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여름에 겨울옷 ( final sale ) 을 10-20% 내고 사고 , 겨울에 여름옷 삽니다. 세일 옷 사서 안쓴돈 , 커피 숍에서 커피 안사고 모은돈, 새차 안뽑고 20 년째 중고차 몰면서 매달 차값 모은돈, 이렇게 모아서 노년 은퇴금 모았읍니다. 30 년 모아서 저금하고 투자해서 7 억 은퇴금 마련했읍니다. 아. 앞으로 10 년후에 정식 은퇴 할때 7 억이 복리로 계속 불어서 더이상 돈을 더하지 않아도 돈이 돈을 버는 시스템이 될겁니다. ( 1 년 지난 지금, 현금 천만원 더 모았눈데, 7 억 + 1 천 투자금이 불어서 거의 10 억이 돼었읍니다 ) 제 말의 뜻은 현제 거지처럼 못먹고 못입고 사는 것이 아니라, 돈을 효과적으로 쓰면 작은 돈이라도 모율수 있고, 정기적으로 20-30 년 복리로 모우면 노후준비를 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매달 투자금 백만원 ( 주 25 만원 ) 을 어떻게 현제 정해진 수입, 고정 지출에서 짜아 낼수 있을까요 ?
1) 매월 자동차 대출금 없는차 , 대중교통 2) 커피숍 커피 값 3) 유행 안타고, 물빨래 가능한 옷 4) 주 2-3 회 도시락싸기 5) 젊을때 알바 뛰어, 저금 돈 마련 6) 꼭 필요한 물건만 세일로 사기 7) 공돈 생기면 저금/투자하기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죠 생각보다 쉽게 월 백만원 노후 자금으로 모을수 있읍니다. 처음부터 없는 돈이라 생각하고, QQQ etf, VGT etf, s& p 500 VOO etf ( 모두 10 년 평균 수익율 10%~17% ) 모으십시요. 처음 10 년은 느리나, 10 년 넘어 15 ~20 년 되면 “복리” 의 축복을 경험하실겁니다. 복리 계산기 어플 사용해서 계산해 보십시요. 내가 하찬케 여기며 쓴 작은 돈들이 모여서 복리 + 시간 의 마법으로 어떻게 변하는지...
일제 말에 태어나신 86 세 어머님이 아직도 정정 하신데, 일제, 6.25, 가난한 대한민국 에서 4 형제를 키우시느라 본인 노후를 전혀 준비하지 못하셧지요. 물론 4 형제가 보설펴 드리지만 본인 재산이 없는 것을 못네 아쉬워 하시지요. 비교해 볼때 1960 대 이후 출생한 현재 5060 세대는 쉽게 90+ 살겁니다. 3040 세대는 100 세 시대 입니다. 육체노동 하기 힘든 노년의 기간이 30-40 년이 넘을수 있읍니다. 육체 노동이 가능하고 직장 생활은 20 ~ 65 세 정도 . 대부분의 사람들이 길어야 35 년 정도 입니다. 젊고 기운 있을때 좀 노력하고 검소한 것은 덜 아프고 덜 서럽읍니다. 늙어서 몸 아프고 돈도 능력도 없다면 정말 가슴이 쓰리고 서러울 겁니다. 본인 쓸돈 보다 훨 많이 모아졌다면, 자식에게도 인심 쓰고 좀 남겨주거나, 사회에도 조금 기부하시면 좋구요.
댓글에 많은 분이 젊어서 모우느라 고생만 하고 죽을때 못가져 가는게 불쌍하다 , 커피 안사고 얻어먹느라 고생했다 하시는데, 전혀 그렇지 않읍니다.
정말 불쌍한 사람은 1) 엄청 좋은 차 모는데, 빛도 엄청 많은 사람 2) 커피숍커피 매일 마시는데, 자기 집한채도 없는 사람 3) 백화점옷, 명품 가방 자랑해도 저금통장 잔고가 낮은 사람 4) 젊고 기운날때 쓰고 놀자면서, 무료 사회봉사 한번 않하는 사람 , 등등등
하도 조롱하는 댓글이 많아서 저도 자랑 한번 할가요 ?
1) 나 사는 집 말고도, 월세나오는 집 7 체 2) 개인 연금 12 억 ( tsla, nvda 등등 그 사이 늘었네) 3) 회사 연금 20억 (nvda , voo 등등 . 이직해서 2 회사 연금, 지난 3 년간 2 배 이상 불어남) 4) 개인 저금 8 억 ( aapl, msft, meta 등등 ) 5) 나올 은퇴 연금 월 500 백 그동안 미국 주식과 mutual fund 등을 32 년간 일하면서 셋집 살때 aapl 절반 판것 1 회 일뿐. 단 한번도 팔지 않고 모았읍니다 . 요즘은 tsla + nvda 가 올라가서 갑자기 총액이 늘어 났지만, 시장이 출렁거리니 떨어졋울때 조금씩 살뿐, 전혀 팔지 않읍니다.
물론 작은 돈 피땀나게 모은 것 만은 아님니다. 20 년전에 우연치않게 천만원이란 목돈이 생겼을때 애플 주식을 120 주 사놓고 일하느라 바빠서 두번이나 분할때까지 15 년 간 안팔고 들고 있다보니 큰돈으로 변해 있었읍니다. 그돈에서 얼마꺼내 싸지만 교통좋은곳에 월세집을 몇체 대출끼어 사고 거기서 나오는 돈 집어쓰지 않고 진짜 내 재산을 만들기 위해서 부지런히 원금 과 이자 갚고 있읍니다. 현제 3 체는 완불 했읍니다 . 횡재나 운을 바라면 다른사람 부러워만 집니다. 작은 돈을 모아 종자돈을 마련하는 것이고. 그 종자돈이 자라야 투자와 재태크가 가능해 지는 것입니다. 저는 30 년 직장 생활을 하면서 생활의 지혜로 작은 돈으로 종자돈을 모운 것입니다.
