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러니 하게도 매번 이런 위기 시대가 지나면 또 부자들이 돈을 많이 벌더라구요. 현금부자들은 더 떨어지면 쇼핑 타임이 시작 되니까요. 대출도 아니니 이자도 상관없고 무주택자는 높은 금리 때문에 못사고. 폭등을 할때도 폭락을 할때도 그들은 늘 유리한 포지션에.서 있죠. 안정적으로 갈때가 서민에겐 가장 유리 한것 같아요
특히 노태우시절 200만호 공약때 지어진 전국의 수많은 아파트가 큰 문제입니다. 이 아파트들은 현재 재건축을 전제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거든요. 즉 재건축을 해야만 현재의 가격이 정당화 됩니다. 지어진지 30여년 정도 되는데 그 많은 아파트가 10년 내에 재건축을 추진 한다면 재건축 기간을 포함하면 준공시 까지 20년 후가 되겠네요. 물론 사업성 때문에 일부단지를 제외하고는 재건축이 어렵다고 봅니다.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부산 최상급 지역의 삼익비치라는 단지가 있는데 재건축이 확정되어 추진 중인데 조합원 분담금이 84기준 7억원이나 예정되어 있어 사업이 제대로 될지 불투명합니다. 지금 까지의 재건축은 저층에서 고층으로 짓는거라 사업성이 있었지만, 고층에서 고층으로 재건축은 가격이 계속 상승해야 하며 또한 늘어나는 물량을 받쳐주는 수요가 있어야 하든지 조합원이 분담금을 많이 내야하는데 잘 될까요? 아파트가 40년 이상되면 많이 불편합니다. 여유가 되는 사람들은 새아파트로 빠져 나갈려고 할겁니다. 그러면 가격은 지금 빠지는 속도에서 가속이 더 붙을거 같은데요.
한국 경제 경기와 환율 ,,금리를 빨리 안올리면 환율에 문제가 생기고 무역적자는 더 커집니다. 특히 건설사들이 부도나기 시작하면서 채권시장이 불안해 지고 있습니다. 이미 중소기업 폐업지원금이 1조를 넘어 섰죠. 국가경제가 안좋은데 물건가가 올라 갈 수가 있을까요? 채권시장이 불안해 지면 외화 빠져나가죠. 앞으로 아파트 공급은 줄지 않죠 인구는 줄죠. 국가정책 실패로 국짐 당이 여당일 때 빈부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즉 집을 살 수 있는 인구 수는 더 줄죠. 물가는 더 오르고 금리도 오르고 경기는 바닥을 치는데 무슨 아파트가격이 오른다고 부동산 설계사 분들이 말씀하는지..참 얼척이 없습니다. 저는 2년안에 국가 모라토리움 선언할 가능성 할 수고 있다고 봅니다. 뱅크런..!!!!
불패부동산투자 신화가 트라우마를 만들어 반등이 힘차지 않을것이며 인구감소로 갈수록 부동산의 투자가치가 떨어질것이고 집을 사야하는 소비자인 젊은세대들 마인드는 집에 인생을 걸지도 않고 대부분의 투자자본을 가지고 움직이는 상위5%투자자들은 투자금을 다른곳으로 전환으로 움직이기에
요새 썸네일에 많이 보이는 '이때'타령.. 난다긴다 하는 연봉 조단위 펀드매니저들도 그런 예측은 틀림ㅋ 부동산전문가라는 사람들도 언론에나온 코로나이후 전망? 다틀렸음 그걸 논리적 근거를 대면서 맞춘다는거 자체가 불가능의 영역이란소리 뭐 열번찍어 한번 맞추기야 할수있겠지만 ㅋ
상승요인 감안하더라도 미친듯이 오른 것은 다 아는 사실이고.. 미친듯이 올랐으면.. 미친듯이 내려야 맞지요.. 그런데 벌써 매수타이밍 운운 하는 것 너무 이율배반적 아닙니까? 지난 4-5년 오르기만 했던 집값이었다면.. 최소한 2-3년이라도 내리면서 조정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 상식일텐데.. 대체 왜들 그러죠? 불과 6개월도 채 되지 않은 하락국면을 두고 지금 부동산 관련으로 허구한날... 오르라고 부채질인지.. 더 내려야 한다고 부채질인지.. 갸우뚱하네요..
