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화 : 대칭을 다른말로 보존이라 할수있다. 하나의 대칭이 있으면 하나의 보존되는 양이 있다는것, (에너지, 질량 등의 보존의 법칙 처럼.) 공부가 어려우면 신경이 많이 쓰이고 기피하다가 혐오반응이 온다. 그러니 반드시 공부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최대한 편안하게 만들어줘야 지속적 학습이 가능함. 또한 브레인의 부담을 덜어주기(기억 용량의 최적화). 곡선은 피하고 사각형으로 만들어라. 이러하여 정보의 인과관계가 쉽게 드러나도록 한다. (사각형은 대칭이 가능하나 원이나 곡선은 안됨.)
•모듈화: 지식을 모듈로 만들라. 지식의 정리가 잘되고 고차원 지식으로 갈수있다 (벽돌이라는 모듈로 빌딩을 쌓듯이. 즉 고도의 지식을 가능케 한다.) 지식 모듈화 간단한 예로 들자면 레고 블럭처럼 규격화, 뜨개질 마지막에 매듭지어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것, 물을 틀이나 병에 붓지 않고 그냥 바닥에 막 부으면 흩어져 버리지만 병에 부어 놓으면 잘 활용을 할수있는것. 이렇듯 지식을 모듈화 하지 않으면 애써 공부했는데 옷의 올이 풀어지듯이 지식이 후루룩 풀려 버릴 수있다. 밑이 빠진 독이 된다는 말. 그런즉, 모듈화를 잘하면 지식이 딱 정리가 되고 정리된 지식을 차곡히 쌓아서 고도의 지식 차원으로 진입도 가능케한다. 심지어 귀중한 지식은 심리적 의식을 할 정도( 예를 들면 귀한 강의를 들은 후에 이 지식을 보자기에 싸서 장롱에 보관하는 의식, 나중에 꺼내서 고대로 쓸수있도록함) 이마만큼 지식의 모듈화 중요하다.
•순서화 : 정보나 지식의 순서를 잘 따라 가다 보면 순서의 맥락 속에 관계된 인물, 사건 등 특징들이 그 속에 다 녹아 있으니 이해하기가 좋다. 순서화는 특히 역사학 같은 학문에서 파워풀하게 효과적임.
공부하는 방식은 사람들의 개성에 따라 천차만별 이며 교수님의 주장은 본인에 맞는 본인의 고유방식입니다. 사람의 능 력에 따라 사고의 방식과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공부방식을 공식화하기 보다는 어떻게 정확하게 사고하고 어떻게 집중 력을기르고 집중시간을 연장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대칭화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 개념으로 Abstraction 또는 추상화) - 인간의 두뇌는 형태가 없거나 불분명한것을 잘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식하기 쉽도록 추상화를 통해 간략화시키면,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 들면, 복잡한 개념일수도 있는 세포의 분열과 노화의 상호작용에 대해 공부한다고 할때, 세포의 분열을 정사각형 형태의 세포와 할아부지(노화)로 표현하면 좀 더 쉽게 접근할수 있지 않을까요? 실전에서는 다이어그램, Visualization등을 이용하면 좋겠네요.
모듈화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 개념으로도 Modularization) - 어떠한 정보를 습득할때 그 정보들의 경계와 관계가 모호하면 무의식속의 두뇌조차도 헷갈리기 때문에 사라져 버릴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또, 머리속으로 복습을 하고자 할때도 명확한 노선(?)이 없으니 어떤 부분은 잘 외어지고, 또 어떤부분은 쉽게 사라질수도 있을듯 싶네요. 예를 들면, 우리가 어렸을때 공부했던 구구단은 머리속에서 2x1=2부터, 9x9=81까지 줄줄히 복습이 가능할뿐 아니라, 실전에서 곱셉을 하려고 하면, 구구단만 생각하면 되죠. 마찬가지로, 말하는법을 공부하기로 했다고 치자구요. 인터넷 찾아보면, 말하는 법, 수도 없이 많죠. 지금 당장 뭔가 말하려고 하면, 말하는 법 생각나시나요? 그런데, 이걸, 태권도 품세외우듯, 설득을 위한 연설법, 감동을 주기위한 연설법, 설명을 위한 연설법, 웃기기 위한 연설법, 물건 팔기 위한 대화법등등으로 세분화 시킨후, 설득을 위한 연설법을 위한 다섯 단계. 딱 이런식으로 패키징을 해버리면, 아 내가 설득을 해야겠다 싶을때 다섯단계는 딱 기억이 될것 같아요. 게다가, 머리속으로 반복하기도 쉬워서, 기도문 외우듯, 잠자리전에 한번씩만 반복하다 보면 Chunking(처음에는 양도 많고 어려웠으나, 반복하다 보면, 1+1=2처럼, 이해할 필요도 생각할 필요도 없이, 첨에 생각했던 양에 비해 현저히 분량이 줄어드는 현상)도 쉽게 일어날수 있겠네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해를 하려고 몸부림치면 칠수록, 머리에 Load가 걸리고, 에너지를 많이 쓰고, 그러면 싫어지니, 공부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편안하게 만들어야 한다는건 Andrew Hubberman박사님의 Motivation강의와 맥락이 맞는듯 합니다.
