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두 아이의 엄마로서 한 말씀 보태면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법과 제도, 원칙, 규율 등이 사실 50년대 이후로 크게 변하지 않은 것들이 너무 많다고 봅니다. 하드웨어는 많이 변했으나 인간, 여성, 관계 등을 대하는 소프트웨어는 거의 석회화되었다는 느낌입니다. 사람을 말려죽이려는 직장 상사, 분위기 등이 결국 우리 대한민국의 씨를 말려버리는 것 아닐까요. 이팔청춘도 아닌 저도 가끔은 숨통이 막히는데 한창 사랑하고 열정을 불태워야하는 20대와 30대는 오죽할까요. 내 뇌가 더는 상하지 못하도록, 내 육체가 말라버리지 못하도록 퇴사를 준비하는 40대 아줌마의 작은 의견이었습니다. 힘내세요.
제가 생각하는 저출생 이유를 좀 덧붙여보겠습니다 1. 애매한 평등주의 - 언어적, 문화적으로도 아직 가부장적 혹은 권위적인 서열 의식이 남아있음 2. 애매한 개인주의 - 아직도 성인이 된 자녀의 선택에 과도하게 간섭하는 부모가 많음, 아이들이 스스로 길을 찾도록 방황하는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 경우가 많음 3. 선진국 중 낮은 수준의 사회보장 - 인프라, 문화, 기업과 생활 방식은 빠르게 변하는 데 비해 그런 변동성으로부터 삶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보장 제도가 허약함 4. 저신뢰사회 - 사기꾼 처벌이 약하고 사회적 자본이 허약 (언론,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음) 때문에 한탕주의나 허약한 업무윤리가 만연함 5. 부동산 & 서울 공화국 - 일자리 + 문화 인프라가 갖춰진 대도시는 젊은 사람들이 내 집 마련조차 쉽지 않고, 대도시를 벗어나면 일자리가 없거나 문화 인프라가 취약 6. 상향식 비교 문화와 획일적 가치 -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성, 삶의 수준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문화 토대가 부족 (예능, 드라마 등 문화 콘텐츠는 특히 그런 경향이 강함) 7. 체육 교육 부족 - 체력은 회복탄력성 + 스트레스 내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데 우리나라 중고등생 체육 활동이 많이 부족하고 20~30대가 되면 체력이 급격히 저하 8. 줄세우기 교육과 과도한 사교육 - 성장기에 EQ와 SQ를 키울 기회보다 IQ와 성적 중심의 교육에 치중함으로써 공부는 잘하지만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성이 떨어지는 교육 시스템
당장 생각나는 것만 이정도고 아마 수많은 요인들이 복잡한 실타래처럼 얽히고 서로 강화하면서 블랙스완이 창발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마도 가장 단시일에 이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정치 영역에서의 커다란 개혁 밖에 없지 않나 싶네요 문화적인 변화는 최소 10년은 꾸준히 지속되어야 사람들의 문화적 인식이 변하기 때문에...
