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nq 가 장투가 아니라 트레이딩 관점에서 봐야한다면 섣불리 바닥론을 논하시는건 성급한 감이 있습니다. (장기차트는 우상향 자산이라 보기 어렵고요) 미국 주택가격은 주가와는 다르게 아직 크게 조정을 받지 않아 앞으로 경기 침체시 조정을 크게 받을 여지가 있습니다 . 변동금리인 상업용 부동산은 변동이 더 크겠지요. 인플레가 금방 잡힐지 아닐지도 모르는 상태입니다. 연준이 사일런트 qe 라고 불릴만한 행보를 보이는것도 그렇고 영국 물가 상승률도 그렇고요. 생각보다 고금리가 유지될수 있어요. 자산 배분 관점에서 봐도 주식과의 상관성이 높아 (상관계수 0.7 이상, 등락률로는 0.8이상) 자산 배분차원에서도 부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산배분에서 리츠를 제외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REIT 상품들 및 CMBS RMBS 및 미국 부동산 대출 회사에 (소득에 95프로 이상 배당 주면 리츠로 간주 됨) 투자를 7년 째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조달 비용이 올라가면 배당이 줄고 환율도 신경 쓰셔야 됩니다. 특히 대출 만기 갈아 탈때 조달 비용 달라지면 배당 많이 줄고 이거 잘못 고르면 쉽지 않습니다. 일단 고 금리는 레버리지를 이용한 고 배당 제품은 조심해야 됩니다
홍박사님 영상들을 보고 예전 책도 읽어보면서 드는 생각이 현실적으로 투자하면서 돈을 벌 확률이 높은 투자를 하시는분이 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거의 대부분 나중에 박사님 예측대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기도 했구요~홍박사님 영상보고 배당주에 관심이 생겨서 p and g랑 펩시 리얼티인컴을 조금 담았습니다~ 박사님은 vnq를 좀더 좋아하시는거 같은데 리얼티 인컴보다 좋은 이유가 혹시 있을까요? 그리고 한국의 맥쿼리인프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정책 결정하는 분들은 머리가 안되면 선진국의 좋은 제도를 도입이라도 해라. 미국주식이 이렇게 활황이 된 것은 퇴직금을 미국주식시장에 투자하는 401k제도와 애플이나 구글처럼 자회사가 100개가 넘어도 애플이나 알파벳 하나로만 상장하게 법을 만들어서 강행하자. 그러면 한국자본시장도 미국처럼 번성하게 된다. 경영자나 오너들의 회사급여는 일정한도로 제한하고 배당을 통해서 수익이 생기게 하자. 그러려면 배당수익을 15.4% 단일과세로 끝내자. 종합소득에 합산하는 제도를 폐지하자. 상속세와 증여세 기준을 현행 시가가 아닌 순자산기준으로 부과하자. 더불어 일본법을 그대로 베낀 상속세율 50% 철폐하라. 금융실명제가 안된 일본법을 그대로 베끼면 어쩌냐? 상속세 증여세는 선진국평균인 20% 정도로 낮추자. 상속세 60% 고치지 않는한 자회사 일감몰아주기는 없어지지 않는다.
박사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인사이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랑 같은 방향을 보실때도 계시지만 최근에는 방향이 저랑 다른 것 같아서요. 작년 9월부터 저도 매크로를 보고 국채을 계속 가져오고있는데요. 제 의견으로는 아직 실업률이 안올라왔기 때문에 시장의 바닥이 안왔다 라고 생각 중 인데요 물론 다른 쪽으로 생각해보면 리쇼어링으로 미국내 일자리 총량이 늘어서 일 수도 있겠지만 19년도때 약한 경기 침체에도 미국의 실업률을 보면 기존과 다른 변동폭으로 탄력적이게 움직였거든요. 이제 조금씩 실업률이 상승할 것 같은 분위기부터 사는 것 보다 눈으로 실업률이 보여진 이후에 공격적인 자산을 늘리는게 좋다 라고 생각 중인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가치투자의 입장으로는 밸류에이션이 많이 떨어졌으니 지금부터 사도 나쁘지 않겠다 생각되지만 매크로만 봐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매크로 부분을 보고 시장을 좋게 보시는 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일본 부동산이 단순히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추천해 주시는건지 아니면 잠재력이 있어서 그런건지 궁금해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여러가지로 있겠습니다만 실질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경제가 성장해야 할텐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인구구조 유지와 포용적인 경제 외교정책이 필요하고 미래먹거리를 잘 찾기 위한 기술개발투자 등이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일본을 잘 모르는 구독자분들 입장에서는 일본의 잠재력에 대해 한번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2008년 서브프라임 때 CNN을 보니 집을 해체해서(목재, 전선) 팔더라고요. 황당했죠. 대출해준 은행이 돈을 받을 방법이 없자 담보인 집 해체... 반면 이런 상황에서 집을 대규모로 사들이는 사람도 나오더라고요. 집값이 올라간다고 믿는다면서. 2023년 비슷한 상황이 온거 같네요. 2번째 기회는 다들 잡으시길..
