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을 많이 하는 아들 때문에 좀 걱정인데요.. 게임 하는 것 자체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있겠는데 통제를 못할 때 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못하게만 하다가 오히려 몇번 게임을 같이 해주니까 아이도 좋아하고 아빠보다 확실히 더 잘 하는게 있다고 느끼니까 자신감도 더 생기고 하는 것 같아 요즘엔 무조건 하지 말라기 보다는 아빠랑 같이 하자 그런데 딱 몇판만 하자 라고 하니까 사이도 좋아지고 스스로 통제력도 더 생기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 강의를 아이와 공유해볼께요. 엄청 좋아할 것 같네요~ ^^
게임을 좋아하는 11살 남아엄마예요. 게임을 시작힌 후로 아이와 자꾸 부딪히는 일이 많아졌고 게임을 못하게 한다고 안하는건 아니더라구요 밖에서 친구들 만나면 게임얘기 게임같이 하는게 놀이가 됐으니까요. 게임에 관한 책 몇권도 읽어봤었어요. 이해를 하고 적정헌 시간만 잘 지킨다면 게임에 대해선 얘기를 안하겠다 맘먹었지만 일단 시작하면 시간을 넘기기 일쑤엿고 또 부딪히게 되더라구요. 아이는 아직도 저와 게임을 같이 하고 싶어해요. 그런데 저는 관심없음을 강조하면 미루고 있습니다 게임은 통제하면 할수록 게임으로 또 풀려고 한다는 말씀고 이해되고요. 강연들으면서 아이는 게임으로 자기가 좋아하는것을 저에게 얘기해주고 싶었고 소통하고 싶어한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완전하게 받아들이진 못했지만 덕분에 게임에 대한 생각을 다각도로 생각해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게임방송인으로서 강연 인상깊게 들었습니다. 게임은 재미를 가져다주기 때문에 젊은층, 나아가 더 많은 층에서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요. 어차피 겪게 될 것이라면 게임을 마냥 적대시하는게 아니라 어떻게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어른들이 많이 생각해봐야 할 지점일 것 같습니다. 어떻게하면 더 좋게 게임을 활용할 수 있을지, 게임을 하는 심리는 무엇인지 게임 하는 당사자와 가족들이 함께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게임 하는 사람 스스로도 내가 게임을 하면서 어떤 부분을 잘하고 좋아하는지 생각하다보면 내 재능을 발굴하고 진로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하며 사람들과 채팅하는 걸 좋아한다면 사람들과 교류하는 진로를 생각해볼 수 있겠고 게임의 운영원리에 관심이 있다면 개발, 유튜브 게임영상 보길 좋아한다면 콘텐츠 제작, 게임 캐릭터에 흥미가 있다면 그림이나 디자인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그걸 통해 현실세계에서 어떻게 살아갈지 생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재미가 있어야 하는것인데 어른들은 공부공부하는것 같아요 공부는 아이들에게는 재미가 없는것이고 온라인게임같이 재미있는게 없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재미있는것을 함께하며 시간을보내야하지않나 생각됩니다 실현가능한 나를발견하게하는 디딤돌이 되어야한다는거 에 공감합니다 말과행동을 바꾸자 숨겨진 자녀의 능력을 칭찬해주자 믿고인정해주자 ♡♡♡♡♡
아동교육 상담학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고 3 학생입니다. 평소에 게임을 통해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고, 나 자신을 다 잡아갈 수 있는 시간들이 되었습니다. 무조건 게임이 나쁘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몇개월 전에 들었던 교수님의 강의를 다시 들으면서 상담자로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삼 인식하게 됩니다.