앗 썸네일이 처음이랑 다르게 바꼈네요. ㅎ 그래도 내용이 너무 좋아서… 데이터 기반으로 설명을 잘해주셔서 감사해요. 항상 건강하세요. 박사님. ☺️ 전 사실 현 시국에 대해서 약간 비관적인 생각인데 이 동영상을 계기로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바꿔나가보겠습니다. 항상 공부하는 자세로 졸꾸.! 💙
와~정말 오늘 강의 100% 200%공감합니다 존경 자체입니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고 걱정만 하고 있었는데 신박사님 같은 분이 계셔 희망이 보이네요 사실 내 자식도 결혼에 본인 의사가 중요하지 부모가 뭘 어떻게 하겠어 했는데 오늘 강의 듣고 우리 아이들만이라도 적극적으로 결혼 할수 있도록 힘써야갰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지방에 살고 있는데 아주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ㅎ 외국을 떠돌다(한국만한 곳이 없습니다) 서울에도 좀 있다가 내려와 사는데 여기는 외동이 잘 없습니다! ㅎㅎ 아이 하나 있는데 거의 매일 둘째 얘기를 들을 정도..ㅋㅋ 일자리가 많이 없어서 젊은층 유입이 적습니다만.. 집이 있고, 아이 자연에서 뛰놀게 하고 가족과 시간 많이 보내니 만족하며 삽니다 ㅎㅎ 확실히 심적이든 환경적이든 안정감이 들면 더 좋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캘리포니아 스타일(?)을 포기하시고...삭발 너무 멋있습니다 신박사님!!! 실천력은 정말 우주최고세요ㅋㅋㅋㅋ 30대 중반 미국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공감가는 부분도 많고 이것저것 얻어가는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모두가 발전하고 행복해지기 위한 방법들 알려주시는 컨텐츠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4년 가까이 영상 열심히 보고 있는 애청자인데 이제야 첫댓글 달아봅니다ㅎㅎㅎ)
박사님 이신가보내요. 힙합 좋아하시나보다. 저도 힙합 좋아합니다. 왜곡된 비교문화는 미국 이민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 고급차 타고 다님. 다른 나라 출신의 이민자와 비교해서, 버는것에 비해 차는 훨씬 좋은차 타고 다님. 아 근데 생각해보니 지금이야 말로 극락조선입니다. 부모님대만 해도 (조부모 세대일수도 나이에 따라서) 배고픈 나라였습니다. 북조선에서 선전 선동하는 “이밥 먹고 고기 먹는나라”가 됐습니다 대한민국은. 북조선이야 왕조 국가로 조선에 이은 최빈국이 되었지만. 그리고 조단 피터슨 박사말을 인용하면 일년에 $34,000의 연봉이면 전세계 탑 1% 안에 든다고 합니다. 위를 보면 끝이 없어 보이지만, 밑은 더욱더 많습니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것만으로도 당신은 탑 10프로 안에 가뿐히 듭니다.
신박사님 너무 극과극이에요 ㅋㅋ 수염 엄청기르시다가 삭발이라니... 아내분 놀라셧겟어요 ㅎ 저두 환경생각하고 물아끼구 시간 아낄려구 머리기르지 않구 단발컷 짱이에요
그리구 제가 가임 하고싶어하는분께 들었는데 요즘엔 이유없이 아이 못 가지는사람이 엄청많잖아요 그래서 인공수정을 많이 하는데 비용때문에 포기한데요 넘 안타까워요 이분들께 나라에서 지원해야 효율적이지 않나요?? 결혼생각지도 않는데 낳으면 뭐 해주겟다??? 이건 현실을 모르고 정책을 하는것같아 넘 답답해요 국민이 뭘 진정 바라는지 알앗음 좋겟어요
@beautifulperiod 10
2023년 3월 03일 19:57초등 두 아이의 엄마로서 한 말씀 보태면 현재 우리나라의 모든 법과 제도, 원칙, 규율 등이 사실 50년대 이후로 크게 변하지 않은 것들이 너무 많다고 봅니다. 하드웨어는 많이 변했으나 인간, 여성, 관계 등을 대하는 소프트웨어는 거의 석회화되었다는 느낌입니다. 사람을 말려죽이려는 직장 상사, 분위기 등이 결국 우리 대한민국의 씨를 말려버리는 것 아닐까요. 이팔청춘도 아닌 저도 가끔은 숨통이 막히는데 한창 사랑하고 열정을 불태워야하는 20대와 30대는 오죽할까요. 내 뇌가 더는 상하지 못하도록, 내 육체가 말라버리지 못하도록 퇴사를 준비하는 40대 아줌마의 작은 의견이었습니다. 힘내세요.
@amigo9336 9
2023년 3월 02일 20:19지당한 말입니다~~
나라를 걱정하며 조사하고 총대를 메겠다는 젊은이가 있어서 감사합니다
저출산, 인구감소 ᆢ 등이 걱정되는데 희망이 있다고 하니 힘이 납니다
저는 7학년인데 스터디언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어요.
