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선생님 금리분석에서 2007년도에서 지금까지만 분석하고 확신하듯이 말씀하시는건 좀 아닌듯합니다. 기본적으로 저금리라는건 경제가 안좋다는 전제로 보는게 맞는 시각입니다. 2008년도부터 서브프라임모기지로 인해서 미국의 양적완화와 저금리로 엄청난 유동성을 풀고 거기다 경기까지 좋았습니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더더욱 많은 유동성이 풀렸죠. 근데 그때만 사례를 들고 말씀하시는건 신뢰도가 너무 떨어집니다. 더 많은 사례를 볼때 실질적인 부동산이 상승이 발생되는때는 저금리에서 다시 금리가 상승한다는 신호가 생길때 상승하는 경우가 맞습니다. 기본베이스는 경제가 상승하고 있다는 신호와 심리가 발생되어야합니다. 투기를 예로 들지마시길요. 일본사례를 봐도 실질경제가 회복되지 못하면 초저금리라도 부동산가격은 하락합니다.
서울 집값 실제로 10%도 안내렸어요~ 그냥 거의 그대로임...실거래가 없으니 그냥 최고점에서 5%정도 내린 정도에 내놓거나 하는게 전부... 지금 살고 있는 서울 한복판 30년된 34평 아파트 2017년도에 매매가 6억5천만원 2020년말 18억 7천만원 매매, 2023년 3월 현 매물 17억 매매가입니다. 이게 팩트임.......집값 하락 어쩌고 1년째 떠들고 30% 하락했다느니 40% 하락했다느니 집값 전혀 하락 안했어요~~~~ 가을쯤 지나고부터 수직낙하 폭락이 올듯 하고 반토막 나야 저점입니다.
좋은 말씀 많이 해주셨는데 의문이 드는 게 두가지정도 있네요. 1. 미분양이 해소되기 시작한 시기가 매수시점에 근접하다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지난 하락장은 08년과09년 사이에 미분양 피크를 찍고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매매 가격은 4년정도 더 하락했습니다. 미분양 해소가 어떻게 매수 시점에 근접하다는 건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2. 금리 하락이 확실한 시점이 매수 타이밍이다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이것 또한 지난 하락장에서 09년도 정도부터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4년 정도 더 매매가격이 하락했는데 왜 이번에는 금리 하락 시점이 왜 매수 타이밍인가요??? 이번에는 다르다라는 논리인가요?
소득과의 엄청난 괴리가 빚어내고 있는 매우 심각한 금융불균형과 어마어마한 엄청난 빚 등으로 인하여, 이제까지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상상초월의 개폭락을 경험하며, 지역에 따라 최소 75%이상에서 92%이상 빠지며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에 맞게 가격 정상화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미친개보다도 더 미쳐버린 부동산으로 인해 청년들은 갈수록 결혼도 포기, 출산도 포기하여 애도 안태어나고 세상을 뜨는 사람들은 더 늘어나, 세계에서는 단군의 후예 한민족이 멸종해가며 급기야는 국가도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금리 무 상관 업급 하신 전문가 이X철 소장님 얘기 하는거면 소장님에게 사과 드리세요 ... 본인 방송에서 그렇게 말씀하시지 않았습니다. 금리가 영향력이 2순위 정도다 라고 하셧지요.. 실명 언급이 없어서 깊이 따지지는 않겠지만 이런 질문 하기전에 본인 방송 확인부터 하는 습관 가지시길....
@김기흥-b6x 38
2023년 3월 24일 23:02부동산못잡는다고 정권교체하자고난리치더만 이제잡혀가는데 부동산하락못하게막자고규제풀고
공시지가내리고 그린벨트풀자고헛소리하는것들 도대체뭐냐?부자만살찌게하는거지!
