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으로 경제 돌아가는거 보면 지금은 아주 차가운 겨울이 오기 직전이지. 겨울에는 모아놓은거 저축하고 대비해야 하는 시기지. 나가서 농사지어야 할 시기가 아니라는거지. 그런데 몇몇 존문가들은 돈벌어야 할 시기라고 광팔고 있지. 물론 모두가 돈을 잃어버리는 시기에도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 그런데 그런 비율이 얼마나 될까? 로또하고 별다를게 없지. 우리같은 일반인들은 지금 이시기에 주식, 부동산, 코인같은 투자한다고 나서고 설칠시기 아니다. 조용히 힘을 모으고 가지고 있는걸 잘 지키는게 살아남는 시기다.
환율이 오늘장중 1300원을 찍었습니다. 상승힘이 보통이 아닙니다. 아무도 환율에 대해 얘기하시는 분들이 없어요. 10일만에 1200원대에서 1300원 왔어요. 외국인 수급도 갈수록 약해지고 있구요. 금리때문이라도 외국인 수급은 더 줄어들것으로 예상되요ㅠ.ㅠ 너무 유튜브로 우루루 몰려서 주식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아서 아쉽습니다. 자기만의 기준을 꼭 만들길 바랍니다.
오른다 내린다 예측은 아무의미 없습니다. 그냥 벌수있을때 벌어야되요. 지금 상승은 가짜니까 폭락하면 사야지 하면서 기다리는 성향의 사람은 어짜피 내려가도 무서워서 못사구요 어쩌다가 사더라도 쪼금만 흔들면 바로 매도해버리고 기회를 놓칩니다. 가짜 상승이건 진짜 상승이건 한푼이라도 벌수있을때 버는게 맞는듯 합니다.
최소장님의 식견 잘 듣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은, 우리의 가계부채는 문제될 게 없으나 부동산버블이 문제라고 하셨는데, 가계부채의 대부분이 부동산 담보대출, 전세대출, 전세보증금 반환 채무 등인 것을 감안한다면 부동산 문제의 상당비중이 곧 가계부채 문제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가계부채의 질이 어떠냐의 문제로 봐야지 가계부채가 높은 나라들이 문제가 없다는 식의 말은 좀 어폐가 있네요 ㅡ 예를 들면 스웨덴이나 이런 국가들은 가계부채가 그렇게 높아도 잘사는 이유는 그들의 노후가 국가에 의해 거의 완벽히 보장되고 있기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퇴직만 해도 나락으로 빠집니다 생계형 악성 대출이 많다는 얘기죠
대한민국 올해 말 내년 초 중 후반까지 한강에 시신들 둥둥 떠 다닐겁니다. 벼락거지들 넘쳐나고 우리나라 내년에는 제 2의 IMF 경제위기까지 옵니다. 윤씨정부는 경제에 경자도 모르죠 그래서 미국의 금리인상에 묵묵부답으로 대응하다 외환보유고 바닥날거구요 무엇보다 세계경제 둔화로 수출중심인 우리경제는 가장 큰 타격을 입게되는 건 당연한거구요 우리나라 미래가 점점더 암흑으로 치닫네요.. 부동산 버블붕괴 이건 피할 수 없고 가계부채 2,300조 이것역시 터지는 건 확정 되었다 봅니다.
가계대출 액수가 중요한개 아니라 gdp대비 비율이 중요하며 대출이 증가할수록 경제성장률이 높아지고 경제가 선순환이 됩니다. 대출이 관리가능한 수준으로 증가할수록 항상 경제는 선순환으로 나라가 성장하죠. Imf이후 은행들 bis자기자본대비 대출비율을 획일적으로 맞추다보니 경제성장률이 심각하게 후퇴했고 지금까지 그렇죠. 현대자본주의 세계에서 신용 즉 대출은 승수효과를 일으켜 경제를 성장시키지만 범위를 벗어나거나 국내,외적인 무수한 변동 요인에 기민하게 대응 못하는 상황에서(항상 date는 후행성이라) 예측불가능한 긴급상황에서는 역으로 신용파괴 현상이 승수로 작용하여 위기를 일으킵니다. 미국 노벨상경제학상 받은 사람 교수도 미국에 코로나 재난 지원금 많이 지원해도 물가상승 없다고 개소리 했다가 자기가 틀렸다고 시인했죠.
