뭘 시작하려고 해도 그걸 완벽하게 해내고 싶고 결과도 완벽했으면 좋겠다는 압박감 때문에 시작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 받고 너무 힘들어요. 오죽하면 그게 커져서 두려움이 되고 어느샌가 겁을 먹고 있더라구요. 어차피 못할 거야, 난 떨어질 거야, 이러면서. 그런데 지난 삶을 돌아봤을 때 뭔가 성과를 낸 경험이 있다면 그냥 고민하지 않고 시작했거나 or 고민할 겨를도 없이 뭔가에 떠밀려서 일단 시작했던 경우가 대부분이더라구요. 꾸준하게, 어떻게든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한 것들이요. 이런 스스로를 잘 안다고 하지만 또 막상 새로운 도전거리가 생기면 움츠러들고 겁먹는 게 습관이 되어버려서 참 힘든 요즘이네요. 해보지도 않고 일어나지도 않은 결과에 미리 낙담하는 제 모습이 참 아쉽네요.
저는 완벽하지 않으면 남을 속여서라도 완벽해지고자 했던것 같아요 완벽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절 못마땅하게 생각할까봐 속이는 잘못을 했다는 것보다 완벽하게 하지 못한다는게 더 두렵고 무서웠어요 영상을 보니 제 기준이 너무 높아서 그랬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제는 속이지 말고 제 기준을 낮춰 절 좀 봐줘야겠어요
알려주신 평소 들인 시간에 30%만 써볼 것이라는 조언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완벽하게 하려다 보니, 노는 시간 없이 나를 괴롭혀야 최선을 다했다는 느낌이 들곤 했거든요. 그러다보니 일을 잘 마무리 하지도 못하고 오늘도 70%해 놓은 일을 완벽하게 하려다 보니 너무 하기가 싫어져서 미루다 보니 난 왜 이러지 하면서 이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거든요. 근데 딱 정해진 시간안에만 하고 30의 퀄리티만 내어도 된다고, 해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을 들으니 마음이 더 편해지고 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기는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국에서 살때 정말 비교되며 살았던 것 같다. 직장생활은 물론 심지어 아이들 학교 다니면 아파트 남편직업 차 아이들 공부 등등.. 그래서 실수하지 말고 틈 보이지 말고 실수 한듯 하면 자책하고 .. 부모 형제 좋은 친구들 그립지만 이민을 한 지금 차라리 나의 배경이 아닌 그냥 나라는 사람만 보는 이 상황이 나를 더 힘나게 하는지도 모른다. 우선 나와 우리 사회의 의식이 변햬야 할듯 하다.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깔끔하고 정말 인생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역대급 도움이 된 영상입니다ㅠ 마침 딱 완벽주의로 인해 고통받고, 방황하며,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을 때 너무나도 알맞게 원인 파악 해결 등 딱 정확하게 잘 말해주셔서 최고였습니다.. 어떤 채널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단 구독 바로 하겠습니다 너무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딱 제 이야기네요.. 진심 맞춤제작 커스텀도 아니고 너무 제 이야기여서 완벽할 정도로 도움이 되었습니다…..ㅠㅠㅠ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일 가득하시고, 건강과 행복 모두 가득하시길 바랍니다…..ㅠㅠㅠㅠ❤️❤️❤️❤️❤️👍👍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실수할거라는 생각이 맴돌아서 일을 조금씩 뒤로 미루다가 일폭탄을 맞습니다.. 안될거라는 불안이 너무 큰것 같아요. 조금만 나중에 해야겠다 생각하다가 결국 마감기한에 제출 못하기도하고.. 민폐를 끼치기도 해요.. 오늘만 해도 레포트를 15장정도 써가야 하는데 일주일전에 알아서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다가 하루전에 불안해서 시작을 못하고 있네요.. 항상 하겠다는 생각은 꼭 드는데 막상 하면 금방 집중도 못하고 쉬는 제 자신이 너무 싫습니다.
