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는 하는 게 아닙니다, 이해는 오는 겁니다. 이해를 하려고 몸부림을 치면 칠수록 뇌에서 로드가 걸리고, 에너지를 많이 쓰게 되고, 힘들면 싫어져 버려요. 힘들면 싫어져요. 힘들면 하지 않아요. 우리 브레인은 영악해요. 자전거를 배우고, 걷는 거 배우고, 말 배우는 이 절차 기억은.. 이해를 동반하지 않습니다. 반복을 하면 돼요. 반복의 힘은 세요. 반복은 위대함을 낳습니다.
코딩을 변수와 함수와 원리로 배울 때에는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어요. 그러다 업 때문에 어쩔 수 없어서 남이 만든 쉬운 코드 부터 그냥 사용해보고 수정하면서 다뤄보다보니 아무것도 아닌 쉬운 것이더군요. 교육은 이렇게 바뀌어야 합니다. 하나의 인생을 넘어 인류의 역사를 바꿀만한 내용입니다. 너무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작년 물리학 공부를 하며 뼈저리게 느꼈던 것을 영상 시작하자마자 들으니 기분이 묘하네요… 좀더 빨리 이영상이 올라와서 작년의 내가 봤다면 그렇게까지 스트레스를 받고 자책하지는 않았을건데.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그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이었습니다. 각종 기호와 수식에 익숙해 지고, 그것을 하나의 언어처럼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을 정도로 노출이 되다보면 드높은 벽처럼 느껴졌던 학문의 벽은 어느새 허물어지고 자연스럽게 이해가 따라왔습니다. 정확히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던 낯선 지식이 이제는 친숙한 지식으로, 당연한 것이었음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이었죠. 필요한건 그저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용되는 기호와 수식 전개 과정들, 궁극적으로는 결과식과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겸손하게 받아들이는 시간. 그렇게 생각하게된 이후로는 물리학 공부를 넘어서 다른 모든 영역의 새로운 일을 접할때마다 자연스럽게 두려움보다는 자신감이 자리잡게 되었어요. 모든 배움은 그저 익숙해지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일 테니까. 부일거리로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어려워하는 친구들에게 이 부분을 많이 강조하게 됩니다. 수학이 어렵디고 느껴지는 것은 너의 머리가 좋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저 익숙하지 않아서라고, 시간을 투자하며 수학을 다루는 도구들에 익숙해 지면 자연스럽게 어려움은 사라지고 어느새 쉽게 느껴지게 될것이라고 거듭 말합니다. 궁극적으로 모든 배움은 그저 익숙해지는 과정의 반복일 뿐일거라고 최대한 별 것 아닌 것차럼 말하며 자신감을 북돋아주려고 노력합니다. 수학이, 그리고 다른 모든 배워야 하는 과목들이 첫 문턱부터 두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혼자서 고민하고 해결해나가기만 했지 지금까지 이러한 조언을 들은 적이 없었습니다만, 제가 고민하고 생각한길에 손을 들어주시는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추가적으로 용기를 더 얻어갑니다.
이것이 원래 공부라는 단어의 의미죠 공부의 공은 장인공에 힘력자가 합쳐진 글자로 한분야의 장인이 그러하듯 반복해 노력을 기울이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자전거를 잘 타는것도 자전거타기 공부가 잘 되었다 표현하는 것도 맞는 표현이죠 지금 우리는 단순히 문제를 풀고 책 내용을 암기하는걸 공부라고 하지만 본래의 공부라는 의미는 계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그게 무엇이든 어느분야든 간에...
친구될려면 이름을 붙여주고 이름을 불러라 기억이 감정이고 감정이 기억이다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뇌피질 해마 기억을 처리하는곳 감정을 처리하는곳은 같다 재밋는 감정을 느꼈다 그외 다른감정들을 느낀거를 "기억"했다 라고 한다.