뭔 말씀인지 외국자본 들어오기 위해서는 금리 올리리 하고 부동산 하락이 걱정된다. 모순만 강조하시네~~~ 가계 부채 상승은 걱정이 안된다. 아~~ 참 적당한 부채는 도움이 되나 우리나라는 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높아서 작은 경제 충격에도 박살납니다. Imf겪어도 저런 말씀을...
@sunghoonjung9570 115
2023년 2월 17일 18:50국제적으로 경제 돌아가는거 보면 지금은 아주 차가운 겨울이 오기 직전이지. 겨울에는 모아놓은거 저축하고 대비해야 하는 시기지. 나가서 농사지어야 할 시기가 아니라는거지. 그런데 몇몇 존문가들은 돈벌어야 할 시기라고 광팔고 있지. 물론 모두가 돈을 잃어버리는 시기에도 돈을 버는 사람들이 있기는 하지. 그런데 그런 비율이 얼마나 될까? 로또하고 별다를게 없지. 우리같은 일반인들은 지금 이시기에 주식, 부동산, 코인같은 투자한다고 나서고 설칠시기 아니다. 조용히 힘을 모으고 가지고 있는걸 잘 지키는게 살아남는 시기다.
@이경출-q1d 88
2023년 2월 17일 18:29경데위기가 한번은 터져야 정상으로 돌아옵니다.
@김순포-n3g 83
2023년 2월 17일 19:31나라가 거품을 만드는 나라 희망없습니다.
@대기만성호야 77
2023년 2월 17일 17:54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
교수님의 말씀에 적극 공감합니다
신용 파괴원리는 부동산발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서울수비 75
2023년 2월 17일 20:43와... 정말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다음번에도 나오셔서 현 세계경제 한국경제에 대해서 진단하는 시간을 또 가졌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토토아빠 64
2023년 2월 17일 18:29이 분 유명하신 분 이예요. 말씀 허투리 듣지 마시고 참고하세요 2008년 금융위기 예측 기억나네요
@인생이란-f2z 53
2023년 2월 17일 18:59저는 들으면서 타당한 말씀이라 생각이 들면서 다른 분들이 지적한 가계대출에 대해서 규제하지 말라는 말씀에 왜 규제하지 말라고 하는지가 이해가 안가네요. 부동산 버블이 계속 생기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백운-k7w 48
2023년 2월 17일 18:28일하지 않고 놀고먹는 도둑넘들이 너무 많아요 일하지 않는자는 먹지도 말라 . .
@전현무무상회-j2v 43
2023년 2월 17일 19:32미국보다는 중국쪽에서 먼저 위기가 올 겁니다.
지금 현지에서 느끼는 중국기업들 상태가 심각합니다.
@이방인-l6b 35
2023년 2월 17일 19:07미국 긍융위기 예측하신 내용은 정말 흥미롭네요 아마 하반기 되면 알수있겠죠 좋은 강의 잘들었습니다
최고갑부 33
2023년 2월 17일 19:18환율이 오늘장중 1300원을 찍었습니다. 상승힘이 보통이 아닙니다. 아무도 환율에 대해 얘기하시는 분들이 없어요. 10일만에 1200원대에서 1300원 왔어요. 외국인 수급도 갈수록 약해지고 있구요. 금리때문이라도 외국인 수급은 더 줄어들것으로 예상되요ㅠ.ㅠ
너무 유튜브로 우루루 몰려서 주식하시는 분들이 많은거 같아서 아쉽습니다. 자기만의 기준을 꼭 만들길 바랍니다.