교수님 얘기를 듣고나니까 이해가 되네요 생각해보면 저도 어렸을때 해가 지도록 친구들이랑 놀았는데 어떻게보면 우리 아이들이 하는 게임도 그 놀이의 한 종류인데 왜 그렇게 생각하지 못하고 게임을 못하게만 했는지 조금 미안해지네요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게임을 찾아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파인트리.finetree 17
2023년 3월 06일 18:46아이들을 이해하기 위해 게임 속으로 직접 들어가신 교수님의 연구와 노고에 감사합니다. 자세히 알려는 마음보다 무조건 공부에 방해가 된다는 마음으로 터브시하고 못하게만 했는데 관점의 전환을 갖는 계기가 되었네요.
게임의 순기능에 대해서 아무리 인지하려고 해도 불안한 마음으로 잔소리만 하게 되는데요. 교수님 말씀처럼 악순환이 되었습니다. 아이에게 먼저 선순환의 고리를 요구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게임을 통해서 '아하!'체험을 하고 전술과 전략을 배울 수 있고 놀면서 게이머들과 소통하는 것으로 소통능력도 키울 수 있고 무엇보다 부모가 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기회로 삼는다니 한편 안심이 되기도 하고,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게임하는 심정을 이해하고, 선순환을 갖기 위해 부모가 먼저 달라져야 하는 것을 깨닫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비단 게임에만 국한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저는 문제라고 생각하는 아이의 다른 행동에도 교수님의 관점을 적용해 보고 싶습니다.
먼저 말로써 상처주는 것을 멈추고, 아이가 하는 게임 옆자리를 내주지는 않겠지만 부드러운 눈빛으로 먼저 질문하고 싶습니다. "재밌었어?"라고요. 언젠가는 더 커진 회복탄력성으로 우리 아이가 자신의 가능성을 게임 너머에서 실현하는 날이 오기를 바람해 봅니다.
@서경훈-t3v 11
2023년 3월 06일 18:30게임과 공부에 집중력이 균형을 이루고 공부에 따른 학습효과를 높이는 부분에 대한 강연이 이루어져 좋았습니다!
@Filia7-m2f 10
2023년 3월 06일 18:41게임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신선하고 새롭습니다. 게임을 통한 놀이로 힐링하며 행복한 학생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응원합니다.
@박경아-w1m 9
2023년 3월 07일 09:12어린이집 현장에서 매일 고민하는 보육교사입니다
교수님의 강연을 통해 제자신 생각의 전환이 필요함이 느껴집니다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sebasi15 8
2023년 3월 06일 18:23[책이벤트] 강연 소감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추첨을 통해 세바시 강연자의 책을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3/6~ 3/10일까지, 3/13일 발표, * 해외거주자일 경우 당첨자에서 제외됩니다)
@adk-qb2pe 8
2023년 3월 06일 20:50게임을 많이 하는 아들 때문에 좀 걱정인데요.. 게임 하는 것 자체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도 있겠는데 통제를 못할 때 문제가 되는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못하게만 하다가 오히려 몇번 게임을 같이 해주니까 아이도 좋아하고 아빠보다 확실히 더 잘 하는게 있다고 느끼니까 자신감도 더 생기고 하는 것 같아 요즘엔 무조건 하지 말라기 보다는 아빠랑 같이 하자 그런데 딱 몇판만 하자 라고 하니까 사이도 좋아지고 스스로 통제력도 더 생기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 강의를 아이와 공유해볼께요. 엄청 좋아할 것 같네요~ ^^
@불꽃망치 8
2023년 3월 06일 19:22운동선수가 담배필수도 있지,
운동하면서 술도 먹을수 있지,
인간인데 거시기도 할수 있지,
그럼 해결책은요?
자식의 게임습관 때문에 이영상을 본다면
수궁하실건가요?