기억의 강도.높이
어려운나라 전쟁 이런 사람들은 뭐가 되고싶냐 꼭 하나 있있다. 반대로 풍요로운 사람들은 무엇이 되고 싶고. 하고싶어하지않는다 감정이 움직이지 않아서 로마제국이 게르만에게 외주을 줘서
=장례식장 안우는 사람 우는사람 대성통곡 힘들때 같이지낸사이거나 등 그때의 기억=감정이 있기에 운거다 강아지.사촌
아이에게 이걸 왜 이해 못해? 발달시기에 분수라는것을 그 나이에 이해하기 어렵다 배경지식과 사전지식이 부족해서 옷걸이
부모나 선생님이 혼내면 아이는 부신피로에서 코르티솔을 분비해 뇌에 전달되며 해마에 스트레스를 받게해 뇌세포가 죽게된다. 아이가 하얗게 질려버린다 그 기억은 아이에게 수학이라는 것에 잘못된 기억이 심어져 나쁜감정으로 남아 거부반응과 나는 수학을 잘못해 와 같은 잘못된 인식을 가지게되고 수학을 멀리 할수도 있다
와 진짜 한마디 한마디 주옥같은 말이 많아서 끄덕이느라 고개가 아프네요. 제 어린 시절을 너무 정확히 찔러주셔서 제가 왜 공부하길 싫어했는지 이해했습니다. 왜 이해를 하지 못하냐는 아버지의 맹렬한 다그침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초등학교때 처음으로 아버지가 제 공부를 봐주셨었는데 그때의 기억은 정말 공포 그 자체였어요. 눈물이 쉴새없이 나오고 머리가 백지장처럼 하얘져서 문장하나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했거든요. 그리고 주변 정보가 있어야 이해를 할 수 있다. 이해는 오는거다는 말은 진짜 명언이십니다. 이 말은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해당되는 말 같아요. 책을 읽을때도 주변 정보가 없으면 난도가 있는 책은 읽기가 어렵습니다. 농담 하나를 들어도 관련된 정보나 지식이 있어야 웃을수 있고요. 예전에 경제 공부하려면 세계 경제 신문을 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요즘은 번역도 잘 되어서 나오기 때문에 구해다 읽기가 쉬워졌습니다. 처음에는 무슨 말을 하는지 몰라도 꾸준히 보다보면 어떤 흐름이 보인다던 그 분의 말씀이 당시에는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이 영상을 보니 단번에 이해가 되었어요. 강의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올 정도로 핵심만 알려주시니까 정말 감사하게 들었습니다.
9:50 기억 그 자체가 인간 그 자체. 따라서 인터넷에 정보 접근성이 좋다며 기억을 하지 않는 것은 옳바른 것은 아님. 오히려 정보가 넘쳐나니까 고마워하지 않고 오히려 공해처럼 느낌 = 뭐 되고 싶지 않은 인간이 됨(어려운 시절 살았던 사람은 악착같이 뭐 되고 싶어함, 풍요로운 환경에서 자란 사람은 뭐 되고 싶은게 흐릿해짐. 기억의 강도,깊이 차이에서 생기는 현상 )
강한 감정 = 강한 기억 기억과 감정을 관장하는 부분이 같음. 최고의 공부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것임.
18:00 21:00 자연과학을 왜 어려워 하는가 -->이해를 강조하니까 -->이해를 할 수 잇는 기반,주변 지식이 없으니까== 암기가 같이 수반이 되어야 한다. 21:50 23:00 이해의 정의 24:00 자전거를 어떻게 타는지 이해하고 타는 사람은 없다. 따라하면서 타다 보니까 되는 것. 이것의 이해만 중요시하는 교육의 핸디캡이다. 이해도 중요한데 이해에 과부하가 걸릴 때에는 보류를 해라.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 것이다. 이해가 안되는데 하려고 하면 힘이 많이 듬 --> 싫어짐-->p 브레인이 문을 닫아버림-->안하게 됨
이해가 안될 때는 뇌를 써서 이해하려고 하지말고 몸을 써서 반복(절차기억 (자전거 타기))
@mihyekong8715 2043
2023년 2월 28일 20:38이해는 하는 게 아닙니다, 이해는 오는 겁니다. 이해를 하려고 몸부림을 치면 칠수록 뇌에서 로드가 걸리고, 에너지를 많이 쓰게 되고, 힘들면 싫어져 버려요. 힘들면 싫어져요. 힘들면 하지 않아요. 우리 브레인은 영악해요. 자전거를 배우고, 걷는 거 배우고, 말 배우는 이 절차 기억은.. 이해를 동반하지 않습니다. 반복을 하면 돼요. 반복의 힘은 세요. 반복은 위대함을 낳습니다.