어릴 때 자주 이사다니고 전학다니고 친구가 없었는데 월등하고 우월한 나에 대해 자각하고 있었던거 같아요 우월하면 칭찬받고 인정받고 우러러봄을 받으니까 상도 계속 타려고 하고.. 그러다 중고등학교때 평범해짐을 경험하니 특별해지고 싶어서 자퇴도 하게 되고 대학에 와서는 더 높은 대학에 가려고 편입 준비… 돌아보면 주변에서 우러러보길 바라는 거 같고 실제로도 관계를 깊게 맺지 않아서 인간관계 폭이 너무 좁네요 ㅇ모든 것은 인정욕구에서 시작되었나봐요 저한테 공부하고 성장하는 거보다 가장 중요한 인정욕구의 해결이 중요할지도요…
저는 초등학교 2학년 때 반에서 혼자 올백을 맞은 적이 있어요(시골이었음) 그때 담임선생님이 반 아이들 앞에서 칭찬해줬고 부모님도 엄청 기뻐하셨어요 그 뒤로도 초등학교 때 반에서 상장도 많이 받고 항상 선생님들께 칭찬도 받고요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그게 저에게 오히려 독이 된 것 같아요. 엄청 잘하고, 특별하지 않으면 아예 시도 조차 안 하게 되었어요 중간만 갈 거면 너무나 평범해지고 칭찬도 못 받으니까요... 고등학교 때도 1등급 못 받겠다 싶은 과목은 포기했어요 그리고 내게 있는 열등감을 가리기 위해 특별해지려고 노력한 게 정말 맞아요... 대학교 와서 할 일이 너무 많고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오늘 영상을 통해 깨닫는 게 많네요 감사합니다
완벽주의는 결국 인간의 욕심이 낳은 결과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욕심은 본능이죠. 이런 본능을 이용한 마케팅이 판을 칩니다. 세상이 발전할수록 누군가와 비교가 쉬워지고 그 대조군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페이스북, 인스타 이런게 대표적이죠. 상대적으로 이런 문명의 혜택을 못받는 사람들은 당장 우리 눈엔 불쌍해 보일지도 모르지만 과연 누구의 인생이 더 행복한지는 본인들만 알겠죠. 더 똑똑하고, 더 능력있고, 더 부유한 것이 더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5:00 여기부터 개소름 난 어릴 때부터 몸도 약하고 가족들에 비해 머리도 부족하니까 항상 노력하고 남들보다 좀 더 잘해야한다고 생각했음.. 실제로 교우관계도 불안정했고 맨날 난 남들과 다른 사람이 되겠어! 이러고.. 그 기준이 당연한 줄 알고 남한테 들이대다가 엄청 싸우고 고쳤는데 스스로한테 하는건 잘 안고쳐지고 ㅠ 좋은 결과도 있고 사회가 좋아하는 모습이라 강화가 되버렸나 어른이 되고 콤플렉스가 내 착각이었을 수 있다고 받아들였고 충분한 소속감도 느껴봤는데 아직도 부족한가 여전히 남아있네😂
이제야 답을얻었네요 비록 완전히 완벽주의는아니지만, 무언가에 새로 도전하려할때 두려워하고 할수있을까라는 생각은 완벽하게해내고싶다는 마음에서 비롯된거같습니다. 무언갈 완벽하게,잘하려하는 생각을가졋어도 그날그날에 할수있을만큼만이라도 천천히한다는 식으로 마음을 여유롭기먹는것도 좋은거같아요. 나왜이렇게못햇지?라기보단 ”충분히한거같아“와 같이요.
완벽주의가 대학교 오면서 생겼습니다. 부모님들은 시쁠, 비쁠, 하다못해 디도 괜찮다하지만 장애가 있어 저를 맞춰주실 보조인분이 계실때, 학교다닐 여건이 될때 공부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 휩싸여 살아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불안장애와 우울증도 키우고 건강도 잃어갔습니다. 막학기에 와서 일이 틀어지고, 건강이 나빠지면서 대학에 온 이유도 알 수 없어졌고, 디도 받을 수 없을거라는 불안감에 휩싸여있습니다...