총평은 좋은 말씀 감사드리고, 하지만, 인지과학등의 예가 살짝 갖다 붙히는 듯한 느낌이 없지 않았습니다. (바넘 효과) 본인의 경험보다는 좀 더 과학자에 의한 뇌"과학"에 기반한 말씀을 해주실수 있으셨으면 설득력이 더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내 삶은 곡선인데 현실은 반뜻반뜻 한 삶은 요구하는가? 인생은 정말 정답이 없네요 그래도 내 마음이 흔들딜때마다 박문호교수님 강의를 듣고나면 내 생각을 배꼽처럽 항문처럼 묶어 놓았죠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저가 공황장애를 벗어날수 있는 최고의 강의여 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대칭화 - 정보를 확 줄여야 하고, 정보 속 인과 관계를 확 드러나게 해줘야 한다. 왜? 학습 부담이 생기면 포기하고 도망가고 싶으므로(진화심리학적 피식자였던 본능)
모듈화 - 지식을 블럭화 하라. 블럭을 쌓고, 상대와 주고 받고, 조작해서 성을 쌓으려고.(성을 쌓다: 개념과 개념을 조합해서 더 큰 이론을 만들거나 더 큰 학문을 이해하거나 실생홯의 문제해결로 이해함) 만질 수 있고 조작 가능한, 인출도 가능한 블럭이어야 한다. 학습에 적용한다면 공부한 내용을 머릿속에서 검색도 하고 상대방과 교류도 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해야 한다. 개념 한줄 정리 노트, 워크북, 서브노트 정도가 될 수 있을듯
6:30 자연의 원리대로 사는 것이 정답이 아님 13:00 밑 빠진 독 19:50 심리적 부담, 공포를 최대한 줄이라는 것 20:40 정보를 줄이고 인과관계를 확 들어나게 끔. 모듈화의 핵심 : 지식을 쌓을 수 있음.(분자생물화 같은 지식의 고도화가 필요할 때 사용) 순서화의 핵심 : 맥락을 고려. (인문학, 역사학에 유용)
@septemberr2491 304
2023년 2월 27일 14:03효과적, 효율적 공부를 위해 3가지 기억하기 (대칭, 모듈, 순서)
•대칭화 : 대칭을 다른말로 보존이라 할수있다. 하나의 대칭이 있으면 하나의 보존되는 양이 있다는것, (에너지, 질량 등의 보존의 법칙 처럼.)
공부가 어려우면 신경이 많이 쓰이고 기피하다가 혐오반응이 온다. 그러니 반드시 공부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최대한 편안하게 만들어줘야 지속적 학습이 가능함. 또한 브레인의 부담을 덜어주기(기억 용량의 최적화).
곡선은 피하고 사각형으로 만들어라. 이러하여 정보의 인과관계가 쉽게 드러나도록 한다. (사각형은 대칭이 가능하나 원이나 곡선은 안됨.)
•모듈화: 지식을 모듈로 만들라. 지식의 정리가 잘되고 고차원 지식으로 갈수있다 (벽돌이라는 모듈로 빌딩을 쌓듯이. 즉 고도의 지식을 가능케 한다.)