세일 옷 사고, 커피숍 커피 안마시고, 중고차 타는게 고생 이라 는 님들은 정말 인간이 살면서 겪는 고생을 안해본 사람 입니다. 이 세가지 방법은 가장 손쉽게 빨리 월 100 만원 저금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원하면 당장이라도 벤츠, BMW 몰수도 있지만, 저는 그돈으로 3040 년이 될지 모르는 은퇴기간의 생활비로 모아 두겠읍니다.
글이 자꾸 길어져서 미안 합니다. 처음엔. 나 열심히 살아어. 하고 몇자 적었는데, 조롱과 비난, 불쌍하다는 말에, 자꾸 설명을 달다 보니 엄청 길어 졌읍니다. 부모님 모시고, 남편 일찍 사별하고, 저 나름 정직히 열심히 지혜롭게 살려고 많이 노력햤읍니다 . 이제 60 이 되니, 앞으로 30-40 년 살 미래룰 꿈꾸며 열심히 운동 하고 있읍니다. 젊은 분들, 포기 하지 마시고 한번에 1 달씩 목표 데로 저금하고 노력하십시요. 제 자식에게도 똑 같이 말합니다. 말이 길어서 정말 미안합니다
미래에 대한 무책임한 행동을 하면 안된다. 차는 소득에 걸맞는 차를 타야한다. (보험료,통행료,과태료,주유비,수리비,대리비,주차비,세차비 등) 차량유지비는 5%넘으면 안된다.7-8%는 절대 넘으면 안된다. 본인 월소득에 6개월치정도 되는 차량을 사라. 절대로 유지비가 7-8% 넘지 않는다. 보통본인 월급에 3배가넘은 차를 탄다. 그럼 유지비가15-20% 나간다. 따라서 모을수있는 돈이 줄어들면 가능성또한 줄어든다. 내 미래의 가능성이 줄어들면 행복감이 줄어든다. 제네시스 월소득 700만원 벤츠e 월1000만원 월소득 300이면 걸어다녀야한다.
애덤스미스“부자들은 소비에 행복보다 부의연속성에 행복을 느낀다” “가난은 열정의 빈곤에서 오는것이다” 열정이 있으면 방법론이 나온다. 열정이있으면 영감이나온다.
올하반기에 경기가 안좋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절약해야한다.
1.습관적테이크아웃 커피를 줄인다. 2.중식비를 절약한다. 3.엥겔지수-내지출에서 식생활비를 차지하는비중. 1인가구 25% 넘으면 안된다. 4.문화생활비는 월급의 15% 넘으면 안된다. 후순위의 소비. 쇼핑조심. 5. 6개월-1년 전부터 계획하는 여행을 잡아라. 여행비는 1달치월급으로 갈수 있는 여행지를 잡아라. 예산의 개념을 갖고 여행계획을 세워라. 가고싶은여행지금액이 모자라면 기간을 더늘려 금액을 모으고 가라. 6. 주거비용-직주근접때문에 발생. 월급에 15%이상을 내기는 어렵다. 관리비포함 15%이내로 낼수 있게 해라.
어려움에 적응하지말고 발버둥을 쳐야한다. 세상이 바뀌었다. 나이가40살이면 0.7 곱하면 사회적 정년이 28살이다. 지금 40살은 애매한 소득때이다.
250만원받는 사람한테 1억만들어라 한다. 5-6년안에라도 만들어야한다. 250만원 밖에 못버니깐 빨리 1억을 만들어야한다. 오래 걸리더라도 모으자.
1억이 재테크를 시작하는 허들이다. 1억을 모으는 동안 깨닫게 된다.
긍정적 마인드는 미래의준비를 해가면서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긍정적 마인드다. 단순히 긍정적 생각은 근자감이다.
내 손으로 1억을 만들어 보는 사람은 재테크에 절대로 실패하지 않는다.
불확실하다는 거는 아직까지 결정되지않았다는 것-> 즉, 가능성이 있다는 것.
돈번지 5년이면 1억은 있어야 한다. 1억은 비행기로치면 상공10km. 따라서 저축에 집중해라.
1050만원 모을때마다 50만원은 플렉스해서 즐긴다.
풍차돌리기 적은은 비추천.
돈을 잘 모은사람들은 목표가 있다.
소비전 생각항 3가지. -뭔가를 사들이는 사람들이 소비를 더 많이한다. 쇼핑을 조심해야한다. 결제 3심-> 장바구니에 담아 당장 결제 하지마라-> 과연 정말로 필요할 것인가? (없으면 안되는거다면 통과/ 있으면 좋은데 탈락) 이번달 예산이있는가? 대체제는 없는가? 이세가지가 통과되면 후회하지않는 소비가 된다. 필요한걸 사야지 싼걸 사지 않는다.
지금 우리나라는 후퇴침체 중간. 경기침체가 오면 금리인하가온다. 인플땜에 금리를 단순히 낮추기는 힘들꺼다. 스타트는 천천히, 피니쉬는 스피디하게. 지금경기는 인플레이션에의해움직임.
지금상황은 도끼질보단 도끼날을 가는게 중요하다.
2023년말까지는 현금보유가 제테크임. 연말까지는 저축하는게 낮다. 실질금리는 높은편이다.
사람마다 느끼는게 다르겠지만 저의 경우 적당히 모으고 적당히 소비해야 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제 친구 나름 대기업이라 할 수 있는 회사 입사하고 먹고싶은거, 사고싶은거 참아가며 20대 청춘 다 바쳤는데 공장 화재로 사망했습니다. 죽기전 차 한대 뽑아도 되겠지? 라며 웃으며 말하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네요. 이제 3년쯤 됬으려나요. 너무 먼 미래보다 적당히 무리없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했으면 합니다.
