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렵생활을 하던 당시에는 전염병이 거의 없었지만, 농경과 함께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동물을 통해 전염병 바이러스가 인간에게도 맞게끔 진화했고,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 국가 전체로 전염병이 빠르게 퍼져나가는 상황이 된 것 같습니다. 이제는 또 완전히 글로벌 시대다보니 바이러스에도 국경이 없어지게 된 거네요 ;; 프랑스가 말라리아로 인해 파나마 운하건설을 포기했다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이번 전염병은 한번이 끝이 아닐꺼고 앞으로 더 많이 일어날껍니다. 전염병 발병은 중국탓도 아니고 신천지 탓도 아닙니다. 인류의 탓이죠. 폐쇄된 가축농장과 비위생적인 도축 등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끝도 없이 발병할껍니다. 제발 혐오와 증오보단 냉철한 시각으로 앞으로의 재난에 대비합시다.
안녕하세요! 저희 - 장영창 (나사렛대), 노영윤(건국대), 우진옥(장안대) -는 대학 교수로서, 이번 코로나로 인해 동영상 강의를 합니다. 저희 강의에서 귀하의 동영상을 대학 교육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동영상 활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장영창 jyoungch11@hanmail.net 010-2229-0110노영윤 hairann@hanmail.net 우진옥 salt727@hanmail.net
@자자스 19
2020년 4월 02일 21:15난 내가 철저한 집돌이인줄 알았는데 첨으로 자전거타면서 벚꽃보는게 너무 그립더라구요ㅠ
@IIllIll 10
2020년 4월 02일 22:01팬데믹을 통해서
대한민국 정부, 국민, 시민의식의 세계적 경쟁력을 확인했습니다.
문재인 케어, 의료시스템은 알고보니 세계적 수준이었습니다!
투표 잘 합시다~~
@ucallmeid 7
2020년 4월 02일 20:47부디
전염병과만 싸워서 이기길 바랍니다
정치가들의
정치논리 따위는 없어야합니다
그리고 시민들은
철저히 예방 수칙을 따르고
인간적인 연대를 잃지 말았으면 합니다
@이수빈-w6f8k 5
2020년 4월 02일 20:41전염병의 역사 흥미롭네요! 얼른 이 팬데믹의 혼란이 잘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soul crashplay 5
2020년 4월 02일 20:26전염병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옛날 것도
보았지만 책그림의 추천 책이
꼭 보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
@user-dream-book 4
2020년 4월 02일 20:26총균쇠가 생각나요^^
@MJ책빵 3
2020년 4월 02일 20:34모든 전염병에 대한 승리가 하루 빨리 왔으면 좋겠네요.
전염병의 업그레이드 과정 잘 보았습니다.
뜬금포 한 가지 사실에 놀랐습니다. 팬데믹 선포가 제 생일에 있었군요;
@김토리-h2s 2
2020년 4월 02일 20:34우아! 팬데믹 관련한 책을 보고싶었는데, 책그림님 영상이 나오니 좋네요~!! 감사합니다!
@Di-eb9uu 2
2020년 4월 02일 20:41팬데믹 관련 책 꼭 읽어보고 싶어요!
@yullleekim3092 2
2020년 4월 02일 20:53요즘 우리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네요..! 부디
이 무서운 시국이 잘 지나가길 바랍니다!!
김성공TV 성공사관학교 2
2020년 4월 02일 21:02‘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 이 위기를 극복하려면 먼저 적을 알아야겠지요 적을 알려면 먼저 읽어볼 필요가 있는 책인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책읽어주는남자시온 1
2020년 4월 02일 22:46정말 살면서 코로나만큼의 전염병이 있었나 생각이 되네요;;
메르스때도 이정도는 아니었는데ㅠ
대체 언제 잠잠해질런지
츄츄촵촵 1
2020년 4월 09일 05:54코로나가 있어서 집에만있을수있어너무좋음
@byrus_GT 1
2020년 4월 02일 21:01영상을 보면 총균쇠가 떠오르는데... 다이아몬드 대신 하라리가 등장한다. 아쉽네 ㅋㅋㅋ//
@류미카엘 1
2020년 4월 02일 20:32ㅡ 화학 무기 실험 동물실험 임상실험을
@donggeul2862 1
2020년 4월 02일 20:50저게 진짜 의미의 예언서네요..
세트 1
2020년 4월 04일 15:18재밌게 잘 읽었어요.
@1_107 1
2020년 4월 02일 20:52아웃브레이크
@piamina8306 1
2020년 5월 09일 21:36다시 불안해졌어요 ㅠㅠ
@AAAE731 1
2020년 4월 04일 02:58형 나는 형이 말해주던때가 그리워 오랜만에 형 목소리를 들으면서 볼라고했더니 어느 여성분이 읽어주시네 나는 형이 말해주던때가 그리워..
5분상식 세계사 1
2020년 4월 03일 08:33수렵생활을 하던 당시에는 전염병이 거의 없었지만, 농경과 함께 정착생활을 시작하면서
동물을 통해 전염병 바이러스가 인간에게도 맞게끔 진화했고,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 국가 전체로
전염병이 빠르게 퍼져나가는 상황이 된 것 같습니다. 이제는 또 완전히 글로벌 시대다보니 바이러스에도 국경이 없어지게 된 거네요 ;;
프랑스가 말라리아로 인해 파나마 운하건설을 포기했다는 것도 처음 알았습니다.
trl C 1
2020년 4월 02일 20:251등
@꽹과리-p5b
2020년 4월 02일 20:32좋아요
@napmidday8788
2020년 4월 16일 07:25동물과의 잦은 접촉과 인구가 밀집된 주거형태 그리고 활발한 교역과 교류
@책수다-영화처럼보는
2020년 4월 04일 06:47시기 적절하게 좋은 내용 잘보았습니다
@softmediabox
2020년 9월 05일 15:32안녕하세요
책그림 담당자님 혹시 이영상을 함께 공유하고 영상을 다운받아 사용을 하려고하는데
혹시 괜찮을까해서 여쭈어 봅니다.
@JaeseonJeong
2020년 4월 12일 06:04좋은 영상과 책 잘 보고 갑니다~^^
Delil
2020년 4월 03일 04:18이번 전염병은 한번이 끝이 아닐꺼고 앞으로 더 많이 일어날껍니다.
전염병 발병은 중국탓도 아니고 신천지 탓도 아닙니다. 인류의 탓이죠.
폐쇄된 가축농장과 비위생적인 도축 등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끝도 없이 발병할껍니다. 제발 혐오와 증오보단 냉철한 시각으로 앞으로의 재난에 대비합시다.
장영창
2020년 4월 19일 18:11안녕하세요! 저희 - 장영창 (나사렛대), 노영윤(건국대), 우진옥(장안대) -는 대학 교수로서, 이번 코로나로 인해 동영상 강의를 합니다. 저희 강의에서 귀하의 동영상을 대학 교육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동영상 활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장영창 jyoungch11@hanmail.net 010-2229-0110노영윤 hairann@hanmail.net 우진옥 salt727@hanmail.net
@김현수-u4h
2020년 4월 05일 23:42너무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혹시 중학교에서 아이들 교육할때
중간부분만 (약 1분정도) 사용해도 될까요? 저작권 교육도 할거구요 ㅎㅎ
@호세조아
2020년 4월 05일 09:44책그림님 목소리 나레이션이 여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