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학에서 다르는 내용인데 솔직히 제의견으로 잠시 이렇게도 분석하며 공부하는ㅈ사람들이 있구나 하면 되었지 이걸 파고들어가면 정작 얻고자 하는게 얻어지지가 않습니다. 이공부는 단순해지는 공부지 복잡한 공부가 아니라고 봅니다. 지금까지 단 똑같은 내용을 공부하는 사람 관점에서 잘 설명해왔고 자기한테 맞는 공부를 찾았으면 의심없이 한우물 파면서 공부하는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처음 공부하는분들에게 너무 어렵게 접근하면 도망갈까 우려해서 감히 한말씀드리는겁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깨달음의 기준은 성철스님이 말씀하신대로 내외명철이고, 그건 혜안이 열려야 가능한 것이고, 달라이라마도 혜안 열리는 게 늦어서 그 스승이 송과체를 자극하기 위해서 특정 혈에 침을 놓아서 도움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여러 수행법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현재 조계종에서 주로 채택하는 간화선이 가장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화두를 들고 깨쳐야 합니다. 그 어떤 수행법도 깨달음의 순간은 동일합니다. 깨우치는 것인데, 그게 단순한 지식같은 것이 아닙니다. 뭔가 알아 차린 것같은데 말로서는 뭐라 표현하기 어려운 어떤 상태, 그래서 가만히 정리를 해보면 그제서야 뭔가 알게 됩니다. 애초에 없었구나.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은 것을 존재한다고 철썩같이 믿고 있었구나. 없는 걸 있다고 철썩같이 믿으니 온갖 문제가 생겨납니다. 어리석음과 번뇌 등등.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이 애초에 없는 겁니다. 이것을 머리가 아닌 체험으로 뼈저리게 느껴야 합니다. 이걸 반야라고 하지요. 이러한 체험에 반야라는 개념적 이름을 붙였을 뿐입니다. 그걸 뭐라 부르던 상관없이 깨우쳐야 합니다. 그러면 그 충격이 너무도 커서 그동안 눈앞을 가리던 안개가 사라지면서 광명의 빛이 드러납니다. 이 빛이라는 것도 그냥 비유적 표현이 아니고 진짜 온 세상이 빛으로 가득합니다. 아무튼 불경에서 나오는 내용들이, 특히 고승들이 한 얘기들이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그 사람의 의식 수준이 높아야 됩니다. 자신에게 집중하면서, 스스로 찾아서 성취합니다. 하나의 감정을 몸으로 느끼고 완전하게 아는 순간에, 그 감정은 사라지고 그 감정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눈으로만 찾으려 해도 보이지 않아서 어려운 것입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사람들은 멋지고 화려한 문체들을 좋아합니다. 그렇기에 초심자들을 혼란에 빠트립니다. 그리고 결론을 냅니다. 그 결론이 강을 건 너서면 좋겠지만 본인이 아는 만큼 뿐 입니다. 그 이후에 무엇이 있는지 모릅니다. 오직 본인만 느낄수 있습니다. 시작부터 지식부터 쌓으면서 시작한다면 그것이 수행을 가로막는 가장 큰 벽입니다. 붓다의 말을 잘 보면 괴로움의 생성소멸에 대해서만 말한다고 했는데 그것은 무언가가 더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까요. 그냥 호흡에만 집중 하시면되시고 현상들이 나타나면 호흡도 버리시고 현상을 바라보기만 하십시요. 때가되면 저절로 공부를 시켜줍니다. 내안의 참나에게 맡겨 버리세요. 내가 무엇을 하려는 자체가 먼 길로돌아가게 만듭니다.