@user-tg5qs3yw1z 36
2023년 3월 25일 00:03금리와 부동산이 관계 없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은 자기 아집에 빠진 바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잘못된 정보를 전파되면 안될 거 같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대기만성호야 28
2023년 3월 24일 21:21안녕 하세요, 교수님 항상 좋은 인사이트 고맙습니다. 안타깝게도 경제위기는 피할수 없겠네요. 제2~제3의 svb사태가 머지않아 나올것 같네요,
@겨울살구 25
2023년 3월 24일 20:41코로나전으로 돌아 갈려면 아직도 멀었네요.
@jakes639 22
2023년 3월 24일 21:03사실 윤석열이 대통령 그만두면 바닥임
@김태우-k1c 21
2023년 3월 24일 23:49하반기안에전에경험하지못한것을보게될것입니다
@wock2025 21
2023년 3월 24일 21:54명확한 분석 감사합니다.
@HanNyangDuNyang 20
2023년 3월 24일 21:40아니 선생님 금리분석에서 2007년도에서 지금까지만 분석하고 확신하듯이 말씀하시는건 좀 아닌듯합니다. 기본적으로 저금리라는건 경제가 안좋다는 전제로 보는게 맞는 시각입니다. 2008년도부터 서브프라임모기지로 인해서 미국의 양적완화와 저금리로 엄청난 유동성을 풀고 거기다 경기까지 좋았습니다. 그리고 코로나로 인해 더더욱 많은 유동성이 풀렸죠. 근데 그때만 사례를 들고 말씀하시는건 신뢰도가 너무 떨어집니다. 더 많은 사례를 볼때 실질적인 부동산이 상승이 발생되는때는 저금리에서 다시 금리가 상승한다는 신호가 생길때 상승하는 경우가 맞습니다. 기본베이스는 경제가 상승하고 있다는 신호와 심리가 발생되어야합니다. 투기를 예로 들지마시길요. 일본사례를 봐도 실질경제가 회복되지 못하면 초저금리라도 부동산가격은 하락합니다.
@SangRaeHa 19
2023년 3월 24일 21:16경제공부 열심히 하면 밝은미래 있을듯 합니다!
코린이이 13
2023년 3월 24일 20:58아직 시작도 안했는데.건설사.증권사.저축은행.캐피탈등 파산 줄줄이 해야지
@구선영87 13
2023년 3월 24일 23:01인사이트 많이 얻어 갑니다. 김광석 교수님은 늘 객관적이고 명확하십니다
@lucky_tv 13
2023년 3월 24일 20:23📌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foIgsu3QxKU
🌟 『김광석 실장_3부작 영상』 바로 보러 가기
👉 1부. https://youtu.be/E2bMIYvn080
👉 2부. https://youtu.be/BaqoIyiQXpA
👉 3부. https://youtu.be/xS4RRgS01SU
J 13
2023년 3월 24일 21:11서울 집값 실제로 10%도 안내렸어요~ 그냥 거의 그대로임...실거래가 없으니 그냥 최고점에서 5%정도 내린 정도에 내놓거나 하는게 전부... 지금 살고 있는 서울 한복판 30년된 34평 아파트 2017년도에 매매가 6억5천만원 2020년말 18억 7천만원 매매, 2023년 3월 현 매물 17억 매매가입니다. 이게 팩트임.......집값 하락 어쩌고 1년째 떠들고 30% 하락했다느니 40% 하락했다느니 집값 전혀 하락 안했어요~~~~ 가을쯤 지나고부터 수직낙하 폭락이 올듯 하고 반토막 나야 저점입니다.
@SWKim-wn1lq 12
2023년 3월 24일 23:02교수님 영상은 다 찾아보며 공부하고 있는데요. 오늘 영상은 정말 인사이트 넘치시네요!
@carspiaa 11
2023년 3월 25일 00:26교수님 말씀에 동감합니다,,,작년에 다산신도시 아파트분양 신청할려다가 금리 오름세에 포기했습니다^^
@조윤성-y4j 11
2023년 3월 24일 23:49미분양 해결 안됩니다 왜 사람이 없어요 그리고 결혼을 안해요
@성수-d2y 11
2023년 3월 25일 03:06좋은 말씀 많이 해주셨는데 의문이 드는 게 두가지정도 있네요.