@jhl3871 333
2023년 2월 28일 20:11와...고시공부했던 입장에서 제가 왜 떨어졌는지 포기했는지 깨닫게 되었어요...머리깨지게 이해해보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은 공감할 수 있을 듯..
@cheolified 242
2023년 3월 15일 21:38코딩을 변수와 함수와 원리로 배울 때에는 정말 이해하기 힘들었어요.
그러다 업 때문에 어쩔 수 없어서 남이 만든 쉬운 코드 부터 그냥 사용해보고 수정하면서 다뤄보다보니 아무것도 아닌 쉬운 것이더군요.
교육은 이렇게 바뀌어야 합니다. 하나의 인생을 넘어 인류의 역사를 바꿀만한 내용입니다. 너무나도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jieunshin486 186
2023년 2월 28일 13:19반복은 힘이 세고 반복은 위대함을 낳는다… 선생님 말씀에 충격을 받습니다. 새삼 이 나이에… 감사합니다
@onthepalebluedot 145
2023년 6월 25일 18:33반복은 힘이세다(익숙해져라),
이해는 오는 거다(하는 거 아님주의),
뇌는 힘들면 안한다(쉽고 재밌게 하자).
@02s 140
2023년 2월 28일 02:03와우 역시... 박문호박사님 완전 쵝오!
진행자 없이 박문호박사님 단독으로 강의해주시니 몰입이 더 잘됩니다. 감사합니다.
@소소-x3y 140
2023년 2월 27일 22:06아들이 어릴적 들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못난 엄마가 아들이 공부를 싫어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네요 ㅠㅠ 지금이라도 이렇게 좋은 강의를 들을 수 있어서 너무 감사드려요 🙏
@won1476 125
2023년 3월 12일 22:15주입식 교육은 일단 창의적 단계에 선행해야 하는, 좋은 감정을 수반한 암기 단계여야 합니다. 벽돌없이 다양한 집을 지을 수 없듯이요. 대공감하는 말씀들입니다.
이해는 하는 게 아니라 반복과 훈련을 통해 '이해는 오는 거'다. 감사합니다.
@ghtls119 109
2023년 3월 04일 19:36너무좋은 강의십니다.. 반복은 힘이 세다.. 이해는 오는 것이다.. 뇌와 근육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서 도약해야한다..
@bliviono8642 107
2023년 2월 28일 01:32반복훈련은 전문가,달인으로 만들어준다, 이해는 하는것이 아니라 오는것이다
@한재연-f9y 106
2023년 3월 05일 01:34작년 물리학 공부를 하며 뼈저리게 느꼈던 것을 영상 시작하자마자 들으니 기분이 묘하네요… 좀더 빨리 이영상이 올라와서 작년의 내가 봤다면 그렇게까지 스트레스를 받고 자책하지는 않았을건데.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그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그런 것이었습니다.
각종 기호와 수식에 익숙해 지고, 그것을 하나의 언어처럼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을 정도로 노출이 되다보면 드높은 벽처럼 느껴졌던 학문의 벽은 어느새 허물어지고 자연스럽게 이해가 따라왔습니다.
정확히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던 낯선 지식이 이제는 친숙한 지식으로, 당연한 것이었음을 인정하게 되는 과정이었죠.
필요한건 그저 받아들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사용되는 기호와 수식 전개 과정들, 궁극적으로는 결과식과 그것이 시사하는 바를 겸손하게 받아들이는 시간. 그렇게 생각하게된 이후로는 물리학 공부를 넘어서 다른 모든 영역의 새로운 일을 접할때마다 자연스럽게 두려움보다는 자신감이 자리잡게 되었어요. 모든 배움은 그저 익숙해지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일 테니까.
