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공감합니다. 아무리 고소득자라해도 증여없이 100억, 순자산 0.1% 내에 진입하기란 상당히 어렵지요. 10~30억 정도 대중부자라 해야하나요, 이정도만 해도 욕심없이 살면 상당히 풍요롭게 살 수 있는데 SNS를 비롯한 각종 매체가 우리나라 사람들 눈을 너무 높여놓은 것 같습니다
저는 부자의 기준을 이렇게 생각합니다. 자산이 얼만큼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고~ ■조금 절감하면서 죽을때 까지 자산이 줄지않고 유지 되는 상태로 ~자본 소득이 지속 될수있는 상황을 만들었고~조금이라도 남들을 도와줄수 있는 삶을 영위할수 있는 환경을 완성 했다면 부자라고 생각 합니다.
상위 0.1%의 순자산 100억 아니고, 75억쯤 됩니다. 작년에 78억인가 했으니까 올해는 75억 밑으로 내려갔을 거예요. 그런데 사실 순자산으로 부자를 결정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부자는 금융자산과 현금흐름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필요할 때 돈을 얼마나 끌어올 수 있느냐를 결정하는 금융자산, 그리고 매달 수입이 들어오고 비용이 나간 상태에서 남는 현금, 즉 잉여현금이 2천만원 정도 넘어가면 그때는 꽤 행복한 부자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솔직히 현금 2천 들어와도 그걸 통째로 다 쓰는 정신병자들은 없기 때문에 그저 조금 풍요롭게 사는 수준입니다. 우리가 TV에서 보는 진짜 부자들은 0.1% 정도가 아니에요. 0.05% 수준입니다. 말도 안되는 부자들이죠. 사업을 하지 않은 한 그 수준으로는 절대로 못 올라갑니다.
부동산 오르니 내리느니.. 어떤 주식을 사느니.. .이런거에 대한 내용보다.. 차곡 차곡 저축하고, 그걸 활용하는 방법등... 누구나 알지만, 참 어려운 실행 방법... 사실 이게 진실임에는 틀림 없다고 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축 > 통화 & 환율 > 채권 > 주식 & 부동산 순서로 공부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물론 제 기준입니다.
@hoyapharm 76
2023년 3월 28일 13:07참 공감합니다.
아무리 고소득자라해도 증여없이 100억, 순자산 0.1% 내에 진입하기란 상당히 어렵지요.
10~30억 정도 대중부자라 해야하나요, 이정도만 해도 욕심없이 살면 상당히 풍요롭게 살 수 있는데
SNS를 비롯한 각종 매체가 우리나라 사람들 눈을 너무 높여놓은 것 같습니다
@hangilkwon8989 32
2023년 3월 29일 10:26올해 30대가 된 청년입니다. 여태 모은 돈 한푼 없지만, 작은 부자를 목표로 능력부터 키워서 작은 것부터 이루어나가겠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과 현실적인 조언주셔서 감사합니다 (__)
@송명신-k2h 26
2023년 3월 30일 06:20맞아요. 박사님 말씀에 완전 공감합니다. 우리 세대는 부모 봉양하는 게 당연했는데.... 이제는 자식한데 용돈조차 기대를 하지 않습니다. 슬프지 않고 외롭지 않습니다. ㅠㅠ ;;;;;;
@테북 24
2023년 3월 28일 20:54세금 정말 쓸데없는데 쓰는거 동감합니다!
@허름한신사 19
2023년 3월 29일 01:04저는 부자의 기준을 이렇게 생각합니다.
자산이 얼만큼 가지고 있느냐가 아니고~
■조금 절감하면서 죽을때 까지 자산이 줄지않고
유지 되는 상태로 ~자본 소득이 지속 될수있는
상황을 만들었고~조금이라도 남들을 도와줄수
있는 삶을 영위할수 있는 환경을 완성 했다면
부자라고 생각 합니다.
