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해가 안되면 훈련하라! 2. 무언가 되고자는 욕망은 감정이다. 하고자는 의욕이 강한 사람이 뭐든 잘한다. 즉, 감정이 핵심이다. 3. 감정은 기억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누군가 죽었을 때 죽은사람과 추억이 슬픔의 감정을 일으킨다. 4. 정리하자. 인생을 바꾸려면 감정에 초점을 둬야한다. 그런데 감정은 인위적으로 만들기 어렵다. 이에반해 기억은 인위적으로 만들기 쉽다. 그러니 조작가능한 기억에 초점을 두자. 어떤 기억을 심을 것인가? 그건 내가 선택할 수 있다.
박문호 박사님 실제 지리학 배운 걸 실제 그 나라 그 현장에가서 직접 느끼고 배운거 풀어내시는 찐 공부하시는 것 같아서 너무 멋지고 30년 학자 인생의 핵심과 에센스가 녹아있는 강의인 것 같아요 왜 대가들이 해가 지나고 공부를 거듭하고 수련할 수록 간결해지는지 이해가 될 것 같네요 시적인 표현(스미다,감정의 손때를 묻혀라) 많이 쓰신다 싶었는데 역시 예술에도 조예가 깊으신거 같아요
(강의 중 마음을 울렸던 것 박사님이 좋아하시는 네모랑 화살표로 정리하기ㅋㅋ) ■공부를 하는 이유는? 자연이(꽃이,별이)말을 걸어 올 때 대화하기 위해서..☆ ■기억=감정 (뇌의 기억부분과 감정부분이 같음, 좋은 감정을 동반한 기억은 오래 남는다. 즐겁게 즐기면서 배운 학습은 오래간다) ■기억->>창의성 (기억이 많이 쌓여서 독창적으로 변주한 것이 창의성. 그래서 많이 쌓는게 중요. 훈련된 많은 것들이 쌓여있다가 감정으로 욱! 하고 올라오는 것=창의성) ■이해X -> 반복+체화 (이해가 어렵다면 스트레스 받지 말고 자전거 배우듯이 몸으로 습득해라. 스트레스 받으면 뇌가 닫힘.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 것) ex)초딩 저학년에게 분수 이해 강요하면 안됨. 이해는 원래 있던 지식이 네트워크 되면서 일반화하는 과정임. 초딩 저학년은 원래있던 지식이 적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음. 피자조각같은 시각화 도구로 즐겁게 이해시키는 방법 쓰는게 효과적. ■내 감정의 손때를 묻혀라 (공부는 자기 언어로 바꾸는 작업. 책을 사면 노트처럼 밑줄치고 마구 필기하면서 내 언어로 바꾸면서 그리면서 공부하라) ■공부는 구멍 메우기 (메타인지의 중요성. 뭘 모르는지 알아야 그 부분을 매꿀 수 있음. 그래서 백지에 아는 거 그려보는 게 중요. 그리다 보면 모르는 부분은 안그려지고 모르는 부분 즉각 인지됨) ※에러피드백이 빨라야 됨 ■기억의 훈련=인출(Out put) (아웃풋엔 산책 효과적. 산책하면 뇌가 편안함을 느껴 기억의 문이 smooth하게 열림. 그때 뇌가 스스로 이해 안됐던 것을 다시 이해하려고 애씀)
제가 개발자여서 그런지 모듈화, 대칭화, 순서화에서 객체지향의 향기가 느껴지네요ㅎㅎㅎ 사실 꼭 코딩뿐만 아니라 공학 분야의 지식도 실제로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죠. 공학의 대상은 자연과학과는 달리 주로 인간이 만든 장치를 다룹니다. 그래서 모듈"화", 순서"화", 대칭"화" 같이 ~~화가 필요하지 않고 처음부터 모듈화'된', 순서화'된', 대칭화'된' 개념을 주로 다룹니다. 제가 배운 지식의 배후에 이런 사고 작용이 있었는지 이제서야 깨닫네요.ㅎㅎ
아이들 미술을 지도했었는데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그림을 못 그려서 고민이 되어 왔다는 부모님들이 꽤 있었습니다.대부분의 아이는 못 그리는게 아니라 알지 못해 그릴수 없는게 대부분이였죠.거북이를 그리려면 거북이의 등의 딱딱함의 용도를 이해하고 등껍질의 무늬를 그릴려면 뮈늬를 갖게된 스토리를 알면 재능에 관계없이 정확한 거북이를 표현합니다.호랑이가 호랑이 같지 않고 강아지가 강아지 같지 않은 그림은 그 동물의 본질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일 때가 많습니다. 무언가를 표현한다는건 고차원의 지식 검증과정인듯 합니다
우와.....이시간에 이걸 듣다가.....감격합니다....유레카! 기억을 폄하하고 원리이해를 중요시 하는 과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늘 어느부분 이해의 한계에 도달하다가 ... 최근 반복훈련을 하다가 거꾸로 이해가 되는 경험을 하고 있던 참이었어요...... 너무 감격스럽네요....감사합니다.... 제가 과소평가했던 기억과 반복훈련의 어마한 가치를 깨닫고 갑니다....