부일거리로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면서 어려워하는 친구들에게 이 부분을 많이 강조하게 됩니다. 수학이 어렵디고 느껴지는 것은 너의 머리가 좋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저 익숙하지 않아서라고, 시간을 투자하며 수학을 다루는 도구들에 익숙해 지면 자연스럽게 어려움은 사라지고 어느새 쉽게 느껴지게 될것이라고 거듭 말합니다. 궁극적으로 모든 배움은 그저 익숙해지는 과정의 반복일 뿐일거라고 최대한 별 것 아닌 것차럼 말하며 자신감을 북돋아주려고 노력합니다. 수학이, 그리고 다른 모든 배워야 하는 과목들이 첫 문턱부터 두렵게 느껴지지 않도록.
혼자서 고민하고 해결해나가기만 했지 지금까지 이러한 조언을 들은 적이 없었습니다만, 제가 고민하고 생각한길에 손을 들어주시는 선생님의 강의를 듣고 추가적으로 용기를 더 얻어갑니다.
@studian365 103
2023년 2월 27일 13:47🚀박문호 박사 영상 보러가기
1부 https://youtu.be/vnDaHldRKu4
@leechea679 96
2023년 2월 28일 09:48독서할때 좀 어려운 책을 읽을 때 이해하보려고 사전찾아보고 개념찾다가 책을 놓은 경험이 있습니다. 이해하기 쉬운 책들 이것저것 읽다보니 그때 이해하지 못했던 부분이 이해가 되었던 경험이 기억납니다. 그 후로 독서를 더 열심히 하게되었어요~
@소금92-f4w 51
2023년 3월 03일 16:56기억은 감정이다.
뭐가 좋아지면 그것이 말을 걸어온다.
가르침 정말 감사드립니다.
@aqw7 49
2023년 3월 19일 11:05박사님 말씀에 상당한 교훈을 받았습니다. 원리를 이해하려고만 하고, 남을 무조건 이해시키려고 하고, 이런 무지땜에 인생이 너무나 힘들었는데, 너무나 큰 교훈입니다. 감사합니다.
@비트헌터-n3d 45
2023년 3월 05일 08:38공부는 반복이다
토익 신발사이즈 점수였다
책한권 10번 반복해서 미친듯이 다 외워버렸다
책이 아주 너덜해졌다
그결과 만점 받았다
이건 실화다
그이후 공부가 쉬워졌다
왜냐 공부의 방법을 알아버렸기 때문이다
10년이지난 지금도 단어들이 기억이난다
이것이 반복의 힘이다
@dy5hxf7yw3 40
2023년 6월 25일 22:2314:34 최고의 학습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것
15:53 우리 인생을 결정하는 것은 중고등학생때 어느과목을 좋아했느냐다. 그것은 그 과목을 감정을 동반해서 즐겁게 공부했다는 것
18:03 기억은 곧 감정
@난황금시계 34
2023년 3월 02일 18:48박사님 정말 감동입니다.
이런 강의를 듣게되는 행운을 만났으니까요.
감사합니다 🙏🙆♀️
@서희서점 30
2023년 3월 04일 00:041.이해
2.훈련:즉각적 몸의 기억
3.기억:개별화
@BULMIR 27
2023년 3월 04일 02:27이것이 원래 공부라는 단어의 의미죠
공부의 공은 장인공에 힘력자가 합쳐진 글자로 한분야의 장인이 그러하듯 반복해 노력을 기울이는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자전거를 잘 타는것도 자전거타기 공부가 잘 되었다 표현하는 것도 맞는 표현이죠
지금 우리는 단순히 문제를 풀고 책 내용을 암기하는걸 공부라고 하지만 본래의 공부라는 의미는 계속적이고 반복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그게 무엇이든 어느분야든 간에...
@sd68127 27
2023년 3월 11일 07:17와 진짜 이게 맞아요..
반복하다보면 패턴에서 오는 이해..
이 원리를 잘 이용하는 사람이 똑똑한사람..
@한우갈비-e1q 26
2023년 3월 09일 00:07이해와 훈련
우리는 이해를 너무 올려치기하는 사회에 살고 있다.
훈련은 이해와 반대다. 훈련에는 사고가 일어나면 안된다.
ex)불이 났을 때는 무의식적으로 메뉴얼대로 행동하면 된다.
훈련은 사람을 전문가로 만든다.
ex) 달인.
이해: 일반화는 되지만 구체화는 안된다.