@해피트리-l4w 157
2023년 2월 11일 18:15세 분포함 한문도 교수님도 최고이십니다.
@kweehyunha8639 94
2023년 2월 11일 20:12사기꾼들은 거래량도 조작 가능 합니다 .
계약하고 2~3개월 후에 취소합니다.
그래서 작년에 뒷구녕으로 17,000여건의 취소를 했었지요.
거래량을 보지말고 취득세 완납하고 등기완료된 국토부 실거래가에 등록된 것만 실제 거래량 입니다.
@vira-o6n 58
2023년 2월 11일 19:05지금 가격,금리 그리고 앞으로 입주물량 생각하면 고점대비 반토막 이상 나야 정상인데 실제 가보면 별로 빠진거 없음. 그래서 갈길이 멀다고 생각함.
@은희정-z9v 55
2023년 2월 11일 18:47더이상 집으로돈버는시대는 사라지길바람
@고기랑-r4n 47
2023년 2월 12일 01:08과거 두번의 장기하락을 경험하고보니 이현철소장 시각이 맞는듯. 지금 매수를 논하는 것 자체가 바닥이 아니라는 반증. 진짜 바닥은 바닥이라는 말 자체가 사라졌을 때더라.
@조낙화 45
2023년 2월 11일 16:20정확한 정보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믿고 보고 있습니다.
@금희조-y9w 45
2023년 2월 11일 16:15그 시간을 버티셨으니
고맙습니다!
20년 부동산 투자를 했는데 2020년부터는 투자할 시기가 아니라고 판단했어요.
@jamesbee7302 32
2023년 2월 11일 17:07넘나 션하게 명확하게 집어주시네요. 굿굿
@쉽지않다-w9g 30
2023년 2월 11일 17:32적정가격까지 빠져야 반등한다 기간은 알수없다
전스티브 23
2023년 2월 11일 16:44부동산전문가3대장에 한문도교수님이 못껴요? 내가보기엔 대한민국1인자인데?
@감나무-v4e 23
2023년 2월 11일 19:56이광수 부동산 박사님 항상 감사하며 보고있습니다 👍👍👍👍👍
@바람같은친구 20
2023년 2월 12일 07:49아이러니 하게도 매번 이런 위기 시대가 지나면 또 부자들이 돈을 많이 벌더라구요. 현금부자들은 더 떨어지면 쇼핑 타임이 시작 되니까요. 대출도 아니니 이자도 상관없고 무주택자는 높은 금리 때문에 못사고. 폭등을 할때도 폭락을 할때도 그들은 늘 유리한 포지션에.서 있죠. 안정적으로 갈때가 서민에겐 가장 유리 한것 같아요
Jh Kim 20
2023년 2월 11일 16:15집으로 한탕해서 돈버는 투기 부추김은 멈춰야 합니다.
@jimmyan8733 18
2023년 2월 12일 00:37한문도 교수님 도 절대 우리소시민에 없어서는 안될 희망이신분이십니다
@house4964 17
2023년 2월 11일 23:51한문도 교수가 탑 아닌가?
@금희나 14
2023년 2월 11일 17:04김작가 많은 도음 됩니다
@arianaaria4372 13
2023년 2월 12일 19:30조금이나마 희망이 생기네요 ㅠㅠ 명쾌한 강의에 구독 누르고 갑니다!!
@fjord38 12
2023년 2월 11일 19:19고금리가 얼마나 오래 유지될지 거기에 경기둔화가 거들고😂
@dontwo9646 12
2023년 2월 11일 19:03떨어진 후에도 엎으로 기는 시기가 있을텐데요
황금산 12
2023년 2월 11일 16:24이광수위원님 반갑습니다
늘 다정 다감하고 정확한 분석으로 합리적인 예측을 해주셔서 넘 좋습니다
연배가 비슷하다면 쐬주한잔 나누며 따뜻한 우정을 나누고 싶네요
@최수영-v3g4r 12
2023년 2월 11일 19:44분석 감사해요
@lucky_tv 11
2023년 2월 11일 18:58📌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N3UB7GEMiR8
🌟 『이광수 위원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IS6HTJ97UrA
👉 2부. https://youtu.be/0JN3eGmEEyU
👉 3부. https://youtu.be/AH8Uod2JRaY
@주택관리사 10
2023년 2월 12일 09:5811:50 전세가 맞춰서 집을 사는이유는 내돈 전부가 전세에 물려있어서 그래요. 여유돈으로 집을 사는건 전세율이 80-90%될때나 가능하니까요.