3년전 EBS스폐셜에서 박문호 공학박사님을 처음 뵈었는데,제가 좋아하는 지구과학이라 뚫어지게 보았답니다.오늘은 3시간을 돌려보며 메모해가며 보았습니다. 정말 뵙고싶습니다. 습작의 과정이 제가 평소 하고 있는것과 비슷하여 깜짝 놀랐습니다. ^^그런데,저는 한달에 한권이 안되어 반성합니다ㅠ 오늘 강의듣고 제가 먼저 바뀌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저의 아이들과 학생들에게 학습이아닌 감정의 언어와 “기억의3요소”를 꼭 활용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책은 신체의 리듬을 동반하며 기억의 문이 스므스하게 열린다" 너무 아름답게 들리네요 강아지와 산책할때 악상들이 많이 떠올라서 핸드폰을 거의 안가지고 나가는데 떠오른 아이디어를 녹음으로 남기려 가끔씩 소지하기도 합니다 왜 산책때 유난히도 악상들이 떠오르나 너무 이상하고 궁금했는데요 답을 찾았네요^^ 더욱 기분좋게 산책을 자주 해야겠어요 강의 듣는 내내 와~~가슴이 설레였습니다 제가 찾던 그런 책이 1년전에 나왔다니 너무 감사하고 감동적입니다
박문호 박사님은 자연과학계의 세종대왕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강의도 5번이상 듣고 , 다른채널에서 해주신 강의도 많이 들었습니다. 30년이상 자연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한 깊은 통찰을 통해서 조금 더 쉽게 자연과학을 이해할수 있는 언어 화살표, 직사각형, 직선을 이용한 대칭화, 모듈화, 순서화를 설명해주시는 마음이 아마도 세종대왕님께서 백성들이 조금이라도 배움을 쉽게 해주기 위한 이타심에서 만드신 한글처럼 그 이타심이 이번 강의에서도 느낄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자연과학에 대한 접근을 좀 더 쉽게 할수 있는 감정이 생겼습니다. 이런 귀한 강의를 들으수 있다니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dotorisoop9957 388
2023년 3월 20일 09:50이 긴걸 제가 두번이나 보게 될 줄은 몰랐는데.. 적어도 3번은 봐야 합니다. 어려운 개념을 지루하지않게 쉽게 이야기 해주시는데 두번들으니 다른게 보입니다. 반복 싫어하는 저에게 3번보게되는 레전드 영상!! 감사합니다!
@차나괜 333
2023년 3월 19일 09:121. 이해가 안되면 훈련하라!
2. 무언가 되고자는 욕망은 감정이다. 하고자는 의욕이 강한 사람이 뭐든 잘한다. 즉, 감정이 핵심이다.
3. 감정은 기억과 연결된다. 예를 들면 누군가 죽었을 때 죽은사람과 추억이 슬픔의 감정을 일으킨다.
4. 정리하자. 인생을 바꾸려면 감정에 초점을 둬야한다. 그런데 감정은 인위적으로 만들기 어렵다. 이에반해 기억은 인위적으로 만들기 쉽다. 그러니 조작가능한 기억에 초점을 두자. 어떤 기억을 심을 것인가? 그건 내가 선택할 수 있다.
