섀넌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가 하면 정보이론 쪽에서 가장 큰 상이 shannon award가 있습니다. 섀넌이 죽고난 후 그를 기리기 위해 만든 상이라 초대 수상자는 섀넌 입니다 ㅎㅎ 정보이론 하는 사람으로써 이런 동영상이 너무나 반갑네요 :) 19년도에 아리칸이라고 polar code 창시자가 상을 받은 모습을 보고 정말 자극을 많이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많은 학생들이 보고 꿈꾸어서 후대 한국에서도 섀넌 어워드를 탈수 있는 사람이 나오길 바랍니다!
조지부울의 명제논리가 스위치에 적용 될 수 있다고 이론적으로 제일 처음 근거를 제시한 사람은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에렌페스트이죠. 그리고 클로드 새넌 이외에도 당시에 독립적으로 세스타코프(소련) 나카시마(일본)에서 이진 스위치에 적용 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하죠. 클로드 새넌은 우연히 교양으로 들은 철학수업에서 조지 부울의 명제논리가 스위치와 작동방식과 같다는 것을 알고 놀랍니다. 그때 당시에도 이미 공대생들은 이진스위치를 가지고 여러가지 기계를 만들기는 했지만 수학적인 작동 원리를 몰랐기에 복잡하고 힘들게 만들었지만 부울대수를 이용하여 깔끔하게 해결했죠. 정말 인문학(철학)과 공학의 성공적인 만남이 아닐 수 없죠. 클로드 새넌이 이밖에도 컴퓨터공학에 이루 말 할 수 없는 공헌을 합니다. 개인적으로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나 공립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며 독학으로 논리학과 수학에 업적을 남긴 조지 부울의 전기가 있으면 한번 읽어 보고 싶습니다.
정보가 우리가 아직 모르는 불확실성이라는 개념 정말 신선하네요~!! 최소한의 비트로만 구성하여 전달하는 정보에 잉여성을 낮추는 기술도 진짜 신기합니다. 이렇게 0과 1만 가지고도 모든 정보를 최소한의 노력으로 정화하게 보낼 수 있는 기술이 클로드 섀년의 머리속에서 나왔다니, 이 책 역시 정말 흥미진진할 것 같네요 !!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희 - 장영창 (나사렛대), 노영윤(건국대), 우진옥(장안대) -는 대학 교수로서, 이번 코로나로 인해 동영상 강의를 합니다. 저희 강의에서 귀하의 동영상을 대학 교육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동영상 활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장영창 jyoungch11@hanmail.net 010-2229-0110
즐겁게 잘 봤습니다. 예전에 Veritasium하고 Vsauce에서 정보의 Randomness에 대해서 다뤘던 내용에서 주로 나왔었는데 한국어로도 이렇게 나오니 반갑네요 :) 거기에서는 여기서 나온 '잉여성'을 '랜덤'으로도 확대하고 이것을 엔트로피까지 확장하였습니다. 나중에 정보 엔트로피도 다뤄주세요 ㅎ
정보는 무한하다 확률로 정해진다. 유한한 정보 일수록 그 정보의 정확성은 낮아진다. 그의미는 즉 많은 정보들은 어떠한 선택에 확실성을 높혀준다. 확률식으로 정보를 집어서 전달한다면 그확률에 대한 정보의 값을 평균으로 만들면 나머지 정보의 잉여성이 없어진다. 일단 정보가 무한하다는 가정과 잉여정보를 골라내는 생각이 보통사람과 다른것 같고 수학적 논리적 접근을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그는 천재임이 분명합니다.
@ucallmeid 74
2020년 4월 04일 16:45책그림을 좋아하는 이유는
이처럼
내 관심밖에 있던 책을
궁금해 하게 하고
심지어
관심밖어 채을 보게해서
내 지식의 영역을 넓히는 즐거움을 누리게 한다는데 있고
또한
그런 이가
우리와 함께 한다는것에
안도감을 안겨주기 때문이다
늘
건승하세요
@miyyanjang9644 52
2020년 4월 14일 03:41책소개 유튜브는 별로 큰 의미를 두지 않앗는데 이런 마주침도 생기네요 클로드섀년에 관한 책을 만나다니 ... 국내에 소개된 몇 안되는 정보이론속에 항상 등장하지만 항상 아쉬웟던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rmphy 49
2020년 4월 04일 16:24스위치를 켜면 장비에서 손이 나와 스위치를 끄는 '쓸데 없는' 장비를 이 사람이 최초로 만든 거였어?ㅋㅋㅋㅋ
Realtime Hiker 41
2020년 4월 17일 12:26근래 유튜브에서 본 영상 중에 가장 잉여성이 적은 영상이네요!
