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혼동하는 게, 이분은 지식을 위한 공부를 하는 거고요. 시험을 위한 공부는 다릅니다. 각종 자격증 공부도 해봤고, 박사 공부(문과)도 지금 3년차인데 두 공부가 달라요. 이분이 하시는 말은 지식을 만들어 내는 진짜 공부에 적용 되는 말이에요. 자격증 공부 할 때는 그냥 냅다 문제 풀이가 답입니다. 이해 못해도 문제 풀면 됩니다. 고시 공부한 사람들, 수능 고득점자 보면 그런 사람 많아요. 수기, 주변 경험담 봐도 그냥 문풀이 갑입니다. (물론 그래서, 고시 붙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지식은 있지만 그 분야에 대한 통찰이이 없습니다...) 시험이 급하신 분은 저렇게 하면 안 돼요. 장수의 지름길입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올바른 공부법으로 빨리 탈출하시고. 학자분들은 공부 빡세게 제대로 합시다 화이팅
완전공감되는게 애들 수학가르치는데 애들이 제일 싫어하는게 푼거 매겨서 틀린거 생각해보는거임 일단, 자기 부족한 부분 직시하는게 싫고, 부족한 부분 채울려면 에너지가 드니까 싫고 그래서 회피하다보면 결국 풀기는 푸는데 모르는 부분은 하나도 개선되지 않는거지 이런걸 수년동안 지적해줘도 고칠 놈만 고치고 대부분은 지 쪼대로 살더라...그리고 수학뿐만 아니라 인생전반에서 그런 태도로 살까봐 안타까움
저도 어렸을적부터 그림으로 공부하고 뭐든 내 식으로 노트필기하고 했더니 사는데 정말 도움이 됩니다. 돌아가신 친정 엄마가 본인 못 배운 한을 물려주지 않으시려 피땀흘려 일하시며 저희를 키워 주셨는데 살면 살수록 고마움에 사무칩니다. 😢 어린학생들 공부는 결과가 아니라 삶에 대한, 내 인생 전반에 대한 태도에요. 포기하지 않고 과정을 거치고 결과를 얻고 또 배움의 기쁨을 나누고. 우리 모두 화이팅 합시다!
음 저는 수능공부 할 때 최대한 머릿속에 이미지나 상황을 입력하고 머릿속으로 여러번 그리면서 공부했는데 저는 손과 머리 두 개 다 쓰면 집중력이 떨어져서 최대한 단순하게 생각하고 답 구했어요 아마 시험을 치는 것과 공부를 깊게 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인 것 같은데 저는 문제 풀때 괜히 손으로 많이 쓰다 보면 오히려 더 꼬이더군요
@MetaManOfInsight 207
2023년 4월 12일 14:54정말 공부만 파고 파신 느낌이시다
말투, 표정, 사람 자체 느낌이.
@신라면-t6j 187
2023년 4월 28일 01:10아웃풋을 위한 공부랑 단순히 시험을 잘 치기위한 단기기억력 학습은 완전 다름.. 이분은 백지상태에서도 출력을 시킬 수 있는 장기기억력에 가까운 학습법을 말씀하신것.
@dkanakfeowkscl 186
2023년 4월 14일 22:21사람들이 혼동하는 게, 이분은 지식을 위한 공부를 하는 거고요. 시험을 위한 공부는 다릅니다.
각종 자격증 공부도 해봤고, 박사 공부(문과)도 지금 3년차인데 두 공부가 달라요.
이분이 하시는 말은 지식을 만들어 내는 진짜 공부에 적용 되는 말이에요. 자격증 공부 할 때는 그냥 냅다 문제 풀이가 답입니다. 이해 못해도 문제 풀면 됩니다.
고시 공부한 사람들, 수능 고득점자 보면 그런 사람 많아요. 수기, 주변 경험담 봐도 그냥 문풀이 갑입니다. (물론 그래서, 고시 붙은 사람들이 생각보다 지식은 있지만 그 분야에 대한 통찰이이 없습니다...) 시험이 급하신 분은 저렇게 하면 안 돼요. 장수의 지름길입니다. 수험생 여러분들 올바른 공부법으로 빨리 탈출하시고. 학자분들은 공부 빡세게 제대로 합시다 화이팅
@채권총론 73
2023년 4월 03일 00:14백지복습 -> 메타인지 -> 셀프피드백
@zenith007 61
2023년 5월 01일 08:35대학때 전기기사 실기 공부할때 그림으로 그리면서 공부했고 한달만에 합격했죠^^
대신 하루 열시간 안쉬고빡공함
맞는말
@studian365 58
2023년 3월 29일 10:07박문호 뇌과학자 풀영상 보기
👉https://bit.ly/3LVc3gI
@써니써니-j4m 40
2023년 4월 16일 10:25진짜 맞는말..