지식 모듈화 간단한 예로 들자면 레고 블럭처럼 규격화, 뜨개질 마지막에 매듭지어서 올이 풀리지 않도록 하는것, 물을 틀이나 병에 붓지 않고 그냥 바닥에 막 부으면 흩어져 버리지만 병에 부어 놓으면 잘 활용을 할수있는것.
이렇듯 지식을 모듈화 하지 않으면 애써 공부했는데 옷의 올이 풀어지듯이 지식이 후루룩 풀려 버릴 수있다. 밑이 빠진 독이 된다는 말. 그런즉, 모듈화를 잘하면 지식이 딱 정리가 되고 정리된 지식을 차곡히 쌓아서 고도의 지식 차원으로 진입도 가능케한다. 심지어 귀중한 지식은 심리적 의식을 할 정도( 예를 들면 귀한 강의를 들은 후에 이 지식을 보자기에 싸서 장롱에 보관하는 의식, 나중에 꺼내서 고대로 쓸수있도록함)
이마만큼 지식의 모듈화 중요하다.
•순서화 : 정보나 지식의 순서를 잘 따라 가다 보면 순서의 맥락 속에 관계된 인물, 사건 등 특징들이 그 속에 다 녹아 있으니 이해하기가 좋다. 순서화는 특히 역사학 같은 학문에서 파워풀하게 효과적임.
:D
@jihyunlee6771 40
2023년 2월 23일 18:09대칭화 모듈화 순서화한다
기억용량을 줄여준다
심리적 부담을 줄여준다
정보양을 줄인다
정보속의 인과관계를 드러내주면 된다
모듈화 레고처럼 규격화시켜야한다
지식의 고도화시킨다
순서화
역사적인물순서대로 짚어가다보면 맥락속에서 인과관계가 보인다
어려워요
중요한 말씀을 하시는거 같은데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예를 조금더 피부에 와닿게 설명해주세요
@jinnypark9855 29
2023년 2월 24일 00:07우왕 스터디언에서 모실 줄 알았는데 드디어나오셨네요~~ 박문호박사님 학습에 관한 강의도 훌륭하시지만 건강에 대한 강의도 많은 도움을 받았는데 그 부분도 다뤄주셨으면 좋겠어요~
@부들h 28
2023년 2월 23일 17:55박문호 박사님~여기서 만나니까 너무 반갑네요^^;;
작년에 제일 큰 수확이 박사님 만난거거든요~
항상 수준 높은 과학 지식과 책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풍운아-z1z 26
2023년 2월 24일 09:10그래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studian365 26
2023년 2월 27일 16:35🚀박문호 박사 영상 보러가기
2부 https://youtu.be/Ek_CMWVd_0I
@dollar_snowball 25
2023년 2월 24일 10:04지식의 모듈화를 듣고 나니 왜 책을 읽고 나서, 글을 써야하는지 알겠네요!
머리속에 몽글몽글 떠도는 지식들이 글을 쓰려고 하니 재정렬되고 카테고리화 되는거죠. 뇌과학적 이론을 알게 됐네요😊
@user-u3e3kx5m6pg 24
2023년 3월 05일 19:38공부하는 방식은 사람들의 개성에 따라 천차만별 이며 교수님의 주장은 본인에 맞는 본인의 고유방식입니다. 사람의 능
력에 따라 사고의 방식과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공부방식을 공식화하기 보다는
어떻게 정확하게 사고하고 어떻게 집중
력을기르고 집중시간을 연장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켄신-m1s 24
2023년 2월 25일 12:17대칭은 일종의 균형같아서 대칭대는 것이 항상 존재한다는 것 같고, 모듈화는 일종의 플랫폼으로 규격화된 것을 말하는 것 같고, 순서는 순서대로 나열하다보면 그 속에 연결되는 숨은 맥락이 있다는 것같은데 이걸 이용해서 학습을 해라. 예시를 좀 들어주면 좋을 꺼 같음
@albertkiwi 21
2023년 2월 23일 22:56와. 박문호 박사님, 김영사에서 나온 뇌과학 공부도 제대로 못 읽었는데, 이 책부터 읽어야겠네요. 지금도 가끔씩 뇌 구조는 그려보고 있는데, 정말 스터디언이 최고인 것 같습니다.