특히 임계점을 넘겨라 다이어리쓰는것 ᆢ등 도전받고 나름대로 실행 하고 있어요~~♡
@insight7095 8
2023년 3월 03일 00:19제가 생각하는 저출생 이유를 좀 덧붙여보겠습니다
1. 애매한 평등주의 - 언어적, 문화적으로도 아직 가부장적 혹은 권위적인 서열 의식이 남아있음
2. 애매한 개인주의 - 아직도 성인이 된 자녀의 선택에 과도하게 간섭하는 부모가 많음, 아이들이 스스로 길을 찾도록 방황하는 시간을 기다려주지 않는 경우가 많음
3. 선진국 중 낮은 수준의 사회보장 - 인프라, 문화, 기업과 생활 방식은 빠르게 변하는 데 비해 그런 변동성으로부터 삶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보장 제도가 허약함
4. 저신뢰사회 - 사기꾼 처벌이 약하고 사회적 자본이 허약 (언론, 사법부, 행정부, 입법부에 대한 신뢰도가 낮음) 때문에 한탕주의나 허약한 업무윤리가 만연함
5. 부동산 & 서울 공화국 - 일자리 + 문화 인프라가 갖춰진 대도시는 젊은 사람들이 내 집 마련조차 쉽지 않고, 대도시를 벗어나면 일자리가 없거나 문화 인프라가 취약
6. 상향식 비교 문화와 획일적 가치 - 라이프 스타일의 다양성, 삶의 수준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문화 토대가 부족 (예능, 드라마 등 문화 콘텐츠는 특히 그런 경향이 강함)
7. 체육 교육 부족 - 체력은 회복탄력성 + 스트레스 내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데 우리나라 중고등생 체육 활동이 많이 부족하고 20~30대가 되면 체력이 급격히 저하
8. 줄세우기 교육과 과도한 사교육 - 성장기에 EQ와 SQ를 키울 기회보다 IQ와 성적 중심의 교육에 치중함으로써 공부는 잘하지만 인지적 유연성과 창의성이 떨어지는 교육 시스템
당장 생각나는 것만 이정도고 아마 수많은 요인들이 복잡한 실타래처럼 얽히고 서로 강화하면서 블랙스완이 창발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아마도 가장 단시일에 이 영향력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정치 영역에서의 커다란 개혁 밖에 없지 않나 싶네요
문화적인 변화는 최소 10년은 꾸준히 지속되어야 사람들의 문화적 인식이 변하기 때문에...
@정자김-w9l 6
2023년 3월 03일 08:32공감 백 입니다.
애국자들 모두 모여
멋진 대한민국 만들어가요
의병 의 자손 답네요.
@shine..2018 6
2023년 3월 02일 18:43여행은 즐거우셨는지요.??
캘리포니아 스퇄 !!
맞습니다.^^
삭발도 멋있으실듯요!!
이 시대의 히어로 신박사님!!
선한영향력으로 ,,
많은 분들께서 더 성장하길 진심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사랑입니다..♡♡♡
@seanpark5766 6
2023년 3월 02일 20:18오늘아침 뉴스에서 부천 다세대주택에서 30대 엄마랑 두아이 자살사건 보여주는데 먹먹하더군요
단순히 왜곡된 비교문화라고 치부하기엔
희망 자체가 거세된 현세대가 느끼는 박탈감을 극복할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해 보입니다.
@로드러너-h9n 5
2023년 3월 02일 23:25결의가 시작할때의 목소리부터 시작해서 총대를 매셨다는 각오를 거쳐 삭발에서 원자폭탄 파방하고 터졌습니다. 신박사님과 여러분. 우리 함께 노력하여 이나라 우리조국 빛나게 만들어보아요!!! 열심히 하고 싶은 일사각오를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미소-d6q 5
2023년 3월 02일 19:14늘~감사합니다.
오늘도 힐링하고 갑니다.
