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쓰면서 암기하는건 확실히 효과가 있고 저도 그렇게 하는데, 저렇게 10번씩 써보고 수첩에 옮기는 반복 작업은 나한테 맞는 옷을 찾는 과정 같습니다. 잘 외워지는 포인트를 찾기위한 자기만의 방법이죠. 우리는 애국가나 구구단을 몇 번씩 써가면서 외운게 아니더라도 아직까지 기억하는분들 많습니다. 결국 몇 번씩 쓰지 않더라도 암기하고 깨닫는데 자기만의 방법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걸 찾으려고 다양한. 사람들이 하고있는 이 방법 저 방법 모방부터 시작하는거죠.
공감합니다. 써가면서 내 나름대로 노트화하는게 정리도 되고 기억도 잘됩니다. 시험보기도 좋지요. 그런데..한가지 주의할 점은 계속 사실 위주로 간략화해 정리만하게 되고, 뇌도 자꾸 그렇게 훈련되고 그러다 보니 자꾸 생각을 깊고 넓게 못하고 자기 생각을 충분히 갖는 습관이 잘 안되는것 같아요. 기억하기 좋게 정보를 가공하여 기억을 잘하는것과 자신만의 철학을 갖게 되는것은 천치 차이가 나는것 같습니다.
박문호씨의 핵심부분 강조부분은 그가 항상 강조하는 고등학교 세계사 수준을 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딱들어봐도 오마이사이언스 미국사 중국사 전공 교수들이 이걸 보지도 않겠지만 동부 13주에 미국사의 에센스가 있다는 박문호씨의 해괴논리에 어이없어 할것이다. 박문호씨 열심히하는 모범생 느낌은 있으나 어딘지 편벽되고 자기만의 세계에 긷혀 있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오마이사이언스
@정직한신도 690
2023년 3월 12일 16:27이거맞음 나 25살때 노트에다가 단어쓰면서 연관단어 생각나는대로 쓰는방법으로 33000단어 한달만에 외웠음. 내가 천재였네 이런방법은 아무도안쓰더라고
@김석-s2r 109
2023년 3월 12일 21:44남에게 듣는 것이 공부에 초기 단계이고 그 다음에는 직접적으로 해 보는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을 시각화 하는 것 자체가 진정한 공부가 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pakdoit 104
2023년 3월 12일 13:44저도 쓰는것에 대해 100% 공감합니다.
무언가를 쓰다보면 창의적인 일들이 더 많이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책도 읽은다음 요약본을 쓰기도 하고 매일매일 제 목표를 다이어리에 적기도 합니다.
@hangulassistant 101
2023년 3월 12일 13:22세상은 넓고 대단한 사람은 많구나
@02s 91
2023년 3월 13일 15:22와.. 엔딩에 멍해짐..
자연이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그런 인간이 되기 위해 자연의 언어를 습득해야 되고,
그런 용도로 기억을 이야기 하는 거라늬...
와... 느낌표가 백만개 붙음.
박문호박사님 진짜 멋짐 폭발!
@주보기-w6e 70
2023년 3월 21일 10:36학창시절 컨닝페이퍼 만들다가 내용 대부분을
외워 버리는거 랑 같은 결과일듯.
@jwPick 57
2023년 3월 12일 23:27선생님, 저는 항상 공부는 어떻게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갖고 살아오면서 메타인지가 중요하다는것을 깨닫고는 있었지만, 효율적인 방법은 몰랐었는데, 그림그리기 습작을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메타인지를 하는 방법과 공부 방법을 공유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김현옥-d4i6e 55
2023년 3월 12일 22:51놀라서 입이 안 다물어지네요!!
박사님 이야 말로 살아있는 최고의 공부신!!
이게 가능하다니...
@prowide6350 50
2023년 3월 15일 01:24내가 설명하지못하는 지식은 내것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살았습니다. 저는 저보다 공부잘하는 친구에게 질문하고 저보다 공부못한 친구를 앉혀놓고 제가아는걸가르쳤습니다. 직장에서도 그렇게하고있는데 최고의방법이더라구요 ㅎ
@고도리-v4y 41
2023년 3월 12일 20:37손으로 쓰면서 암기하는건 확실히 효과가 있고 저도 그렇게 하는데, 저렇게 10번씩 써보고 수첩에 옮기는 반복 작업은 나한테 맞는 옷을 찾는 과정 같습니다. 잘 외워지는 포인트를 찾기위한 자기만의 방법이죠. 우리는 애국가나 구구단을 몇 번씩 써가면서 외운게 아니더라도 아직까지 기억하는분들 많습니다. 결국 몇 번씩 쓰지 않더라도 암기하고 깨닫는데 자기만의 방법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걸 찾으려고 다양한. 사람들이 하고있는 이 방법 저 방법 모방부터 시작하는거죠.