내 나이 23살, 저는 22살이 되고 군대 대신 방위산업체 2년 근무를 하게 되었어요. 1년 3개월이 조금 더 지난 시점인 최근에는 2300만원을 모았습니다. 한달에 160만원을 저축했고 월세로 25만원을 내면 한 2~30만원 정도 남아요. 밥도 회사밥만 먹고 주말마다 본가에 내려가고 옷 한벌 안사고 술도 안먹고 담배까지 끊었어요. 그리고 진짜 부자가 되고 싶어서 남는돈으로 책을 사기 시작했어요. 내 지적재산은 복리효과보다 더 효율이 좋을거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책을 읽고 투자를 공부하고 그런데 부모님 이빨이 많이 안 좋으시더라구요. 치료비 800만원 제가 내드렸고 누나 집 구한다고 500만원을 빌려줬어요. 남은 1000만원으로 분산 투자를 해서 100만원 가까이 수익을 냈었는데 한 종목 물린거에 물타기를 하다가 지금은 -50% 에 거래정지가 되었네요. 너무 빨리 부자가 되고 싶어서 욕심을 냈던 것 같아요. 상장폐지 얘기까지 나오니 이제 허탈하기만 합니다. 저는 아직 젊고 건강한 몸은 아니지만 누구보다 강한 맨탈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는 꼭 성공해서 저희 가족에게 건물 한채씩 선물해서 일 하지 않고 돈 걱정 없이 살게 해주고 싶어요. 꼭 성공하고 싶습니다.
진짜 악착같이 아끼고 아껴 모아도 결국 아프거나 암걸려 또는 사고로 가면 끝이더라 아무 의미 없는거임 그러니 적당히 벌고 적당히 쓰세요 돈욕심 부리지 말고 욕심이 많으면 끝이 안좋다 함 가장 중요한건 건강과 행복 이랍니다 사는동안 깨끗하게 청소 하고 즐겁게 행복 하게 지내세요 제발 그래야 후회 없어요
무조건 아껴라!!라며 다그치기보다 젊을때 좀더 “곱씹으면서” 삶을 즐기는 사고의 전환을 통해, 지극히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경제적 논리를 전달해주시는게 따숩게 느껴지는것같아요. 마냥 패스트푸드적으로 시간과 경험을 소비하지말고, 다양한 장소를 보고 변화를 온몸으로 느끼며, 미래를 준비하는 설레임을 가지라는 말씀이 저희 세대를 위해 고민하신 티가 많이납니다 ㅎㅎ
주위 아이 친구 엄마들 자주 외식하고 배달시키고, 플렉스한다고 놀러다니고 아이들에게 꼭 필요하지않은 곳에도 막 질러댈때 내 몸이 조금 피곤하더라도 제철 음식 저렴하게 사서 만들어먹고 아껴서 40대 되자마자 이미 상위 5%자산을 부모 도움없이 일궜습니다. 해외여행 다녀와서 저에게 해외도 안나가냐고 아이들 데리고 다녀오라고 세상 구경도 안시켜준다며 뭐라뭐라 하는 그 아이 엄마들 집의 반이 대출인대 원리금 상환 겨우겨우 하면서 놀러다닙니다. 내가 저집이였으면 이미 대출 다 갚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으는 재미가 더 즐겁고 행복하다는거 동감합니다. 아이들도 금융교육 시키고있고 여행안다녀오는 저희 집 아이들이 이해해줍니다. 이번 여름휴가로 오랜만에 인당 2만원짜리 용산아이파크몰 부페갔다가 아이 옷 한번 아울렛에서 사주고 가지고싶은거 최저가로 사줬는대도 20만원을 못썼습니다. 여행다녀온걸로 온가족이 합의했습니다. 강의듣다보니 이해가 됩니다.
김작가TV 님, 김경필 머니트레이너 님 초대해 주셔서, 정신적 자세를 바로잡는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김경필 머니트레이너 님, 말씀을 참 잘하시네요. 쉽게 설명해 주시고, 부드러운데, 강한 메시지를 쾅 받았습니다. 재테크, 경제관념을 다시 바로잡을수 있었고요, 매일 매일 삶에 필요한 내용 고맙습니다. 하시는 모든일 다 성공하셔요! 고맙습니다!
살면서 처음 댓글 달아요. 저는 국제결혼 했습니다 제가 돈관리 할때 집도 사고 차도 사고 여유는 아니지만 그래도 부족 하지 않게 살았습니다. 와이프가 자기가 돈관리 한다고 하도 귀찮게 해서 알겠다고 하고 경재권을 다 넘겼습니다. 그때부터 였습니다 돈을 벌어도 항상 부족했습니다. 이번에 와이프랑 이혼하게 됬습니다 와이프가 먼저 이혼하자고 하더군요 지금 이혼 준비하고 한국으로 돌아갈 생각하면서 어떤 직장을 찾을까 하다가 우연히 강의를 봤습니다. 왜 항상 돈이 부족하고 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를 깨달았습니다. 와이프를 원망했지만 강의를 듣고 힘과 희망을 얻었습니다. 와이프에게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 듣고 저도 부자가 될수 있는 이유와 될수 있다는 희망과 꿈을 얻었습니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한국 돌아가서 꼭 실천 할수 있게 항상 영상 시청하고 배우고 또배우겠습니다.
지금 내나이 47.대학때 알바로 5천모아 결혼.결혼후도 400씩 벌때 300씩 저축.아이들 키우느라 많이 못 모았지만.5년전 수도권 아파트 구입.지금 800정도 벌지만 350정도 저축.2년전 중형차구입.이젠 조금 안정 됐지만 돈쓰는게 무서워요.모아서 일년에 한두번 해외는 나가네요~부모님이 도와준게 없으니 힘들었던 것 같아요~그래도 너무 성실히 산 내가 때론 딱하기도해요😂모두 알뜰히 살아요!