완벽주의가 다른 것들에도 있지만 인간관계에 관련되서 정말 심하게 있는데 인간관계에 관한 이유는 조금은 다르지만 준서와 비슷한 이유였던 것 같아요… 특별한 사람이 되어야 비로서 사람들이 날 진심으로 좋아해주고 사랑해주는데 그에 비해 나는 결핍이 많고 상처가 많아 마음이 너무 뾰족하고 네모내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거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사실 그렇게 생각해요.. 제가 좋아서 받은 상처와 좋아서 생긴 결핍이 아닌데 말이죠..그래서 참 억울하기도 하고 세상이 너무 밉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점점 사람들이랑 어울리는 게 꺼려지고 마음 열기도 힘들어지고 그러네요.. 이 영상을 보고도 정말 나 있는 그대로도 받아들여주고 사랑해주는 사람이 있을지 의문이 들고..😭
저도 그렇습니다 시작도 전에 이미 결과치를 내놓고 시도 조차 안하고있네요 어차피 이렇게 되겠지 저렇게 되겠지 나를 못믿는 상황까지 오게되고 자기혐오로 몰아가게되더군요. 지금 현재까지도 자기 자신과 매번 싸우는중입니다. 어쩌겠습니까 이겨내야하는건 본인몫이거늘 천천히 한발짝씩 해봐야지요. 앞으로 3년5년 뒤에 이 댓글을 볼 미래의 나자신한테 이런 날도 있었지라는 라며 웃는 나를 기대하면서 오늘도 이겨내봅시다.
@조용-l3u 266
2023년 1월 19일 04:44모든 조건이 완벽해야 시작하는 내 성격이 진짜 너무 진절머리남 미치겠음 이게 성향 때문인지 학습된 포기인지 성공 경험이 부족해서 무기력해지는지 모르겠음...
@minder5230 139
2023년 1월 17일 23:47남에게는 친절한데 나 자신에게는 참 따뜻하지 못하네요. 자꾸만 뭔가 더 해야할 거 같고.. 저도 결핍을 특별함으로 채우려했던 것 같아요. 영상보고 많이 생각하게 되네요
@Dofarmingo 80
2023년 10월 11일 14:43완벽주의 호소인입니다
1. 대충
2. 빨리
3. 잘
이 순서로 살려고 엄청 노력하고있고 만족할만큼 고친거같기도 해요.
@타쿠미-r9v 62
2023년 1월 17일 23:51엄격한 기준..이 정말 맞는 것 같아요 ㅠㅠ 타인에게는 너그러운 편인데.. 저 스스로에게 너그러워지기란 영 쉽지가 않네요 ㅠㅠ
@rudenddl 27
2023년 5월 12일 16:38뭘 시작하려고 해도 그걸 완벽하게 해내고 싶고 결과도 완벽했으면 좋겠다는 압박감 때문에 시작하는 것 자체가 스트레스 받고 너무 힘들어요. 오죽하면 그게 커져서 두려움이 되고 어느샌가 겁을 먹고 있더라구요. 어차피 못할 거야, 난 떨어질 거야, 이러면서. 그런데 지난 삶을 돌아봤을 때 뭔가 성과를 낸 경험이 있다면 그냥 고민하지 않고 시작했거나 or 고민할 겨를도 없이 뭔가에 떠밀려서 일단 시작했던 경우가 대부분이더라구요. 꾸준하게, 어떻게든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한 것들이요. 이런 스스로를 잘 안다고 하지만 또 막상 새로운 도전거리가 생기면 움츠러들고 겁먹는 게 습관이 되어버려서 참 힘든 요즘이네요. 해보지도 않고 일어나지도 않은 결과에 미리 낙담하는 제 모습이 참 아쉽네요.
@J크루 26
2023년 12월 27일 09:57"엄격한 기준을 내려놓고
일을 편하게 해라"
@Leo-tf2jk 18
2023년 1월 17일 23:5140이 넘어 시작이 두려운 시기였는데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현-c9p 14
2023년 1월 18일 12:14기준치가 남들보다 높은 사람은 말 그대로 쪽아니면 박치는 경우가 많은것 같아요. 본인의 기준치를 이룰 재능과 실행력이 있다면 업계 1위까지도 찍겠지만 대부분은 그렇게 하지못하고 방구석에서 몽상만 하는 경우가 많죠
@Inwoo_Song_ 13
2023년 7월 03일 01:04진짜 어디 소속도 못하고, 어울리지 못하는 내 얘기인데..... 다 내려놓으면 바보가 되는 기분이 가시질 않아요. 그렇다고 전념하지도 않고, 막 저를 괴롭히네요.