@hjung0830 156
2023년 10월 25일 13:18박문호 박사님 실제 지리학 배운 걸 실제 그 나라 그 현장에가서 직접 느끼고 배운거 풀어내시는 찐 공부하시는 것 같아서 너무 멋지고 30년 학자 인생의 핵심과 에센스가 녹아있는 강의인 것 같아요 왜 대가들이 해가 지나고 공부를 거듭하고 수련할 수록 간결해지는지 이해가 될 것 같네요
시적인 표현(스미다,감정의 손때를 묻혀라) 많이 쓰신다 싶었는데 역시 예술에도 조예가 깊으신거 같아요
(강의 중 마음을 울렸던 것 박사님이 좋아하시는 네모랑 화살표로 정리하기ㅋㅋ)
■공부를 하는 이유는?
자연이(꽃이,별이)말을 걸어 올 때 대화하기 위해서..☆
■기억=감정
(뇌의 기억부분과 감정부분이 같음, 좋은 감정을 동반한 기억은 오래 남는다. 즐겁게 즐기면서 배운 학습은 오래간다)
■기억->>창의성
(기억이 많이 쌓여서 독창적으로 변주한 것이 창의성. 그래서 많이 쌓는게 중요. 훈련된 많은 것들이 쌓여있다가 감정으로 욱! 하고 올라오는 것=창의성)
■이해X -> 반복+체화
(이해가 어렵다면 스트레스 받지 말고 자전거 배우듯이 몸으로 습득해라. 스트레스 받으면 뇌가 닫힘.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 것)
ex)초딩 저학년에게 분수 이해 강요하면 안됨. 이해는 원래 있던 지식이 네트워크 되면서 일반화하는 과정임. 초딩 저학년은 원래있던 지식이 적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음. 피자조각같은 시각화 도구로 즐겁게 이해시키는 방법 쓰는게 효과적.
■내 감정의 손때를 묻혀라
(공부는 자기 언어로 바꾸는 작업. 책을 사면 노트처럼 밑줄치고 마구 필기하면서 내 언어로 바꾸면서 그리면서 공부하라)
■공부는 구멍 메우기
(메타인지의 중요성. 뭘 모르는지 알아야 그 부분을 매꿀 수 있음. 그래서 백지에 아는 거 그려보는 게 중요. 그리다 보면 모르는 부분은 안그려지고 모르는 부분 즉각 인지됨) ※에러피드백이 빨라야 됨
■기억의 훈련=인출(Out put)
(아웃풋엔 산책 효과적. 산책하면 뇌가 편안함을 느껴 기억의 문이 smooth하게 열림. 그때 뇌가 스스로 이해 안됐던 것을 다시 이해하려고 애씀)
@linos-l6d 143
2023년 3월 18일 16:46제가 개발자여서 그런지 모듈화, 대칭화, 순서화에서 객체지향의 향기가 느껴지네요ㅎㅎㅎ 사실 꼭 코딩뿐만 아니라 공학 분야의 지식도 실제로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죠. 공학의 대상은 자연과학과는 달리 주로 인간이 만든 장치를 다룹니다. 그래서 모듈"화", 순서"화", 대칭"화" 같이 ~~화가 필요하지 않고 처음부터 모듈화'된', 순서화'된', 대칭화'된' 개념을 주로 다룹니다. 제가 배운 지식의 배후에 이런 사고 작용이 있었는지 이제서야 깨닫네요.ㅎㅎ
@cooluv1004 95
2023년 8월 11일 02:03말씀하시면서 너무 행복해 보이고 즐거워 보이셔서 진정성이 느껴집니다. 진정한 교수님이자 지식인이란 생각이 거듭 느껴지네요.
@김경림-q3v 88
2023년 4월 02일 08:10박사님, 어떤 말로도 표현이 안되게 정말 대단하십니다. 세상과 인류의 이해에 대한 말씀을 시금석으로 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kim4841 76
2023년 3월 29일 23:23유튜브에 처음 댓글 달아봅니다. 한 순간도 눈을 뗄 수 없는 레전드 명강의네요. 특히 박사님께서 말씀하실 때, 공부 과정에 있어서의 희열이 느껴집니다.
