023년 1월 17일 01:56집을 지키고 주거비용을 낮쳐라?
집값은 계속 내려 가는데 언젠가는
오른다? ㅋㅋㅋㅋㅋ
낮은가격에도 안팔리니깐 어쩔수 없이 버티는거 겠지요
@유한주-v1z 4
2023년 1월 17일 18:26지금 아파트 가격은 최저임금 천만원 수준
@빈빈마 4
2023년 1월 17일 15:32ㅎㅎㅎㅎㅎㅎㅎ 뼈맞는다는 말씀 너무 공감가는걸 어떻하죠 . 넘 웃겨요 .
@햇살-h6x 4
2023년 1월 17일 15:38김경민 교수님, 귀한 말씀 잘 들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
@잘키워 3
2023년 1월 18일 15:46지금 정부가 중국 무역 버렸다고 봐야할정도 포지션인데 중국경기 기대는건 좀 아니지 않을까
박영진 3
2023년 1월 16일 20:02둔주잡으면 아작남.중생들아 놀아나지마라...죽된다.
김성희 3
2023년 1월 16일 21:11지금이 부동산 투자의 적기이다.
@ujung2 3
2023년 1월 22일 10:54요새 보는분들중에 김경민교수님이 제공부스타일에 젤잘맞는듯해서 엄청 찾아봤는데요, 교수님 이렇게 웃으시는건 처음보는듯. 역시 울 미경언니가 명mc네요 ㅎㅎ
@bookpicnic 3
2023년 1월 17일 10:19앞으로 몇 년 정도는 국운이 20프로 라고 하더군요. 이럴 땐 투자는 정말 자제해야할 거 같아요.
@두루미-m7z 3
2023년 1월 17일 22:53실거주 하는분들은 월세 전세놓고 부모님집 가는것도 방법이죠. 돈 벌어보시면 아시겠다만 1억 2억 손해본거 매꾸려면 몇년 걸립니다. 버티다가 금리낮아지면 대출 갈아타는게 맞죠
@푸른이리-d5v 3
2023년 1월 17일 07:52든촌은 아팟보다 납골당 요양원을 지었어야 함
임민수 2
2023년 1월 16일 21:39할인 분양하라고 정부에서 해야지
건설사만 배블리는 정치만하네요
@mikyoung1234 2
2023년 1월 21일 06:39투기 안하고 성실히 열심히 저축하면 내 쉴곳 집을 살수있는 사회가 되야하는데
수구.보수화된 인간들의 욕망에
멀쩡한 사람들도 끌려들어가 투기꾼이 되버린 상황이죠 사회전체가 같이 살수있는 나라가 위기를 딛고 도약하는거지 이렇게 각자도생.투기가 만연한 사회는 처절한 댓가를 치러야합니다
20년전에 비해 오른 집값이 월급이나 소득에비해 비정상이니 쓸돈이 없어서 소비도 안돼 허무주의 자포자기 가 만연하고 이 나라의 미래가 암울합니다 이런 위기를 정치하는 놈들은 건설사.투기꾼들 위한 정책이나
내놓고 참 개나라가 되고 있네요 한심합니다
@chomiart1359 2
2023년 1월 16일 22:05언제 찍은 영상인가요
내용을 들어보니 규제가 다 풀린 전 이야기 같은데~~
@mercigarden3022 2
2023년 1월 23일 09:36아무리 학자라도 확신에 찬 언급은 그순간부터 나락으로 떨어지는게 한순간이죠. 과거 imf, 리먼사태때에도 동일하게 말하던 분들은 지금은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어요. 그시절 오히려 중립적으로 생각한 분들은 부동산을 통해 부의 엘리베이터를 탈 수 있었는데 교수님처러럼 확고한 생각을 가진분들은 오히려 부동산에서 루저가 될 확률이 높아집니다. 지금은 오히려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꾸는게 큰 기회로 다가올 수 있는 시점이라고 봅니다
@사나형-h6e 2
2023년 1월 20일 11:51대장동 보면서 다들 느껴야 됩니다 얼마나 부동산에 남겨 먹는지 은행은 평균연봉 1억 성과금 잔치중입니다 왜 열심히 일해서 부동산 업체와 은행 배만 불려주나요 . 욕심을 버리면 삶도 풍요롭습니다 한달에 200씩 저금해도 평생 30년 일한다고 해도 6억입니다 평생 벌어서 6억경우 모을까 말까하는데 그돈으로 살수도 없는게 아파트 가격입니다 그동안 사실을 외면 했지만 이게 현실입니다
SEUNGSEOK LEE 2
2023년 1월 16일 19:382빠!