@wiscrutgersaustin 13
2023년 3월 29일 15:48상위 0.1%의 순자산 100억 아니고, 75억쯤 됩니다. 작년에 78억인가 했으니까 올해는 75억 밑으로 내려갔을 거예요. 그런데 사실 순자산으로 부자를 결정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부자는 금융자산과 현금흐름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필요할 때 돈을 얼마나 끌어올 수 있느냐를 결정하는 금융자산, 그리고 매달 수입이 들어오고 비용이 나간 상태에서 남는 현금, 즉 잉여현금이 2천만원 정도 넘어가면 그때는 꽤 행복한 부자라고 볼 수 있죠. 그런데 솔직히 현금 2천 들어와도 그걸 통째로 다 쓰는 정신병자들은 없기 때문에 그저 조금 풍요롭게 사는 수준입니다. 우리가 TV에서 보는 진짜 부자들은 0.1% 정도가 아니에요. 0.05% 수준입니다. 말도 안되는 부자들이죠. 사업을 하지 않은 한 그 수준으로는 절대로 못 올라갑니다.
@Lovelove17-k7 13
2023년 3월 29일 01:42강남3구에 살지 않아도 그 곳에 집을 사고, 거주는 전세나 월세로 하시기를... 미국 집 값 비싼 3 도시에서 25년 살면서 알게된게... 25년전 집 하나만 갖고 있었어도 꽤 많은 돈을 갖게 된다는 것.
@张4114 11
2023년 3월 29일 14:04작은부자가 되자는 말에 백퍼센트 동의 합니다. 조금씩 부자가 되어가는 제 자신을 위하여~~!!!
@김코난-o5f 9
2023년 3월 31일 18:5650후반~ 평생 월급 2~300 으로. 피나게 절약해서 2자녀 대학공부 시키고
서울 빚없이 8억 아파파트 장만 했습니다. ~~지금부터가. 고민되네요. ~~좋은방송 감사합니다
@user-kh6dh5jn3g 8
2023년 3월 28일 20:08이 영상 상당히 귀감이 됩니다.
현실적인 대안 같습니다.
@hyung8ae 8
2023년 3월 28일 13:49너무 재밌는 주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재밌게 시청했습니다 !
@sapphire4409 8
2023년 3월 28일 16:18목표 7억까지 앞으로 4억 7천... 아직 가난하지만 포기 안하겠습니다
@Jnurse423 8
2023년 3월 29일 20:08박사님 늘 감사합니다
요즘 중소은행 리스크와 연계되어서
미국 리츠가 많이 약세인 부분이 있던데
이 부분에 대해 박사님의 고견이 듣고싶습니다
@ttokkine 7
2023년 3월 30일 21:53너무나 현실적이라 크게 공감이 되네요~~~ 10억이 누구 애 이름도 아니고 모아봤냐 이거뜨라~ 라고 외치고 싶습니다 ㅎㅎㅎ
@jinh4913 6
2023년 4월 10일 02:53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것
부자의 최소조건이라고 생각함..
@건들면죽어 6
2023년 3월 29일 00:3240대 후반 공무원입니다. 퇴직할때 공무원연금 200만원 , 개인연금 30년기간 월100만원 목표로 매년 700만원 넣고있습니다. 그리고 주식 3억원 투자중 배당 년 2000만원 목표로하고있습니다.
@종목왕 6
2023년 3월 28일 12:53박사님, 애정어린 조언 감사합니다.
@itslvoe 6
2023년 3월 28일 13:46박사님 감사합니다 부자가 되겠습니다
@심종수-y7p 6
2023년 5월 02일 16:50자식도품안의자식이지 출가하면 마음비우고 바라지도말고 보태줄생각도말고. 마지막같이갈사람은부부뿐입니다. 평생43년직장생활. 맞벌이로살다 퇴직하고보니중산층도안되네요 애들출가시킬때3억정도들고 현재국민연금150정도나옴니다 평생들서오던급료가사라지니 기분묘하네요 빚은하나도업는데 모아논게별로네요 기초연금신청햇뜨니탈락입니다. 평생수출기업기능직으로살앗는데 퇴직하니나라에선이방인취급합니다대기업다닐때받은상패들아무소용업네요 구독찍고갑니당
@carpe1447 4
2023년 3월 29일 08:04박사님 화이팅^^
@Matou-Sakura 4
2023년 3월 28일 18:58집은 있으나 현금은 없다....딱 제 처지를 말씀해주시네욤.... 와이프 이기는 남편 없뜸...