@serenakim4219 38
2023년 8월 30일 12:49완전공감되는게 애들 수학가르치는데 애들이 제일 싫어하는게 푼거 매겨서 틀린거 생각해보는거임 일단, 자기 부족한 부분 직시하는게 싫고, 부족한 부분 채울려면 에너지가 드니까 싫고 그래서 회피하다보면 결국 풀기는 푸는데 모르는 부분은 하나도 개선되지 않는거지 이런걸 수년동안 지적해줘도 고칠 놈만 고치고 대부분은 지 쪼대로 살더라...그리고 수학뿐만 아니라 인생전반에서 그런 태도로 살까봐 안타까움
@hojusupplement 22
2023년 4월 11일 12:541. 공부는 구멍을 메꾸는거다.
2. 이해는 하는게 아니라 오는거다.
@rachellee7693 20
2024년 1월 03일 11:25저도 어렸을적부터 그림으로 공부하고 뭐든 내 식으로 노트필기하고 했더니 사는데 정말 도움이 됩니다. 돌아가신 친정 엄마가 본인 못 배운 한을 물려주지 않으시려 피땀흘려 일하시며 저희를 키워 주셨는데 살면 살수록 고마움에 사무칩니다. 😢 어린학생들 공부는 결과가 아니라 삶에 대한, 내 인생 전반에 대한 태도에요. 포기하지 않고 과정을 거치고 결과를 얻고 또 배움의 기쁨을 나누고. 우리 모두 화이팅 합시다!
@llollapalooza 13
2023년 11월 25일 16:23정말 놀라우신 분..
@a42762085 10
2023년 8월 13일 15:27노트가 예술작품
@미소천사-t3s 10
2023년 10월 17일 23:23정말이지 이 분 말씀은 들을수록 너무나 박식하시고 어쩜 저리 신뢰가 가는 표정이실까 하는 생각이 드며 진짜 공부를 너무 신나게 하셨을 학창시절을 생각해보게 되네요
학급에 그런 친구 한명쯤 꼭 있잖아요
@hardcorejhp 6
2023년 4월 16일 22:58맞는 말인데 문제집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시험대비까지 효율적이기도하고.
그러나 수험적인 공부에 한함
@sh-us5pm 5
2024년 9월 13일 23:49진짜 몰입을 느끼면 행복하다던데. .딱 그 표정이시네🙂
@kp8QiQcU8AMzI 4
2023년 8월 26일 10:34오 메타인지 말씀하시는 거네요. 메타인지에서도 본인이 모르는 걸 가려내는 걸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박사님은 그걸 손으로 써서 해보라시는 거군요.
@예로니모-w9s 4
2024년 3월 25일 01:33👍 감사합니다
@신기한-l6b 3
2024년 8월 01일 12:03감사할따름입니다 감사합니다
@nqnkdscvz 3
2024년 1월 08일 22:26관련없는 이야기인데 진짜 관상이 과학이란 말이 맞는게 이 선생님이나 좋은일 하시는 분들은 얼굴의 광채나 표정 눈빛이 정말 다르다👏👏
@Shu7ijgdews 3
2023년 8월 27일 04:47결국 세상이 그려진다.
@밍둥-p2z 2
2023년 4월 22일 01:20대단하시네요 구독하고 갑니다
emily 2
2023년 4월 02일 22:20네.. 문과 공부는 그림이 안 그려집니다. 선생님
@빅토리-j1y 2
2024년 2월 26일 18:36최고의 학자 응원 합니다
@BitJenny 2
2024년 4월 03일 09:27너무 깊이있게 스마트하신 뇌 과학자님❤
@n0cPinkit 2
2023년 10월 10일 14:23박사님 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많이 안다생각하는것보다 내가 모른다는것을 아는것이 참 지식인것같아요~ 감사합니다😊
@mmjmmj2362 2
2023년 11월 30일 09:24멋진배경음악!!
@dhl2972 2
2023년 8월 15일 10:17난 글로 적는데 그림 그리는 게 더 쉽고 와닿을 듯
@이옥이할매 2
2024년 7월 11일 21:42그림좋아요
@임현주-s9x 2
2023년 4월 14일 09:07감동
@chickenkoala9415 1
2024년 8월 17일 06:34지식의 구멍을 메꿀수 있는 인간은 존재 하지 않아요. 다 메꿨다 생각하자마자 또 다른 구멍이 나타나니까요...
@수선화봄 1
2024년 1월 05일 01:32부모가 자식가정에 개입해서 시집살이 시키면 문제있는 부모다.