@otmu-r6z 13
2023년 7월 20일 11:57원래 10시간이 들던 일을, 3시간 만에 해보자.
원래 100의 퀄리티를 추구하던 것을, 30을 목표로만 해보자.
퀄리티가 떨어져도 일단 완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3시간만 들인 결과물을 제출해도 충분한 경우가 많다.
나는 완벽주의적 사고 때문에 일을 효율적으로 해내지 못했던 것 같다.
오히려 조금은 대충 하려고 마음먹고 일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었다.
* 이 영상은 몇 번 다시 봐도 좋을 듯.
나에게 필요 없는 멘트가 거의 없다.
@AKKA_BARAGI 12
2023년 5월 01일 18:54저는 완벽하지 않으면 남을 속여서라도 완벽해지고자 했던것 같아요
완벽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절 못마땅하게 생각할까봐
속이는 잘못을 했다는 것보다 완벽하게 하지 못한다는게 더 두렵고 무서웠어요
영상을 보니 제 기준이 너무 높아서 그랬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제는 속이지 말고 제 기준을 낮춰 절 좀 봐줘야겠어요
@logic_king-electricity 11
2023년 1월 22일 07:58완벽주의도 정말 적당하면 좋은데 과하면 정말 과유불급인듯 mbti intp,intj들은 공감 하잖아 ㅋㅋㅋㅋㅋ
@모닉-x1i 10
2023년 5월 16일 22:07알려주신 평소 들인 시간에 30%만 써볼 것이라는 조언이 큰 도움이 되었어요.
완벽하게 하려다 보니, 노는 시간 없이 나를 괴롭혀야 최선을 다했다는 느낌이 들곤 했거든요. 그러다보니 일을 잘 마무리 하지도 못하고 오늘도 70%해 놓은 일을 완벽하게 하려다 보니 너무 하기가 싫어져서 미루다 보니 난 왜 이러지 하면서 이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거든요. 근데 딱 정해진 시간안에만 하고 30의 퀄리티만 내어도 된다고, 해내는게 더 중요하다는 말을 들으니 마음이 더 편해지고 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기는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michelledavies571 10
2023년 1월 18일 00:46한국에서 살때 정말 비교되며 살았던 것 같다.
직장생활은 물론 심지어 아이들 학교 다니면 아파트 남편직업 차 아이들 공부 등등..
그래서 실수하지 말고 틈 보이지 말고 실수 한듯 하면 자책하고 ..
부모 형제 좋은 친구들 그립지만 이민을 한 지금 차라리 나의 배경이 아닌 그냥 나라는 사람만 보는 이 상황이 나를 더 힘나게 하는지도 모른다.
우선 나와 우리 사회의 의식이 변햬야 할듯 하다.
@Newrepeat 8
2023년 1월 18일 07:12없애야지 하면서 없애지 못하는 거죠..; 너무 힘듦;
남들보다 한참 뒤떨어진 느낌, 전혀 만족스럽지 않음, 내가 생각하는 건 이상인데 현실은 잔혹 그 자체, 두려움은 쓸데없이 많음... 사실 병이 아닐까..?
@mark1content 7
2024년 4월 18일 20:54"덜 엄격해 질때 우리는 잔잔한 길을 기분좋게 걸을수 있습니다." 정말 나에게 필요한 위로의 말이고 최고의 솔루션이다. 변비처럼 막혔던 마음이 내려감을 느끼네요. 좋은 치유의 영상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로받고 갑니다.