우리의 욕망은 어떤 방식으로든 절제나 삭제가 안됩니다 삭제할려면 오로지 경험 뿐입니다 실컷 경험해봐야만이 삭제가 됩니다
깨달음은 부작용없이 삭제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테크닉 이라고 봅니다
즉 우주의 법칙으로 욕망을 달성하게 해주는거죠
난 붓다를 이렇케 봅니다 부,권력,명예,성을 다누리고 마지막남은 교화의 업을 누리고 가셨다고 봅니다( 컴퓨터 하드파일 다삭제 )
더이상 욕망할게 없으니 환생을 안하시겠죠 ( 그게 좋은가? )
여튼 난 욕망을 나쁘게 안봅니다
인간이든 동식물이든 입력된 메모리가(욕망) 있습니다
메모리가 쫙 펼쳐질때 아름답습니다 벚꽃이 입력된 메모리에 따라 봄에 활짝 피는것처럼
그리고 그꽃을 보고 모두가 행복해하고
임무를 마친 벚꽃은 아름답고 화려하게 퇴장하죠
추신 : 예전의 나의 컴퓨터 하드에는 야동파일 70% 영화 파일 30%정도 있었습니다 야동파일 2~3년 보고나니 지겨워서 더이상 보고싶지 않더군요 그래서 다삭제하고 영화파일을 더추가했죠 영화파일도 실컷 보고나니 요즘은 영화 드라마 아무것도 보고싶지않네요 감성 다죽었습니다 ㅜㅡ
모두가 우려보다는 응원을 해야 한명이라도 영적 성장에 관심을 갖고 또는 용기를 가지고 선의를 베풀것이라 생각됩니다. 용기내어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방식대로 풀어나가는것 또한 공부의 방식이기에 어떠한것도 잘못된것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분별없이 흡수하다보면 자신의 지혜의 눈으로 자연스레 알게되듯 싶습니다.
석가모니께서는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을 내려놓으신 이후에 깨달음을 얻으셨습니다. 무상 고 무아는 에고의 나이며, 진여는 하나님입니다. 연기란 절대계의 힘으로 현상계를 살아가는 것입니다. 깨어나 절대계와 통하는 힘이 커질수록 유식학에서 말하는 1지인 아라한을 시작으로 10지인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이랍니다... 늘 감사합니다 🙏
삶에서 만나는 모든 것이 내 안의 나의 반영이고 수행법이 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까르미와 기질, 처해진 환경이 다르고 진리의 말들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길을 찾는 수행자들도 참 많아져 반갑습니다. 깨어남에서 깨달음까지 명확한 단계가 있고 네비게이션이 내면에 자라잡을 때 길을 잃어도 돌아오고 어지럽게 헤매지 않게 되겠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들은 난무하고 내면의 참나로 들어가는 길은 모두 다릅니다. 논쟁은 무익한 것이라 우리 모두 평화로운 본성을 향해 나아가길
@시공너머로 66
2023년 1월 27일 10:59유식학에서 다르는 내용인데 솔직히 제의견으로 잠시 이렇게도 분석하며 공부하는ㅈ사람들이 있구나 하면 되었지 이걸 파고들어가면 정작 얻고자 하는게 얻어지지가 않습니다. 이공부는 단순해지는 공부지 복잡한 공부가 아니라고 봅니다. 지금까지 단 똑같은 내용을 공부하는 사람 관점에서 잘 설명해왔고 자기한테 맞는 공부를 찾았으면 의심없이 한우물 파면서 공부하는게 중요한것 같습니다. 처음 공부하는분들에게 너무 어렵게 접근하면 도망갈까 우려해서 감히 한말씀드리는겁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brucelee1907 31
2023년 2월 07일 04:46깨달음의 기준은 성철스님이 말씀하신대로 내외명철이고, 그건 혜안이 열려야 가능한 것이고, 달라이라마도 혜안 열리는 게 늦어서 그 스승이 송과체를 자극하기 위해서 특정 혈에 침을 놓아서 도움을 받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여러 수행법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현재 조계종에서 주로 채택하는 간화선이 가장 효율적인 것 같습니다.
화두를 들고 깨쳐야 합니다. 그 어떤 수행법도 깨달음의 순간은 동일합니다. 깨우치는 것인데, 그게 단순한 지식같은 것이 아닙니다. 뭔가 알아 차린 것같은데 말로서는 뭐라 표현하기 어려운 어떤 상태, 그래서 가만히 정리를 해보면 그제서야 뭔가 알게 됩니다. 애초에 없었구나.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은 것을 존재한다고 철썩같이 믿고 있었구나. 없는 걸 있다고 철썩같이 믿으니 온갖 문제가 생겨납니다. 어리석음과 번뇌 등등.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이 애초에 없는 겁니다. 이것을 머리가 아닌 체험으로 뼈저리게 느껴야 합니다. 이걸 반야라고 하지요.
이러한 체험에 반야라는 개념적 이름을 붙였을 뿐입니다. 그걸 뭐라 부르던 상관없이 깨우쳐야 합니다. 그러면 그 충격이 너무도 커서 그동안 눈앞을 가리던 안개가 사라지면서 광명의 빛이 드러납니다.