@sarahk9546 1374
2023년 4월 30일 15:10전 여름에 겨울옷 ( final sale ) 을 10-20% 내고 사고 , 겨울에 여름옷 삽니다. 세일 옷 사서 안쓴돈 , 커피 숍에서 커피 안사고 모은돈, 새차 안뽑고 20 년째 중고차 몰면서 매달 차값 모은돈, 이렇게 모아서 노년 은퇴금 모았읍니다. 30 년 모아서 저금하고 투자해서 7 억 은퇴금 마련했읍니다. 아. 앞으로 10 년후에 정식 은퇴 할때 7 억이 복리로 계속 불어서 더이상 돈을 더하지 않아도 돈이 돈을 버는 시스템이 될겁니다. ( 1 년 지난 지금, 현금 천만원 더 모았눈데, 7 억 + 1 천 투자금이 불어서 거의 10 억이 돼었읍니다 ) 제 말의 뜻은 현제 거지처럼 못먹고 못입고 사는 것이 아니라, 돈을 효과적으로 쓰면 작은 돈이라도 모율수 있고, 정기적으로 20-30 년 복리로 모우면 노후준비를 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매달 투자금 백만원 ( 주 25 만원 ) 을 어떻게 현제 정해진 수입, 고정 지출에서 짜아 낼수 있을까요 ?
1) 매월 자동차 대출금 없는차 , 대중교통
2) 커피숍 커피 값
3) 유행 안타고, 물빨래 가능한 옷
4) 주 2-3 회 도시락싸기
5) 젊을때 알바 뛰어, 저금 돈 마련
6) 꼭 필요한 물건만 세일로 사기
7) 공돈 생기면 저금/투자하기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죠
생각보다 쉽게 월 백만원 노후 자금으로 모을수 있읍니다. 처음부터 없는 돈이라 생각하고, QQQ etf, VGT etf, s& p 500 VOO etf ( 모두 10 년 평균 수익율 10%~17% ) 모으십시요. 처음 10 년은 느리나, 10 년 넘어 15 ~20 년 되면 “복리” 의 축복을 경험하실겁니다. 복리 계산기 어플 사용해서 계산해 보십시요. 내가 하찬케 여기며 쓴 작은 돈들이 모여서 복리 + 시간 의 마법으로 어떻게 변하는지...
일제 말에 태어나신 86 세 어머님이 아직도 정정 하신데, 일제, 6.25, 가난한 대한민국 에서 4 형제를 키우시느라 본인 노후를 전혀 준비하지 못하셧지요. 물론 4 형제가 보설펴 드리지만 본인 재산이 없는 것을 못네 아쉬워 하시지요. 비교해 볼때 1960 대 이후 출생한 현재 5060 세대는 쉽게 90+ 살겁니다. 3040 세대는 100 세 시대 입니다. 육체노동 하기 힘든 노년의 기간이 30-40 년이 넘을수 있읍니다. 육체 노동이 가능하고 직장 생활은 20 ~ 65 세 정도 . 대부분의 사람들이 길어야 35 년 정도 입니다. 젊고 기운 있을때 좀 노력하고 검소한 것은 덜 아프고 덜 서럽읍니다. 늙어서 몸 아프고 돈도 능력도 없다면 정말 가슴이 쓰리고 서러울 겁니다.
본인 쓸돈 보다 훨 많이 모아졌다면, 자식에게도 인심 쓰고 좀 남겨주거나, 사회에도 조금 기부하시면 좋구요.
댓글에 많은 분이 젊어서 모우느라 고생만 하고 죽을때 못가져 가는게 불쌍하다 , 커피 안사고 얻어먹느라 고생했다 하시는데, 전혀 그렇지 않읍니다.
정말 불쌍한 사람은
1) 엄청 좋은 차 모는데, 빛도 엄청 많은 사람
2) 커피숍커피 매일 마시는데, 자기 집한채도 없는 사람
3) 백화점옷, 명품 가방 자랑해도 저금통장 잔고가 낮은 사람
4) 젊고 기운날때 쓰고 놀자면서, 무료 사회봉사 한번 않하는 사람 , 등등등
하도 조롱하는 댓글이 많아서 저도 자랑 한번 할가요 ?
1) 나 사는 집 말고도, 월세나오는 집 7 체
2) 개인 연금 12 억 ( tsla, nvda 등등 그 사이 늘었네)
3) 회사 연금 20억 (nvda , voo 등등 . 이직해서 2 회사 연금, 지난 3 년간 2 배 이상 불어남)
4) 개인 저금 8 억 ( aapl, msft, meta 등등 )
5) 나올 은퇴 연금 월 500 백
그동안 미국 주식과 mutual fund 등을 32 년간 일하면서 셋집 살때 aapl 절반 판것 1 회 일뿐. 단 한번도 팔지 않고 모았읍니다 . 요즘은 tsla + nvda 가 올라가서 갑자기 총액이 늘어 났지만, 시장이 출렁거리니 떨어졋울때 조금씩 살뿐, 전혀 팔지 않읍니다.
물론 작은 돈 피땀나게 모은 것 만은 아님니다. 20 년전에 우연치않게 천만원이란 목돈이 생겼을때 애플 주식을 120 주 사놓고 일하느라 바빠서 두번이나 분할때까지 15 년 간 안팔고 들고 있다보니 큰돈으로 변해 있었읍니다. 그돈에서 얼마꺼내 싸지만 교통좋은곳에 월세집을 몇체 대출끼어 사고 거기서 나오는 돈 집어쓰지 않고 진짜 내 재산을 만들기 위해서 부지런히 원금 과 이자 갚고 있읍니다. 현제 3 체는 완불 했읍니다 . 횡재나 운을 바라면 다른사람 부러워만 집니다. 작은 돈을 모아 종자돈을 마련하는 것이고. 그 종자돈이 자라야 투자와 재태크가 가능해 지는 것입니다. 저는 30 년 직장 생활을 하면서 생활의 지혜로 작은 돈으로 종자돈을 모운 것입니다.