@Shyuurrie 40
2020년 4월 04일 15:04목소리... 왜케 좋지....???
@sanakimlove 39
2020년 4월 16일 21:37천재 한명이 세상을 완전 바꾸는구나
@jeheon1007 39
2020년 4월 19일 05:05나는 책을 좋아 합니다만..듣는걸 더 좋아합니다
@김도운-c3f 37
2020년 4월 17일 22:36짧은 시간에 이해 못하는게 당연합니다. 정보이론이란것 자체가 굉장히 여려운 이론이고, 수학적으로 엄밀한 증명을 요구합니다. 대학에서도 고년차, 또는 대학원 과정에서 기본적인 내용을 배우는데도 한학기 이상 걸려요.
@demiank6680 26
2020년 4월 13일 18:24재미있다 문소린지 다 못알아 듣겠어도 흥미로워
@kr1593 21
2020년 4월 04일 20:00섀넌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가 하면 정보이론 쪽에서 가장 큰 상이 shannon award가 있습니다. 섀넌이 죽고난 후 그를 기리기 위해 만든 상이라 초대 수상자는 섀넌 입니다 ㅎㅎ 정보이론 하는 사람으로써 이런 동영상이 너무나 반갑네요 :) 19년도에 아리칸이라고 polar code 창시자가 상을 받은 모습을 보고 정말 자극을 많이 받았던 기억이 있는데, 많은 학생들이 보고 꿈꾸어서 후대 한국에서도 섀넌 어워드를 탈수 있는 사람이 나오길 바랍니다!
@calmato984 20
2020년 4월 19일 02:307:51 이러한 방식을 허프만 부호화(Huffman coding)라고 부릅니다
@hack9506 19
2020년 4월 18일 13:42항상 1과 0으로 처음엔 어떻게 프로그래밍 시작되었을까 궁금했는데, 여기서 해답을 찾아가네요. 좋은 풀이와 가르침 감사해요!
미보CLAY 15
2020년 4월 04일 14:37간만에 좋은 영상 👍
손절안하고, 구독한 보람이군🤗
@stu-zo5sg 14
2020년 4월 19일 13:16와... 천재..라는 말 밖에 안나온다;
ㅋㅋ 근데 논리와 회로를 연결하는 모습에서 클로드는 정말 극한의 공돌이였음을 볼 수 있음 ㅋㅋㅋㅋㅋㅋㅋ
@kongplus1 10
2020년 4월 16일 20:00조지부울의 명제논리가 스위치에 적용 될 수 있다고 이론적으로 제일 처음 근거를 제시한 사람은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에렌페스트이죠. 그리고 클로드 새넌 이외에도 당시에 독립적으로 세스타코프(소련) 나카시마(일본)에서 이진 스위치에 적용 할 수 있다는 논문을 발표하죠.
클로드 새넌은 우연히 교양으로 들은 철학수업에서 조지 부울의 명제논리가 스위치와 작동방식과 같다는 것을 알고 놀랍니다. 그때 당시에도 이미 공대생들은 이진스위치를 가지고 여러가지 기계를 만들기는 했지만 수학적인 작동 원리를 몰랐기에 복잡하고 힘들게 만들었지만 부울대수를 이용하여 깔끔하게 해결했죠. 정말 인문학(철학)과 공학의 성공적인 만남이 아닐 수 없죠. 클로드 새넌이 이밖에도 컴퓨터공학에 이루 말 할 수 없는 공헌을 합니다.
개인적으로 가난한 구두 수선공의 아들로 태어나 공립 도서관에서 책을 읽으며 독학으로 논리학과 수학에 업적을 남긴 조지 부울의 전기가 있으면 한번 읽어 보고 싶습니다.