이 빛이라는 것도 그냥 비유적 표현이 아니고 진짜 온 세상이 빛으로 가득합니다. 아무튼 불경에서 나오는 내용들이, 특히 고승들이 한 얘기들이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닙니다.
@구본호-h9l 25
2023년 1월 27일 15:21기본적으로 그 사람의 의식 수준이 높아야 됩니다.
자신에게 집중하면서, 스스로 찾아서 성취합니다.
하나의 감정을 몸으로 느끼고 완전하게 아는 순간에,
그 감정은 사라지고 그 감정으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눈으로만 찾으려 해도 보이지 않아서 어려운 것입니다.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Jenny-zs2tg 25
2023년 1월 27일 09:26우리나라에도 정말 좋은책들이
많구나 라고 써니즈님을 통해
알아가고 있네요~~
늘 감사합니다
@최선식 19
2023년 1월 29일 07:46사람들은 멋지고 화려한 문체들을
좋아합니다.
그렇기에 초심자들을 혼란에 빠트립니다.
그리고 결론을 냅니다.
그 결론이 강을 건 너서면 좋겠지만
본인이 아는 만큼 뿐 입니다.
그 이후에 무엇이 있는지 모릅니다.
오직 본인만 느낄수 있습니다.
시작부터 지식부터 쌓으면서
시작한다면 그것이 수행을
가로막는 가장 큰 벽입니다.
붓다의 말을 잘 보면
괴로움의 생성소멸에 대해서만
말한다고 했는데 그것은
무언가가 더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까요. 그냥 호흡에만 집중 하시면되시고
현상들이 나타나면 호흡도 버리시고
현상을 바라보기만 하십시요.
때가되면 저절로 공부를 시켜줍니다.
내안의 참나에게 맡겨 버리세요.
내가 무엇을 하려는 자체가
먼 길로돌아가게 만듭니다.
@passersby6632 18
2023년 1월 27일 09:56영원한 행복을 찾는 수행. 구름이 걷히면 태양이 드러나듯이, 아상(중생심)만 내려놓으면 보리심은 저절로 드러난다.
@현-k2r 17
2023년 1월 27일 08:58초기불교의 가르침인거 같습니다~
불교에 대해 아는게 별로 없지만 저 내용을 저는 따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바람의검객-b5f 12
2023년 1월 27일 10:03전에도 말했지만 위빠사나의 이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심안, 마음의 눈"이 열리면 이런 일이 저절 로 일어나고,
마지막에는 꿰뚫는 지혜를 통하면 큰 장벽을 일거에 돌파할 수있는데,
그것이 초기조사선이 적합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nexilis- 11
2023년 1월 27일 08:11이내용만 잘 이해 해도
해탈에 이르겠네요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랑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HealingYourHeart1 10
2023년 1월 27일 07:42'나'라는 존재를 다시 관찰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
@suyounkim3507 9
2023년 1월 27일 07:27김치에서 와~~하게 되네요.
마주하는 모든것들에게서 나라는걸 알아차리고 깨우침으로 걸어가는 하루가 되길 🙏
감사합니다 오늘도
오늘도 최고입니다 👍
@반야-g2q 8
2023년 1월 27일 07:40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
@Macrocosmnouveauriche 7
2023년 1월 27일 07:08굿모닝 감사합니다
@juingong007 7
2023년 1월 27일 08:23^^ 잘보았습니다
우리의 욕망은 어떤 방식으로든 절제나 삭제가 안됩니다
삭제할려면 오로지 경험 뿐입니다
실컷 경험해봐야만이 삭제가 됩니다
깨달음은 부작용없이 삭제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테크닉 이라고 봅니다
즉 우주의 법칙으로 욕망을 달성하게 해주는거죠
난 붓다를 이렇케 봅니다
부,권력,명예,성을 다누리고
마지막남은 교화의 업을 누리고 가셨다고 봅니다( 컴퓨터 하드파일 다삭제 )
더이상 욕망할게 없으니 환생을 안하시겠죠 ( 그게 좋은가? )
여튼 난 욕망을 나쁘게 안봅니다
인간이든 동식물이든 입력된 메모리가(욕망) 있습니다
메모리가 쫙 펼쳐질때 아름답습니다
벚꽃이 입력된 메모리에 따라
봄에 활짝 피는것처럼
그리고 그꽃을 보고 모두가 행복해하고
임무를 마친 벚꽃은 아름답고 화려하게 퇴장하죠
추신 : 예전의 나의 컴퓨터 하드에는
야동파일 70% 영화 파일 30%정도 있었습니다
야동파일 2~3년 보고나니 지겨워서 더이상 보고싶지 않더군요
그래서 다삭제하고 영화파일을 더추가했죠
영화파일도 실컷 보고나니
요즘은 영화 드라마 아무것도 보고싶지않네요
감성 다죽었습니다 ㅜㅡ
아~ 살아있는거 하나있다
음악은 최신곡 계속 다운받고 있습니다 ^^
https://youtu.be/5qm0UK1yG1Q
요즘 이음악에 흠뻑 빠져있습니다 ^^
@bisttari4920 6
2023년 1월 27일 08:34감사합니다~
설렘이라는 말씀에 놀라움을 느낍니다. 저는 낯설고 어렵다고 느꼈거든요. ^^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FORERE 6
2023년 1월 27일 11:54오늘도 좋은 가르침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써니즈님!!