훈련: 자동화가 된다.
기억: 개별화를 시켜준다. 즉 외부 지식이 나만의 지식이 된다.
인터넷에 널린게 정보인데 왜 기억을 해야하는가?
기억의 핵심은 개별화, 내 것이 된다는 것
-> 기억과 감정이 링크된다는 것과 같다.
사람간의 관계에 따라 상갓집에서 하는 감정의 깊이가 다르다.
-> 돌아가신 분과의 기억에 따라 감정이 다른 것이다.
-> 아들인데도 잘 울지 않는다면 impressive 한 기억이 없는 것이다.
정보의 바다 시대 -> 뭐가 되고 싶은 상태가 없어진다.
창의성 이런것 보다 기억을 다시 되찾아야 한다.
핸드폰, 노션에 기억을 저장하면 우리 뇌는 할 일이 없어진다.
-> 하고싶은게 없어진다.
기억을 강조하는 이유는 제대로 감정을 느끼는 인간이 되라는 의미에서이다.
우리 뇌에는 이성, 논리를 담당하는 영역은 없지만 감정을 처리하는 영역은 있다.
- 해마, 편도체가 감정과 링크돼 있다.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기억을 저장하는 영역과 만드는 영역이 따로 있다.
기억영역은 폐루프 구조다.
그래서 기억은 무한궤도를 돈다.
ex) 아침에 들은 잔소리는 저녁에 자기전에도 기억난다.
ex) 기억할 때 반복해서 기억한다.
기억과 감정은 동일한 영역에서 관리된다.
하고 싶다는 감정이 강한 사람이 성공한다.
감정은 인위적으로 만들기 어렵지만 기억은 가능하다.
그리고 기억이 곧 감정이라고 전에 이야기 했으므로 최고의 학습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것이다.
중학교 때 내가 어떤 과목을 좋아했는지가 나의 직업을 결정하는 경향이 있다.
근데 이 과목을 잘한다고 선생님께 칭찬을 들을 때 더 좋아지게 된다.
좋아했다는 말은 그 과목의 내용을 감정을 담아서 재미있게 공부 및 기억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욕망하는 인간이 되어야 한다.
욕망은 감정이고, 이 감정은 기억에서 생긴다.
기억을 강조하는 이유는 감정때문에 중요하다.
감정은 우리의 행동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기억은 개별화되기 때문에 감정을 만들어준다.
개별화된 기억은 오로지 나만의 기억이다. 이 기억은 나를 움직이는 감정이 된다.
인터넷에 아무리 정보가 많아도 개별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를 움직이지 않는다.
감정이 풍부하다 -> 기억을 잘한다
내가 20여개 이상의 학문을 공부한 이유: 모든 학문이 좋아져서다.
스트레스 받음 -> 코르티솔 분비 -> 뉴런 죽음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주변 정보가 있어야 한다.
주변 정보들 중 공통패턴을 발견하면 이해라는 일반화가 이루어져서 도약을 하게된다.
절차기억
- 이해가 필요없이 시각적으로 보기만 해도 알 것 같은 것
ex) 자전거를 타는 원리를 알고 타는 사람은 없다.
ex) 걷기, 달리기
이해를 하기가 너무 에너지가 들면 이해를 보류하고 사용 먼저 해봐라.
사용을 하다보면 이해는 저절로 오게된다.
이해를 하기 위해 에너지를 많이 쓰면 뇌는 하기 싫어한다.
뇌가 이해의 문을 닫는다.(뇌가 하얘지는 느낌)
문을 닫지 않으면 뇌에 염증반응이 생길 것이다.
절차기억은 반복과 관련이 깊다.
반복은 위대하다.
무엇이든지 이해가 안되기 시작하면, 뇌를 사용해서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몸을 사용해라.
훈련 자동화의 10% 주의할 점이 있다.
자동화를 하면 경력자가 된다.(전문가는 아니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자동화를 일시적으로 멈춰야 한다.
이 멈출 시점은 지금까지 내가 자동적으로 하던 방법이 더이상 먹히지 않을 때이다.
@inima_art 25
2023년 2월 27일 17:22오랫동안 생각했던 궁금증이 하나 풀린 느낌입니다. 건강하시고 감사합니다.