전 흙수저-동수저 사이 출신인데 운좋게 전문직됐지만 12년째 365일 밤12시까지 일해서 지금 자산을 만들었지만 현금흐름이 빠듯해 은퇴는 언감생심이네요...은퇴가 소원입니다
@아수라발발타-s9p 4
2023년 3월 29일 14:24안녕하세요
박사님의 저서 인구와 투자의 미래를 읽고
2017년도에 아파트를 사서 자산증식을 할수있었습니다
그뒤로 달러투자, 리츠, 코스피,나스닥 등을 다 해보았고 약간의 이득을 거두었어요
채권투자는 적성에 맞지않아서 뺏고요
지금은 한국에는 아파트, 미국에는 나스닥+리츠 형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박사님이 한국코스피의 문제점에 대해 말씀해주신 영상에 공감하고있어 코스피는 비중을 계속 줄이고있습니다
늘 좋은 컨텐츠를 통해 배우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Enok5023 4
2023년 3월 28일 13:06감사합니다~!!!
@js-hz5kb 4
2023년 3월 28일 13:46메모메모.. 오늘 넘 현실적인 이야기 좋네용!
@ty.l6202 3
2023년 4월 01일 10:35오늘도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dayfly34 3
2023년 3월 29일 01:54박사님 항상 좋은 경제이야기 해주셔서 잘 듣고 있습니다. 건강하세요!!
@user-un8qy3qq1k 3
2023년 4월 04일 22:4430억이라… 부동산이랑 모든걸 합친거겠죠??
@hyunkyunglee8007 3
2023년 4월 10일 11:57박사님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말씀 귀담아 듣고 있습니다. 27만 구독자 달성도 축하드립니다!!
@호롤롤로-o1y 2
2023년 4월 13일 17:12결혼 안하고 사치 안하고 돈 모으면서 자산배분하면 돈 불리기 쉬워요. 자녀에게 돈이 엄청 들어가니까 결혼하면 힘들긴 할 듯.
전 41살 독신남인데 군단위 도시에서 원룸에 살지만 순자산은 8억 넘습니다. 대부분을 주식으로 가지고 있어요.
개선문 2
2023년 3월 28일 12:56순자산 100억 0.1% 인데.. 요새 사람들이 100억을 너무 쉽게 생각함..
@dream-rp1op 2
2023년 8월 31일 10:16마음 가짐이 제대로 된 젊은이 이네. 내가 퇴직한 교사인데 . 임용 후부터 부동산 관심. 부동산 전문가 수준으로 공부해서 달인 수준이 되면 길이 보임 . 지금은 친구 밑 지인들이 부러워 할 정도 부동산 소유.
@yunhwancha 2
2023년 3월 30일 00:02대한민국 최고의 부자아빠~~! ^^
@coled9566 2
2023년 3월 30일 00:35목소리가 좋으시네요
@cs-ck2ne 1
2023년 4월 10일 20:16아. 내용 좋다. x세대입니다, 격하게 공감합니다.
@kihyunkim3452 1
2023년 8월 05일 01:55선생님이 앞서 가신 길을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나친 욕심 부리지 말고 현재의 작은것에도 감사하며 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삐약삐약-u5v 1
2023년 4월 02일 22:06순자산 10%는 얼마정도일까요? 10억?
@pdhfjr 1
2023년 3월 30일 15:33나도 부자되고 싶다!!
@focus.econtalk 1
2023년 5월 04일 16:06박사님 인사이트 있는 영상 유익하게 시청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눈물샤워스 1
2023년 3월 31일 21:21박사님감사합니다 좋은말씀듣고가요
Youn-Ho Park 1
2023년 3월 28일 13:06홍박사님 음성이 잘 안 들립니다.