@지소-t9q 19
2023년 4월 06일 13:11vnq 가 장투가 아니라 트레이딩 관점에서 봐야한다면 섣불리 바닥론을 논하시는건 성급한 감이 있습니다. (장기차트는 우상향 자산이라 보기 어렵고요) 미국 주택가격은 주가와는 다르게 아직 크게 조정을 받지 않아 앞으로 경기 침체시 조정을 크게 받을 여지가 있습니다 . 변동금리인 상업용 부동산은 변동이 더 크겠지요. 인플레가 금방 잡힐지 아닐지도 모르는 상태입니다. 연준이 사일런트 qe 라고 불릴만한 행보를 보이는것도 그렇고 영국 물가 상승률도 그렇고요. 생각보다 고금리가 유지될수 있어요. 자산 배분 관점에서 봐도 주식과의 상관성이 높아 (상관계수 0.7 이상, 등락률로는 0.8이상) 자산 배분차원에서도 부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자산배분에서 리츠를 제외하였습니다.
@chunukhong 9
2023년 4월 06일 12:02안녕하세요 홍춘욱입니다. 오늘 4월6일 유튜브 콘텐츠를 촬영할 예정입니다. 질문남겨주시면 바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neelni_riaraga2583 6
2023년 4월 06일 17:09마이크좀 바꿔주세요오오옹 아니면 자막이라도..
@김팩트-z2y 5
2023년 4월 06일 12:19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근데 음질이 너무 안좋네요. 많이 울리네요.
@mss8550 4
2023년 4월 06일 15:28개인적으로 REIT 상품들 및 CMBS RMBS 및 미국 부동산 대출 회사에 (소득에 95프로 이상 배당 주면 리츠로 간주 됨) 투자를 7년 째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조달 비용이 올라가면 배당이 줄고 환율도 신경 쓰셔야 됩니다. 특히 대출 만기 갈아 탈때 조달 비용 달라지면 배당 많이 줄고 이거 잘못 고르면 쉽지 않습니다. 일단 고 금리는 레버리지를 이용한 고 배당 제품은 조심해야 됩니다
@yjm0795 3
2023년 4월 06일 23:23홍박사님 영상들을 보고 예전 책도 읽어보면서 드는 생각이 현실적으로 투자하면서 돈을 벌 확률이 높은 투자를 하시는분이 라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거의 대부분 나중에 박사님 예측대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기도 했구요~홍박사님 영상보고 배당주에 관심이 생겨서 p and g랑 펩시 리얼티인컴을 조금 담았습니다~ 박사님은 vnq를 좀더 좋아하시는거 같은데 리얼티 인컴보다 좋은 이유가 혹시 있을까요? 그리고 한국의 맥쿼리인프라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pdhfjr 3
2023년 4월 06일 12:01공감되는 말씀입니다. 이렇게 용기내서 의견 주시는 것도 감사드립니다.
@제리장군 3
2023년 4월 06일 14:27작년에 vnq 추천해주셔서 매수했더니 현재 마이너스 22% 더 물타야 하나 봅니다ㅜ
@js-hz5kb 2
2023년 4월 06일 11:59위기를 기회로 생각하기!! 오늘도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박사님
@hyung8ae 2
2023년 4월 06일 13:51오늘 영상도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남삼현-o5y 2
2023년 4월 06일 17:24정책 결정하는 분들은 머리가 안되면 선진국의 좋은 제도를 도입이라도 해라. 미국주식이 이렇게 활황이 된 것은 퇴직금을 미국주식시장에 투자하는 401k제도와 애플이나 구글처럼 자회사가 100개가 넘어도 애플이나 알파벳 하나로만 상장하게 법을 만들어서 강행하자. 그러면 한국자본시장도 미국처럼 번성하게 된다. 경영자나 오너들의 회사급여는 일정한도로 제한하고 배당을 통해서 수익이 생기게 하자. 그러려면 배당수익을 15.4% 단일과세로 끝내자. 종합소득에 합산하는 제도를 폐지하자. 상속세와 증여세 기준을 현행 시가가 아닌 순자산기준으로 부과하자. 더불어 일본법을 그대로 베낀 상속세율 50% 철폐하라. 금융실명제가 안된 일본법을 그대로 베끼면 어쩌냐? 상속세 증여세는 선진국평균인 20% 정도로 낮추자. 상속세 60% 고치지 않는한 자회사 일감몰아주기는 없어지지 않는다.