@Maria-fi7ux 24
2023년 3월 03일 18:06박사님 이제야 제가 누군지 뭘하고싶은지 알았습니다 너무나고맙고 놀라워서 노트필기까지 적어가면서 공부합니다 존경합니다 ❤😊❤😊
@책방화사 20
2023년 2월 28일 00:26이해는 하는게 아니고 오는거다
이해가 되지 않으면 보류하고 반복사용한다~♡^
@Moosaheinz 19
2023년 3월 07일 13:2126:10 운동 가르치는 입장에서 너무너무 와닿는 말씀이네요
반복은 위대함을 낳는다
@jerrygo8539 18
2023년 2월 27일 16:15ㅎㅎ 월말 양자역학 파트에서 이해하려고 하지 말라던 말씀 아직도 기억이 납니다
@가가홀릭 17
2023년 2월 28일 00:55캬
반복은 위대함을 낳습니다👍👍
@이하늬나 17
2023년 3월 07일 13:17이런 좋은 교육을 폰으로 할수 있다니... 유튜브있는 세상에 사는게 축복입니다🎉
@emmae8246 15
2023년 3월 19일 01:51와… 너무 감정적으로 와닿는 강의였어요. 진심어린 설명 감사드립니다.
@jkim7613 14
2023년 3월 02일 00:26들을수록 최고!!!! 고맙습니다.
박문호 박사님!!!
@삼국지-y4v 13
2023년 3월 29일 15:37기억이 감정이다. 반복은 위대하다. 감정이 있을 때 기억이 남는 거라는 것을 알았다. 이렇게 명확하게 설명해주시니 감동입니다. 감사합니다.
@이번년도-b8m 13
2023년 3월 06일 21:07박사님 알고싶게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늘 학문에 목말라있는 저에게 많은것들을 알려주시네요
유투브라는 세상에서 이렇게 훌륭하신 강의를듣게되어 영광입니다
@Thebattleofsalsu 12
2023년 3월 06일 16:14이해는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이해가 가는 경우도 있고 이해 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해에 집착하다가는 고통스럽고 하고자 하는 일을 하기 싫어지고 아예 포기하게 된다. 일단 하라.
@janekim1784 12
2023년 8월 20일 23:35박사님을 이제서야 알게되었다는것이 너무 아쉽습니다. 지금까지 뵌 분중에 가장 존경스럽습니다. 소중한 내용들을 열정적으로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김강희-x5o 11
2023년 3월 26일 13:14이해는 하는 것이 아니라 오는것이다. 뇌는 멍청하지 않다. 절차기억으로 반복하라! 반복은 위대함을 낳는다. 몸으로 체득하라! 훈련자동화^^😊
북극곰 10
2023년 2월 27일 16:49친구될려면 이름을 붙여주고 이름을 불러라
기억이 감정이고 감정이 기억이다
서로 연결되어 있다 대뇌피질 해마
기억을 처리하는곳 감정을 처리하는곳은 같다
재밋는 감정을 느꼈다 그외 다른감정들을 느낀거를 "기억"했다 라고 한다.
기억의 강도.높이
어려운나라 전쟁 이런 사람들은 뭐가 되고싶냐
꼭 하나 있있다. 반대로 풍요로운 사람들은
무엇이 되고 싶고. 하고싶어하지않는다
감정이 움직이지 않아서
로마제국이 게르만에게 외주을 줘서
=장례식장 안우는 사람 우는사람 대성통곡
힘들때 같이지낸사이거나 등
그때의 기억=감정이 있기에 운거다
강아지.사촌
아이에게 이걸 왜 이해 못해?
발달시기에 분수라는것을 그 나이에 이해하기 어렵다
배경지식과 사전지식이 부족해서 옷걸이
부모나 선생님이 혼내면 아이는 부신피로에서
코르티솔을 분비해 뇌에 전달되며 해마에 스트레스를 받게해 뇌세포가 죽게된다.