@parkbm23 31
2023년 2월 18일 08:25정외과 학사 출신이 경제학을 독학으로 저 정도 경지라니? 대단하다.
@jooheokyim132 29
2023년 2월 17일 19:18기준금리를 미국보다 1% 이상 높게 가는게 맞는 처방이라면 부동산은 둘째치고 기업들이 못버티지 않을까요? 지금 대기업 회사채도 소화가 안되는 마당에 한국 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들 자금줄 막히고 줄도산 나면 환율이 무슨 소용일지...
@현상계박 27
2023년 2월 17일 18:50수십억? 수십조? 가 부동산과 주식에서 뻥튀기 되었고 시장경제에서 돌고돌아야할 돈이 부동산과 주식에 갇혀있으니..
그 한계치에 도달하면 빵~~
대공황..
@yuyu-sy1ut 22
2023년 2월 17일 19:23힘든 시기를 견뎌야
줍줍 하지요 얼른 왔으면 합니다
@myrtletreechae6498 19
2023년 2월 17일 18:33노년의 경제학자말씀 잘 새겨듣겠습니다.
유비무환이라....
@피톤치드-h4u 18
2023년 2월 17일 18:04고맙습니다~~
@villiv7878 18
2023년 2월 17일 20:11오른다 내린다 예측은 아무의미 없습니다. 그냥 벌수있을때 벌어야되요. 지금 상승은 가짜니까 폭락하면 사야지 하면서 기다리는 성향의 사람은 어짜피 내려가도 무서워서 못사구요 어쩌다가 사더라도 쪼금만 흔들면 바로 매도해버리고 기회를 놓칩니다. 가짜 상승이건 진짜 상승이건 한푼이라도 벌수있을때 버는게 맞는듯 합니다.
@JWLEE-v5n 18
2023년 2월 19일 18:22최소장님의 식견 잘 듣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은, 우리의 가계부채는 문제될 게 없으나 부동산버블이 문제라고 하셨는데, 가계부채의 대부분이 부동산 담보대출, 전세대출, 전세보증금 반환 채무 등인 것을 감안한다면 부동산 문제의 상당비중이 곧 가계부채 문제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hooni0316 17
2023년 2월 18일 01:42통찰력이
대단하다는 말밖에.
@lucky_tv 17
2023년 2월 17일 17:49📌 최용식 소장님의 또다른 단독 출연 영상
👉 https://youtu.be/foIgsu3QxKU
🌟 『최용식 소장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ytB8feuvhcg
👉 2부. https://youtu.be/B3rWtl0-inE
👉 3부. https://youtu.be/WcoX9MzhdAg
@ray73kim 16
2023년 2월 17일 19:23금리를 여기서 더 올리면 부동산 담보대출과 전세대출 모두 부실화되면서 가계대출에 문제가 발생하면서 금융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외환위기보다 기업부채, 가계부채에서 금융위기가 온다.
박후하야 16
2023년 2월 17일 19:15엄청난 표현이다 대비하기위해 댐을건설했다 그런데 그 댐위로 뮬이 넘치고 있다
@minp3386 15
2023년 2월 17일 19:41가계부채의 질이 어떠냐의 문제로 봐야지 가계부채가 높은 나라들이 문제가 없다는 식의 말은 좀 어폐가 있네요 ㅡ 예를 들면 스웨덴이나 이런 국가들은 가계부채가 그렇게 높아도 잘사는 이유는 그들의 노후가 국가에 의해 거의 완벽히 보장되고 있기에 그렇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퇴직만 해도 나락으로 빠집니다 생계형 악성 대출이 많다는 얘기죠
@이정훈-j1l 14
2023년 2월 17일 18:00외환위기 에 대한 대응책 마련 어떻게 해야 하지요
terry ko 13
2023년 2월 17일 18:18미래를 알수 있다면 세계에서 가장 부자일겁니다. 위기가 오는게 맞다면 선물 풋 에 전재산 다 때려 박으면 떼부자가 될겁니다. 전문가들 의견은 항상 빗나갔습니다
@Koreansweet-kq1gk 13
2023년 2월 17일 20:41영상말미에 가계부채 걱정하지 말라는 말씀이 이해가 잘 안되네요.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같아요~
@김윤숙-n6i 12
2023년 2월 19일 22:22이 분 대단한 경제 전문가 이신것 같아요!