@R옹째 2
2023년 4월 06일 16:49박사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인사이트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랑 같은 방향을 보실때도 계시지만 최근에는 방향이 저랑 다른 것 같아서요.
작년 9월부터 저도 매크로를 보고 국채을 계속 가져오고있는데요.
제 의견으로는 아직 실업률이 안올라왔기 때문에 시장의 바닥이 안왔다 라고 생각 중 인데요 물론 다른 쪽으로 생각해보면 리쇼어링으로 미국내 일자리 총량이 늘어서 일 수도 있겠지만 19년도때 약한 경기 침체에도 미국의 실업률을 보면 기존과 다른 변동폭으로 탄력적이게 움직였거든요. 이제 조금씩 실업률이 상승할 것 같은 분위기부터 사는 것 보다 눈으로 실업률이 보여진 이후에 공격적인 자산을 늘리는게 좋다 라고 생각 중인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물론 가치투자의 입장으로는 밸류에이션이 많이 떨어졌으니 지금부터 사도 나쁘지 않겠다 생각되지만 매크로만 봐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어떤 매크로 부분을 보고 시장을 좋게 보시는 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종목왕 2
2023년 4월 06일 11:39궁금했는데 빠른 피드백 감사합니다
@james4131 2
2023년 4월 06일 15:53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그런데 영상음향이 너무 울리는 거 같습니다...
@itslvoe 2
2023년 4월 06일 11:56호황이란 말에 사면 늦는군요 ㅠ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on kills the game. 1
2023년 4월 06일 12:03vnq 한 3-4%로 인데... 왜 추천하는지.. ? nly 가 10% 넘고..저점인데.. vnq는vz/t/skm보다 안 좋아 보임..
@hoyapharm 1
2023년 4월 06일 13:35오늘 영상도 감사합니다.
일본 부동산이 단순히 상대적으로 저렴해서 추천해 주시는건지
아니면 잠재력이 있어서 그런건지 궁금해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여러가지로 있겠습니다만
실질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경제가 성장해야 할텐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인구구조 유지와 포용적인 경제 외교정책이 필요하고
미래먹거리를 잘 찾기 위한 기술개발투자 등이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일본을 잘 모르는 구독자분들 입장에서는 일본의 잠재력에 대해 한번 다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예전에 일본은 왜 망했는가? 에 대해서 소개해주셨듯이요^^
@세력차트연구소 1
2023년 4월 07일 19:27영상잘봤습니다 오훗!
@tyy2346 1
2023년 4월 06일 18:06물론 한국이 잘 해온 것도 있지만, 한국이 정말로 운이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행운을 날려버리지 않도록 잘 지켜야 한다고 봅니다.
@오즈-d2i 1
2023년 4월 07일 21:13마이크'목소리가 저번방송보다 웅웅거려서요
@여기가지옥 1
2023년 4월 06일 19:00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일본 부동산에 환오픈한 상태로 투자하는 금융상품이 나온다면... .
@bluskyhigh 1
2023년 4월 07일 06:40음질이 매우 안좋아 못알아 듣겠는 부분이 많습니닺
@realcast6702
2023년 4월 06일 13:42미국부동산이 동부 서부 양극화라는데
@박영사-e9u
2023년 4월 08일 23:36감사합니다
@jaysong5011
2023년 8월 18일 09:30음성이 약간 웅웅거리면서 들려요~~ 넘넘 좋은 강의라서 더 또렷한 음성으로 듣고 싶네요!! 마이크 바꾸시면 좋을 듯 합니다 :)
Son kills the game.
2023년 4월 06일 12:07홍춘욱은. 한 5%정도 수익 원하는 듯... 추천하는 거 보면.. 그래 도 안전한거..
@이그린-e6u
2023년 4월 06일 12:05리츠는 결국 분배금이라고 생각합니다.
분배금의 하락이 있을가요?
불경기나 부동산 저하시 임대료가 하락할까요?? 임대료는 년간 단위로 계약되니 하방 경직성이 있지 않을까요?