그래서 하락장에 내집마련을 하려면 월세를 들어가서 전세금을 모아두란건데 쉽지않죠
@akajjang00 9
2023년 2월 12일 15:51급매 없어지고 호가 올리는곳도 있대요
또 마냥있다가 또 벼락거지 될까 맘이 급해지는 분들도 계신거같아요
@joon3198 9
2023년 2월 11일 22:32이광수 위원은 미래에셋 다른 분들과는 달리 명철한 분석을 하십니다. 늘 관심있게 봅니다.^~^
@햇살-j2j 9
2023년 2월 11일 19:271주택인데 세를주고
시골에서 전세삽니다
임차인이 1년뒤에 나갈예정인데
거래실종이예요
큰일입니다 방법좀없나요
@ssaktoong 8
2023년 2월 11일 21:01매수자 매도자 양쪽모두 지금 거래하면 손해란 생각인데 거래가 이뤄질수 없지
@m1v5t 7
2023년 2월 13일 16:01전문가는 아무나 될수없지요~
정확한 팩트만 설명해주시는 여러전문가님
들 잘숙지하고 새겨듣겠습니다!
troy song 7
2023년 2월 11일 16:38소득이 따라 줘야 .. 뭔 ...... 사던가 말던가 할 텐데.. 현정부를 보고 그 이야기를 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꾸주니 7
2023년 2월 11일 16:02벼락거지의 아버지인 분이다 이분
@뽀설-z7q 7
2023년 2월 12일 12:23이광수 위원님 언제나 응원합니다
@hsc362 7
2023년 2월 12일 00:53특히 노태우시절 200만호 공약때 지어진 전국의 수많은 아파트가 큰 문제입니다.
이 아파트들은 현재 재건축을 전제로 가격이 형성되어 있거든요. 즉 재건축을 해야만 현재의 가격이 정당화 됩니다.
지어진지 30여년 정도 되는데 그 많은 아파트가 10년 내에 재건축을 추진 한다면 재건축 기간을 포함하면 준공시 까지 20년 후가 되겠네요. 물론 사업성 때문에 일부단지를 제외하고는 재건축이 어렵다고 봅니다.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부산 최상급 지역의 삼익비치라는 단지가 있는데 재건축이 확정되어 추진 중인데 조합원 분담금이 84기준 7억원이나 예정되어 있어 사업이 제대로 될지 불투명합니다.
지금 까지의 재건축은 저층에서 고층으로 짓는거라 사업성이 있었지만, 고층에서 고층으로 재건축은 가격이 계속 상승해야 하며 또한 늘어나는 물량을 받쳐주는 수요가 있어야 하든지 조합원이 분담금을 많이 내야하는데 잘 될까요?
아파트가 40년 이상되면 많이 불편합니다. 여유가 되는 사람들은 새아파트로 빠져 나갈려고 할겁니다. 그러면 가격은 지금 빠지는 속도에서 가속이 더 붙을거 같은데요.
@박상홍-f2y 6
2023년 2월 11일 21:32하락에 매수해서 예전 고점 기대말고 사람이 사는 집으로 오래 오래들 사세용~~~~~~~~
JH P 6
2023년 2월 11일 16:15홍콩배우 조문탁 닮으신 광수위원님 잘보고 있습니다.
@freeman4823 6
2023년 2월 11일 21:54단순한 투자법이 하기는 쉽지만...그래도 기본인 수급과 경기 금리는 참조해요죠..