세일 옷 사고, 커피숍 커피 안마시고, 중고차 타는게 고생 이라 는 님들은 정말 인간이 살면서 겪는 고생을 안해본 사람 입니다. 이 세가지 방법은 가장 손쉽게 빨리 월 100 만원 저금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원하면 당장이라도 벤츠, BMW 몰수도 있지만, 저는 그돈으로 3040 년이 될지 모르는 은퇴기간의 생활비로 모아 두겠읍니다.
글이 자꾸 길어져서 미안 합니다. 처음엔. 나 열심히 살아어. 하고 몇자 적었는데, 조롱과 비난, 불쌍하다는 말에, 자꾸 설명을 달다 보니 엄청 길어 졌읍니다. 부모님 모시고, 남편 일찍 사별하고, 저 나름 정직히 열심히 지혜롭게 살려고 많이 노력햤읍니다 . 이제 60 이 되니, 앞으로 30-40 년 살 미래룰 꿈꾸며 열심히 운동 하고 있읍니다. 젊은 분들, 포기 하지 마시고 한번에 1 달씩 목표 데로 저금하고 노력하십시요. 제 자식에게도 똑 같이 말합니다. 말이 길어서 정말 미안합니다
@안지원-e8k 326
2023년 5월 01일 00:53미래에 대한 무책임한 행동을 하면 안된다. 차는 소득에 걸맞는 차를 타야한다.
(보험료,통행료,과태료,주유비,수리비,대리비,주차비,세차비 등) 차량유지비는 5%넘으면 안된다.7-8%는 절대 넘으면 안된다.
본인 월소득에 6개월치정도 되는 차량을 사라. 절대로 유지비가 7-8% 넘지 않는다.
보통본인 월급에 3배가넘은 차를 탄다.
그럼 유지비가15-20% 나간다.
따라서 모을수있는 돈이 줄어들면 가능성또한 줄어든다.
내 미래의 가능성이 줄어들면 행복감이 줄어든다.
제네시스 월소득 700만원
벤츠e 월1000만원
월소득 300이면 걸어다녀야한다.
애덤스미스“부자들은 소비에 행복보다 부의연속성에 행복을 느낀다”
“가난은 열정의 빈곤에서 오는것이다”
열정이 있으면 방법론이 나온다.
열정이있으면 영감이나온다.
올하반기에 경기가 안좋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절약해야한다.
1.습관적테이크아웃 커피를 줄인다.
2.중식비를 절약한다.
3.엥겔지수-내지출에서 식생활비를 차지하는비중. 1인가구 25% 넘으면 안된다.
4.문화생활비는 월급의 15% 넘으면 안된다. 후순위의 소비. 쇼핑조심.
5. 6개월-1년 전부터 계획하는 여행을 잡아라. 여행비는 1달치월급으로 갈수 있는 여행지를 잡아라. 예산의 개념을 갖고 여행계획을 세워라. 가고싶은여행지금액이 모자라면 기간을 더늘려 금액을 모으고 가라.
6. 주거비용-직주근접때문에 발생.
월급에 15%이상을 내기는 어렵다.
관리비포함 15%이내로 낼수 있게 해라.
어려움에 적응하지말고 발버둥을 쳐야한다. 세상이 바뀌었다.
나이가40살이면 0.7 곱하면 사회적 정년이 28살이다. 지금 40살은 애매한 소득때이다.
250만원받는 사람한테 1억만들어라 한다. 5-6년안에라도 만들어야한다.
250만원 밖에 못버니깐 빨리 1억을 만들어야한다. 오래 걸리더라도 모으자.
1억이 재테크를 시작하는 허들이다.
1억을 모으는 동안 깨닫게 된다.
긍정적 마인드는 미래의준비를 해가면서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긍정적 마인드다.
단순히 긍정적 생각은 근자감이다.
내 손으로 1억을 만들어 보는 사람은 재테크에 절대로 실패하지 않는다.
불확실하다는 거는 아직까지 결정되지않았다는 것-> 즉, 가능성이 있다는 것.
돈번지 5년이면 1억은 있어야 한다.
1억은 비행기로치면 상공10km.
따라서 저축에 집중해라.
1050만원 모을때마다 50만원은 플렉스해서 즐긴다.
풍차돌리기 적은은 비추천.
돈을 잘 모은사람들은 목표가 있다.
소비전 생각항 3가지.
-뭔가를 사들이는 사람들이 소비를 더 많이한다. 쇼핑을 조심해야한다.
결제 3심-> 장바구니에 담아 당장 결제 하지마라-> 과연 정말로 필요할 것인가?
(없으면 안되는거다면 통과/ 있으면 좋은데 탈락) 이번달 예산이있는가?
대체제는 없는가? 이세가지가 통과되면 후회하지않는 소비가 된다.
필요한걸 사야지 싼걸 사지 않는다.
지금 우리나라는 후퇴침체 중간.
경기침체가 오면 금리인하가온다.
인플땜에 금리를 단순히 낮추기는 힘들꺼다. 스타트는 천천히, 피니쉬는 스피디하게. 지금경기는 인플레이션에의해움직임.
지금상황은 도끼질보단 도끼날을 가는게 중요하다.
2023년말까지는 현금보유가 제테크임.
연말까지는 저축하는게 낮다.
실질금리는 높은편이다.
@Raindrop1126 321
2023년 5월 16일 22:12사람마다 느끼는게 다르겠지만 저의 경우 적당히 모으고 적당히 소비해야 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제 친구 나름 대기업이라 할 수 있는 회사 입사하고 먹고싶은거, 사고싶은거 참아가며 20대 청춘 다 바쳤는데 공장 화재로 사망했습니다. 죽기전 차 한대 뽑아도 되겠지? 라며 웃으며 말하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네요.
이제 3년쯤 됬으려나요. 너무 먼 미래보다 적당히 무리없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했으면 합니다.