@Baram7030 6
2023년 2월 18일 22:10모두가 우려보다는 응원을 해야 한명이라도 영적 성장에 관심을 갖고 또는 용기를 가지고 선의를 베풀것이라 생각됩니다. 용기내어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방식대로 풀어나가는것 또한 공부의 방식이기에 어떠한것도 잘못된것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분별없이 흡수하다보면 자신의 지혜의 눈으로 자연스레 알게되듯 싶습니다.
항상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알려주셔서. 힘내세요.
@maloyu2724 6
2023년 1월 27일 07:54좋은 아침 감사합니다
반야의 꽃 5
2023년 1월 27일 08:04석가모니께서는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을 내려놓으신 이후에 깨달음을 얻으셨습니다.
무상 고 무아는 에고의 나이며, 진여는 하나님입니다.
연기란 절대계의 힘으로 현상계를 살아가는 것입니다.
깨어나 절대계와 통하는 힘이 커질수록 유식학에서 말하는 1지인 아라한을 시작으로 10지인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이랍니다...
늘 감사합니다 🙏
@오로시-j9q 5
2023년 1월 27일 09:31감사합니다♡
@해빙투 4
2023년 1월 27일 09:06오늘도 감사합니다.
@rabbit77777 4
2023년 9월 26일 00:53불교는 단어들이 잘 와닫지 않아 기피했는데 이 영상을 보고 아 이런거구나 알게되었네요 덕분에 관심이 가서 이해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lisaalexander3040 4
2023년 1월 27일 13:00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naraone7143 4
2023년 1월 27일 08:21감사합니다
@파니핑크-k1y 4
2023년 1월 27일 09:50써니즈 님 대단하세요~~~👍
설렘이라니...
전 그렇게 구분지어놓은 것들을 일일이 알아야하는 걸까 생각하니 겁이 났어요.^^;;;
책을 공부하듯이 읽어볼까 합니다. 도전~!!!
@sksekrhfo 4
2023년 1월 27일 14:3915만 축하드립니다🎉
@가리-g9t 4
2023년 1월 27일 14:29써니즈님
계속 동행해주세요^^
@김동수-f6i 3
2023년 3월 17일 07:02켄윌버의 의식의 스펙트럼,
천부경,
칼 융의 페르소나와 그림자,
현대 심리학 이론들
에니어그램...
이들을 기반으로 위빠샤나를 재해석해 보면 보다 현대화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해바라기-t6k 3
2023년 1월 27일 13:09감사합니다 ❤️ 써니즈님 ~오늘도덕분에 행복합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 🙏
@TV-kl7yw 3
2023년 11월 06일 10:26너무 좋은 책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위빠사나의 반야관의 인식이 처음 깨칠때에는 의식적인 것이겠지만 깨침 이후에는 직관적인 것이 되어 글로 표현 되어질때는 복잡하게 느껴지는 과정이 오히려 단순하고 명쾌하게 다가올 것입니다
@하보남-w2e 3
2023년 1월 27일 21:29감사합니다!~ 써니즈님
@strong_mentalTV 3
2023년 1월 27일 10:16감사합니다.🙏🏻🙏🏻
@곽영율-h2p 3
2023년 1월 27일 23:44고락 행복 애증 등등
만물은 음양즉연기 이므로 항상 시공간적으로 같이존재한다.