@민강-y8u 7
2023년 10월 08일 02:50우리에게 필요한것은 특별함이 아니라 용기입니다 가 정말 와닿습니다 좋은 영상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TORCH320 6
2024년 2월 02일 12:52우월 컴플렉스... 나는 상처받고 싶지 않고 버림받고 싶지 않은 마음을 우월함으로 채우려 하고 있다.😢
@별사탕공쥬 6
2023년 1월 18일 09:08아침부터 소름 돋네요... 무기력과 더 나은 내가 되어야 한다고 지금보다 과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요. 또래보다 이룬것이 없어서. 나는 또래보다 뒤쳐져서. 혼자서. 과도하게 목표를 세우고 이룰려고 하죠. 하지만 그 과정이 기쁘지는 않았어요ㅠ.
@솔이-u2v 5
2023년 1월 18일 03:56완벽한 게으름뱅이...
완벽하지 않을까봐 시작이 두려운..
@bankor97 5
2023년 1월 21일 00:19두번째이유. 우월컴플렉스.. 너무소름돋게와닿네요
@user___hh 4
2023년 8월 28일 17:35진짜 너무 공감되네요… 분명 못한게 아닌데 저한테는 늘 제가 부족해만 보입니다…..
@gunnyk8323 3
2023년 1월 18일 01:00그치만 완벽주의를 버리고 덜 엄격해지라는 건
완벽주의자가 아닌 사람한테 완벽주의를 추구하라는 것 같이 들리는 걸
@digino2124 3
2023년 1월 19일 21:42제게 정말 필요한 영상이었습니다. 구원을 얻은 것 같습니다. 영상 제작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송지윤-k8n 3
2023년 1월 25일 16:15ㅠㅠ 지금 제 상황에 너무 딱 맞는 현답입니다 ㅠㅠ 본문 내용을 출력해 벽에 붙이고 싶을 정도네요ㅠㅠ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ew_being_aware 3
2023년 4월 02일 14:52기준을 100에서 30으로 낮추고 가벼운 마음으로 일단 끝내기
@존경하는맥아더장군님 3
2023년 1월 22일 19:18와우, 새해에 우리 책그림님 목소리를 들으니 워우 예전 처음보다 훨씬 자연스럽게 발전된 발성과 말투에 감탄합니다. 이번 해에도 건강하게, 즐겁게 하루하루를 보내시는 복된 날이 되시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Dahaneul 2
2024년 2월 06일 18:16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깔끔하고 정말 인생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역대급 도움이 된 영상입니다ㅠ
마침 딱 완벽주의로 인해 고통받고, 방황하며,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있을 때
너무나도 알맞게 원인 파악 해결 등 딱 정확하게 잘 말해주셔서 최고였습니다..
어떤 채널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일단 구독 바로 하겠습니다
너무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진짜 딱 제 이야기네요.. 진심 맞춤제작 커스텀도 아니고 너무 제 이야기여서 완벽할 정도로 도움이 되었습니다…..ㅠㅠㅠ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일 가득하시고, 건강과 행복 모두 가득하시길 바랍니다…..ㅠㅠㅠㅠ❤️❤️❤️❤️❤️👍👍
@dtddtd1999 2
2023년 11월 30일 18:20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실수할거라는 생각이 맴돌아서 일을 조금씩 뒤로 미루다가 일폭탄을 맞습니다.. 안될거라는 불안이 너무 큰것 같아요. 조금만 나중에 해야겠다 생각하다가 결국 마감기한에 제출 못하기도하고.. 민폐를 끼치기도 해요.. 오늘만 해도 레포트를 15장정도 써가야 하는데 일주일전에 알아서 바쁘다는 핑계로 미루다가 하루전에 불안해서 시작을 못하고 있네요.. 항상 하겠다는 생각은 꼭 드는데 막상 하면 금방 집중도 못하고 쉬는 제 자신이 너무 싫습니다.
@vincentlee7789 2
2023년 1월 18일 08:02저에게 알맞는 영상이었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빈계정-c4y 2
2023년 8월 23일 23:25안밖으로 쏟아지는 비난때문에 제가 절 잊고있었어요.
