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적당히 잘하자.처음부터 잘 하려고 하지말자.공부의 가장 웬수는 완벽이다 2.창의성은 독창적 편집과정이다-기억의축적(10년),활용(5년),편집 3.공부란 들은 내용을 그려보고 편집하고 다른 내용과 결합하는것이다. 4.이해정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이해를 못한부분이나 빠진 부분이 드러난다.그 구멍을 찾고 메꾸자
6:30 모든 창의성은 독창적 편집 과정 모든 창의성의 단계는 3단계 기억의 축적: (박문호 10년) 기억의 활용: (박문호 5년) 기억이 내 몸에 심어져 기억이 3초 이내 소환 되야 기억의 편집: 창의성(전문가용) 정보에는 퀄리티가 있다. 결정적 지식 대륙/강물/암석학은 인수분해 가능, 모듈화 레고블럭화 판구조론, 핵융합, 호흡, 생명은 어떻게 작동하나? 빅뱅에서 인간의 출현까지 20단계, 그림으로 그려보면 뭘 모르는지 드러난다. 구멍이 드러나야 하는데 그래야 뭘 모르는지 안다.
와. 모든부분에 통감하고 듣고있는데 24분 반려견 법적 지위를 주어야한다고 반려견의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의미가 AI출연 이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 말씀시는부분에서 소름 돋았네요. 인류학 생물학 뇌과학 행동학 퀀텀피직스 사회심리학 등 그안에 내포되어있는 많은 분야를 공통적으로 숙고해서 나온 통찰의 인사이트입니다. 존경스럽네요. 그려서 확인해보는것이 메타인지에 피보탈 역할을할것으로 보입니다. 좋은 방법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을듣고 문득 든 생각을 주저리 끄적여봅니다. "偉編三絶"이란 유명한 일화를 만들어냈고 ,공자님이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손에서 놓지 않으셨다던 그 주역에서도 64괘라는 삼라만상의 운행원리를 단지 직선의 한줄(양)과 두줄(음)만으로써 너무나도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도식화 시켜놓았습니다. 주역책이 쓰여진지 몇 천년이 흘렀지만, 옛 선인들의 창의성과 깊이있는 지혜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제 아무리 날고 긴다해도 결코 따라갈수 없는거 같습니다.
@johnkwon400 46
2023년 3월 10일 18:16가슴이 뛰네요 대가 라는 말밖에 떠오르지 않습니다 존경합니다
@bluecrystal9167 37
2023년 3월 20일 17:241.적당히 잘하자.처음부터 잘 하려고 하지말자.공부의 가장 웬수는 완벽이다
2.창의성은 독창적 편집과정이다-기억의축적(10년),활용(5년),편집
3.공부란 들은 내용을 그려보고 편집하고 다른 내용과 결합하는것이다.
4.이해정도를 그림으로 그려보면 이해를 못한부분이나 빠진 부분이 드러난다.그 구멍을 찾고 메꾸자
@studian365 36
2023년 3월 10일 12:03🚀박문호 박사 영상 보러가기
1부 https://youtu.be/vnDaHldRKu4
2부 https://youtu.be/Ek_CMWVd_0I
3부 https://youtu.be/_QIS9ChYZuY
@뽀로롱-o2i 32
2023년 3월 10일 14:55박문호 박사님의 눈은 꼭 호기심 가득한 어린아이의 눈 처럼 반짝이는 것 같습니다
다시 한번 저를 돌아보게 됩니다
@율리우스카이사르-s9r 27
2023년 3월 10일 14:02우리시대 최고의 지식인 박문호 박사님
대한민국의 보배입니다.