@busseyde2996 9
2020년 4월 05일 23:35부족한 정보를 알아서 알려주는 책그림
@청국장맛발가락 9
2020년 4월 04일 15:47주된 내용을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설명하시는 책그림님도 존경합니다^^
@emilykim4316 8
2020년 4월 19일 17:39너무 재밌네요 ㅎ ㅎ
이런 품격 높은 영상 기대하느라 TV 는 끊었는데 유튜브는 못끊습니다.
앞으로도 많이 많이 부탁드려요💖
@G_seektree 8
2020년 4월 05일 09:27정보가 우리가 아직 모르는 불확실성이라는 개념 정말 신선하네요~!!
최소한의 비트로만 구성하여 전달하는 정보에 잉여성을 낮추는 기술도 진짜 신기합니다.
이렇게 0과 1만 가지고도 모든 정보를 최소한의 노력으로 정화하게 보낼 수 있는 기술이 클로드 섀년의 머리속에서 나왔다니,
이 책 역시 정말 흥미진진할 것 같네요 !!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rangom_ 7
2020년 4월 04일 16:18불확실성을 늘린다는 문장과 잉여성을 더한다는 말이 평소 알던 불확실성과 잉여성에 대한 정의와 조금 다른 것인지.. 여러번 보아야 이해가 될 것 같네요😂
장영창 7
2020년 4월 19일 17:57안녕하세요! 저희 - 장영창 (나사렛대), 노영윤(건국대), 우진옥(장안대) -는 대학 교수로서, 이번 코로나로 인해 동영상 강의를 합니다. 저희 강의에서 귀하의 동영상을 대학 교육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동영상 활용에 대한 동의를 구하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장영창 jyoungch11@hanmail.net 010-2229-0110
@김상우-l8q 6
2020년 4월 19일 18:31진짜 대단한 사람들 너무 많구나 ㄷㄷ...
@초짜프로 5
2020년 4월 04일 14:45너무 좋은영상이네요~
우리가 알지못하고 넘어갈수있는 정보.
그런 이야기네요~
박정재 5
2020년 4월 19일 06:50나는 책을 좋아합살법!!
서담 5
2020년 4월 18일 18:28목소리 뭐지...겁나 좋아...ㅠㅠ
데헤헿 5
2020년 4월 04일 17:21나는 책을 좋아 합쭈기가 됩시다 합
@정형찬-n7d 5
2020년 4월 14일 22:42영상을 보고 많이 감동받았습니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현대문명이 알고보면 정말 인간적이고 아기자기하고 소중한 것들이었군요..
@sky_lantern 4
2020년 4월 04일 18:13저번학기 섀년의 법칙 배웠을땐 몰랐는데 엄청 대단한 분이셨군요!
@josh-lk6vo 4
2020년 4월 18일 21:36지루한 학교 수업시간에 궁금한 e 틀었을때 보는듯한 느낌 이런분들이 좀 정리해서 하면 학생들도 좋아하겠어요
@Dannysfavorites 4
2020년 4월 12일 07:59허프만 알고리즘의 본질은 이미 섀넌이 다 만들어 뒀군요....소름
김경현 3
2020년 4월 18일 20:57왤케어렵누...
YS C. 3
2020년 4월 19일 08:55아....재밋어 너무 재밋어
@김조르봐 3
2020년 4월 09일 19:22발명가님께 감사드립니다
Miss E 3
2020년 4월 05일 05:12남자분 영상만 보게되요 😭😭 많이 올려주세요
aigoia oidoi 3
2020년 4월 15일 12:31전반부는 인간의 이성 그리고 후반부는 인식과 무의식에 대한 설명과 유사하네요. 알고보면 인간은 뉴런을 기반으로 사고하는 기계에 불과한거 일지도 모르겠어요.