@피톤치드-s6z 1
2023년 4월 17일 08:49감사합니다!
@skkim143 1
2023년 10월 18일 18:39삼십년을 공부했는데 방법론이 없으면 더 이상하지. 그런데 다른 사람도 그 빙법이 통할까 하는 의문이 있지. 몇 년 공부 안 해본 사람한테 적용가능할까?
@etc-n3z 1
2023년 9월 10일 00:46크 의대분들이 이렇게 공부하더라구요
@modernetude5750 1
2025년 2월 12일 17:01마치 레오나르도 다빈치 같으세요.. 사물이나 개념에 대해서 어느정도 정돈되고 디테일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면 효과가 좋을 듯합니다. 또한 그것을 바탕으로 조각 지식들을 모아서 큰 그림을 그리는 연습을 해도 좋겠네요.
@이재용-k3p 1
2023년 5월 03일 14:31헠 감사합니다
@TWSstudent42 1
2024년 2월 26일 17:56맞는거같아요. 걍 읽어서 하는것보다 써봐서 이해하는게 특히 수학 이래야 큰 효과 받는거같아요.
@이정원-v2p
2023년 11월 04일 12:30대단하시네요
@융블리-s3s
2025년 6월 11일 11:46감사합니다
QM TV
2023년 4월 02일 23:49Bgm 무엇인가요? 많이 들어본 음악인데
@7126번
2024년 1월 11일 22:25공부를 진정 즐기시는 분
@은정-w3t4q
2023년 12월 06일 20:10강사합니다 인생 공부 경험 선배님들 모든 분들께 오늘의 영광을 다시 돌려드립니다 저희때문에 무지로 흔들려서 너무너무 죄송했습니다 그동안의 노고에 박수를 ,,,,,,그래 후대 아우님들은 명심하시기를 나라 잃은 슬픔을🎉🎉🎉🎉🎉🎉🎉
@융블리-s3s
2025년 6월 11일 11:47무릎을치게하는영상이네요
@biu-w4o
2023년 10월 11일 04:38정말 감동적인 말씁입니다
@satxsa
2024년 3월 11일 10:59영어해석도 일고 지나가는것과 글로 적어보는것은 디테일이 다르다.
@하-t6r
2023년 10월 27일 19:28멋있으시다
@khj7248
2024년 1월 24일 08:50음 저는 수능공부 할 때 최대한 머릿속에 이미지나 상황을 입력하고 머릿속으로 여러번 그리면서 공부했는데
저는 손과 머리 두 개 다 쓰면 집중력이 떨어져서 최대한 단순하게 생각하고 답 구했어요
아마 시험을 치는 것과 공부를 깊게 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인 것 같은데 저는 문제 풀때 괜히 손으로 많이 쓰다 보면 오히려 더 꼬이더군요
@ggon643
2023년 10월 03일 03:22시험이 있는 공부는 오답노트만 쓰면되는데 시험이 없는 공부는 정말 이런게 다
@goooood50
2023년 10월 28일 12:02❤맞아요!맞아요!♥
박사님 말씀 학생들에게 ^^
공유할께요~^^
항상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별숨달숨
2023년 8월 29일 23:55헐...그래서 드라마 로스쿨에서 나오는 교수님이 퍼즐 한 피스만 맞추면 조각그림이 끝나는데 해결 안되니까 손에 들고 계속 고민하다가 해결되면 맞춘거였구나 왜 자꾸 손에 들고 있나 했더니.. 새삼 깨닫고 갑니다
강짱TV
2023년 4월 02일 22:59ㅋㅋㅋㅋ 1000피스 공부. 다음날 999피스 망각ㅋㅋㅋㅋㅋㅋ
반전
매일 1000피스를 해주면서 하나하나 피스를 맞추어 가야함...
반전의 반전...
그러는 와중 미리 맞추어 두었던 피스들을 누가 계속 훔쳐감(또다른 망각)ㅋㅋㅋㅋㅋ
@ohsungc2
2023년 11월 05일 08:49교수님말대로 물리공부에 그 방법들을 적용시켜보면 딱 그 퍼즐이 들어맞을때가 있음. 그 공부의 진행과정 도 교수님 말씀대로라서 다른 말씀하시는 내용도 신뢰하게됨.
@ctaj-xj9sk
2023년 10월 21일 22:28감사합니다.
주옥같은 진리를 알려주셔서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박인선
2023년 4월 02일 23:21기록 해놓고 나중에 여러번 읽기도.죄송합니다.쇼츠에도 나오셔서 감사합니다. 20가지 장르.공부되신 과학의 추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