@이한수-c4e 11
2023년 2월 20일 07:01최 박사님이 진짜 경제학자 입니다. 그저 남 흉내나 내는 경제학자는 이 분께 배워야 할 것입니다. 정부에서도 이런 분을 나이에 불구하고 자문 위원으로 위촉하고 귀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경이로운사람-t5r 9
2023년 2월 18일 03:26경제위기 터질수밖에 없다, 지금부터 진짜 조심하세요 (최용식 소장)
@AMDrocks 8
2023년 2월 18일 23:14청년층에게 노력으로는 꿈을 달성할 수 없는 현시대에 광기 어린 투기로 더더욱 곪아터지니...
김윤기 8
2023년 2월 17일 19:22고금리다 당연하다 조심해라 지금 주식반등은 다 가짜다
@킴라파엘-m4o 7
2023년 2월 17일 19:57음.. 노 전대통령 시대때 가계대출 억제로 야기된 문제의 상황과 현 시점에서 그리고 언급하신 한국의 금리가 미국보다 1%높아야 한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네요.
이항복 7
2023년 2월 17일 18:48큰 일 입니다....
@massam6259 6
2023년 2월 18일 18:08모든 전문가들이 이구동성으로 힘들더라도 금리를 올려야 살 길이라고 하는데, 정부는 도대체 어쩌려고 금리를 내리라고 은행을 압박하는지... 고물가에 당장 살기도 어려운데..
썩어가는 발 한쪽을 잘라야, 고통스럽더라도 목숨을 건질 길인데 참으로 걱정이네.
도미솔 6
2023년 2월 17일 20:02주식하는 사람으로써 다 아시겠지만 거의 1년간 미국주식으로 죽을 맛을 보고 있다가 이제좀 꿈틀대기 시작 했는데 대체 무슨 말씀인쥐
@이종욱-r6e 6
2023년 2월 19일 12:27가게 부채 부분은 저와는 관점이 다르네요.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어는정도 까지는 레버리지 효과로 경기 활성화에 도움도 되고 이자 상환도 원활하지만 어느 이상되면 부러질거라 생각합니다.지금은 어느 이상되기 바로 직전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mk 0 5
2023년 2월 17일 21:33대한민국 올해 말 내년 초 중 후반까지 한강에 시신들 둥둥 떠 다닐겁니다.
벼락거지들 넘쳐나고 우리나라 내년에는 제 2의 IMF 경제위기까지 옵니다.
윤씨정부는 경제에 경자도 모르죠
그래서 미국의 금리인상에 묵묵부답으로 대응하다 외환보유고 바닥날거구요
무엇보다 세계경제 둔화로 수출중심인 우리경제는 가장 큰 타격을 입게되는 건 당연한거구요
우리나라 미래가 점점더 암흑으로 치닫네요..
부동산 버블붕괴
이건 피할 수 없고 가계부채 2,300조 이것역시 터지는 건 확정 되었다 봅니다.
@k화랑 5
2023년 2월 17일 20:32그럼 현금을 쥐고 있는 건 어떨까요?
@멀다고하믄안되가꾸나 4
2023년 2월 19일 04:31대단한식견이십니다.
박경남 4
2023년 2월 17일 20:05집값 내린것도아님.
나홀로 7천분양받아 20년살고도 2억9천되었으니 뭐가 내린건가....