@chillchiry772 3
2020년 4월 04일 15:04이 책 너무 너무 재밌을것같아요...감사합니다
@김동혁-e3r 3
2020년 4월 17일 22:29일단 목소리랑 만든 자료가 너무 좋음. 구독 누르고가요
하늘다람쥐 2
2020년 4월 04일 19:42좀 어려운 개념이네요. 몇번 봐야겠어요. ㅎㅎ
@skim-v6l 2
2020년 4월 16일 19:10밥먹으면서 한편 보기 좋네요
최루탄 2
2020년 4월 16일 16:21아이구 머리아파 ㅠㅠㅠ
@기똥찬-j5c 2
2020년 4월 04일 15:45어렵네요 책을 꼭 봐야 알겠어요
고맙습니다 👍
BowlcutSquad 2
2020년 4월 18일 02:14즐겁게 잘 봤습니다. 예전에 Veritasium하고 Vsauce에서 정보의 Randomness에 대해서 다뤘던 내용에서 주로 나왔었는데 한국어로도 이렇게 나오니 반갑네요 :) 거기에서는 여기서 나온 '잉여성'을 '랜덤'으로도 확대하고 이것을 엔트로피까지 확장하였습니다. 나중에 정보 엔트로피도 다뤄주세요 ㅎ
은쌤책방 2
2020년 4월 04일 14:46섀넌 이런분이 계셨다니
@꼬마돈까스 2
2020년 4월 17일 08:09오늘도 좋은 책소개 감사드립니다.
@sleepcycle_ 2
2020년 4월 22일 08:44우아 목소리가 🤩 너무 좋네요
@보보-o7n 2
2020년 4월 05일 19:28클로드 섀넌. 기억해야겠어요.
Jong un Kim 2
2020년 4월 16일 19:32개천재네.
@haneulkim4902 2
2021년 2월 16일 08:55정말 너무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확률사용해 정보량 압축했을때 혼자 와~ 이랫네요.
@박지수-g1t 1
2022년 1월 30일 12:02오 저는 이제 영상 스트리밍이 가능하고 음악 파일이 1분 남짓해서 다운로드되는게 그냥 통신기술의 발달을 통한 것인 줄 알았는데 정보를 어떻게 압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중요한 것이었군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Geeks H 1
2020년 4월 17일 07:19보이스 실화냐
@김창익-t5p 1
2020년 4월 18일 21:36불확실성을 낮추는 데서 시작한 것이였군! 압축 방식 중 오래된 하나라서 지금은 더 좋은 방법도 있겟네요 나중에 한번 설명해주십쇼~
이상훈 1
2020년 4월 18일 07:30파일 압축의 원리가 이런거였군요
@decoz91 1
2020년 4월 21일 12:0520년 넘게 컴퓨터를 공부하면서도 이런 사람이 있다는건 몰랐네요. 인코딩의 기초를 만든 분이군요.. 꼭 한번 읽어봐야겠습니다.
@simhae1775 1
2021년 10월 25일 16:05파일 압축 원리가 궁굼했었는데 진짜 천재적이네요
Body No 1
2020년 4월 24일 03:42* Don't think about beauty much. It will kill you. Just love her!
관찰파리 1
2020년 4월 16일 16:16핵꿀잼
김서중 1
2020년 4월 16일 02:11이번학기 논리회로로 고통받고있습니다... 이 영상을 보고 마저 공부를 합니다..
@kommando7483 1
2021년 1월 06일 00:33헐...공학한림원이 이 채널에 의뢰를 한 거에요??? 위엄쩐다 ㄷㄷㄷㄷㄷ
류재현 1
2020년 4월 17일 17:1110분만에 이해하는 영상인데 10분만에 너무 많은 것이 이해되지 않기 시작했다;
@gt6606b 1
2023년 1월 29일 07:40참 정보가 넘치는 채널이네요!😊
@ykocfc 1
2020년 4월 19일 16:52한권의 책을 이렇게 깔끔하게 소개하는 채널도 있구나... 감탄하며 구독을 꾹 ! 눌렀습니다.
불사 1
2020년 4월 11일 01:20인류기술의 최종 형태는 영혼압축 스트리밍이 될 것 같다.
MOON Guitar 1
2020년 4월 20일 00:46비문학 지문에서 본거같다 ㅋㅋㅋ 날씨정보 전달하는 그거
Jang Eun Lee 1
2020년 8월 07일 10:53수업용 자료로 위 영상을 사용하고 싶습니다. 학생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내용이 잘 정리된 것 같아 꼭 보여 주고 싶습니다.