@_wondersky. 201
2023년 5월 03일 17:02학창시절 뼈저린 가난을 느끼고, 20대 전세 / 30대 내집을 꿈꾸며 살고 있습니다.
20대 목표 달성했으니, 30대 목표도 달성해서 김경필 트레이너님을 영상으로 많이 배워서 이뤄냈다고 당당히 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no_compass 194
2023년 5월 27일 09:19내 나이 23살, 저는 22살이
되고 군대 대신 방위산업체 2년 근무를 하게 되었어요. 1년 3개월이 조금 더 지난 시점인 최근에는 2300만원을 모았습니다. 한달에 160만원을 저축했고 월세로 25만원을 내면 한 2~30만원 정도 남아요. 밥도 회사밥만 먹고 주말마다 본가에 내려가고 옷 한벌 안사고 술도 안먹고 담배까지 끊었어요. 그리고 진짜 부자가 되고 싶어서 남는돈으로 책을 사기 시작했어요. 내 지적재산은 복리효과보다 더 효율이 좋을거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책을 읽고 투자를 공부하고 그런데 부모님 이빨이 많이 안 좋으시더라구요. 치료비 800만원 제가 내드렸고 누나 집 구한다고 500만원을 빌려줬어요. 남은 1000만원으로 분산 투자를 해서 100만원 가까이 수익을 냈었는데 한 종목 물린거에 물타기를 하다가 지금은 -50% 에 거래정지가 되었네요. 너무 빨리 부자가 되고 싶어서 욕심을 냈던 것 같아요. 상장폐지 얘기까지 나오니 이제 허탈하기만 합니다. 저는 아직 젊고 건강한 몸은 아니지만 누구보다 강한 맨탈이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저는 꼭 성공해서 저희 가족에게 건물 한채씩 선물해서 일 하지 않고 돈 걱정 없이 살게 해주고 싶어요. 꼭 성공하고 싶습니다.
@jsue7628 152
2023년 6월 19일 03:56이런내용의 서적 등 20대에 읽어봤고 30대초까지도 읽어보았는데 그 당시만해도 1억이란 돈을 모은다에 포커스를 맞춰 이해했는데 40대에 이 강연을 듣다보니 제가 본질을 이해하지못했던것 같습니다. 금액이 문제가 아니었다는것을요 ㅎㅎ
정말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
아마 이영상을 제가 20대에 들었으면 반박도 들었을겁니다. 나이들고 보니까 하나같이 공감되고 다시한번 상기시켜주는 유익한시간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년에 한두번씩 봐야겠어요 ~~
@윤여주-h1i 134
2023년 5월 02일 02:02김경필작가님 나오시는 영상을
주3회는 정기적으로 봅니다
40대중반 김작가님 강의를듣고
정신차리고 흑자 가계경제 꾸리고있습니다
항상 존경하고
제 인생의 은인이십니다
이런분은 장관하셔야해요
@mini_zzi 114
2023년 6월 29일 16:45진짜 악착같이 아끼고 아껴 모아도
결국 아프거나 암걸려 또는 사고로
가면 끝이더라 아무 의미 없는거임
그러니 적당히 벌고 적당히 쓰세요
돈욕심 부리지 말고
욕심이 많으면 끝이 안좋다 함
가장 중요한건
건강과 행복 이랍니다
사는동안 깨끗하게 청소 하고
즐겁게 행복 하게 지내세요
제발
그래야 후회 없어요
@lucky_tv 110
2023년 4월 30일 13:02🌟 『김경필 머니트레이너_3부작』 풀버전을 업로드 했습니다.
📌 김작가의 신규 유튜브 채널 『리치』 오픈, 놀러오세요:)
👉 https://youtu.be/9p1UiCT-XzQ
@rurutouch 107
2023년 4월 30일 16:52진짜 거를타선이 없네. 구구절절 말씀하시는 것마다 명언... 이런 귀한 영상을 공짜도 듣는 게 너무 감사드려요.
@Dhjayse 83
2023년 4월 30일 17:11구구절절 와닿는 말이네요!!! 나의 소비에 대해 다시한번 반성해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DH-TSL 79
2023년 5월 01일 08:13안사면 100%할인 완전공감 합니다 ㅋㅋㅋㅋ
@dfghddd7463 74
2023년 9월 17일 18:5494년생인데 26살부터 직장생활 해서 지금 세후 250 좀 안되는데 지금까지 9천8백만원 모음. 이번달 월급 받으면 1억 잠깐 찍었다가 추석때 쓰면 다시 9천만원대로 떨어지고 담달 월급부터 1억 찍을듯 ㅇㅇ 물론 출-퇴-집 패턴에 부모님이랑 같이 살긴함
@뭉게구름-x7g 68
2023년 5월 20일 17:06너무 유익한 강의 잘들었습니다. 댓글을 안쓸수가 없네요. 명강의 들을수있게 기회주신 김작가님에게도 감사드려요.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juhyun0_ 62
2023년 5월 02일 22:19저축에 대한 생각과 각오를 다시 하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mungkami 58
2023년 4월 30일 17:53너무나 명강의입니다... 많은 분들이 보고 깨달았으면 좋겠어요
@이은기-h6r 53
2023년 5월 01일 09:33김경필님 너무 멋지고 감명깊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
@문영균-u6j 51
2023년 9월 24일 21:59500만원만 모아도 통장보면서 웃는 저를 발견하게되었습니다
다음주에 3년탄차 매각합니다
빚털어버리고 적금 열심히 하겠습니다
@니네나라만만세 49
2023년 6월 19일 19:47제 친구중에 월소득 최저임금 수준인데 밴츠 할부로 뽑고 명품 옷 사고 다른사람이 볼땐 엄청 잘사는것처럼 보이는데 저한테 50만원만 빌려달라고 해서 손절했음
@choosy0815 47
2023년 5월 11일 05:35저는 21세입니다 소규모 사업하면서 저축하기 시작했어요 약13000정도 모았어요 빚도 갚고 오늘도 은행 갈 준비합니다^^
열심히 사업해서 4억원정도 모으려고요^^
@zzangkwon3835 47
2023년 5월 02일 12:50직장인들 외식 음식값 기본 만원에
다들 테이크아웃 커피 먹으면...