감사합니다
@Lee-ft6xf 2
2024년 7월 30일 23:22왕따를 당하고 엄격한 부모님 밑에서 자라다 보니, 나는 특별한 존재가 되기로 하고 공부로 승부봐서 공부로 특출난 사람이 되서 다른걸 다 커버해야지라는 생각이 학창시절부터 30넘은 지금까지 내 삶을 갉아먹엇는데 소름돋게 공감가는 내용이네요 ❤
@노벨James 1
2024년 2월 23일 15:44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제 안에 결핍도 있는 그대로 바라봐주고 사랑해줘야겠습니다. 나 자신부터 칭찬해줘야겠습니다😊
@LIGHT-1020 1
2024년 12월 22일 14:59듣고 싶은 말을 들었어요.. '이해합니다' '더 이상 부모의 기준에 맞추지 않아도 됩니다' 찡합니다.. 내 기준에서 30% 만족하자.. 이렇게 해보려고 노력해볼게요
@lhr1012 1
2024년 11월 05일 07:58잘해야만 인정해주는 부모님이라......그게 맞구나.........그냥 잘했다고 해주면 될 걸.......나라도 그런 사람이 되어줘야지
@hoogoes 1
2024년 1월 12일 21:3030퍼센트의 룰 + 잔잔한 즐거움. 영상이 제가 가진 엄격한 기준에 대해 이해하고 앞으로 더 성장하고 인생을 즐길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큰 깨달음을 얻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갓이슬-f9k 1
2024년 10월 17일 13:07어릴 때 자주 이사다니고 전학다니고 친구가 없었는데 월등하고 우월한 나에 대해 자각하고 있었던거 같아요 우월하면 칭찬받고 인정받고 우러러봄을 받으니까 상도 계속 타려고 하고.. 그러다 중고등학교때 평범해짐을 경험하니 특별해지고 싶어서 자퇴도 하게 되고 대학에 와서는 더 높은 대학에 가려고 편입 준비… 돌아보면 주변에서 우러러보길 바라는 거 같고 실제로도 관계를 깊게 맺지 않아서 인간관계 폭이 너무 좁네요 ㅇ모든 것은 인정욕구에서 시작되었나봐요 저한테 공부하고 성장하는 거보다 가장 중요한 인정욕구의 해결이 중요할지도요…
@귀요미-r1w 1
2024년 5월 21일 12:50저는 초등학교 2학년 때 반에서 혼자 올백을 맞은 적이 있어요(시골이었음) 그때 담임선생님이 반 아이들 앞에서 칭찬해줬고 부모님도 엄청 기뻐하셨어요
그 뒤로도 초등학교 때 반에서 상장도 많이 받고 항상 선생님들께 칭찬도 받고요 근데 지금 생각해보니 그게 저에게 오히려 독이 된 것 같아요.
엄청 잘하고, 특별하지 않으면 아예 시도 조차 안 하게 되었어요 중간만 갈 거면 너무나 평범해지고 칭찬도 못 받으니까요... 고등학교 때도 1등급 못 받겠다 싶은 과목은 포기했어요
그리고 내게 있는 열등감을 가리기 위해 특별해지려고 노력한 게 정말 맞아요...
대학교 와서 할 일이 너무 많고 압박감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오늘 영상을 통해 깨닫는 게 많네요 감사합니다
@zmfreeroo 1
2023년 1월 18일 18:36완벽주의는 결국 인간의 욕심이 낳은 결과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런데 욕심은 본능이죠. 이런 본능을 이용한 마케팅이 판을 칩니다. 세상이 발전할수록 누군가와 비교가 쉬워지고 그 대조군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페이스북, 인스타 이런게 대표적이죠. 상대적으로 이런 문명의 혜택을 못받는 사람들은 당장 우리 눈엔 불쌍해 보일지도 모르지만 과연 누구의 인생이 더 행복한지는 본인들만 알겠죠. 더 똑똑하고, 더 능력있고, 더 부유한 것이 더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JJABU_
2024년 6월 03일 10:495:00 여기부터 개소름
난 어릴 때부터 몸도 약하고 가족들에 비해 머리도 부족하니까 항상 노력하고 남들보다 좀 더 잘해야한다고 생각했음.. 실제로 교우관계도 불안정했고 맨날 난 남들과 다른 사람이 되겠어! 이러고.. 그 기준이 당연한 줄 알고 남한테 들이대다가 엄청 싸우고 고쳤는데 스스로한테 하는건 잘 안고쳐지고 ㅠ 좋은 결과도 있고 사회가 좋아하는 모습이라 강화가 되버렸나 어른이 되고 콤플렉스가 내 착각이었을 수 있다고 받아들였고 충분한 소속감도 느껴봤는데 아직도 부족한가 여전히 남아있네😂
@거꾸로-b3p
2024년 2월 14일 15:04준서이야기 듣고 소름돋았어요… 완전 나네…
@choi27
2024년 7월 26일 18:37이제야 답을얻었네요 비록 완전히 완벽주의는아니지만, 무언가에 새로 도전하려할때 두려워하고 할수있을까라는 생각은 완벽하게해내고싶다는 마음에서 비롯된거같습니다. 무언갈 완벽하게,잘하려하는 생각을가졋어도 그날그날에 할수있을만큼만이라도 천천히한다는 식으로 마음을 여유롭기먹는것도 좋은거같아요. 나왜이렇게못햇지?라기보단 ”충분히한거같아“와 같이요.