@luca5470 37
2023년 3월 12일 12:20박문호 박사님 강의들 대단히 도움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nomade_solar 37
2023년 4월 10일 21:36내용도 내용이지만 설명해주실 때 빛나는 선생님의 눈과 미소, 뜨거운 열정에 정말 많은 걸 느끼고 배웁니다.
@wqesad2 34
2023년 3월 12일 12:06와 저거를 다 써가면서 공부하시는 열정 대단하시네요.
@riskan4220 29
2023년 3월 12일 12:58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책 읽는 방법중에 비슷한것이 있어 적어봅니다.
독서를 어떻게 할것인가? (모 유튭)
1. 책대로 살겠다(1회독) -> 새로운정보.감명받은것 <형광펜>
2. 형광펜 부분읽기(2회독) -> 다시는 잊지 말자 <밑줄>
3. 밑줄만 읽기(3회독) -> 인생으로 살겠다 <노트에필기>
4. 노트 읽기(4회독) -> 노트 수시로 읽기
=> 그렇게 살고 있느냐?
책을 읽고 나서 내 삶에 적용하는 방식중 하나일것 같습니다.
박문호 박사님과 방법이 비슷한것 같아 적어봅니다.
독서를 어떻게 할것인가? 에서
그림을 그려 보아도 좋은 또 다른?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감사합니다.
@에멀랄드-k9l 29
2023년 8월 23일 19:59공부잘하는,,사람은 똑똑하기도,,하지만,,진짜,열심히 공부하는거였구나 나도, 해보자
@봄의교향 28
2023년 8월 24일 14:10이렇게 훌륭하신분을 살다 살다
처음 뵈옵니다
全분야를 잘 아시는 분
우리 나라 보물 1호로
잘 지켜야 될 줄 압니다
후계자도 양성해 주세요
이런 위대한 분을 알고리즘으로
이제 알게 되었어요
@조철웅-v9b 27
2023년 3월 21일 09:36이 분은 여러 학문(자연과학과 인문학)을 두루 통섭하고
생명과 역사의 원리를 제대로 파악하시는 이시대의 현인인듯.
인생의 해답은 인문학이 아닌 자연과학에 있다 등등...
@꾸용-z4p 26
2023년 3월 12일 19:35박문호 교수님 강의를 보면 판서가 진짜 기가 막힙니다.
@gomi_gom 26
2023년 3월 13일 17:48공부는 자신의 언어로 해석하고 정리하는것
@김정순-e3g7f 26
2023년 3월 12일 14:21아, 오늘 강의는 정말 최고중의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 ~
@유오성-u3o 26
2023년 4월 24일 14:57감사합니다. 박사님~
1:30 모듈화
4:40 창의성
@굿좋은세상 19
2023년 4월 13일 05:25공부의 본질을 말씀해 주셨네요.
부와명예가 아닌
존중과사랑....
@Y지구-e5j 18
2023년 3월 30일 09:11공감합니다. 써가면서 내 나름대로 노트화하는게 정리도 되고 기억도 잘됩니다. 시험보기도 좋지요. 그런데..한가지 주의할 점은 계속 사실 위주로 간략화해 정리만하게 되고, 뇌도 자꾸 그렇게 훈련되고 그러다 보니 자꾸 생각을 깊고 넓게 못하고 자기 생각을 충분히 갖는 습관이 잘 안되는것 같아요. 기억하기 좋게 정보를 가공하여 기억을 잘하는것과 자신만의 철학을 갖게 되는것은 천치 차이가 나는것 같습니다.
@careyteacher6626 16
2023년 9월 13일 14:50저는 20년차 학원영어선생님입니다 항상 학생들에게도 머리가 기억못해도 손과 입이 기억한다 그러니 꼭 입으로 중얼거리며 손으로 쓰면서 공부하라고 말합니다
@micael2005 15
2023년 6월 25일 19:17주말에 장거리 운전하면서 소리로만 듣는데도 재밌고 ...소스라치게 노랍기도 하네요. 인생 살면서 부딪혔던 부분들이 조금씩 이해되는 느낌입니다. 진짜 최고의 강의 입니다.