@ith1595 26
2023년 3월 10일 19:28적당히 잘해라, 처음부터 잘할려고 하지마라 인간이 위대한 종이 된 것은 적당히 잘할 수 있어서 이다 공부의 가장 원수는 완벽이다
저에겐 올해의 문장입니다 깊은 인사이트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forYou-x3c 21
2023년 3월 11일 09:4218:40 세포 출현
아바타2 초전도현상, 노화(논문 2000편 3년)
23:00반려견
호모사피엔스, 듣기, 글쓰기, 얼굴 표정의 진화, 언어, 가상 세계(2nd nature)
27:32 인간의 현상은 기억과 감정의 공진화
@jinnypark9855 20
2023년 3월 10일 15:09와이스트릿에 인터뷰영상 보고 오마이사이언스했었거든요!!! 박문호박사님 강의 듣고, 학교 교육에서는 느낄 수 없었던 자연과 인간에 대한 호기심이 샘솟게 되었어요..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는걸 다시금 느끼게 되면서 지금은 과학공부가 너무 재밌어요
@Eoritrkd 19
2023년 5월 08일 00:28적당히 잘하라 완벽은 공부의 적이다
@brown_paper_luv 18
2023년 3월 10일 22:17박박사님 강의는 최곱니다 넘 쏙쏙 이해되고 기억도 잘나요❤
@세계정복2 15
2023년 3월 10일 12:16박사님의 호기심 가득한 얼굴이 너무 귀엽고 아름답습니다! 저도 그렇게 나이먹고 싶네욥😅❤
@아젠다-t2q 14
2023년 3월 16일 17:56이분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드디오 나오시네요.정말 대단하신분입니다.아빠, 남편이라는 단어보다는 학자, 박사, 교수가 어울리는 분입니다.완전골수 학자인데...전 이분 존경합니다...
@kr-gate7406 13
2023년 5월 07일 16:33햐.. 이런분이 우리나라에 계시니 얼마나 영광입니까
@우리동네건강상담소 13
2023년 3월 10일 13:31월말에서 박사님알고 영상 쭉 보고 있습니다 ㅎㅎ 오마이 사이언스!! ㅎㅎㅎ
@hangulassistant 13
2023년 3월 11일 08:45대단합니다 흥미롭고 신박하네요 감사합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이 많은데 그런 것들을 이미지화 하기 위한 팁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forYou-x3c 10
2023년 3월 11일 04:136:30
모든 창의성은 독창적 편집 과정
모든 창의성의 단계는 3단계
기억의 축적: (박문호 10년)
기억의 활용: (박문호 5년) 기억이 내 몸에 심어져 기억이 3초 이내 소환 되야
기억의 편집: 창의성(전문가용)
정보에는 퀄리티가 있다.
결정적 지식
대륙/강물/암석학은 인수분해 가능, 모듈화 레고블럭화
판구조론, 핵융합, 호흡,
생명은 어떻게 작동하나?
빅뱅에서 인간의 출현까지 20단계,
그림으로 그려보면 뭘 모르는지 드러난다. 구멍이 드러나야 하는데 그래야 뭘 모르는지 안다.
@vickylee6575 10
2023년 3월 10일 12:21박사님 멋있으십니다❤
@남상민-v9i 9
2023년 3월 11일 14:06박사님 가슴이 뜨거워 집니다 죽도록 노력하며 공부할게요 감사합니다
@byron4406 9
2023년 3월 11일 12:28와. 모든부분에 통감하고 듣고있는데 24분 반려견 법적 지위를 주어야한다고 반려견의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의미가 AI출연 이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 말씀시는부분에서 소름 돋았네요. 인류학 생물학 뇌과학 행동학 퀀텀피직스 사회심리학 등 그안에 내포되어있는 많은 분야를 공통적으로 숙고해서 나온 통찰의 인사이트입니다. 존경스럽네요. 그려서 확인해보는것이 메타인지에 피보탈 역할을할것으로 보입니다. 좋은 방법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지혜-l9c4t 9
2023년 3월 10일 13:53감사합니다. 최고최고입니다~.
fs 8
2023년 3월 10일 12:16월간김어준 보고 왔어요. 박문호 박사님 강의 감사합니다.
@김석-s2r 8
2023년 3월 11일 05:46기억에 축척이 필요한 것은 시간입니다
꾸준히 기억해 축적을 통해 쌓은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박정수-b1d 7
2023년 3월 10일 13:5706:35 창의성의 단계
@code9354 6
2023년 3월 13일 19:44와우, 최고의 강의입니다. 감사합니다.
@doublehj1242 5
2023년 3월 10일 14:00목차로 세분화했으면 좋겠네요
@지성여신 5
2023년 3월 12일 10:02와~이야기 들으니 공부하고 싶어집니다. 책 구입해야겠어요^^
@bluechois 5
2023년 3월 11일 05:04박문호 박사님 감사합니다 (())
@최강호-y8l 5
2023년 5월 02일 15:13고맙습니다 ❤
@JamesWLee-uh9jq 5
2023년 3월 10일 12:13공감합니다
@pjy627 4
2023년 3월 16일 17:21저는 무슨말인지 이해를 ㅜㅡ 어디부분이 잊지않고 기억하는 부분일까요???