COLORNOTE 컬러노트 1
2020년 4월 04일 17:44클로드 섀넌도 대단하지만, 이 이후에 존 바딘, 월터 브래튼, 윌리엄 쇼클리가 트렌지스터를 만들어 전자공학에 대변혁을 일으켰고, 현대 IT가 급속도로 발전하였죠!
이 분들도 함께 이름을 외면 좋을 것 같아용~~!!ㅎㅎㅎ
다음에 시간이 허락하신다면 트렌지스터에 관한 역사도 영상 부탁드려요~~!😃
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D
블랙빈 1
2020년 4월 28일 20:43학교 강의는 왜 이렇게 재밌지가 않을까
진지충 사절
거북한 사람 1
2020년 4월 04일 19:53오 그러니까 이 글자(나 픽셀 등)가 나올 각각의 확률을 이용해 적은 비트로 많고 정확한 효율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이군!
Oddgaron 1
2020년 4월 16일 02:53잘봤습니다
최성현 1
2020년 4월 04일 14:41감사합니다:)
차분히천천히 1
2020년 4월 19일 10:13폰노이만 이 최초의 컴퓨터 만들어 놓고 같은 시기에 폰노이만의 이론에 대해서 연구 해서 나오게 만든 사람이군요
kkkal 1
2020년 4월 04일 16:25천재
실실 1
2020년 4월 04일 14:45good contents ~
J.H S 1
2020년 4월 04일 22:41좋은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학만세!!
김동현 1
2020년 4월 04일 14:362빠
@노아의창 1
2021년 1월 04일 21:58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zice6805 1
2020년 12월 13일 09:48다 이해할 수 없었지만 끝까지 들었네요
아들들에게 공유했네요
감사합니다 ~^^♡♡
교대역15번출구
2020년 4월 16일 18:06사실상 전자시스템학과 1학년부터 4학년까지 혼자 다만들었네
일상-아무거나
2020년 4월 20일 08:35내가 이렇게 글을 많이 써도 =1.75비트인가요? ㅋㅋㅋ
심명훈
2020년 4월 25일 14:48나는 책을 좋아합...니다만 책그림 영상 또한 좋아합
김석준
2020년 4월 16일 16:48ㄷㄷㄷ useless box 만든 사람이었네
권동욱
2020년 4월 19일 03:54처음알게된사실이네요
척척박사
2021년 3월 31일 17:32영상 수준 진짜 높아서 듣기도 좋고 이해도 잘되고 쩌네요
Rupert Joo
2020년 4월 18일 02:53샘플링정리에 나오는 섀논이 이분이었군요
이정민
2020년 4월 19일 21:15어째 비문학 지문에서 본내용이 많은거같네....
우소자牛(宇)小子
2020년 4월 19일 06:02ㄹㅇ 정보의 아버지
@김정배-o3w
2020년 5월 16일 13:03좋은 자료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hzidm
2021년 2월 22일 12:026:35
이백억
2020년 5월 14일 20:21감사합니다
헤헷
2020년 4월 16일 02:28저는 이 영상을 참 좋아합
조은빈
2021년 11월 06일 21:14정보가 불확실하다는 개념 정말 신기하네요. 항상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기본인 0과 1만 가지고도 모든 정보를 정확하게 보낼 수 있는 기술이 어떻게 나왔는지 궁금했었는데 클로드 섀년이라는 사람의 머리속에서 나왔다니 놀랍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티타이
2020년 4월 21일 10:009:35 최종기계 ㄷㄷ
지리지
2020년 4월 21일 02:00정보는 무한하다 확률로 정해진다. 유한한 정보 일수록 그 정보의 정확성은 낮아진다. 그의미는 즉 많은 정보들은 어떠한 선택에 확실성을 높혀준다. 확률식으로 정보를 집어서 전달한다면 그확률에 대한 정보의 값을 평균으로 만들면 나머지 정보의 잉여성이 없어진다. 일단 정보가 무한하다는 가정과 잉여정보를 골라내는 생각이 보통사람과 다른것 같고 수학적 논리적 접근을 자연스럽게 이어가는 그는 천재임이 분명합니다.