@snapX-u2m 6
2023년 2월 11일 18:34삼대장 위에 찐대장 한문도~~~
@김석현-l6o 5
2023년 2월 11일 21:48한국 경제 경기와 환율 ,,금리를 빨리 안올리면 환율에 문제가 생기고 무역적자는 더 커집니다. 특히 건설사들이 부도나기 시작하면서 채권시장이 불안해 지고 있습니다. 이미 중소기업 폐업지원금이 1조를 넘어 섰죠. 국가경제가 안좋은데 물건가가 올라 갈 수가 있을까요? 채권시장이 불안해 지면 외화 빠져나가죠. 앞으로 아파트 공급은 줄지 않죠 인구는 줄죠. 국가정책 실패로 국짐 당이 여당일 때 빈부격차는 더 벌어졌습니다. 즉 집을 살 수 있는 인구 수는 더 줄죠. 물가는 더 오르고 금리도 오르고 경기는 바닥을 치는데 무슨 아파트가격이 오른다고 부동산 설계사 분들이 말씀하는지..참 얼척이 없습니다. 저는 2년안에 국가 모라토리움 선언할 가능성 할 수고 있다고 봅니다. 뱅크런..!!!!
최호식 5
2023년 2월 11일 17:48이 사람 점쟁인가?
인구감소로 집이 남아도는데 뭔 개소리? ㅋㅋㅋ
@허우용-b7b 5
2023년 2월 12일 18:28집값은 2024년말까지. 아파트값은. 계속 떨어집니다
두고보세요
미분양 어마합니다
구운감자 4
2023년 2월 11일 17:16전 일본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 될꺼 같아여. 미래ㅇ를 누가 알겠어여. 투자하련는 사람들이 시장에 들어온신다고 보시는데 한국은 전세제도 땜에 갭투기 하는 곳인데 미분양도 많은 나란데 누가 투자하러 온다고 보시는 건지. . 제 뇌피셜 입니다.
@mszink2953 4
2023년 2월 13일 14:4420 30 이 다시 매수에 나설때가 바닥이 끝난게 아닐까 어차피 지금 데어서 영끌도 힘들다는것을 인식해서 구매가 더 안되지 않을까나
@chomiart1359 4
2023년 2월 11일 18:04하락과 반등외 중간은 없습니까
하락후 몇 년동안 침체로 이어질 거라 모든 전문가들이 그러던데 두고봅시다
kyeongjin 3
2023년 2월 11일 17:44무주택자가 내칩 마련을 하고 싶을때 할 수 있으면 진작에 집샀다.
@연산동길가메쉬 3
2023년 2월 12일 20:01광수행님 시랑해요 ~~~ ㅋ
@teriuslee2994 3
2023년 2월 11일 21:21지금 최고가 대비 20프로 안빠진 서울아파트가 있다구요?
@이경휘-c5d 3
2023년 2월 11일 22:10집을 사두면 언젠가 전고점을 돌파한다는 말이 사실일까요?? 정말 궁금합니다.
@jeongpeter9885 3
2023년 2월 11일 19:49은행만 돈벌게 해주는 돈 빌려서 집못사고 못짓게 해야지
김승전 2
2023년 2월 11일 17:11대부분 2년을 사라야 하니까 3~4년이 아닐런지 요 개인적 생각 ㅎㅎ
@앞으로도잘부탁해-n9y 2
2023년 2월 12일 13:04거래량 증가는 어느 정도 기간 동안 유지돼야 시그널로 볼 수 있는 걸까요?
@greenspring1623 2
2023년 2월 12일 10:56미국 금리가 낮아지지 않는이상 절대로 부동산은 건드리면 안될듯
@HwangKwangHui 2
2023년 2월 21일 03:29정말 정확하게 보시고 설명해주셔서 속이 다 시원합니다
하지만 회복부분에서는 간과하신게 있으신데
불패부동산투자 신화가 트라우마를 만들어 반등이 힘차지 않을것이며
인구감소로 갈수록 부동산의 투자가치가 떨어질것이고
집을 사야하는 소비자인 젊은세대들 마인드는 집에 인생을 걸지도 않고
대부분의 투자자본을 가지고 움직이는 상위5%투자자들은 투자금을 다른곳으로 전환으로 움직이기에
회복도 생각보다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고 잠시회복후 투자거래는 천천히 줄어들어들임
엑시트 2
2023년 2월 11일 17:30요새 썸네일에 많이 보이는 '이때'타령..
난다긴다 하는 연봉 조단위 펀드매니저들도 그런 예측은 틀림ㅋ
부동산전문가라는 사람들도 언론에나온 코로나이후 전망? 다틀렸음 그걸 논리적 근거를 대면서 맞춘다는거 자체가 불가능의 영역이란소리 뭐 열번찍어 한번 맞추기야 할수있겠지만 ㅋ
@baksehyeon 2
2023년 2월 14일 12:39회복이 빠르려면 경제 상황이 좋아야하는데 향후 몇년간 그럴 가능성이 있음?
