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족을 붙인다면, 똑똑한 사람들이 평범한 사람보다 더 도덕적이고, 훌륭할 거라는 것은 착각입니다.
더 도덕적이고 훌륭하기 때문에 다른 사회구성원들과 자신이 생산한 결과를 흔쾌히 나눌거라는 착각이 전제되어 있지요.
이라크 전쟁은 대량살상 무기가 없다는 것을 미국정부의 핵심 고위관료는 알고도 후세인을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란 것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고, 이 사실이 똑똑한 사람들이 오판한다는 사례로는 약간 빗나간 사례로 생각됩니다. 이 사례는 똑똑한 사람들이 이렇게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로 보아야 옳지 않을까요?
@dreaminglucid1316 11
2023년 4월 29일 19:38이 책을 읽지 않아서 뭐라 할 수 없지만,
사족을 붙인다면,
똑똑한 사람들이 평범한 사람보다 더 도덕적이고,
훌륭할 거라는 것은 착각입니다.
더 도덕적이고 훌륭하기 때문에 다른 사회구성원들과
자신이 생산한 결과를 흔쾌히 나눌거라는 착각이 전제되어 있지요.
이라크 전쟁은 대량살상 무기가 없다는 것을 미국정부의 핵심
고위관료는 알고도 후세인을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전쟁이란 것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고,
이 사실이 똑똑한 사람들이 오판한다는 사례로는 약간 빗나간 사례로
생각됩니다. 이 사례는 똑똑한 사람들이 이렇게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로 보아야 옳지 않을까요?
재미있게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studian365 4
2023년 4월 29일 12:22에이드리언 울드리지 [능력주의의 두 얼굴]📘
👉 https://bit.ly/3HjupF5
@재원배-d8p 4
2023년 4월 29일 23:13"과도한" 능력주의가 문제인 것이지요. 능력주의가 없었다면 사회가 발전할수 없었을것이다. 결국 완벽한 체제는 존재하지 않고 차선을 찾는것이다. 현재 능력주의를 대체할만한 것이 있는가?
@spiritwndrg18 2
2023년 4월 29일 17:30음서제나 수시입학, 로스쿨 같은 게 능력제냐 세습제냐를 구분할 때 세습제에 해당된다고 생각하는데 책에서는 어떻게 규정하는지 또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하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