[E]HaCKeR
2021년 9월 07일 17:46부업은 디ㅂl디비딥 이지 수익 입금엄청 빠르고 하는방법도 간단하고 이번달 3~400 정도 들어올듯 하네요
손군
2020년 4월 16일 15:404:15초 3이야기에서 불확실성 정의가 어떻게되나여
James Dean
2020년 4월 11일 21:30RSA error correcting code 같은것도 대단하지만 이분도 대단하네요
김승현
2021년 6월 03일 19:36책소개 유튜브는 별로 큰 의미를 두지 않앗는데 이런 마주침도 생기네요 클로드섀년에 관한 책을 만나다니 ... 국내에 소개된 몇 안되는 정보이론속에 항상 등장하지만 항상 아쉬웟던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newtroyer
2020년 4월 18일 14:41Symbolic analysis를 기호학적 분석이라고 하셨는데 논문을 쓰는 미국사람이 semiotics라는 단어를 모를리 없겠죠.
아마 기호학적 분석이 아니라 상징적분석 이라는 해석이 맞을듯싶습니다.
뿌애액
2020년 5월 14일 23:20싹다 이해했어요! 설명 굿굿
박진석
2021년 9월 09일 00:117:52 에서 확률을 고려하면 왜 0 10 110 111이 되는걸까요? 그리고 잉여성을 더 설명해주실분...?
@thesmarts8426
2021년 9월 23일 21:07책을 일고 영상을 봤는데, 깔끔하고 이해하기쉽게 만드셨네요. 정성이 담긴 영상 감사합니다.
AlbedoBond
2021년 6월 19일 06:37와... 책그림 인류의 역사 영상 올라왔을 때 퀄리티 엄청 높은데 구독자수는 천명도 채 안돼서 안타까워 했는데 지금 보니 50만이 다되어가네 ㄷ ㄷ ㄷ ㄷ ㄷ ㄷ ㄷ ㄷ 그 원래 친근했던 아조씨 목소리가 아닌 새로운 성우분 고용해서 하시나보네여 ㄷ
@천안유기견관련
2020년 5월 29일 12:30고맙습니다. 시간내서 꼭 읽어볼게요.
Kenny Go
2020년 4월 20일 09:54와. 정말 흥미롭네요. 과학이 이렇게 재미있다니
@TV-pc9ri
2020년 12월 20일 13:57최근까지 젤 재밌는 책이네요 감사합니다
@yeongsukim488
2022년 10월 25일 18:22와.. 전 인생을 살면서 뭔가를 하려면 기반부터 알차게, 특히 효율적으로 쌓아나가야하는게 세상이치라고 생각했는데 이걸 확률론으로 풀어낸 사람이 있었네요
n T T
2020년 5월 01일 03:48논리회로를 배울때 뭐 이런 시시한 것을 가르치나 하고 생각했는데 이것을 응용해서 엄청난 세상이 만들어 질수 있다니 놀랐다 모든 것은 사소한 기초에서 비롯된다
blueskiiii
2020년 12월 11일 20:23석사논문ㅋㅋㅋㅋㅋㅋㅋㅋ 서포카중 하난데도 교수님 초록도 보지않고 싸인하시는데...... 누군 역사상 가장중요한 논문이되고
좋은 세상 만들기
2020년 4월 04일 15:27좋아요^^
정주원 tv
2020년 4월 07일 17:02어렵네요
하지만 감사
만년동안
2020년 4월 16일 15:102:23 Transistor
콩이
2021년 1월 02일 08:43섀넌 엔트로피 공부하다가 나오는 알고리즘 무엇ㅋㅋㅋㅌㅋㅋㅋㅋㅋㅋ앜ㅋㅋㅋㅋㅋㅋㅋㅋ핰ㅌㅌㅌ...
@권채은-r4y
2023년 6월 16일 23:54I was interested in in information theory, so I looked it up and heard it, but I didn't understand it all, but I was interested!
@maris0038
2022년 1월 19일 16:48와 정말 놀라면서 10분이라는 시간이 훅 갈 정도로 빠져서 읽었네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책도 한번 꼭 읽어볼게요~!! ^_^
bus3_uza3
2021년 2월 24일 01:02목소리 미쳤네 ㅎㄷㄷ
교대역15번출구
2020년 4월 16일 18:06사실상 전자시스템학과 1학년부터 4학년까지 혼자 다만들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