건강하세요~~
@팔구년생곰작가 5
2023년 3월 02일 21:11앗 썸네일이 처음이랑 다르게 바꼈네요. ㅎ 그래도 내용이 너무 좋아서… 데이터 기반으로 설명을 잘해주셔서 감사해요. 항상 건강하세요. 박사님. ☺️
전 사실 현 시국에 대해서 약간 비관적인 생각인데 이 동영상을 계기로 조금 더 긍정적으로 바꿔나가보겠습니다.
항상 공부하는 자세로 졸꾸.! 💙
@dream004 5
2023년 3월 02일 19:25대한민국도 남 의 눈을 신경쓰지않는 문화가 되길ᆢ 신박사님 삭발 멋지실거같네요ᆢ
공감가는 말씀의 좋은영상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문희-m3j 3
2023년 3월 03일 08:44감사합니다 ~~^^~
항상 마음 따뜻한 희망 주셔서
앞으로도 뼈때리는 말씀
계속 부탁드려요~~^^~
@studian365 3
2023년 3월 02일 18:19앤드루 도이그 [죽음의 역사]📘
👉 https://bit.ly/3SDYGTr
@사랑키움-d9m 2
2023년 3월 02일 22:50PDS 다이어리 구매 하고 단톡방에서 활도. 하고 있었는데 제가 잘 못 눌러서 단톡 방 이 없어졌어요
다시 단톡방 가입 하려면 어떻해야 하나요
@만달레이-l2i 2
2023년 3월 02일 19:17재밌어요. 지적욕구 충족 됩니다.~
@byoel 2
2023년 3월 02일 18:16ㅋㅋ 극락조선....
대한민국에서 사는 레벨 너무 높네요ㅠㅠ
세금 1달 60내고 있는데 더 가중될 것 같네요ㅠㅠ
@coffeek7659 2
2023년 3월 02일 23:57여러 관점에서의 말씀 감사합니다.
@임수훈-y4u 2
2023년 3월 03일 10:32적극적으로 응원합니다 ^^
@벤또-j6t 2
2023년 3월 03일 09:19신박사님은 정말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애국자이십니다. 늘 감사합니다
@해피미노 2
2023년 3월 03일 17:56와~정말 오늘 강의 100% 200%공감합니다
존경 자체입니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고 걱정만 하고 있었는데 신박사님 같은 분이 계셔 희망이 보이네요 사실 내 자식도 결혼에 본인 의사가 중요하지 부모가 뭘 어떻게 하겠어 했는데 오늘 강의 듣고 우리 아이들만이라도 적극적으로 결혼 할수 있도록 힘써야갰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빵빵중국어 2
2023년 3월 03일 10:35지방에 살고 있는데 아주 흥미롭게 들었습니다 ㅎ 외국을 떠돌다(한국만한 곳이 없습니다) 서울에도 좀 있다가 내려와 사는데 여기는 외동이 잘 없습니다! ㅎㅎ 아이 하나 있는데 거의 매일 둘째 얘기를 들을 정도..ㅋㅋ 일자리가 많이 없어서 젊은층 유입이 적습니다만.. 집이 있고, 아이 자연에서 뛰놀게 하고 가족과 시간 많이 보내니 만족하며 삽니다 ㅎㅎ 확실히 심적이든 환경적이든 안정감이 들면 더 좋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
@박주연-i1h5f 1
2024년 3월 30일 12:33비례15번 찍어요.⬆️↗️↗️🌽🌽🇰🇷🇰🇷⁉️⁉️
@존잘-v6g 1
2023년 3월 06일 02:53조건따윈 걸지 마십쇼 저출산시대 환영합니다
@minscarub 1
2023년 3월 07일 02:05경력이 단절이 되야 애를 낳지,,,. 헛소리하고 있네 전라도랑 국뽕이 만나니...흐른다 흘러....