@하이디-z6x 64
2024년 4월 18일 14:36아이들 미술을 지도했었는데 학부모들이 우리 아이가 그림을 못 그려서 고민이 되어 왔다는 부모님들이 꽤 있었습니다.대부분의 아이는 못 그리는게 아니라 알지 못해 그릴수 없는게 대부분이였죠.거북이를 그리려면 거북이의 등의 딱딱함의 용도를 이해하고 등껍질의 무늬를 그릴려면 뮈늬를 갖게된 스토리를 알면 재능에 관계없이 정확한 거북이를 표현합니다.호랑이가 호랑이 같지 않고 강아지가 강아지 같지 않은 그림은 그 동물의 본질을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일 때가 많습니다. 무언가를 표현한다는건 고차원의 지식 검증과정인듯 합니다
@Queensuri7 58
2023년 8월 14일 20:48대단한 분인거 같아요.쉬운 말로 이해하기 쉽게 엄청난 학습방법을 전수하고 계세요
@형푸리아 57
2023년 12월 27일 20:06이렇게 설득력 있고 논리적인 할아버지는 처음 본다
@이로운솔루션 49
2023년 4월 04일 08:23출근하면서 몇일동안 들었습니다
세아이 엄마로서. 그리고 특수아동 엄마로서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갖여야겠습니다. 그래서 기억을 많이 공유해야겠습니다
@lodinechris 43
2023년 8월 27일 20:08공부를 잘 하는 사람(?)이 아니라 공부를 즐기는 사람이 끝까지 간다. 그러려면 공부가 편안해야 한다.
@소똘압 40
2023년 8월 28일 17:39제가 느끼기에 법륜스님이랑 거의 같은 경지에 이르신분 같아요. 한 말씀 한말씀 정말 세포하나 하나를 깨우쳐 주십니다. 감사합니다.
@april-still 31
2023년 6월 13일 19:10정말 김주환교수님에 이어 역대급 강의네요
온전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계속 반복해서 봐야겠습니다
박문호 박사님 감사합니다
스터디언 감사합니다~
@황미옥-x5m 28
2023년 3월 18일 18:12감사합니다! 인간의 현상은 기억과 감정의 공진화!
창의성의 본질이 기억. 기억은 학습을 넘어선 생명의 본질. 기억을 재구성하는 단계가 기억에서 해방되는 단계. 지금부터 저도 순서화, 대칭화, 모듈화를 연습해 보겠습니다. 아무리 부족해도 지금 여기에서 시작하겠습니다!
@chromedragon7349 25
2023년 3월 28일 06:07오 마이 사이언스!
느슨해 질때마다 박사님 강의를 찾아 듣습니다~
불광미디어 오프라인 강의 정말 최고였습니다.
어찌나 집중해서 들었는지 아직도 강의내용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건강하세요~
@박정옥-f9t 24
2024년 3월 06일 05:33박문호박사님은 천재중의천재 이십니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존경합니다
@카이사르-r6g 23
2023년 11월 18일 12:29지금껏 보지 못한 워낙의 고차원적인 강의입니다. 하지만 이해가 전혀 안될 정도는 아니네요. 이런 강의는 돈을 주고 봐야하는데. 유튜브가 고마워지네요. 하지만 그 전에 박문호 박사님께 감사드립니다.
@pp-1651 21
2023년 7월 30일 19:52박문호 박사님을 위시로
자연과학 신드롬이
일어나면 좋겠어요 ~* 😊
@찐빵이-v6m 21
2023년 3월 19일 23:08이해가 안되면 보류하고 근육이 익숙해지면 이해가 온다
이해가 안되는 걸 하려고 하면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고 힘드니까 하기 싫어진다
어려워 이해 안되는 부분 많지만 여러번 들어 볼께요
@정미유-y5v 19
2023년 3월 18일 18:53어렵지만 반복해서 시청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하영김-n8t 19
2023년 7월 14일 17:31박사님의 공부에 대한 진심이 오롯이 느껴집니다.