중생이나 부처나같다.
미세한무생물이나 생물이나 같다.
@발저어산책 2
2023년 1월 28일 07:44오늘도 감사합니다👍👈
@shesrainn 2
2023년 2월 22일 09:19깨달음 또한 인식의 대상일뿐이지요 좋은하루 보내시길
@padis-j9q 2
2023년 2월 05일 09:34천태덕명 스님이 쓴 화동인연을 감명있게 읽었습니다
삶에서 만나는 모든 것을 수행의 대상으로 삶는 스님의 수행법은 깊은 산속에서 수행을 해야한다는 고정관념을 해체 시키고 있습니다
노가다명상으로 삼매를 체험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 스님의 구도열정은 분명 남달랐습니다 국내 최초 커피명상을 창안하기도 한 스님의 명상지혜가 돋보이는 책입니다
일간지 사진기자와 독립영화 출가전 촬영감독이었던 스님이 수행중 암에 걸려 극복해 나가고 있는 모습, 그리고 자신의 지난날을 반성하는 참회록은 많은 수행자들은 물론 도덕 불감증에 걸려 있는 현대인들에게 큰 깨달음을 줄 수 있을 것이라 믿고 추천 드립니다
아그래 2
2023년 1월 27일 09:13써니즈님 영상 보고 책 구입해서 어제 받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득도자경주최00 2
2023년 2월 03일 23:50참 좋아요 ~!^^
알콜말기 궁예 2
2023년 1월 27일 07:14💕💞💘
@ykwang9038 1
2023년 11월 27일 15:42🎉🎉🎉
@smj8944 1
2023년 6월 28일 09:03내가 아는것이 다인줄 알았습니다 더깊은 수련과 수행이 있음을 오늘에야 깨치며 한번더 겸허히 받아들일수 있도록 해주심에 늦게나마 감사의 글남깁니다 ❤
@alexlee1913 1
2023년 2월 16일 02:46알고 싶었던 내용인데 고마워요
@여유만만-y8q 1
2023년 1월 30일 09:44감사합니다^^ 잘듣고있고 도움도 받고있어요~
@김현주-j2n 1
2023년 3월 05일 07:59목에 묵직한 무언가가 느껴집니다
슬픔
전에는 왜
라고 이유를 찾으려했는데
지금은 지켜봐주니 저절로 사라집니다
@인간시장-t1q 1
2023년 2월 19일 23:55모든 종교적 사상은 이해하려는!, 노력만으로도 충분합니다!.
@현고요
2023년 10월 23일 00:46써니즈님 시작 배경 음악이 뭐예요? 너무 좋네요
@심이-g6l
2024년 3월 02일 09:25알고리즘이 안내해준 써니즈님을 맞이하면서~~
오늘 하루시작합니다.
왠지 평온해질것같은 날 이 될것같습니다 ()
@노학래-d2h
2024년 7월 07일 10:51정말감사합니다
@리라의노래들
2025년 5월 12일 21:44삶에서 만나는 모든 것이 내 안의 나의 반영이고 수행법이 죠.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까르미와 기질, 처해진 환경이 다르고 진리의 말들이 넘쳐나는 세상에서 길을 찾는 수행자들도 참 많아져 반갑습니다. 깨어남에서 깨달음까지 명확한 단계가 있고 네비게이션이 내면에 자라잡을 때 길을 잃어도 돌아오고 어지럽게 헤매지 않게 되겠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들은 난무하고 내면의 참나로 들어가는 길은 모두 다릅니다. 논쟁은 무익한 것이라 우리 모두 평화로운 본성을 향해 나아가길
@홍택오-p1z
2025년 3월 17일 09:01☀️☀️☀️☀️☀️🎄🎄🎄🎄🎄🌍🌍🌍🌍🌍🥊수고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법원칙
2024년 3월 16일 08:47아는게 행복입니다 감사합니다
@wonjaelee6233
2023년 12월 30일 11:11써니즈님, 좋은 책 소개시켜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항상 많이 배워갑니다.
@미아-r9u
2024년 6월 29일 11:48깨달음에 가까이 다가간 분들의 책(예:에크하르트 톨레)들의 내용과 많이 흡사합니다. 단지 이 책은 고어를 많이 써서 이해하기 좀 어려운거라 생각합니다. 위빠싸나가 궁금했는데 써니즈님 영상보고 궁금증이 풀렸어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