아이가 하얗게 질려버린다
그 기억은 아이에게 수학이라는 것에
잘못된 기억이 심어져 나쁜감정으로 남아
거부반응과 나는 수학을 잘못해 와 같은 잘못된
인식을 가지게되고 수학을 멀리 할수도 있다
저 볼려고한거에요 틀린내용일수있습니다
@아미는방탄을영원히사 10
2023년 3월 07일 21:46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감정이입 =기억 ,
@연돌-y8v 10
2023년 3월 07일 21:27뜬 구름 잡는 이야기 아닌 삶은 관통 하는 깨우침을 주시네요. 감사합니다.
@user-rk7xi3kp6v 8
2023년 3월 27일 06:02와 진짜 한마디 한마디 주옥같은 말이 많아서 끄덕이느라 고개가 아프네요. 제 어린 시절을 너무 정확히 찔러주셔서 제가 왜 공부하길 싫어했는지 이해했습니다. 왜 이해를 하지 못하냐는 아버지의 맹렬한 다그침을 아직도 기억합니다. 초등학교때 처음으로 아버지가 제 공부를 봐주셨었는데 그때의 기억은 정말 공포 그 자체였어요. 눈물이 쉴새없이 나오고 머리가 백지장처럼 하얘져서 문장하나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했거든요. 그리고 주변 정보가 있어야 이해를 할 수 있다. 이해는 오는거다는 말은 진짜 명언이십니다. 이 말은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해당되는 말 같아요. 책을 읽을때도 주변 정보가 없으면 난도가 있는 책은 읽기가 어렵습니다. 농담 하나를 들어도 관련된 정보나 지식이 있어야 웃을수 있고요. 예전에 경제 공부하려면 세계 경제 신문을 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요즘은 번역도 잘 되어서 나오기 때문에 구해다 읽기가 쉬워졌습니다. 처음에는 무슨 말을 하는지 몰라도 꾸준히 보다보면 어떤 흐름이 보인다던 그 분의 말씀이 당시에는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이 영상을 보니 단번에 이해가 되었어요. 강의도 머릿속에 쏙쏙 들어올 정도로 핵심만 알려주시니까 정말 감사하게 들었습니다.
@차나괜 7
2023년 3월 18일 23:11최고의 학습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것!
@김정미-j5w 5
2023년 7월 29일 16:48기억과 감정이 연결되어있다. 너무 공감합니다.
언제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길-5S 3
2023년 3월 11일 18:32기억이감정이다
나를움직이는힘은기억에서나온다
20개학문이상을좋아하게된이유가
이름을불러준이유라는말씀공감됩니다
공부의달인이신박문호박사님
귀한강의고맙습니다
@명주밈 3
2023년 9월 08일 11:40아~제가 수포자가 되었던것이
울 아버지의 따귀 👋🏻 가
무서워서 ㅠㅠ 손만 보였어요.
내 머리가 문제가 아님을
박문호 박사님 때문에
알게 되었습니다. ㅎㅎ
@soso.864 3
2023년 7월 12일 09:21엄마가 갑자기 돌아가셨을 때 눈물이 나지 않았던 이유가 기억때문이었군요..좋았던 기억이 별로 없었거든요..이제야 이해가 되네요..제가 너무 이상한 사람 같았거든요..
@바람낭독 3
2023년 3월 06일 04:41욕망 감정 기억 창의력 모든것이 새롭게 다가오네요 ❤ 감사합니다 ☺️ 함께하는 행복세사앙 희망가득 기쁜세사앙 긍정가득 소통세사앙 지구가득 평화세사앙 😇🙏
@clark87 2
2023년 3월 26일 11:02무의식적으로 할수있도록 훈련이 필요하다 훈련하면 생각치 않고 할 수 있게된다
훈련>자동화>기억화>개인화
구글에서 정보를 어느것이나 알수있다
한번쓰고 버려지는 것이다 생각을 하지않는다는 전제하에.