@tea0811 4
2023년 3월 10일 12:36감사합니다🙏
@AioUsbyUs4us 4
2023년 3월 10일 21:27통찰과 통달의 단계로 가는 길. 감사합니다.
@jaena7718 3
2023년 3월 29일 23:32강의가 너무 귀합니다.
참 유익하게 들었어요.
@toinfinityandbeyond8295 3
2023년 3월 11일 03:354부는 '한번 공부한 내용을 죽을 때까지 기억하는 법'과 관련된 내용이 적네요.
@soulbodam 3
2023년 4월 18일 01:17와.. 인류의 리더네요. 인문학도 모듈화가 가능할까요? 이과는 아니지만 감사합니다
@떵이-n6y 3
2023년 3월 11일 06:06모토가 적당히 잘하라~
공부및저에 생각에 희미한 틀을 알려주어서 엄청 감사합니다😍😍😍
다빈치등
3초에 의미가 궁금해요?
@user-pz2ht4dn4y 2
2023년 3월 10일 12:17감사합니다.
@Lee인성 2
2023년 3월 10일 20:14감사합니다
@alicemonkyj1952 2
2023년 3월 11일 10:33공부는 퍼즐맞추기
그림으로 깨달아
미래의 생존으로
기억과 감정의 공진화
@요쿠르트-r1u 2
2023년 3월 10일 17:57구구단처럼 한번 익힌 것은 죽을때까지 기억 하는 법
JS teacher 1
2023년 3월 10일 12:22감사합니다.
이해군 1
2023년 3월 10일 13:15박사님의 마인드 맵~^^~
@mk0154 1
2023년 5월 06일 05:32뭔지는 모르겠지만 꾸준히 배우겠습니다
fs 1
2023년 3월 10일 12:15🙆🏻♀️👍🏼
@강줴-n8j 1
2023년 5월 13일 19:04법학에도 그림이 적용되나요
@alex-ex8qd 1
2023년 5월 07일 18:06어렸을때 외운 조선왕조27대 평생 안잊어먹는거 신기함..세계지도 국가와수도 전부 외웠었는데
지금은 아프리카쪽은 많이 잊어버렸음,,유럽과 아시아 미주는 생생,,.
@유영두-v4h 1
2023년 5월 05일 19:14표정을 보니 타고난것 같네요 열정 호기심이 느껴집니다 근데 일반인들은 근접하기 어려울것 같네요 좋은 기능을 타고 나셨네요 축하드립니다
@user-vr5ob4dr5z
2024년 6월 18일 18:114:27
5:29
6:01
6:27
6:55
7:41
9:58
11:15
16:54
20:43
22:03 ~
24:46
26:04 ~
정청
2023년 3월 10일 15:56선생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을듣고 문득 든 생각을 주저리 끄적여봅니다.
"偉編三絶"이란 유명한 일화를 만들어냈고 ,공자님이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손에서 놓지 않으셨다던 그 주역에서도 64괘라는
삼라만상의 운행원리를 단지 직선의 한줄(양)과 두줄(음)만으로써
너무나도 창의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도식화 시켜놓았습니다.
주역책이 쓰여진지 몇 천년이 흘렀지만, 옛 선인들의 창의성과
깊이있는 지혜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제 아무리 날고 긴다해도
결코 따라갈수 없는거 같습니다.
@tnstlsli5381
2023년 8월 29일 09:33크아,공부는하는거다,명언이십니다 공부는집어넣는거다라는 멍청이들도있는데,,,
이대성 훈육애견미용사
2023년 3월 10일 16:20교수님 바로 책 구입 합니다.
영상 너무 좋아요 👍
교수님 다른 영상도 시청 하겠습니다.
@Gook2man
2023년 4월 23일 18:124:48 8:20
@sangjuncoreano
2023년 3월 18일 11:424:30
@ttola3796
2023년 10월 17일 12:53결정적 지식!
@태시기-w3s
2023년 4월 07일 15:37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새계정-v5c
2023년 6월 28일 21:49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