@날고픈달팽이 7
2023년 3월 06일 18:54저는 겜알못이라 저희집 세남자(남편.아들둘)의 취미를 절대 이해못했었고,매순간 일상생활보다 게임에만 집중해 있는것이 정말 보기싫었는데 강의를 듣고보니 사회적기술.회복탄력성.튼튼한 감정까지 학습할수있다니 적어도 아이들편에서 한번씩 공감의 표현을 해야겠어요.감사합니다
@hanwoori78 7
2023년 3월 06일 22:25그건 10명중 3명정도겠죠 중독이 더많이 됩니다 사행성은
@dnftmdal 5
2023년 3월 06일 18:13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jin-youngjeong318 5
2023년 3월 06일 18:14게임에 대한 선입견에 갇혀서 게임을 안좋게만 생각했네요. 잘만 활용한다면 아이들의 발전에 더 큰도움이 된다는걸 알았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WBB511 4
2023년 3월 06일 19:43흠
@행복을꿈꾸다-r4j 4
2023년 3월 06일 19:29게임이 꼭 나쁜건 아닌거 같아요 중독성만 조절한다면 스트레스 해소나 활력을 주는 것 같아요
@오홍스튜디오 4
2023년 3월 07일 16:31연구하신 것 수고는 많으셨지만 아이를 대상으로 실험하긴 싫으네요ㅜㅜ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을 많이 해주고 다른 취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 나을듯 합니다..
@언제나맑음-c8m 4
2023년 3월 07일 09:10게임을 좋아하는 11살 남아엄마예요. 게임을 시작힌 후로 아이와 자꾸 부딪히는 일이 많아졌고 게임을 못하게 한다고 안하는건 아니더라구요 밖에서 친구들 만나면 게임얘기 게임같이 하는게 놀이가 됐으니까요. 게임에 관한 책 몇권도 읽어봤었어요. 이해를 하고 적정헌 시간만 잘 지킨다면 게임에 대해선 얘기를 안하겠다 맘먹었지만 일단 시작하면 시간을 넘기기 일쑤엿고 또 부딪히게 되더라구요. 아이는 아직도 저와 게임을 같이 하고 싶어해요. 그런데 저는 관심없음을 강조하면 미루고 있습니다 게임은 통제하면 할수록 게임으로 또 풀려고 한다는 말씀고 이해되고요. 강연들으면서 아이는 게임으로 자기가 좋아하는것을 저에게 얘기해주고 싶었고 소통하고 싶어한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완전하게 받아들이진 못했지만 덕분에 게임에 대한 생각을 다각도로 생각해보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희-e8c 4
2023년 3월 06일 23:09조카가 게임에 빠져 가족 모두가 고민중이었는데 교수님의 명쾌한 말씀이 가슴을 뻥 뚤리게 만들어 주셨습니다.
확실히 같은 눈높이에서 이해하는 게 중요하군요. 교수님의 말씀대로 실천해 보아야겠습니다. 진심으로 명쾌한 말씀에 감사를 표합니다.
@Chanmul 4
2023년 3월 09일 12:44게임방송인으로서 강연 인상깊게 들었습니다.
게임은 재미를 가져다주기 때문에 젊은층, 나아가 더 많은 층에서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라고 생각해요. 어차피 겪게 될 것이라면 게임을 마냥 적대시하는게 아니라 어떻게하면 긍정적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시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어른들이 많이 생각해봐야 할 지점일 것 같습니다. 어떻게하면 더 좋게 게임을 활용할 수 있을지, 게임을 하는 심리는 무엇인지 게임 하는 당사자와 가족들이 함께 생각해봤으면 좋겠어요.
게임 하는 사람 스스로도 내가 게임을 하면서 어떤 부분을 잘하고 좋아하는지 생각하다보면 내 재능을 발굴하고 진로를 발견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하며 사람들과 채팅하는 걸 좋아한다면 사람들과 교류하는 진로를 생각해볼 수 있겠고 게임의 운영원리에 관심이 있다면 개발, 유튜브 게임영상 보길 좋아한다면 콘텐츠 제작, 게임 캐릭터에 흥미가 있다면 그림이나 디자인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그걸 통해 현실세계에서 어떻게 살아갈지 생각을 확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강연 감사합니다! 쓰신 책도 꼭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Nuyhijnuhc 3
2023년 3월 07일 10:51마지막에 팁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음을 알아주는것은 사람을 성장케합니다 느리지만 꼭 그렇게됩니다 저도 그것을 믿습니다
@보랏빛향기-o8d 3
2023년 3월 07일 11:20강의를 통해 게임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새로운 시각으로 보게되어 무지했던 자신을 돌아보게됩니다.