@nothingtobdone 14
2023년 3월 17일 21:50전적으로 존경하고 동감합니다
인생은 스스로의 자기교육입니다
@펌킨-q4h 13
2023년 12월 18일 23:292025년도에 초등학생들 교과서를 태블릿으로 바꾼다는 말이 있던데 걱정입니다. 안 그래도 연필 잡는거 자체를 거부하는 아이들도 있다고 하는데 교실마저 책을 사용하지 않는다면...어떻게 될까 두렵기도 합니다.
@chayongwhi 12
2023년 3월 13일 23:43진짜 개 띵언중에 띵언입니다. 제가 하는 스타일이 딱 200% 적중입니다.
@user-pz2ht4dn4y 11
2023년 3월 12일 12:54감사합니다.
@명옥김-o4y 9
2023년 3월 12일 15:35박사님 짧은 헤어스타일
멋지십니다.
@studian365 7
2024년 2월 08일 17:58매일 작은 성장을 이끌어 주는 🗓하루공부 365 만년형 달력👉https://bit.ly/3UxFnOr
@pjhpppop 7
2023년 3월 18일 11:20연상하는 과정에서 머리에오는 스트레스가 문제지 ㅋㅋ 엣날부터 쓰던 공부법이지만 많이 포기하는
@careyteacher6626 6
2023년 9월 13일 14:51최근 우연히 쇼츠에 뜬 영상보고 박문호교수님을 알게되어 찾아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라하의 멍멍이 6
2023년 3월 12일 12:14더 모르겠네요
@기적-h3z 6
2023년 6월 21일 17:39박문호님은 진정 학문을 사랑하시는듯❤
스터디언 5
2023년 3월 11일 09:40🚀박문호 박사 영상 보러가기
1부 https://youtu.be/vnDaHldRKu4
2부 https://youtu.be/Ek_CMWVd_0I
3부 https://youtu.be/_QIS9ChYZuY
4부 https://youtu.be/wSmFM7HPB4c
@jin-kl4jh 5
2023년 3월 31일 02:17시험 1주일 남겨놓고 발견해서 오 이 방법 쩌는데 라고 생각했는데 이 방법에 확신갖고 갑니다.
@Hwag1123 4
2023년 12월 17일 23:25박문호씨의 핵심부분 강조부분은 그가 항상 강조하는 고등학교 세계사 수준을 넘지 못한다는 것이다 딱들어봐도 오마이사이언스 미국사 중국사 전공 교수들이 이걸 보지도 않겠지만 동부 13주에 미국사의 에센스가 있다는 박문호씨의 해괴논리에 어이없어 할것이다. 박문호씨 열심히하는 모범생 느낌은 있으나 어딘지 편벽되고 자기만의 세계에 긷혀 있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오마이사이언스
♡One hyde 원하이드 4
2023년 3월 12일 12:19존경합니다
밍짱 4
2023년 3월 12일 12:14우와!
@Alchemist-of-Destiny 4
2024년 4월 28일 20:43진짜 현명한 지식 너무 감사합니다!
@jaehyunpark3727 4
2023년 3월 14일 05:31자기주도학습! 박사님 감사합니다
@제제-d6p 4
2024년 3월 08일 03:09창의성의 본질, 감정이 바로 기억이고 공부잘하는 것보단 뭐 되고싶은 인간, 뭔가 가슴 저 밑에서 뭔가 올라오는 인간, 자연이 꽃이 바람이 나한테 말을 걸어오는 그런 인간이 되기위해 자연의 언어를 습득해야한다.