슬슬 막차 태우려고 노력할텐데 조심해야할 시점임
못판 물건 넘길려고 투기꾼들 아우성임
@K낭만-h9y 1
2023년 3월 05일 18:45김기원 대표가 가장 정확했어요
@hijeon1727 1
2023년 2월 11일 19:17안 비싸게, 적당하게 오른 아파트가 어디요 ?
閤무위자연 1
2023년 2월 11일 17:48돈은 주택으로 모인다. 부자들은 항상 돈을 번다. 서민들 집 살 기회는 지금이다.
Nile Nike 1
2023년 2월 11일 18:36상승요인 감안하더라도 미친듯이 오른 것은 다 아는 사실이고.. 미친듯이 올랐으면.. 미친듯이 내려야 맞지요.. 그런데 벌써 매수타이밍 운운 하는 것 너무 이율배반적 아닙니까? 지난 4-5년 오르기만
했던 집값이었다면.. 최소한 2-3년이라도 내리면서 조정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 상식일텐데.. 대체 왜들 그러죠? 불과 6개월도 채 되지 않은 하락국면을 두고 지금 부동산 관련으로 허구한날...
오르라고 부채질인지.. 더 내려야 한다고 부채질인지.. 갸우뚱하네요..
@leejulia8953 1
2023년 2월 25일 11:58정확한정보감사합니다
ya na 1
2023년 2월 11일 18:03훌륭한 말씀 입니다 . 이런 분들 때문에 은행원 들이 몇억씩 연봉 받는 것입니다. 영끌님들 다시 again
고고씽 1
2023년 2월 11일 17:41증권사 애널리스트는 부동산 전망좀 하지맙시다 주구장창 폭락만 왜치더니
mysterius 1
2023년 2월 11일 18:15이광수, 이전엔 집값 큰폭 하락한다고 뻥뻥 거리더니 약한모습 보이네.. 어중간하게 걸치게 얘기하고 오래 해먹을 생각이구만..
황의창 1
2023년 2월 11일 17:562월 거래량이 2천건은 거뜬히 넘을 분위기인데, 이분은 현장하고는 거리가 멀고 사무실에서 숫자만 보시는 느낌...
@써니-l9m
2023년 2월 18일 19:30당면한문제는 고금리지만~공급과 수요를비교하면 답은 나오지요
행복
2023년 2월 11일 17:38쉿
metaa
2023년 2월 11일 18:472015~2016년 가격으로 떨어질 겁니다. 이번에 유튜브 덕분에 빚거지 노예들 많이 생겨서 앞으로 인구감소에 수요도 없어요~
fisher lee
2023년 2월 11일 17:17몇년만에 드디어 맞추셨네요 축하합니다
JSB
2023년 2월 11일 17:17추가로 거래량은 아파트실거래가 앱에서 찾을수 있습니다
제 지역은 거의 뭐 역대 최저네요
@kykim-v5i
2023년 2월 15일 20:21가격이떨어지고 거래량이 회복하면
@땡땡이-l7p
2023년 3월 02일 20:10죄송하지만 저도 집으로 득을 봤지만 지금은 계속 조금씩 내려가고 오름세는 힘들어요.
@yungoankim6153
2023년 2월 26일 14:19그 수준에서 폭락이 멈추지 않을 겁니다.
떨어지는 곳은 떨어지고 오르는 쪽은 오를 겁니다.
아햏햏
2023년 2월 11일 19:02여기 부천인데, 아파트 값 다시 올라가고 있습니다. 서울이랑 인천, 김포는 하락 한다는데 왜 여기는 오르는 거여ㅠㅜ
@욤뇸뇸-u7z
2023년 2월 16일 18:08지금 문제 인구 감소 <<이거무시할정도냐? 이거 큰변수임
몰챙이
2023년 2월 11일 18:45난 하락을 4년전에 예상하고 강남권 신규아파트 당첨도 의미 없다고 생각하고 청약저축을 그 때 해약했다
무리해서 운이좋아? 담첨되서 계약금과 중도금 치렀다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