@백영현-f7g 19
2023년 3월 03일 10:11맥락은 순서라는 말에 불교의 연기법이 생각나고 스님께서 하시던 말씀이 생각나네요 무슨 문제가 있거든 그것을 했던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고
@미르-v4c 17
2023년 2월 23일 17:54매듭짓기까지 하지 않은거다 거기까지 노력하면 나도 할 수 있다 는 생각이 들면서 동기부여가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비행기가 새처럼 나는게 아니다 인상 깊었어요 원리를 파악하고 상황에 맞게 비행기가 멀리 날아가듯 저도 멀리멀리 높이높이 갈래요
힘이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AICoderr 16
2023년 3월 08일 05:28박문호님의 의도와 같을지 않을지는 모르겠으나, 제가 이해한대로, 재 구성해보면, 순서화는 다 이해하시니 빼고,
대칭화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 개념으로 Abstraction 또는 추상화) - 인간의 두뇌는 형태가 없거나 불분명한것을 잘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인식하기 쉽도록 추상화를 통해 간략화시키면, 머리에 잘 들어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를 들면, 복잡한 개념일수도 있는 세포의 분열과 노화의 상호작용에 대해 공부한다고 할때, 세포의 분열을 정사각형 형태의 세포와 할아부지(노화)로 표현하면 좀 더 쉽게 접근할수 있지 않을까요? 실전에서는 다이어그램, Visualization등을 이용하면 좋겠네요.
모듈화 (또는 소프트웨어 공학 개념으로도 Modularization) - 어떠한 정보를 습득할때 그 정보들의 경계와 관계가 모호하면 무의식속의 두뇌조차도 헷갈리기 때문에 사라져 버릴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또, 머리속으로 복습을 하고자 할때도 명확한 노선(?)이 없으니 어떤 부분은 잘 외어지고, 또 어떤부분은 쉽게 사라질수도 있을듯 싶네요.
예를 들면, 우리가 어렸을때 공부했던 구구단은 머리속에서 2x1=2부터, 9x9=81까지 줄줄히 복습이 가능할뿐 아니라, 실전에서 곱셉을 하려고 하면, 구구단만 생각하면 되죠.
마찬가지로, 말하는법을 공부하기로 했다고 치자구요. 인터넷 찾아보면, 말하는 법, 수도 없이 많죠. 지금 당장 뭔가 말하려고 하면, 말하는 법 생각나시나요? 그런데, 이걸, 태권도 품세외우듯, 설득을 위한 연설법, 감동을 주기위한 연설법, 설명을 위한 연설법, 웃기기 위한 연설법, 물건 팔기 위한 대화법등등으로 세분화 시킨후, 설득을 위한 연설법을 위한 다섯 단계. 딱 이런식으로 패키징을 해버리면, 아 내가 설득을 해야겠다 싶을때 다섯단계는 딱 기억이 될것 같아요.
게다가, 머리속으로 반복하기도 쉬워서, 기도문 외우듯, 잠자리전에 한번씩만 반복하다 보면 Chunking(처음에는 양도 많고 어려웠으나, 반복하다 보면, 1+1=2처럼, 이해할 필요도 생각할 필요도 없이, 첨에 생각했던 양에 비해 현저히 분량이 줄어드는 현상)도 쉽게 일어날수 있겠네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해를 하려고 몸부림치면 칠수록, 머리에 Load가 걸리고, 에너지를 많이 쓰고, 그러면 싫어지니, 공부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편안하게 만들어야 한다는건 Andrew Hubberman박사님의 Motivation강의와 맥락이 맞는듯 합니다.
총평은 좋은 말씀 감사드리고, 하지만, 인지과학등의 예가 살짝 갖다 붙히는 듯한 느낌이 없지 않았습니다. (바넘 효과)
본인의 경험보다는 좀 더 과학자에 의한 뇌"과학"에 기반한 말씀을 해주실수 있으셨으면 설득력이 더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음식.수면.운동기억 14
2023년 2월 23일 17:19강의에 흠뻑 빠졌습니다.
스터디언에서 함께 들을수 있으니 얼마나 반가운지요~
역시 신박사님🙏
@corcovadodelphia6669 11
2023년 2월 23일 18:24대칭화 모듈화 순서화👍🏻
@sallychoi1662 10
2023년 2월 23일 17:05박문호 박사님, 좋은 강의 잘 듣습니다.