@Dr.Kim_Healthconsult
2023년 4월 09일 22:43안녕하세요 잘보고있습니다 주거용 리츠에 투자하는건어떤가요?? 미래는 모르지만 이때까지 수익률이 아발론베이커뮤니티 이쿼티 레지던셜등 좋았던데 다른 리츠는 컨셉에따라 너무 확확바뀔수있을거같아서 주거용이 제일 안정적이여보이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morgen129
2023년 4월 10일 18:49좋은 주식 판단기준으로 배당액이 꾸준히 증가하는지 보라고 하셨는데, ETF이긴 하지만 같은 관점에서 보면 VNQ가 작년대비 배당액이 줄었는데 여전히 좋다고 판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
@sky00fly
2023년 4월 06일 12:22박사님 말씀 충분히 동의합니다만, 연금계좌로 돌리는 입장에서 VNQ다 좋은데...선택지가 너무 좁네요. 혹시 연금계좌에서 매수 가능한 리츠ETF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bm-d2n
2023년 4월 06일 14:07박사님말대로 미국리츠 공부하고있습니다!현재의 미국물류센터 섹터는 어떻게보시나요?
@싱글이너프
2023년 4월 08일 01:14음향 마이크에 더 신경써주셨으면 더 좋을것같아요!
@어흥야옹
2023년 4월 06일 12:522008년 서브프라임 때 CNN을 보니 집을 해체해서(목재, 전선) 팔더라고요. 황당했죠. 대출해준 은행이 돈을 받을 방법이 없자 담보인 집 해체...
반면 이런 상황에서 집을 대규모로 사들이는 사람도 나오더라고요. 집값이 올라간다고 믿는다면서.
2023년 비슷한 상황이 온거 같네요. 2번째 기회는 다들 잡으시길..
@josephkim4192
2023년 4월 06일 12:02위기는 곧 저점이다. 좋은 투자 조언 감사합니다
@smallcheers
2023년 4월 09일 09:43연금계좌에서 매수가능한 미국리츠etf 상품들은 헷지된거라~ 모아가지에 적합하지 않는걸까요??? 연금계좌에서 한주/ 미채/ 리츠/금 전략을 적용하려면~ 리츠...,,,,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딩동댕-q5m
2023년 5월 16일 14:05안녕하세요. 신연금저축계좌나 IRP에서 미국리츠ETF(환헤지하지않은)를 매수하려고 해도 국내상장리츠ETF는 아직 없는거 같습니다. 제가 모르는건지 아니면 아직 상장되지 않은건지 궁금합니다.
@신범준-f5l
2023년 4월 06일 21:06미국채 팔기에는 조금 이른 거 아닌가요? 미국기준금리 아직 내려가지도 않았는데... 혹시 이것도 선반영인가요?
@slowslowquickk
2023년 4월 06일 20:12미쿡 교도소 리츠에 대해 언급해주세요 ㅎㅎㅎ
@guskj2
2023년 4월 07일 00:17투자 개념이면 모르겠는데 헷지 목적이라면 아닌 거 같음 저도 리츠 해볼까 하다가 접음
@포기하지마-e4y
2023년 4월 06일 12:55전at&t의비중이절대적으로높은데 어느쪽으로이동해야할까요 아니면그냥홀딩할까요
@남삼현-o5y
2023년 4월 06일 17:24❤
@fantasista1422
2023년 4월 06일 12:39리밸런싱에 정답은 없다지만요
해당영상에서 장기국채 팔고 리밸런싱하라 의견주셨는데요.. tlt만봐도 작년말 최저점에서 금일주가로봐도..10프로? 정도인거같은데 이정도 수익(최저, 최고점 잡는다해도10프로)에하면 리밸런싱의 의미가있을까요?
후후하하
2023년 4월 06일 14:15좋은 말씀이지만 개인적으로 홍작가님 예측은 맞는걸 못봐서 ㅎㅎ
기반지식만 얻어가겠습니다!
ㅇㅇ
2023년 4월 06일 12:24미국리츠가 위험하다는 뉴스가 많이 나오지만 다른 나라 리츠들에 비해 차입금 비율도 낮고, 부채의 가중평균 만기도 깁니다. 우량한 리츠의 경우 무담보채권비중도 꽤 높구요.
다만 오피스섹터는 미국인들의 재택선호+빡빡노동시장이 맞물려서 언제 회복이 가능할지 알수가 없으니 초보들은 건들지 마시고 나머지 섹터만 골라 사시거나 아니면 광범위인덱스를 사세요.
@오즈-d2i
2023년 4월 07일 21:04홍박사님 유튜브방송은 제게는 뼈가되고살이됩니다
광고도 끝까지다봐유 ㅎㅎ
홍박사님 늘 감사드려요
@DIOBOOK
2023년 4월 09일 10:43감사합니다 박사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