@도토리-x2m6i
2024년 8월 01일 10:08완벽주의가 대학교 오면서 생겼습니다. 부모님들은 시쁠, 비쁠, 하다못해 디도 괜찮다하지만 장애가 있어 저를 맞춰주실 보조인분이 계실때, 학교다닐 여건이 될때 공부해야한다는 강박관념에 휩싸여 살아갔습니다. 그 과정에서 불안장애와 우울증도 키우고 건강도 잃어갔습니다. 막학기에 와서 일이 틀어지고, 건강이 나빠지면서 대학에 온 이유도 알 수 없어졌고, 디도 받을 수 없을거라는 불안감에 휩싸여있습니다...
@juniorddung
2023년 7월 02일 06:37아... 뼈때리네요.... 날 옆에서 보고 이야기 하는거 같아요
@user-bx4dj7yx9v
2023년 5월 01일 04:05완벽주의가 다른 것들에도 있지만 인간관계에 관련되서 정말 심하게 있는데 인간관계에 관한 이유는 조금은 다르지만 준서와 비슷한 이유였던 것 같아요… 특별한 사람이 되어야 비로서 사람들이 날 진심으로 좋아해주고 사랑해주는데 그에 비해 나는 결핍이 많고 상처가 많아 마음이 너무 뾰족하고 네모내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거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사실 그렇게 생각해요.. 제가 좋아서 받은 상처와 좋아서 생긴 결핍이 아닌데 말이죠..그래서 참 억울하기도 하고 세상이 너무 밉기도 하고 그러다보니 점점 사람들이랑 어울리는 게 꺼려지고 마음 열기도 힘들어지고 그러네요.. 이 영상을 보고도 정말 나 있는 그대로도 받아들여주고 사랑해주는 사람이 있을지 의문이 들고..😭
@몽치치-c9v
2024년 6월 10일 01:00이게 맘먹는다고 되는일이 아님... 그래서 꼭 약처방 받아서 같이 먹으며 실천해야되더라..
@하드허리디스크
2024년 10월 28일 23:38’잔잔한 즐거움‘ 내가 오늘부터 명심해야할 말
@GoraniJommanyshikkroun
2023년 9월 18일 03:15근데 진짜로 완벽하지 못하면 그 책임은 내가 되고 내가 잘못한 게 되는 거잖아 내가 더 잘하면 되는거고
@pooh5936
2023년 9월 11일 22:49잘보구갑니당❤
@김고니-p6u
2023년 12월 23일 15:37저도 그렇습니다 시작도 전에 이미 결과치를 내놓고 시도 조차 안하고있네요 어차피 이렇게 되겠지 저렇게 되겠지 나를 못믿는 상황까지 오게되고 자기혐오로 몰아가게되더군요.
지금 현재까지도 자기 자신과 매번 싸우는중입니다. 어쩌겠습니까 이겨내야하는건 본인몫이거늘 천천히 한발짝씩 해봐야지요. 앞으로 3년5년 뒤에 이 댓글을 볼 미래의 나자신한테 이런 날도 있었지라는 라며 웃는 나를 기대하면서 오늘도 이겨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