@석숙홍 10
2023년 3월 05일 19:16내 삶은 곡선인데 현실은 반뜻반뜻 한 삶은 요구하는가? 인생은 정말 정답이 없네요 그래도 내 마음이 흔들딜때마다 박문호교수님 강의를 듣고나면 내 생각을 배꼽처럽 항문처럼 묶어 놓았죠 교수님 항상 감사합니다 저가 공황장애를 벗어날수 있는 최고의 강의여 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럭키시니 9
2023년 3월 05일 19:50교육심리학에서 정보처리이론이 떠오르네요~ 아주중요한 강의 같습니다 뇌과학적으로 3가지로 정리되니 공부방식에 대해 더욱 명료해지네요 감사합니다
@jkim7613 8
2023년 3월 02일 00:00명강중의 명강이네!!!!
역시 우주의 원리를 꽤 뚫은 분의
공부법 !!!!! 스타디언 영상 중에 최고!!!
@LGH8584 8
2023년 2월 23일 16:35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돼지공주-m4v 6
2023년 3월 06일 09:28박문호 박사님 팟빵 월말 김어준 통해 알게되서
항상 박사님 강의 찾아 듣고 있어요
한국의 아인슈타인
따듯한 과학자라고 생각해요
@kirstenkim791 6
2023년 2월 28일 08:01오 마이 사이언스
충성!
토시하나 버릴 것 하나 없는 강의였습니다~^^
@귀요미-j1e6e 6
2023년 2월 23일 22:51멋진강의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꾸끼리-u7o 4
2023년 12월 09일 00:47대칭화- 단순화
모듈화- categorization
시간화- context
@alrnrdlwhgdk 4
2023년 3월 07일 08:09군더더기가 너무 많고 지루하네요
대칭화 모듈화 순서화 중
대칭화 모듈화
이해가 안 가는데
계속 군더더기만 나옴
@JamesLee-yq5pz 4
2023년 3월 05일 18:142번째 동영상인데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왜 생명과학 분야에서 뇌과학 분야에 상당한 재원을 투자하는지 이해가 됐네요..정말 존경과 감사를 표합니다...감동했습니다.
@레몬향기-q4o 4
2023년 2월 24일 09:26박사님 책 빅히스토리 샀어요~
언젠간 읽을려구요~ㅋ
스터디언에서.보다니 반갑네요~^^
@user-pz2ht4dn4y 4
2023년 2월 23일 18:25감사합니다.
@이희영-p4b 3
2023년 3월 06일 16:52박사님,
"월간 김어준"에서
매 달 만나고 있는데
여기서 뵙게되니 더 반가워요. 고맙습니다. 건강하셔요. ^^
@02s 3
2023년 2월 27일 23:31박문호박사님 격하게 반갑네요. ^^
스터디언에 자주 나오셔서 공부법 알려주세요.
@숲에서-g8h 3
2023년 3월 09일 17:37정말 최고의 강의를 듣게되어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가득합니다.
@jerrygo8539 3
2023년 2월 25일 21:15우와~~ 박문호 슈어 박사님, 오 마이 사이언스!
@LEE-zv3uz 2
2023년 3월 04일 22:20대칭화, 모듈화, 순서화...... 어떻게 이걸 해야 하는지가 없는듯 ㅠ 내가 머리 나쁜건지 모르겠지만...
@paktube_ 2
2023년 3월 07일 22:31박사님 오늘 처음 만나 반갑습니다 존경합니다 독서를 좋아하는 요리사로서 뇌과학 가르침 잘 새겨보게습니다
@kiwitoytv4928 2
2023년 3월 12일 13:02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아롱범-k5g 2
2023년 3월 05일 07:47최고의 강의 감사합니다.
@mikyounghan4173 2
2023년 6월 01일 11:16이렇게 좋은강의 나눔해주셔서
고맙습니다^^
@eom2449 2
2023년 3월 02일 20:52바로 규칙과 정리라는 말씀이시죠?