@힝-x4x 4
2023년 12월 12일 22:43넘 신기하다 제가 중 2 때 갑자기 공부에 미쳐서 노트만들기에 꽂혀서 맨날 순서도처럼 만들고 그림 그리고 도표 만들고 난리였는데 한 학기만에 성적 수직 상승했었네여
@fourdiza 4
2023년 8월 14일 19:41필사와 아웃풋(회상)훈련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정현주-w5t 3
2024년 2월 12일 21:29제 나이 61세 강의 들으며 저도 꿈과 목표를 가지고 공부하고 노트 스케치하면서 미래를 향해 달려갑니다
@HHH-lb6tm 3
2023년 10월 23일 12:14제가 뇌과학을 공부하도록 이끌어주신 박문호 박사님 늘 감사합니다. 건강 꼭 잘챙기세요^^
힘찬소리 3
2023년 3월 12일 13:03'자연이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인간이 되기 위해 자연의 언어를 습득해야 한다.' 에서 자연의 언어가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이 혹시 다른 영상에 있을까요? 이 영상에서는 못찾았네요.^^
김영식 3
2023년 3월 12일 14:51젊을 때 집이 가난해 공부하고 싶어도 못한 50대 후반인 지금 저같이 머리나쁜 IQ 100인 사람도 공부효과가 있습니까?
만학으로 이제야 방송대공부를 지금하고 있어서 박사님의 강의 여러번 듣고있어요.
꼭 박문호 박사님이 아니시더라도 효과보신 경험자 분들 답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병진요회장 3
2024년 1월 07일 14:50전 책을 한번 읽고 백지 종이에 기억나는 내용들을 적어요.. 기억이 안 나면 다시 읽고. 다시 백지 종이를 꺼내서 기억나는걸 적어요. 그런식으로 공부하니까 책 한권을 외웠어요
빌바르오 3
2023년 3월 12일 15:23이 분 강의는 머리나 공부센스가 어느정도 있는 사람들이나 느긋한 성격의 사람들한테 도움이 됨
이런 방법같은거 알려줄때 추상인 설명을 안좋아하는데 그런경우도 많음 초보자들이나 공부 빌드업을 더 끌어올리고 싶으면 이윤규 변호사가 방법이 최고임
@송영규-w1y 2
2024년 2월 06일 18:26존경스럽습니다.
@vin6227 2
2024년 2월 27일 17:50나만 알고싶다....진짜루
감사합니다 박사님😊
@wlee5698 2
2024년 2월 14일 13:05문제는, 어느정도 양을 넘어가면 써보면서 외울 양을 한참 넘어갑니다....
PPT 2천장이 일주일치 시험분량인데, 그거 정리도 못합니다. 그냥 휙휙 읽어서 외워야돼요...
rein king 2
2023년 3월 12일 13:20진짜 박문호박사님처럼 뇌과학적으로 공부법을 접근해야지. 오ㅇㅇ박사나 하는거보면 답답
avluv69 1
2023년 3월 12일 13:53말하시는 속도만 좀느리게하면 좋겠습니다
@duckymomdiary5388 1
2024년 7월 22일 06:27Wow 저도 반드시 연필하고 노트 있어야ㅜ생각도 정리가ㅜ됩니다
Kim 1
2023년 3월 12일 14:43감사합니다 역시 읽고 이해하는데만 그치면 안되겠네요
@동가홍상 1
2024년 8월 02일 14:04정말 맞는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
@joshua-uu1hs 1
2024년 2월 02일 23:27역사 책을 읽고있는데 내용이 방대해서 일단 지리부터 면밀히 살펴봐야겠네요
앙맘님
2023년 3월 12일 16:07한국사도 보여주시지 ㅠㅠ
김태연
2023년 3월 12일 13:00Output 은 정말 멋져 짱이야
성이름
2023년 3월 12일 15:08손으로 쓰는 것이 효과적이죠 디지털기기로 보고듣는 것은 정말 머리에 남지가 않더라구요
J P
2023년 3월 12일 16:16쓰면서 공부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이 이런 말을 하니까 1도 신뢰가 안 감. 심지어 저렇게 단언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영 못 미더움. 요즘엔 이렇게 단언하는 사람들 다 거르고 있네요. 조던 피터슨 말처럼 '유능을 모방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ᄋᄋ
2023년 3월 12일 16:047:54
다들 이렇게 다 그리실거아니면.. 그냥 다른 공부법 추천드립니다.... 정작 그려놓고 저거 1달만 지나도 읽기도 힘들거같은데 차라리 책을 형광펜으로 정리하거나, 메모앱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더 깔끔하게라도 정리하셔야할거같은데
이건희
2023년 3월 12일 16:04감사합니다
wonsik80 yun
2023년 3월 12일 13:52박사님은 물리학등 고등수준의 이해력과 암기력이 비범한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