@go_small_step 1
2023년 3월 03일 10:36오늘도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0^
하나씩 배워갈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green_nomad 1
2023년 3월 05일 02:14캘리포니아 스타일(?)을 포기하시고...삭발 너무 멋있습니다 신박사님!!! 실천력은 정말 우주최고세요ㅋㅋㅋㅋ 30대 중반 미국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공감가는 부분도 많고 이것저것 얻어가는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모두가 발전하고 행복해지기 위한 방법들 알려주시는 컨텐츠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4년 가까이 영상 열심히 보고 있는 애청자인데 이제야 첫댓글 달아봅니다ㅎㅎㅎ)
@Hicamita
2023년 3월 03일 19:12감명깊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윤진미-i4k
2023년 3월 04일 06:38캘리포니아 스타일 ㅋㅋ
역쉬 실행력 갑오브갑 이십니다
생각을 깨우는 영상이었습니다
@EyesofFaith-h7
2023년 3월 07일 22:36신박사님 갖고 계신 마인드나 말씀하시는게 기독교인 같아요 😄
@katie5260
2023년 3월 03일 12:12삭발하셨다는 말에 빵터졌습니다.ㅎㅎ
넘 멋지세요.저두 삭발하고 싶거든요
헤어에 시간쓰는게 아까워서.ㅋㅋ
신박사님 크리스천인줄 알았는데 아니었군요.저는 하나님 만나서 진정한 행복을 느끼며 살아요.신박사님 위해서 기도로 응원할게요
건강회복되시길~~사업번창하세용♡♡♡
@유우주-u6r
2023년 3월 20일 03:30들으면 들을수록 한국은 죽음의 땅이네....
@순돌이퍼즐
2023년 3월 05일 20:26감사합니다. 건강하시길 기도합니다.
@studian365
2023년 3월 02일 17:08앤드루 도이그 [죽음의 역사]📘
👉 https://bit.ly/3SDYGTr
@로또당첨대박
2023년 3월 03일 15:19박사님 이신가보내요. 힙합 좋아하시나보다. 저도 힙합 좋아합니다. 왜곡된 비교문화는 미국 이민자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 고급차 타고 다님. 다른 나라 출신의 이민자와 비교해서, 버는것에 비해 차는 훨씬 좋은차 타고 다님. 아 근데 생각해보니 지금이야 말로 극락조선입니다. 부모님대만 해도 (조부모 세대일수도 나이에 따라서) 배고픈 나라였습니다. 북조선에서 선전 선동하는 “이밥 먹고 고기 먹는나라”가 됐습니다 대한민국은. 북조선이야 왕조 국가로 조선에 이은 최빈국이 되었지만. 그리고 조단 피터슨 박사말을 인용하면 일년에 $34,000의 연봉이면 전세계 탑 1% 안에 든다고 합니다. 위를 보면 끝이 없어 보이지만, 밑은 더욱더 많습니다.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것만으로도 당신은 탑 10프로 안에 가뿐히 듭니다.
@ccoccosong3284
2023년 3월 03일 12:18신박사님
너무 극과극이에요 ㅋㅋ
수염 엄청기르시다가 삭발이라니...
아내분 놀라셧겟어요 ㅎ
저두 환경생각하고 물아끼구 시간 아낄려구 머리기르지 않구 단발컷 짱이에요
그리구 제가 가임 하고싶어하는분께 들었는데 요즘엔 이유없이 아이 못 가지는사람이 엄청많잖아요
그래서 인공수정을 많이 하는데 비용때문에 포기한데요 넘 안타까워요
이분들께 나라에서 지원해야 효율적이지 않나요??
결혼생각지도 않는데 낳으면 뭐 해주겟다???
이건 현실을 모르고 정책을 하는것같아 넘 답답해요
국민이 뭘 진정 바라는지 알앗음 좋겟어요
스터디언 쫌 봣으면 ㅎ
이번 영상은 필방 ㅎㅎ
감사합니당 신박사님....🤗💜💜
@문용식-y4p
2023년 3월 05일 22:09솔직히 펙트로 조지면
한국의 인구밀도는 세계 13위로 매우매우 높음
향후20~30년 저출산은 솔직히 문제 없음
@당신의이야기-s4u
2023년 3월 03일 08:47크..너무 조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