기절할 노릇....
tony yoonkr 4
2023년 2월 17일 19:142단계 카오스 이론: 지금은 카오스 2단계 시대이다. 카오스2단계는 스스로에 대한 예측에 반응하는 카오스다. 그러므로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다. 시장이 그런 예다. 그로므로 예측된 파국이나 파멸은 발생하지 않는다.
@P덩쿨홈 4
2023년 2월 18일 01:51가계대출을 억제했더니 가계부채가 터졌다고??? 뭔말임?
@최현숙-x5u 3
2023년 2월 18일 00:52소장님 말씀들으니 까 정말 걱정입니다ᆢ
@정장호-e8j 3
2023년 2월 21일 18:56선생님 말씀에 국민에 위익한 말씀에 감사합니다
@happys0770 3
2023년 2월 21일 21:48최용식소장님은
확실히 해박하게 경제를 잘 아니까
쉽게 설명함
옛날부터 10여년보다 훨씬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환율전쟁 책도 냈었음
현상계박 3
2023년 2월 17일 18:52그 논리가 정답이 아니라는..
@BetterCreator954 3
2023년 2월 18일 13:00전반적으로 모두 동의하나 영상 막바지에 가계대출 부분은 동의가 안되네요.
상식적으로 가계가 대출을 늘려서 집값을 올려놓았기 때문에 단기간에 2~3배 뛴거 다 알고 있습니다.
22년 12월 한국은행 금융안정보고서에서도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166%로 나옵니다.
인도가 트리거가 될거라고 하셨지만, 우리나라가 트리거가 되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부동산 거품이 꺼지는 지금 상황에서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간절히 바랍니다.
아직도 부동산 오른다고 부채질하는 언론사들은 돈의 노예가 되버렸으니 말을 하고 싶지 않네요
@yongsukmccarthy8571 2
2023년 2월 21일 03:21최 용식 소장님 너무 감사합니다!
@seedseed7801 2
2023년 2월 18일 17:03주식 다 팔고 금 사야하나요?
@David48279. 2
2023년 2월 20일 07:32남들이 예측하는 위기는 위기가아니라는..
@박상현-t5n1l 2
2023년 2월 19일 13:56가계든 기업이든 국가이든 수입과 지출의
적정한 배분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가계 부채 90%~150%도 이상 없다고 하시는데
한국은행이 금리를 더 못 올리는게 부동산과
가계부채 때문아닌가요??
환율, 외화유출을 막으려면 금리를 올려야하는데
부동산과 가계부채로 올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
@asidan 2
2023년 2월 17일 19:12계란풍선이 떠올려지네요
한쪽을 누르면 다른쪽이 부풀어 오른다
윤승일 2
2023년 2월 17일 21:01흐흥 그러시군 난 꿈으로 보여줫는대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대부분 망한다라고 햇는대
어떤 심각한일들이 이러나기전에 가끔 자주 꿈으로 현실적인것처럼보는대
상황을보고 내용을 일거낼수있고
이분은 가진 지해지식을 응용해서 상황을 일거내시는구나
개빡마 2
2023년 2월 17일 19:15터지는 것처럼 보이는 건가 터지려는 전조증상인가....알수가 없다 그냥 에센피나 매달 사자
@TV-uq6xs 2
2023년 3월 15일 23:58좋은 말씀 너무 감사드립니다 우리 나라 위기는 진심 잘 타개 해야 합니다 영상 잘보았습니다
David Kim 1
2023년 2월 17일 19:24높은 이익을 줄 수 있는 투자처를 많이 만들어야 국제금융이 국내로 들어올수 있습니다. 금리 몇 %는 그렇게 큰 이유가 되지 못합니다. 기준 금리 올리면 자산가치가 줄어들어 투자자들이 떠나게 됩니다.
@유재기-o1e 1
2023년 2월 23일 01:01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이영주-y6b 1
2023년 2월 22일 15:15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감당할 수 없는 가계 대출, 부실 가계 대출이 많은데 가계 대출이 문제가 안 된다니? 전세 보증금 대출도 엄청나지요.