@유한주-v1z 2
2023년 1월 17일 18:24코로나 때처럼 국가가 돈줘가며 쓰라고 돈 나눠줄때
써이 2
2023년 1월 16일 20:54교수님 진짜 코로나 때뮨에 그런건가요,
아님 욕망때문에 그런건가요? 이론은 완벽하지 않은건 없다고 봐요. 자본주의 벌써 몇번이나 실패했나요? 제가 아는것만해도 대공황, 리먼브라더스 사태 이거 자본 주의 실패 아닙니까?
Celia 2
2023년 1월 16일 21:043.4년 버티면 올라갔던 가격까지 다시 올라간다는건가요?
윤영순 1
2023년 1월 16일 20:45김경민교수님
나오시는 어디든 에이아이가
저보고 보래요
@Hoya_DDOODDOO 1
2023년 2월 02일 14:086억집에 3억대출 가정하면 6%만내도 10년뒤 60%이자에 기회비용 4%(예적금이자)를 포함하면 10년이면 3억이 올라 9억이되어야 본전인데..가능할지 미지수네요ㅎㅎ
케이트정 1
2023년 1월 16일 21:31말씀해주신 25평 33평이 전용면적인지 공급면적인지 궁금합니다.
@명희-t7k 1
2023년 1월 17일 00:3650프로대출도 빚이라 30프로 빚네는게 좋을거같아요
@유한주-v1z 1
2023년 1월 17일 18:22자기돈 1억 대출2억 코로나 버불 10억 아파트 월급은 400인대
III
2023년 1월 16일 22:05거품이 또 생기던가
시간이 흘러 인플레이션을 기대하던가
다시 오를때까지 기약이 없다는게 너무 고통스러움
@윤윤섭-k1f
2023년 2월 04일 17:35잘듣고갑니다
@user-qd5ox8ug4z
2023년 1월 31일 22:06이게 맞는거다
@유주미-b7t
2023년 2월 03일 20:51속시원한 조언.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겁나빠른달팽이-z5y
2023년 1월 19일 11:32준촌주공 등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이 왜 후분양을 선택했는지 생각해봐야 할 문제임~
1. 저금리상황에서 시간이 흐를수록 주변 주택가격이 상승하면서 분양가를 높게 책정할 수 있었음.
2. 골조공사 80%이상이면 분양보증 없이 후분양 가능하므로, 보증수수료까지 절감 가능. 1석2조의 효과를 누릴수 있음.
따라서 둔주 분양보증 받았는지도 확인해봐야 함.
--->1) 그동안은 분양가가 올라가는 시기여서 도심권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이 후분양을 선호했지만,
앞으로는 분양가 하락이 예상되므로 선분양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됨.
2) 그 결과로 올해와 내년에 수도권 재개발.재건축 단지들의 분양물량이 단기에 몰릴 것으로 예상됨.
3) 서울외곽의 제3기 신도시 공공분양 물량은 공급속도 조절할 가능성 높음.
@tks1244
2023년 1월 19일 08:10주담을 고금리로 계속 내야하고 거품으로 놉게산 아파트값은 점점 떨어지고 있기때문에 파는건데 계속 버텨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