하루에 15,000원 정도는 기본
이거부터 고쳐야함 ㅠㅠ
@tennis-k9m 41
2023년 5월 03일 10:36제 인생경험을 듣고 있는것 같네요~~
현실적인 가계경제 내용입니다.
1억모으는데 10년걸렸는데~~ㅎ
머니트레이너 다시 합니다.
명강의 1시간 훅 가네요~~^^~~
@hwanee1495 39
2023년 5월 01일 22:10남들이 뭐라하든 구두쇠가 되어야하고 허리띠를 졸라야합니다. 향후 10년 20년 30년 후에는 극명한 차이가 나기 시작할겁니다. 옛날부터 돈관리는 기초적인 제테크였죠. 이게 받쳐줘야 무언가 할 수 있고 가능성이 생기는겁니다. 다들 성투하세요~!
@hamsan2 29
2023년 6월 09일 11:47결재3심제도
1.꼭 필요한가?
2.예산은 있는가?
3.대체재는 없는가?
너무 신박합니다.인상깊게 들었습니다.감사합니다.~^^
@jjjj_jjjj_jjjj 29
2023년 9월 08일 15:52이런 내용을 20대 30대에 봤으면 더 좋았을걸 ... 생각하면서 제 모습을 다시 또 돌아보게 됩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김작가님께서 준비해주신 내용은 항상 큰 도움 됩니다.
@jjk4891 28
2023년 6월 19일 11:15무조건 아껴라!!라며 다그치기보다 젊을때 좀더 “곱씹으면서” 삶을 즐기는 사고의 전환을 통해, 지극히 정상적이고 상식적인 경제적 논리를 전달해주시는게 따숩게 느껴지는것같아요. 마냥 패스트푸드적으로 시간과 경험을 소비하지말고, 다양한 장소를 보고 변화를 온몸으로 느끼며, 미래를 준비하는 설레임을 가지라는 말씀이 저희 세대를 위해 고민하신 티가 많이납니다 ㅎㅎ
@jtrinity9408 26
2023년 8월 14일 16:28주위 아이 친구 엄마들 자주 외식하고 배달시키고, 플렉스한다고 놀러다니고 아이들에게 꼭 필요하지않은 곳에도 막 질러댈때 내 몸이 조금 피곤하더라도 제철 음식 저렴하게 사서 만들어먹고 아껴서 40대 되자마자 이미 상위 5%자산을 부모 도움없이 일궜습니다.
해외여행 다녀와서 저에게 해외도 안나가냐고 아이들 데리고 다녀오라고 세상 구경도 안시켜준다며 뭐라뭐라 하는 그 아이 엄마들 집의 반이 대출인대 원리금 상환 겨우겨우 하면서 놀러다닙니다. 내가 저집이였으면 이미 대출 다 갚았을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모으는 재미가 더 즐겁고 행복하다는거 동감합니다. 아이들도 금융교육 시키고있고 여행안다녀오는 저희 집 아이들이 이해해줍니다. 이번 여름휴가로 오랜만에 인당 2만원짜리 용산아이파크몰 부페갔다가 아이 옷 한번 아울렛에서 사주고 가지고싶은거 최저가로 사줬는대도 20만원을 못썼습니다. 여행다녀온걸로 온가족이 합의했습니다.
강의듣다보니 이해가 됩니다.
@김귀선-f8x 26
2023년 5월 09일 23:47정말 좋은 강의입니다.
공감하고 또 공감합니다.
@상록수-b6r 23
2023년 4월 30일 13:56진짜 경험에서 나온 말씀 하신다
너무 공감됭니다
@2찍은해롭다 22
2023년 5월 05일 23:022000% 공감한다. 유일하게 인정함!! 같은 길을 걸어오셔서 방갑네요 ㅎㅎ
@SiliconValleyTopRealtor 21
2023년 7월 02일 03:41김작가TV 님, 김경필 머니트레이너 님 초대해 주셔서, 정신적 자세를 바로잡는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김경필 머니트레이너 님, 말씀을 참 잘하시네요. 쉽게 설명해 주시고, 부드러운데, 강한 메시지를 쾅 받았습니다. 재테크, 경제관념을 다시 바로잡을수 있었고요, 매일 매일 삶에 필요한 내용 고맙습니다. 하시는 모든일 다 성공하셔요! 고맙습니다!
@cheon1465 20
2023년 9월 21일 18:30머니 트레이너 김경필님의 명언
"들지않는 도끼날을 휘둘러봐야
나무를 벨수없으니 도끼날을 갈면서 기다려라 " ㅎㅎㅎ~멋진 강의 귀에 쏙쏙 들어오네요
많은 도움이 되었고 잘들었습니다
@Masterpjg 18
2023년 8월 19일 22:39살면서 처음 댓글 달아요. 저는 국제결혼 했습니다 제가 돈관리 할때 집도 사고 차도 사고 여유는 아니지만 그래도 부족 하지 않게 살았습니다. 와이프가 자기가 돈관리 한다고 하도 귀찮게 해서 알겠다고 하고 경재권을 다 넘겼습니다. 그때부터 였습니다 돈을 벌어도 항상 부족했습니다. 이번에 와이프랑 이혼하게 됬습니다 와이프가 먼저 이혼하자고 하더군요 지금 이혼 준비하고 한국으로 돌아갈 생각하면서 어떤 직장을 찾을까 하다가 우연히 강의를 봤습니다. 왜 항상 돈이 부족하고 돈이 모이지 않는 이유를 깨달았습니다. 와이프를 원망했지만 강의를 듣고 힘과 희망을 얻었습니다. 와이프에게 감사합니다 이번 강의 듣고 저도 부자가 될수 있는 이유와 될수 있다는 희망과 꿈을 얻었습니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한국 돌아가서 꼭 실천 할수 있게 항상 영상 시청하고 배우고 또배우겠습니다.