기억이 감정과 연결되었을때 뭔가를 할 수 있다
상가집 -슬픈감정의 다양성, 그사람과의 관계속에서의 기억에 따른 감저믜 차이
기억- 인간존재 그 자체
기억, 기억, 기억, 기억, 기억
감정을 느끼는 영역을 과소평가하지말라
기억을 만드는 뇌영역과 감정을 만드는 뇌영역이 같다
최고의 기억법은 감정을 일으키는것이다
감정을 동반한 공부해서 기억할때 좋은공부법
기억이 곧 감정이다
감정이 행동을 결정한다
기억은 개별화 시켜서 감정을 만들어준다
기억을해서 좋아지니 또 공부하게 되었다
이해를 너무 강조하지말라. 기초를 알지못하는데 어떻게 이해를 하겠는가
이해가 안될때 먼저 시도하고 그러다가 이해가 온다
절치기억은 이해를 동반하지 않는다,반복하면 된대. 몸으로 기억할려고 해야 한다
반복,훈련 자동화의 주의점 - 경력자가 된후에는 자동화를 멈추고 전문가가 되야 한다
@user-eq3jg4dq9d 2
2023년 9월 24일 19:510:00
이해가 안되는 것을 하려하면 뇌가 힘들다, 싫어진다 -->사용해라(절차기억)(반복.자전거타는것처럼). 이해를 동반하지 않는다.-->반복은 위대함을 낳는다.(숙달)
종합적인사고가 가능한 후에 통섭적인 이해(일반화)가 온다.
1:50 이해 = 일반화, 기억=구체화개별화
3:15 군대 훈련 =NOT 이해 = 암기O
훈련을 하면 구체적이게 됨
이해를 하면 구체적일 수 없음
6:40
9:50 기억 그 자체가 인간 그 자체. 따라서 인터넷에 정보 접근성이 좋다며 기억을 하지 않는 것은 옳바른 것은 아님. 오히려 정보가 넘쳐나니까 고마워하지 않고 오히려 공해처럼 느낌 = 뭐 되고 싶지 않은 인간이 됨(어려운 시절 살았던 사람은 악착같이 뭐 되고 싶어함, 풍요로운 환경에서 자란 사람은 뭐 되고 싶은게 흐릿해짐. 기억의 강도,깊이 차이에서 생기는 현상 )
강한 감정 = 강한 기억 기억과 감정을 관장하는 부분이 같음.
최고의 공부법은 감정을 일으키는 것임.
18:00
21:00 자연과학을 왜 어려워 하는가 -->이해를 강조하니까 -->이해를 할 수 잇는 기반,주변 지식이 없으니까== 암기가 같이 수반이 되어야 한다.
21:50
23:00 이해의 정의 24:00 자전거를 어떻게 타는지 이해하고 타는 사람은 없다. 따라하면서 타다 보니까 되는 것. 이것의 이해만 중요시하는 교육의 핸디캡이다. 이해도 중요한데 이해에 과부하가 걸릴 때에는 보류를 해라.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 것이다. 이해가 안되는데 하려고 하면 힘이 많이 듬 --> 싫어짐-->p
브레인이 문을 닫아버림-->안하게 됨
이해가 안될 때는 뇌를 써서 이해하려고 하지말고 몸을 써서 반복(절차기억 (자전거 타기))
24:40 사용해보기 ---> 이해는 옴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 것)
@realdokhak 2
2023년 11월 06일 15:37이해는 다가오는거다. 극공감입니다
결국 반복하다보면 외워지는거죠.
스트레스 관리까지 영상의 기승전결이 완벽합니다
YuLim😘 2
2023년 2월 27일 20:03그래서 어떻게 공부하라는 건가요...?
@한영철-z6p 2
2024년 11월 07일 18:00아~~~
정말 잘 하시네요. 진정한 프로🎉🎉🎉
@감순컴퍼니 1
2024년 4월 18일 17:5118:46 기억이 중요하다. 기억은 나만 갖고 있는 개별적인 것이라서 기억이 곧 감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감정은 우리가 어떻게 행동할지를 결정한다. 즉 나를 결정한다
허몰라 1
2023년 2월 27일 17:53이해가 잘안되요
핑크오리 1
2023년 2월 27일 17:02울고싶어도 함께한기억이 없으면 을수없다
뭐든기억하는게 좋을까요?
khjjj 1
2023년 2월 27일 17:59"대가"
김형준
2023년 2월 27일 18:08감사합니다 22:13
ㅇㅇㅇㅇ
2023년 2월 27일 16:15감사합니다.
북극곰
2023년 2월 27일 16:4023:35 분수 조각 말씀하신내용을 이해못하겠어용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