@pass_skill 1
2024년 6월 02일 16:24대칭화 - 정보를 확 줄여야 하고, 정보 속 인과 관계를 확 드러나게 해줘야 한다. 왜? 학습 부담이 생기면 포기하고 도망가고 싶으므로(진화심리학적 피식자였던 본능)
모듈화 - 지식을 블럭화 하라. 블럭을 쌓고, 상대와 주고 받고, 조작해서 성을 쌓으려고.(성을 쌓다: 개념과 개념을 조합해서 더 큰 이론을 만들거나 더 큰 학문을 이해하거나 실생홯의 문제해결로 이해함) 만질 수 있고 조작 가능한, 인출도 가능한 블럭이어야 한다. 학습에 적용한다면 공부한 내용을 머릿속에서 검색도 하고 상대방과 교류도 할 수 있는 정보로 가공해야 한다. 개념 한줄 정리 노트, 워크북, 서브노트 정도가 될 수 있을듯
@안영규-o3t 1
2024년 2월 16일 12:21그 논리를 이해하는 것이 공부보다 더 어렵다!!!
@WaitingForStorm 1
2024년 3월 25일 22:36기억의 법칙:
대칭 - 모듈 - 순서
대칭화: 반복되는 기본 단위를 우선 습득 (알파벳, 원소 등)
모듈화: 학습한 지식 구체화 & 정리 (병에 잘 담긴 물 vs 양손을 모아 담은 물)
순서화: 원인-결과 순으로 이해 (발달 과정, 맥락 등)
+ 이론만으로 100% 이해하려 하지 마라. (생각만으로 이해를 하는 건 어렵다.) 어느 정도 이해한 후 먼저 사용을 해보자. 활용하다보면 익혀지고 완전한 이해가 온다.
@황현숙-d5h 1
2023년 3월 08일 22:37박문호교수님 멋있다~!!!
@qccioh6204 1
2023년 3월 21일 22:30박사님 강의 너무 재미 있네요~ 🤩👍🏻👁👻
cat2020 K
2023년 2월 23일 16:13박사님 스터디언에서 영상 반갑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eddie9771
2023년 3월 22일 08:28눈빛이 예리하신게 정말 멋집니다
@류한-i4t
2025년 5월 27일 10:06고맙습니다!!!
@nngnng20
2025년 1월 30일 20:413~4번 반복해 들으니 이해가 오네요 대칭은ㅡ시각적인것 단순하고 복잡하지 않은 직관적인것 ㆍ모듈은 햔 덩이의 집합체 ㅡ대칭과 모듈은 무한대로 뻗어가는 구조물 또는 프렉탈패턴 처럼 조작이 가능한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보고가 될수도 있을것 같네요ㆍ너무나 명쾌하고 뭐든지 쉽게 예화를 들어 주시며 지식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eq3jg4dq9d
2023년 9월 24일 19:236:30 자연의 원리대로 사는 것이 정답이 아님
13:00 밑 빠진 독
19:50 심리적 부담, 공포를 최대한 줄이라는 것
20:40 정보를 줄이고 인과관계를 확 들어나게 끔.
모듈화의 핵심 : 지식을 쌓을 수 있음.(분자생물화 같은 지식의 고도화가 필요할 때 사용)
순서화의 핵심 : 맥락을 고려. (인문학, 역사학에 유용)
@서요셉-d8y
2024년 10월 13일 16:10잘 듣고있습니다
@뱀뺌
2023년 11월 20일 22:13공부라는 것은 연령대,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뇌과학, 자연과학 등 다양한 학문을 오래 공부하면서 발견한 세계가 있다
대칭화
유닛화를 해야한다 (보기 간단하게 만들어야한다)
사각형을 그려야한다 (곡선은 직선보다 오래 기억하기 어렵다)
세포를 사각형으로 그리면 보기 편함
심리적 부담을 줄어주고 보기 편하게 해야한다 (편함은 곧 아름다움으로 느낌)
기억의 정보를 줄이고 단순화해야한다
모듈화
구구단이 대칭-모듈화의 대표적인 예
도량형을 제정했다
시공간을 초월해 내가 정보를 쓸 수 있는 상태
순서화
정보를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맥락이 드러난다
맥락 구조 속에 들어있는 정보가 유추 가능하다
예를 역사학을 들었다
@JB-sd6qr
2023년 12월 10일 18:39역사는 순 서대로죠 .. 잼나요😊 세계사가 넘 잼나서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