@markup414 19
2023년 7월 13일 11:331 대칭화 (자연현상 설명시 원형보다 정사각형이 완전-실제와 다르더라도) 저장과 심리저항 줄여줌 | 편안하면 아름다움을 느낌
무서우면 두려움과 회피..
2 모듈화 (세트 만들어 저장, 보자기 싸고 매듭) 조작가능성 상승, 지식고도화
3 순서화 (인문과 역사에서 탁월, 인과, 맥락파악)
@midaramgy 19
2023년 7월 08일 17:25제가 알고 있는 지식들이 박사님을 통해 정리되고 훨씬 업그레이드 되는 경험을 하네요 말씀 정말 감사합니다~
@soroskwon 17
2023년 3월 21일 23:44스터디언 구독자입니다
정말 레전드강의입니다.
책도 구입했어요.
신박사님 고대표님 감사합니다^^
@leesunja7050 16
2023년 3월 31일 13:20박사님 강의를 너무너무 좋아 하는데 초대비용 부담 때문에 매번 망설이고 있습니다
온 국민이 알기쉽게 온 국민이 박사님 처럼 살았으면 좋겠습니다
@1977colaful 13
2023년 3월 25일 16:29이걸안해서수년째 같은공부를 하고있었다니 직선.화살표.네모로 정리해볼게요 감사합니다
@영자의하루-f3.5 12
2023년 4월 25일 10:51울고싶어도 안울어진다는말 너무공감합니다 기억이있어야 눈물이 나온다 감정이중요하다 느낌따라 행동한다 말한마디한디가 주옥같은 말씀입니다 엄마아빠께서 꼭보라고 추천해주셨는데 왜그랬는지 알것같아요
@eunsukkim6581 11
2023년 8월 18일 09:59가히 박문호박사님의 시대가 도래하도다. 오마이사이언스
@sonfrank6727 11
2023년 4월 01일 11:25이해가 어려우면 사용을 먼저 한다. 이해는 하는게 아니고 오는거다. 머리로 이해가 안되면 몸으로 반복사용해보고 훈련자동화한다.
@김동자-d6u 9
2023년 11월 11일 08:01내감정에 손때를 뭍혀라♡
감사합니다.♡
@용무심 8
2023년 12월 03일 10:54이제야 참다운 스승님을 만나게 되었네요
감격과 기쁨에 그저 눈물이 흐릅니다
@travel7750 8
2023년 7월 30일 06:11박문호 선생님, 감사합니다. 공부의 압력이 느껴집니다. 하나씩 하나씩 손으로 선을 그으며 기억위에 기억을 쌓으며 단순화 길을 걷겠습니다.. 할 일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시와자작나무 8
2023년 9월 04일 12:05박문호 뇌과학자님~~강연 영상 너무 너무 좋아요 감사합니다.
@xxx-nn4hl 7
2023년 7월 26일 18:38찾았다! 맑은눈의 광인 ㅎ 행복한 광인.. 강의 하시는 모습에서 즐거움이 느껴지네요
@_luv8122 6
2023년 10월 29일 15:22와... 편집한 영상으로는 얻을 수 없었던 큰 깨들음을 얻고 갑니다. 풀영상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라비타돌체 5
2024년 2월 06일 23:59우와.....이시간에 이걸 듣다가.....감격합니다....유레카!
기억을 폄하하고 원리이해를 중요시 하는 과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늘 어느부분 이해의 한계에 도달하다가 ...
최근 반복훈련을 하다가 거꾸로 이해가 되는 경험을 하고 있던 참이었어요......
너무 감격스럽네요....감사합니다....
제가 과소평가했던 기억과 반복훈련의 어마한 가치를 깨닫고 갑니다....
@생콩-e1b 5
2023년 8월 23일 20:41감동이에요 사람이 소중하다고 느끼게 해주시네요 눈물나도록요
@jyy4675 5
2023년 11월 05일 09:323년전 EBS스폐셜에서 박문호 공학박사님을 처음 뵈었는데,제가 좋아하는 지구과학이라 뚫어지게 보았답니다.오늘은 3시간을 돌려보며 메모해가며 보았습니다.
정말 뵙고싶습니다.