1. 미분양이 해소되기 시작한 시기가 매수시점에 근접하다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지난 하락장은 08년과09년 사이에 미분양 피크를 찍고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매매 가격은 4년정도 더 하락했습니다. 미분양 해소가 어떻게 매수 시점에 근접하다는 건지 이해가 잘 안가네요.
2. 금리 하락이 확실한 시점이 매수 타이밍이다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이것 또한 지난 하락장에서 09년도 정도부터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4년 정도 더 매매가격이 하락했는데 왜 이번에는 금리 하락 시점이 왜 매수 타이밍인가요???
이번에는 다르다라는 논리인가요?
@김태우-k1c 11
2023년 3월 24일 23:45이번폭락은,전에하락과성격이전혀다릅니다
@럭키미-l3q 10
2023년 3월 25일 10:12교수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교수님 책 읽고나서 현재시장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방송하시는 영상마다 교수님의 진심이 느껴지고 내공이 어마어마 하다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
임도사 9
2023년 3월 24일 20:49바닥이 왔다고 해서 다시 올라갈꺼라는건 희망사항이죠
@안현모-f4e 8
2023년 3월 24일 23:13교수님 깊이가 대단하십니다. 많이 배워갑니다
@전광수-x7s 6
2023년 3월 24일 23:001편에 이어서 정주행 하는 중입니다. 김광석 교수님 정말 가장 객관적으로 경제를 분석해 주시네요~ 많이 배웁니다!
@여누아부지-t7d 6
2023년 3월 25일 19:05김광석 교수님이시네요. 항상 잘듣고 좋은 정보 좋은 방향제시에 항상 감사합니다.
@kihongkim8424 4
2023년 3월 25일 15:15시장에 이미 노출된 일반적인 내용을 너무 열성적으로 설명해 주시네요..잘들었읍니다.
@Kim-ji2em 4
2023년 3월 24일 20:58집은 올해 말을 노려라네요
결국 현금은 계속 들고 있으면 손해
@TV-iz3ol 4
2023년 3월 25일 00:35금리가 젤 중요해!
물가를 잡기위해 금리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면 뭐든지 떨어진다.
채권, 금, 주식, 부둥산, 가상자산 모두 하락하지
다만 경제가 너무 활황 즉 과열되어 당국이 속도 조절을 위해 금리를 올릴때는 부동산이
오를때가 있지
이런걸 보고 부동산과 금리가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 일부 사람들이 있지....
@치키니 3
2023년 3월 25일 06:42재앙이형 큰떵...
@leejames5560 3
2023년 3월 24일 23:36바닥은 20년~30년 뒤에 올 것입니다.
그 전에 오는 바닥이라는 것은 또다시 폭락하는 고개에 불과할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이제 부동산은 완전히 끝난 것입니다. 네델란드의 튤립처럼 말입니다.
소득과의 엄청난 괴리가 빚어내고 있는 매우 심각한 금융불균형과 어마어마한 엄청난 빚 등으로 인하여, 이제까지 한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상상초월의 개폭락을 경험하며, 지역에 따라 최소 75%이상에서 92%이상 빠지며 대다수 국민들의 소득에 맞게 가격 정상화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미친개보다도 더 미쳐버린 부동산으로 인해 청년들은 갈수록 결혼도 포기, 출산도 포기하여 애도 안태어나고 세상을 뜨는 사람들은 더 늘어나, 세계에서는 단군의 후예 한민족이 멸종해가며 급기야는 국가도 사라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소비자고발-l9p 2
2023년 3월 25일 02:03금리 무 상관 업급 하신 전문가 이X철 소장님 얘기 하는거면 소장님에게 사과 드리세요 ... 본인 방송에서 그렇게 말씀하시지 않았습니다. 금리가 영향력이 2순위 정도다 라고 하셧지요.. 실명 언급이 없어서 깊이 따지지는 않겠지만 이런 질문 하기전에 본인 방송 확인부터 하는 습관 가지시길....