@libertyms 1
2023년 2월 28일 10:55여러가지 조각들이 맞춰지는 것같네요..
@dhsong99 1
2023년 2월 20일 15:12파국은 결국 모두가 그것이 올것을 예상하면서도, 아무도 나서서 행동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죠. 이걸 피할 수 있을까요 ?
박경남 1
2023년 2월 17일 19:58중국은 알수도 믿을수도 없겠죠. 사회주의정치 아니겠어요.
최은경 1
2023년 2월 17일 19:11♥♥♥
@박형구-k6s 1
2023년 2월 19일 14:07가계대출 액수가 중요한개 아니라 gdp대비 비율이 중요하며 대출이 증가할수록 경제성장률이 높아지고 경제가 선순환이 됩니다. 대출이 관리가능한 수준으로 증가할수록 항상 경제는 선순환으로 나라가 성장하죠. Imf이후 은행들 bis자기자본대비 대출비율을 획일적으로 맞추다보니 경제성장률이 심각하게 후퇴했고 지금까지 그렇죠. 현대자본주의 세계에서 신용 즉 대출은 승수효과를 일으켜 경제를 성장시키지만 범위를 벗어나거나 국내,외적인 무수한 변동 요인에 기민하게 대응 못하는 상황에서(항상 date는 후행성이라) 예측불가능한 긴급상황에서는 역으로 신용파괴 현상이 승수로 작용하여 위기를 일으킵니다. 미국 노벨상경제학상 받은 사람 교수도 미국에 코로나 재난 지원금 많이 지원해도 물가상승 없다고 개소리 했다가 자기가 틀렸다고 시인했죠.
김성수
2023년 2월 17일 21:02근데 우리가 금리를 올리면 가계대출 때문에 더 문제가 심각해질수 있다고 보는데요
Kooking
2023년 2월 17일 20:02며칠전에도 올리더니ㅋㅋ
kh k
2023년 2월 17일 21:53뭔 말씀인지 외국자본 들어오기 위해서는 금리 올리리 하고 부동산 하락이 걱정된다. 모순만 강조하시네~~~ 가계 부채 상승은 걱정이 안된다. 아~~ 참 적당한 부채는 도움이 되나 우리나라는 타 선진국에 비해 많이 높아서 작은 경제 충격에도 박살납니다. Imf겪어도 저런 말씀을...
모군
2023년 2월 17일 20:56미국은 지금 잘나가잖아요 ? 뭐지
이종도
2023년 2월 17일 21:34미국이 아니라 다른 나라들이 금융위기에 빠지겠지. 왜 미국이야?
박물관
2023년 2월 17일 22:50한국은 경제가 풍전등화인데,
국회의원들은 국민의 눈과 귀를 가리고 당권싸움만 하고있으니ㅉㅉ
Graham Ben
2023년 2월 17일 22:21ㅋㅋㅋㅋㅋ 대한민국 주식시장은 거품이 없다. ㅋㅋㅋㅋㅋㅋㅋ 이 웃픈 현실
troy song
2023년 2월 17일 20:59미국은 경기 침체 안 올 거 같은데..??? 이미 많이 틀린듯..
나나
2023년 2월 17일 22:27예전과 달리 개인소득이 줄어드는 깃 그리고 인구가 감소하는 것을 간과한 말씀~~~~ 개인가계 부채를 감당할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게 현실 아닌가요????
@작은구름-q8c
2023년 2월 20일 21:14소장님 책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씨모네
2023년 2월 17일 22:40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면 안망하는 자는 누구인가…유럽과 일본은 안정적이고…한국은 언제나 애매모호…
찐과학
2023년 2월 17일 22:03현직 대통령 경제부 장관 이 영상 꼭 봐라
정담
2023년 2월 17일 21:05기업과 서민들이 높은 대출이자를 감당할수 있나요 ?????
@chongseonpark120
2023년 2월 25일 21:15과연 그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