습작의 과정이 제가 평소 하고 있는것과 비슷하여 깜짝 놀랐습니다. ^^그런데,저는 한달에 한권이 안되어 반성합니다ㅠ
오늘 강의듣고 제가 먼저 바뀌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저의 아이들과 학생들에게 학습이아닌 감정의 언어와 “기억의3요소”를 꼭 활용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omentflights 4
2023년 12월 02일 01:40와.. 지렸네요.. 여러번 듣고 새겨서 체득해야하는 방법이네요. 뼈대와 숲으로 접근해서 정보량을 줄이고 단순화ㅜ시켜서 친숙하게 만들어 심리적인 부담을 줄이면 공부가 잘될꺼 같아요.. 우와..
맥락의 파악... 순서화의 나열
@jiwonjung6254 4
2024년 2월 02일 08:26너무나 좋은 강의를 유튜브로 볼 수 있어서 행복하네요. 감사합니다.
@lej3292 4
2023년 9월 08일 11:13"산책은 신체의 리듬을 동반하며
기억의 문이 스므스하게 열린다"
너무 아름답게 들리네요
강아지와 산책할때 악상들이 많이 떠올라서 핸드폰을 거의 안가지고 나가는데
떠오른 아이디어를 녹음으로 남기려 가끔씩 소지하기도 합니다
왜 산책때 유난히도 악상들이 떠오르나 너무 이상하고 궁금했는데요
답을 찾았네요^^
더욱 기분좋게 산책을 자주 해야겠어요
강의 듣는 내내 와~~가슴이 설레였습니다
제가 찾던 그런 책이 1년전에 나왔다니
너무 감사하고 감동적입니다
도현 김 3
2023년 3월 18일 12:17와우 풀버전 감사합니다
Joy 3
2023년 3월 18일 12:29한길을 파신 레전드의 깊이를 들을수있어서 영광입니다.
@미강-f8p 2
2024년 7월 25일 08:44고맙습니다
중학교 때 읽었던 '데미안'이 나를
깨우는 계기가 되었고
공부하다 죽는다는 생각으로
살고있는 60대 입니다. 오늘도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s23song 2
2024년 5월 31일 12:00정말 어디서 이런 귀한 얘기를 듣겠어요.. 감탄하면서 감동받으면서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봄날-e9y 2
2023년 11월 22일 09:131:59:39 공부를 정말 즐거워하시는 분 같습니다. 그런 태도를 배우고 싶어지네요
@erica0579 2
2024년 2월 14일 07:12어렵기도하고 뚜렷하게 이해도 되고~~계속 청취하겠습니다♡
@user-xw2wu7kx7r 2
2023년 10월 22일 17:08인생이 달라지길 원합니다. 감사합니다
@noulee5293 1
2024년 10월 10일 10:34대단하십니다~ 대단하단 말밖엔 할수가 없네요~^^
rein king 1
2023년 3월 18일 13:59풀버전 화이팅
ㅇㅇㅇㅇ 1
2023년 3월 18일 12:30거듭 들어야하는 영상
감사합니다
@임희진-p4i 1
2024년 2월 20일 20:19박문호 박사님은 자연과학계의 세종대왕 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강의도 5번이상 듣고 , 다른채널에서 해주신 강의도 많이 들었습니다.
30년이상 자연과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 대한 깊은 통찰을 통해서
조금 더 쉽게 자연과학을 이해할수 있는 언어
화살표, 직사각형, 직선을 이용한 대칭화, 모듈화, 순서화를 설명해주시는 마음이
아마도 세종대왕님께서 백성들이 조금이라도 배움을 쉽게 해주기 위한 이타심에서 만드신 한글처럼
그 이타심이 이번 강의에서도 느낄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자연과학에 대한 접근을 좀 더 쉽게 할수 있는 감정이 생겼습니다.
이런 귀한 강의를 들으수 있다니 너무 너무 감사드립니다~~~
@Ozsweet06
2024년 8월 17일 02:38기억이 곧 감정이다 느낌따라 행동한다 개별화된다 브레인 기억 ~~ 너무 와 닫는 과학의 천재박사님 늘 잘 보고 공부합니다
감사하니다 늘 건강하소서 행복하소서 박사님 존경합니다 사랑합니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