@난원자 1
2023년 3월 25일 14:20다들 똑같다 ㅋㅋㅋ
현 상황을 이유 같다 붙이면서 설명하는건 다들 잘한다
미래예측??? 웃기네
@moungheechoi5719 1
2023년 3월 25일 12:05지금현장에선 급매다팔리고 있어요
@황철윤-l6f 1
2023년 3월 28일 15:18바닥 기다리려면 향후 5년이상 지나야 가능 아직 시작도 안했다
@맨드라미-e4z 1
2023년 3월 25일 18:47내년입주인데 이곳은 미분양 관리지역입니다
새아파트도 분양가 아래로 떨어지나요?
@다람겸-k7b 1
2023년 3월 25일 14:03일본은 ... 저금리임에도 부동산 시장이...안좋은거 아닌가요...?
@toothbreaker4781 1
2023년 3월 25일 03:39그냥 계속하락하라이
@user-gd7rf7gg5l 1
2023년 3월 25일 07:38늘 감사합니다
@d.j4149 1
2023년 3월 25일 00:02관계가 하나라도 있으면 관계가 있다?
내가 이 영상을 봐서 교수님이 출연료를 받았을테니 나로 인해 수익을 번 당신은 나와 관계가 있고
내 행동에 의해 당신의 수입이 늘어나고 줄어들고 할 정도의 막대한 영향이 있는거군요..
결론은 내행동은 당신의 수입에 영향을 끼친다!!
논리가 이상함..결국엔 관계가 하나라도 있다고 관계가 성립한다는건 말장난이네요...
금리랑 부동산 가격이라는 둘의 인과가 밀접하지 않은 그런 것을 가지고 영향이 있다 없다 하니 제대로 설명이 안되죠~~
부동산 가격은 자산 가격이고 금리는 경제를 조정하기 위한 하나의 장치일뿐인데, 경제와 자산가격, 경제와 금리 의 인과가 밀접한 내용으로 인해 케이스를 이야기하는게 맞지 자산가격 즉 부동산가격과 금리는 인과가 너무 떨어지네요...
@드래곤타이거JR 1
2023년 3월 25일 18:431년후부터 시작되어 2027년까지는 떨어질듯합니다
@TV-hl2ew 1
2023년 3월 25일 08:29갭투자자는 금리 영향없다메요.
대출이 없는데..
@소영박-i2t
2023년 3월 26일 21:26채권이 하락할 시점이라면 지금 채권투자하면 안 되죠?
@kushe24
2023년 3월 28일 18:27저축은행은 어떻게 될까요? 2011년도 저축은행 top10이 현재 top10리스트에 없는게 현실인데.. 저축은행 향방이 궁금합니다
@이오뎅-g7n
2023년 3월 25일 15:54집값올랐다고 좋아하던 사람들 어디갔노
@jstory-u5n
2023년 4월 01일 20:15미분양 정부가 사주겠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저는 반대지만 대세가 그쪽으로 흐른다면 그럼 집값은 어떻게 될까요?
@콩순이-n5d
2023년 3월 25일 08:04감사합니다.
팩트는 팩트다.
@곽킹-p3l
2023년 3월 26일 05:52현상황 급매들 빠르게 소진됨니다 집팔려고 부동산 세군대 갔는데 대기손님있음 급매사려고... 2월보다 몇천 오름 사람심리가 더받고 싶고 산다 하니 고민임 전세가는 오르는 추세고 그렇네요 어제까지 상황입니다 여튼 급매말고는 바싼편입니다 누구말에 현혹말고 동네 부동산가서 차한잔하고 오면 현제 상황은 바로 파악됨 미래예측은 누구도 알수없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심리에 약하다는거는 확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