@금사랑-g1v 1
2023년 8월 11일 10:59작은부자를 위해 달립니다😊
Aim High 1
2023년 3월 28일 12:56달러스위칭.. 메모..
SH Jo
2023년 3월 28일 17:04박사님 안녕하세요 ^^
처음으로 댓글답니다
47인데 몇달전부터 한달에 백만원씩달러예금을 들고 있어요
지금 환율로도 달러예금 드는게 맞는건지해서 여쭤봅니다
@김은희-k5f9k
2023년 4월 06일 12:49잘생겼어요~~
@mincola7460
2023년 8월 27일 04:40샘 말소리가 적어요
ᄋᄋ
2023년 3월 28일 16:03안녕하세요 박사님, 올해 임용된 신규교사입니다.
공무원이다보니 나중에 공무원연금을 받을텐데, 이와더불어 개인적인 노후를 어떻게 준비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도와주십쇼!!!!!ㅠㅠ
@Lanapiao
2023년 8월 26일 02:58한국은 금융자산 부동산 비율이 2대 8인게 문제, 집은 깔고 앉아있고 현금흐름이 없으니 상대적으로 빈곤할수 밖에. 미국은 7대3 현금이 부동산에 비해 엄청 많음 그래서 찐부자들이 많음
@dy1522
2023년 4월 07일 21:51안녕하세요 박사님
인터넷으로 박사님강의도 듣고 하면서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3대3대3으로
한국주식 미국리츠 미국국채일 당시
한국주식 대신 인도etf도 괜찮을까요?
Dust
2023년 3월 28일 12:53😊
@이관희-k7u
2024년 4월 23일 17:17박사님 말씀이 현실적이네요.요즘 주거비로볼거같으먄 내집이든 아파트 연립 다세대빌라 오피스텔 아파텔 나홀로등등 전세또한 전세자금대출있어서 생활하다보면 빠듯하네요 누구말데로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훍수저 하물 며 플라스틱수저라니
@CS-dp9jo
2023년 7월 05일 20:24부동산 오르니 내리느니.. 어떤 주식을 사느니.. .이런거에 대한 내용보다..
차곡 차곡 저축하고, 그걸 활용하는 방법등...
누구나 알지만, 참 어려운 실행 방법... 사실 이게 진실임에는 틀림 없다고 봅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저축 > 통화 & 환율 > 채권 > 주식 & 부동산 순서로 공부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물론 제 기준입니다.
@BoreumIm-qs3ui
2024년 7월 14일 09:15제가 경제공부, 책읽기, 금융공부 시작하며 유튜브 티비 다 끊었는데 유일하게 꾸준히 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오래오래 해주세요 제가 경제에 대해 눈을 뜨게 해주셔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Jay J. Yang
2023년 3월 28일 14:58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서울/비서울 차이가 너무 커서…혹시 강남 3구 평균 자산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keejdj5109
2023년 7월 18일 20:16피디님 잘생겼어용
@유경열-n2e
2023년 4월 07일 09:43진정한 현실성 부자이신듯
빨간돼지
2023년 3월 28일 16:44학생때 서울대 지금으로 치면 의대가는 거랑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어려운건데 학생따는 저놈은 괴물이야 라고 외면 하지만 지금은 나도 저정도는 될 자격이 있다고 생각 하는건가??
크리스챤 띠옹
2023년 3월 28일 16:47매번 춘옥씨 얼굴보다가 갑자기
넘 잘생긴분 보니 분위기가
확 바뀌네 ㅎ자주 출연해주세요^^
@김은희-k5f9k
2023년 4월 06일 12:49구독. 조아요. 눌렀어요
@jinux222
2023년 3월 29일 10:16좋은 강의였습니다.
하지만 대구에서도 준공 10년이내 괜찮은 아파트 국평 들어가려면 5억으로 부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