@푸르미-w2y 17
2023년 8월 09일 08:14절약이라는 가장 기본적이고 확실한 재테크에 대해 얘기해 주셔서 공감이 정말 많이 됐습니다.
@정병문-k2o 17
2024년 3월 25일 07:073년뒤에50이되거든요 시작해보겠습니다
@안나3-r7m 14
2023년 5월 15일 16:28결국 돈 많이 벌어 1억 될때까지 저축하라는 말씀^^ 당장 알바 알아봐야겠네요ㅎ😅
@늘행운 13
2023년 4월 30일 22:42명강의
골라서 볼수있는 눈 이런 유트브 영상이면 엄지척이죠~
@handle_silo 12
2023년 4월 30일 20:54아주 베이직 초심찾기에 좋은 영상이예요
@tuiaborano1877 12
2023년 8월 20일 12:342030이 전세가 아닌 월세로 가는건 당장 좋은집에 살고 싶어서 라기보다는 요즘 전세사기가 심해지면서 월세 수요가 증가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보통 아파트보다는 빌라/오피스텔에서 청년들이 많이 거주하게 되는데 거기에서 전세사기가 많이 발생하니..
@르네상스장 12
2023년 7월 19일 20:00이분말은 본가에서 살면서 밥값, 방값 안들어가는 사람들.부모님이 경제력이 있어서 생활비나 병원비 안 보내드려도 되는 분들에게만 해당되는 말입니다.
@Jin-yv2gb 11
2023년 5월 24일 09:43미래의 나에게 위임받아 관리한다는 말씀은 저에겐 정말이지 너무 획기적이였어요. 진심으로 감사해요 소중한정보들!!
@서윤-p6m 9
2023년 10월 10일 22:47지금 내나이 47.대학때 알바로 5천모아 결혼.결혼후도 400씩 벌때 300씩 저축.아이들 키우느라 많이 못 모았지만.5년전 수도권 아파트 구입.지금 800정도 벌지만 350정도 저축.2년전 중형차구입.이젠 조금 안정 됐지만 돈쓰는게 무서워요.모아서 일년에 한두번 해외는 나가네요~부모님이 도와준게 없으니 힘들었던 것 같아요~그래도 너무 성실히 산 내가 때론 딱하기도해요😂모두 알뜰히 살아요!
@방신영-n7r 8
2023년 10월 11일 01:23소비 전 스스로에게 해야할 질문
1. 과연 정말로 필요한 것이냐? 없어선 안 되는 것이냐? 있으면 좋은데X
2. 예산(여유현금)이 있느냐?
3. 대체재는 없는가?
이 세가지를 통과하면 후회하지 않는 소비가 될 것이다.
반값할인 한다고 덜컥 사지 말고 꼭 필요한 것을 사야 한다. 안사면 100% 할인이다.
@sunghyunkim3266 8
2023년 6월 20일 10:30인생에 정답이 정해진건 아니죠
뭐든 자기인생이니 자기가 하고싶은대로 원하는 삶을 살면 그만입니다 단, 자기인생에 대해 후회를 하면 안될것같습니다
@나온-d7d 6
2023년 11월 08일 21:46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영상보고 오늘 과소비 안했네요
반복또반복 들어야될듯 합니다
1억 적금 오늘부터 시작입니다 ^^
@박화순-p9t 6
2024년 1월 06일 04:54정말 유익하게 잘듣고 있습니다. 감시ㅏ합니다
@zzzz8898 6
2023년 10월 07일 06:32이강의를 듣게된건 행운입니다~~🎉🎉🎉
사토시 나카모토 5
2023년 4월 30일 14:197가지가 그래서 뭐임?
@어벤추린 4
2024년 4월 10일 17:32`어려움에 적응하려 하지말고 발버둥쳐라'는 말씀에 정신이 번쩍 드네요.
@아미타불-2 4
2023년 5월 26일 13:5701:08:20
1. 과연 정말로 필요한 것이냐(있으면 좋은데 X)
2. 예산이 있느냐
3. 대체제는 없는가?
Martina Bae 4
2023년 4월 30일 13:06대불확행ㅋㅋㅋ 빵터졌네요
송단 2
2023년 4월 30일 14:48내용이 분노에차서 뭔말을 하는지 죽도록일만하란건지 가난한사람은
@박화순-p9t 2
2024년 1월 06일 04:56김경필씨ᆢ너무. 멋져요. 조목조목. 머리에. 쏙쏙 들어와요
삼성 2
2023년 4월 30일 15:06무지 공감하는 내용입니다
우리 애들한테 꼭 들려주고 싶은 말씀이네요....
감사드립니다
간파 2
2023년 4월 30일 14:0690년생 이후는 가난한 가정에서 자라더라도 예전세대에 비해 풍요의 시대에서 자라다 보니
소비에 대한 참을성이 낮다는건 아마 20 30 세대만 인정 하지 않을겁니다
남은희 1
2023년 4월 30일 15:29돈을 모으는 방법은 습관이다 시드머니를 모으라는 말씀입니다
SY 1
2023년 4월 30일 15:37자산관리의 기본
너무 좋은 내용이네요~
고개를 끄덕이면서 들었어요~~~
Lap daily
2023년 4월 30일 16:19내가 사회초년생이었다니ㅜㅜ
데이비드초
2023년 4월 30일 16:25mz세대가 인스타 보고 골프치고 다닌다고 일반화하네 ㅋㅋ 별루 있지도 않은 케이스 갖다가. 오히려 대부분 2030은 집에서 넷플릭스 보거나 게임하면서 소비 거의 안함. 오히려 4050이 넘의가정 비교하면서 캠핑장비 suv 오지게 과소비하지