@미소-g9e 2
2023년 3월 07일 20:03아이들은 재미가 있어야 하는것인데 어른들은 공부공부하는것 같아요 공부는 아이들에게는 재미가 없는것이고 온라인게임같이 재미있는게 없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재미있는것을 함께하며 시간을보내야하지않나 생각됩니다
실현가능한 나를발견하게하는 디딤돌이 되어야한다는거 에 공감합니다
말과행동을 바꾸자
숨겨진 자녀의 능력을 칭찬해주자
믿고인정해주자
♡♡♡♡♡
@YouTube레몬캔디 2
2023년 3월 06일 19:19게임을 배워 배워 보지도 않고 무조건 화만 내었는데 반성하게 됩니다. 저도 같이 해보고 느끼고 배워 보겠습니다
@mumusosoyouyou 2
2023년 3월 12일 08:51감동입니다❤
@정근도-x6e 2
2023년 3월 06일 21:34게임 🎮 ♥️ 🎲 재미있다
성취 실패를 통해서.......
카타리나 카친님 뽀뽀 💋 😘
소통이 가능한 게임이 아닐까요 😂 🤔
@신부수업-i8v 2
2023년 3월 08일 12:38오우 감사합니다.
틈만나면 게임만 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전쟁중인 엄마입니다. 아이들이 빠져있는
게임에 내가 관심을 가지고
아이들과 함께 게임에 대해 공감대를 만들어나가야한다는 말씀에 방법을 찾은듯 합니다
아이들 잘 키워내야하는 방법은 끝없는 엄마의 노력이네요 ㅠ
@노영욱-o8y 2
2023년 3월 08일 18:59게임을 무조건 막는 것보다
아이의 게임을 새로운 접근인 교육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같이 고민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민힝-r4x 1
2023년 10월 13일 00:58아동교육 상담학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고 3 학생입니다.
평소에 게임을 통해 소통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되었고, 나 자신을 다 잡아갈 수 있는 시간들이 되었습니다.
무조건 게임이 나쁘다는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몇개월 전에 들었던 교수님의 강의를 다시 들으면서 상담자로서의 역할의 중요성을 재삼 인식하게 됩니다.
@이강쥐-w4o 1
2023년 3월 25일 16:07게임에 대해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게임 처럼 즐겁게 공부도 일도 할 수 있다면 행복도 성공도 아주 가까울거예요^^
@oheateel4791 1
2023년 3월 26일 17:55교수님 얘기를 듣고나니까 이해가 되네요
생각해보면 저도 어렸을때 해가 지도록 친구들이랑 놀았는데 어떻게보면 우리 아이들이 하는 게임도 그 놀이의 한 종류인데 왜 그렇게 생각하지 못하고 게임을 못하게만 했는지 조금 미안해지네요
아이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게임을 찾아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mongorange5352 1
2023년 3월 14일 18:34메이플스토리..
현실친구, 온라인친구, 파퀘, 여행, 모험, 자본거래.. 생각해보면 메이플하면서 참 많은걸 배웠던 것 같아요~
@이은미-v5n 1
2023년 3월 07일 16:37읽어보고싶어요
@구영미-z3v 1
2023년 6월 06일 10:36말하기도 잘하시고 진심이 담긴 글도 잘쓰시는것 같습니다
@Ms-hp1ku 1
2023년 9월 07일 23:09박교수님 강연을 듣고 긍정적 동기부여 많이 받았습니다
게임이 왜 필요한지 알게 되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